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 근거한 이공계 대학원의 연구활동체계 분석 및 지원과제 제언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activity system of S&E graduate schools based on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이혜선 p. 1-24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경험 연구 = Old adult learners' experience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 learning motivation and changes : 참여 동기와 참여로 인한 변화를 중심으로 전제아, 김경화 p. 25-60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사용의도 탐색 = Exploring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ChatGPT for educational purposes : focus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ChatGPT affordances : 기술수용모형과 ChatGPT 어포던스를 중심으로 김혜림, 김세영 p. 61-79
디지털 시민 교육 강화를 위한 중학생용 디지털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gital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trengthen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오은하, 옥현진, 노들, 김자영 p. 105-146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개념화 = A study on mother's conceptualization of young children' play 박은혜, 박세령 p. 147-174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종단 분석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elp-seeking behaviors : 도움요청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경미, 엄지윤, 신태섭 p. 175-198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들의 신체활동 지원 경험탐구 = Exploring the physical activity support experience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여선옥 p. 81-104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적 설명하기’ 역량 평가 = An assessment of science instructional explan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이인선, 윤혜경 p. 199-220
학교폭력 사안처리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학교상담자의 불순응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noncompliance of school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school bullying 곽소영, 오인수 p. 221-247
VOSviewer 프로그램의 분석 조건에 따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비교 = A comparison of the analysis conditions in network analysis using VOSviewer :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이주호, 최윤정 p. 249-284
유·초이음교육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to primary education (Leum education) : focusing on school systems and curricula of Sweden, Finland, Austria, and Croatia :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의 학제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은혜, 김순환, 이성희, 유선영 p. 285-308
초등과학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최윤성, 정정인 p. 309-331
예비교사 핵심역량 진단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of a scale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focus on students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K university in Korea : K대학교 교원양성과정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민휘, 조영하, 김소희 p. 33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