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치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한 연차 발굴조사 유적의 공간정보 정합 방법과 활용 가능성 검토 = A study on the method and utilization of matching spatial information for the site of the annual excavation survey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techniques : focusing on the case of Wanggung-ri site, Iksan and Wangheungsa Temple site, Buyeo :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여 왕흥사지 사례를 중심으로 우상은, 송아름 p. 6-24
현존 유물을 중심으로 본 16~19세기 조선 선회포(旋回砲)의 종류와 변천과정 = The types and evolution of swivel guns during the Joseon Dynasty(16th~19th) based on existing artifacts 김명훈 p. 26-50
조선후기 금고의 범자 체계와 제작시기 = The Sanskrit character system and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Buddhist gong in the late Joseon period 이용진 p. 52-71
한국미술정보의 국제적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enhance the global utilization of Korean art information : multilingual metadata for information about Korean calligraphers and painters : 한국 서화가 정보 다국어 메타데이터 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유혜민 p. 74-98
경주 첨성대 천문관측대설의 종언(終焉) = R.I.P., the hypothesis that Cheomsongdae was an astronomical observatory(1480~2024) 장활식 p. 100-133
창덕궁 도배에 사용된 문양지의 지질 및 안료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and pigment used in the wallpaper at Changdeokgung Palace 김지원, 손하늘, 조규혁, 정선화 p. 136-151
성천 강선루(降仙樓)를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객사(客舍) 부속 누각(樓閣)의 사상적 배경 및 조형 특성 = Focused on Seongcheon Gangseonru(降仙樓) ideolog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attached pavilion(樓閣) of the Gaeksa(客舍) in Joseon Dynasty 심순희, 김충식 p. 154-193
정조(正祖)의 「상림십경(上林十景)」으로 본 동궐(東闕) 후원에 펼쳐진 위정(爲政)과 감흥(感興)의 이념경관 = The ideological landscape of reign and inspiration unfolding in the back garden of Donggwol as seen in King Jeongjo’s Sangrim Sipgyeong 노재현, 김홍균, 정푸름 p. 196-224
노거수 수세 진단에 적합한 초분광 영상 식생지수 및 파장대 선정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egetation indices and wavelength bands of hyperspectral images suitable for diagnosing the vigor of the old giant trees 김수현, 김충식, 이재용 p. 226-238
매장유산의 특징과 활용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Jeonbuk region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이민석 p. 240-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