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리 수’ 팬픽션과 책빙의물의 관련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evance of ‘Mary Sue’ fanfiction and book traveler genre : based on fantasy genre in the 2000's : 2000년대 판타지를 중심으로 손진원 p. 9-40
헌터와 도살장 = Hunters and slaughterhouses : the historical present of zoopolitics and Solo Leveling : 동물정치의 역사적 현재와 『나 혼자만 레벨업』 권두현 p. 41-79
K-Pop의 세계관과 확장하는 서사의 가능성 = K-pop universe : the archive of expanding narratives 김민선 p. 81-114
한국 웹소설의 오디오 드라마 매체 전환 연구 = A study on media-conversion from Korean web fiction to audio drama 정은혜 p. 141-169
조동일의 초기 문학사 연구에서 ‘고독’의 의미 =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Cho Dong-il's early study of literature history : focusing on the 「Poet Consciousness Theory」 : 「시인의식론」을 중심으로 조송이 p. 173-206
개발의 타자들 = The marginalized from development : the mid-1960s' representation and discourse of lower class in Cheong-Maek : 1960년대 중반 『청맥』의 하층민 재현과 담론 송은영 p. 207-237
1960년대 민족문화론과 최인훈 = Ethnoculturalism and Choi In-Hoon in the 1960s : 『회색인』(1964) 재독 이철호 p. 239-262
1960년대 북한연구와 ‘후진’의 위상학 =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topology of ‘backwardness’ in the 1960s : Glenn D. Page's political science as a case in point : 글렌 D. 페이지의 정치학을 사례로 박연희 p. 263-302
한국어 생략의 정보구조 = Information structure of Korean ellipsis 함병호 p. 305-339
한·중 신체어 ‘혀/舌’의 의미 확장 양상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mantic expansion of the body-part term ‘tongue’ in Korean and Chinese 왕매, 김성주 p. 341-376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양상 분석 = An analysis on digital literacy perceptions of Chinese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academic writing : focusing on the planning academic writing : 학술적 글쓰기에서 계획하기를 중심으로 진시, 민정호 p. 377-408
<장복선전>의 축제적 성격 연구 = A study on the carnivalesque characteristics of Jang, Bok-Seon Jeon 정인혁 p. 409-447
냉전의 문화정치, 친선과 은폐 = Friendship and concealment in Cold War : focusing on the visit to Taiwan by the ‘Chinese Cultural Friendship Delegation’ in 1957 : 1957년 ‘訪華문화친선단’의 타이완 시찰과 ‘중국인식’을 중심으로 최진호 p. 449-481
사랑의 게토와 월경 = A ghetto of love : ‘DCINSIDE Alternate History Minor Gallery’ as online gated community and its characteristics : 디시인사이드 대체역사 갤러리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빗장 공동체 유인혁 p. 115-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