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 나주·광주의 삼현육각 존재 양상에 관한 연구 = Study of existence of Samhyeon yuggak (lit. “three strings and six winds”) ensemble in Naju and Gwangju provincial offices in the modern times 이용식 p. 5-30
담양지역의 판소리문화 자산 = Cultural assets of Pansori in the Damyang area 김석배 p. 31-65
한중 가면극 파계승과장의 특징과 의미 비교 연구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hinese and Korean mask dances : focusing on the Nojang Dance of the Bongsan Mask Dance and the Daeduhwasang Heeryuqu in Zaoyang City, Hubei Province : 봉산탈춤의 노장춤과 호북성(湖北省) 조양시(棗陽市)의 대두화상희류취(大頭和尚戲柳翠)를 중심으로 왕완맹 p. 67-91
북한에서의 봉산탈춤 연구 양상 고찰 = A review of Bongsan Mask Dance published in North Korea through the mid-1960s : 1960년대 중반까지 북한에서 간행된 논저를 중심으로 김광식 p. 93-119
18세기 후반 연희자의 지역 간 교류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regional exchange of performers in the late 18th century : focusing on the exchange between Seoul and the Chungcheong region through new sources : 새 자료를 통해 본 서울·충청지역 간 교류를 중심으로 김은영 p. 121-145
에벤키 샤먼의 의례 공간 춤 외부와 호모콘 형상 연구 = A study on the outside of the Evenki Shaman's ritual space Chum and the shape of the Homokon 이현경 p. 147-177
경기도 시흥 군자봉 성황제 굿상 진설과 신찬의 의의 = Significance of Jinseol and Shinchan in the Gutsang of Gunjabong Seonghwangje in Siheung-si, Gyeonggi-do : focusing on the 2021 and 2023 Sanje and Dangje table settings : 2021·2023년 산제와 당제의 상차림을 중심으로 이보용 p. 179-210
신이한 여성 인물의 지혜로움 현현 양상의 흐름과 변이 =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wise woman’ type character in folktales 권태효 p. 211-234
매체로 본 해방 이후~1980년대 국산 유리 식기의 제작과 사용 = Production and use of domestic glass tableware from after liberation to the 1980s as seen through media 한혜선 p. 235-261
일제강점기 경성 소재 여학교의 재봉 수업과 조선재봉 실습 양상 = Dressmaking classes and Korean dressmaking practices in girls' schools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김윤희 p. 263-302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놀이에 나타난 문화변용 양상 = A study on acculturation in the play of Central Asian Koryeo-in : focusing on identity and hybridity of culture : 놀이의 정체성과 혼종성을 중심으로 정형호 p. 303-330
<대한 융희 2년 명시력(明時曆)> 역주의 의(宜)·불의(不宜) 양상과 민속적 의미 = A study on the Ui(宜)ㆍBului(不宜) folklore of the footnote of the calender Myeongsiryeok (明時曆)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DaeHan Yoonghui 장장식 p. 331-370
1일 주기 조석의 민속구분법 = Folk classification of tides in a day :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cultural knowledge of tidal currents in Gomso Bay : 곰소만 물때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조숙정 p. 371-403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묄렌도르프 컬렉션 연구와 활용 = Research and utilization of the Moellendorff collection housed at the GRASSI Museum für Völkerkunde in Leipzig, Germany : focusing on the eating utensils of Joseon in 1883 : 1883년에 수집된 조선 식생활 도구들을 중심으로 구혜인 p. 405-436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의 원(原) 병풍 장황(粧䌙)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al mounting of the folding screen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store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전지연, 강그린 p. 437-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