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asso를 통한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 Exploring key predictors of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via Lasso 한정아 p. 1-23
(A) study on conflict management types of pre-teachers = 예비교사들의 갈등관리유형에 관한 연구 Lee, Kwangsung p. 25-41
(The) effects of ChatGPT-assisted teacher feedbac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 ChatGPT를 활용한 교사 피드백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Park, Punahm, Kim, Tai-won p. 43-65
융합 프로젝트기반 팀티칭 수업에서의 학습 경험 분석 = An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s in convergence project-based team-teaching : focusing on A university class cases : A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남수, 김정미 p. 67-91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자유학기제의 제도화 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from the sociological institutional perspective 황재연 p. 93-121
Z세대 예비영유아교사의 자기보고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self-reporting of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황성원, 이현주 p. 123-149
교과연계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gular curriculum courses integrating co-curriculum on students’ competencies and class satisfaction 우경진, 전영미 p. 151-171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 유형, 학업성취도, 소통 역량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styles,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 basic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교수·학습 전략을 위한 기초 연구 김지연, 김기홍 p. 173-192
학습경험으로서 개념학습의 의미 고찰 = Examining the meaning of conceptual learning as a learning experiences 박영주, 김빛나 p. 193-213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유형 =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using digital devices : identifying latent classes and influential factors :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조성범 p. 21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