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상방언의 악센트 추이 재고 = Accent shift in Gyeongsang Korean revisited : by employing internal reconstruction method : 내적 재구의 방법을 이용하여 김주원 p. 3-41
이극로 선생의 성조 연구 = Review of Lee Geuk-ro's study on tone of Korean dialects 이문규 p. 43-83
중세 국어 후음 ㅇ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 Ph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Korean laryngeal sound "ㅇ" 소신애 p. 85-125
양태 표현이 부호화하는 의미의 분석과 양태 발화의 해석 =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encoded by modal express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modal utterances 손혜옥 p. 127-174
문어체 낭독 시 조사 ‘-의’ 생략 현상 = Why readers omit the particle '-의(ui)' while reading written language?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spoken grammar when reading written language : 구어 문법이 낭독 시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경은 p. 175-208
어휘상 연구의 단위와 어휘부 표상 = Units of lexical aspect analysis and representation in the lexicon 윤나영, 이찬영 p. 209-253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白-'의 기능 = The functions of '-白-' in Seokdokgugyeol :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15th century Hangeul materials : 15세기 한글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우철 p. 255-284
메신저 말뭉치를 통해 본 {-음} 종결의 사용 양상과 특성 = The usag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final {-eum} based on messenger corpus 서윤정, 이향원 p. 285-320
한국어 [NP1은 NP2이 VP] 구조 피동문의 유형과 특성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P1-eun NP2-i VP] passive constructions 최선지 p. 321-350
한국어 충당 구문(applicative construction) 연구 = Study on the applicative construction in Korean 장윤예 p. 351-391
‘수고’에 대한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 study of 'swuko' 장린 p. 393-429
개화기∼일제 강점기 초기 일본인의 한국어와 일본어의 관계 연구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ies by Japanese betwee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 Targeting Oya Toru(1889), Kanazawa Shyozaburo(1909), and Shinmura Izuru(1916) : 大矢透(1889), 金澤庄三郞(1909), 新村出(1916)를 대상으로 이준환 p. 43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