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실생활의 융합 인재 소양 함양을 위한 리빙랩 기반 초등 소프트웨어 수업 설계 및 적용 =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living lab-based elementary software class to cultivate real-world convergence talent literacy 석철호, 손정명, 김태영 p. 665-678
정보교육의 내용별 초등교원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nformatics education contents 김지윤 p. 691-701
초등학교 교과서에서의 알고리즘의 그래픽 표현 방식의 분석 연구 = A study on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lgorithm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정인기 p. 703-711
AI·디지털 교육 플랫폼에서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 보호 방안 연구 = Protecting learner’s data in the AI·digital educational platform 유정수, 정영식 p. 723-730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 자율시간 기반 초등학교 정보교과 편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An extended framework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based on school autonomous time in 2022 revised curriculum 전병우, 신승기 p. 731-739
AI 디지털교과서 분석 및 제안 = Analysis and proposal of AI digital textbook : focusing o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2022개정 교육과정 초등 정보교육을 중심으로 이승미, 전석주 p. 821-832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의도와 화용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intention and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영규, 마대성 p. 741-751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정보교육의 성취기준 분석 =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이재무 p. 811-819
메타버스에서 학습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learning frameworks in the metaverse 유정수, 박지용 p. 753-760
초등학교 5학년을 위한 생태·환경 교육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n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문경록, 박보경 p. 797-810
예비유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s in AI education : focusing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서희전 p. 761-773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초등 교원의 SW·AI 직무 역량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y in software and AI for implementing the revised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정영식 p. 787-795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정보교육교과목 개발 = Development of a novel engineering-based informatics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나연, 김지윤 p. 775-785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쓰기 수업 방안 연구 = Research on writing educ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홍정기, 심재권, 김우열 p. 657-664
창의성 신장을 위한 대학 교양 SW 수업 설계 = Design of liberal arts SW class to enhance creativity 노지예 p. 679-690
초등학교 VR 활용 교육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VR education on student's self-efficacy 강신조, 한규정 p. 713-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