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경식의 사유와 ‘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의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diaspora as method' in Kyungsik So 권혁태 p. 113-146
재일조선인이라는 아포리아 = Zainichi Korean as aporia : nation, the people, diaspora in Suh Kyungsik's works : 서경식의 민족-민중론과 디아스포라론 재고(再考) 조경희 p. 147-180
화북(華北)문단시절 김광주의 부일(附日) 저술 활동 연구(1938~1939) = A study on Kim Kwang-ju's pro-Japanese writings during his literary activities in North China(1938-1939) 왕혜, 최창륵 p. 17-49
감정의 산물, 근대 초기 아시아 담론에 투사된 증오의 연쇄 = Result of emotional, a hateful chain in the early 20th Asianism : focusing on Kodera Kenkichi and Sun Yat-sen's Asianism : 고테라 겐키치(小寺謙吉)와 쑨원(孫文)의 아시아주의를 중심으로 장효예 p. 221-251
1930년대 조선영화의 희극(성)과 가족 로망스 = The comicality and family romance in Joseon cinema :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of Dr. Cheapie and The Kid : <싸구료 박사>와 <키드> 겹쳐 읽기 최우정 p. 253-281
트로트의 고고학(考古學), 뽕의 해부학(解剖學) = An archaeology of trot, an anatomy of Ppong 신현준, 이준희 p. 283-320
1980년대 김성동의 소설과 연좌제 = Kim Seong-Dong's novels and the guilt-by-association in the 1980s 이한결 p. 321-354
불에 탄 사진-이미지 = Burned photos-images : about photography by Choi Byung-Oh's May 18 Uprising : 최병오의 5·18 사진에 관하여 김만석 p. 355-384
복원되는 4·3 역사와 봉기지도부를 둘러싼 재현의 욕망 = The history of 4·3 being restored and the desire for reenactment surrounding the uprising leadership : focusing on the imagery of Kim Dal-sam and Lee Deok-gu in the 4·3 novels of the 1990s : 1990년대 4·3장편소설의 김달삼·이덕구 형상화를 중심으로 방선미 p. 385-419
이슬람 테러 발생과 기존 무슬림 이민자의 공포 및 분노, 테러 가해자와의 동조화 문제 = The outbreak of Islamic terrorism and the fear and fury of existing Muslim immigrants, and the problem of asch effect with terrorists : Jonas Hassen Khemiri, I Call My Brothers : 요나스 하센 케리미,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2012) 이행선 p. 451-485
의대 증원 문제와 좋은 의료 만들기 = Increasing the medical student quota and a reconsideration of the quality medical care 최성민 p. 487-516
재일조선인 시인 종추월의 ‘귀로 먹은’ 언어와 실패하는 ‘자장가’ 시 = 'Ear-eaten' language and failed 'lullaby' poetry of the Zainichi Korean poet Jong Chuwol : through Kim Si-jong's 'language of physiology' : 김시종의 ‘생리의 언어’를 경유하며 박지희 p. 51-79
문학주의와 아포리아 = Literalism and aporia [서평] 박연희 [평] p. 519-545
이양지 「유희」에 나타나는 미끄러짐의 궤적 = The trajectory of slippage in Lee Yang-ji's Yuhi : focusing on the speaker "I" : 화자인 ‘나’를 중심으로 문희철 p. 81-110
지금-여기 페미니스트의 서경식 다시 읽기 = NOW-HERE-feminist's re-reading of Seo Kyung-sik to inquire about the Komatsugawa Jiken and colonialism from a gender perspective : 젠더적 관점으로 고마쓰가와 사건과 식민지주의를 묻다 심아정 p. 181-217
적의 죽음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How to remember the death of the enemy : an analysis of Korea's cultural memory on the Battle of Jipyong‑ri : 지평리전투에 관한 한국의 문화기억 분석 김려실 p. 42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