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The influence of Korean early language on the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不sound" clusters, "丕sound" clusters, "否sound" clusters, "咅sound" clusters and the ancient Korean language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김은주, 김하종 p. 1-17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색채 정량적 분석 = A sentiment analysis study of ‘真是’ using ChatGPT 신근영 p. 19-35
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A study on the theme of frustration (不遇) in Li Bai's poetry : transcendental self and hiding in nature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장수연 p. 37-50
근대 중국의 문예담론을 총괄할 대표 ‘소설총론’으로서의 정립 가능성 검토 =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a representing the “A general theory of Novel” that will oversee the discours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 based on Guan, Da-Ru’s 「Shuo xiaoshuo(說小說)」 and Lü, Si-Mian’s 「Xiaoshuo conghua(小說叢話)」 : 管達如의 「說小說」·呂思勉의 「小說叢話」를 대상으로 정해리 p. 51-72
古谱改编诗词在台传唱情形初探 = An initial exploration of the transmission of anciently adapted poems in Taiwan : focusing on the topic of “Poems Recorded for Mao Zedong" : 以“为毛泽东录诗词”为讨论对象 许怀之 p. 73-85
土 오행 墓庫論의 연원과 변천 고찰 = A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s in tomb and storage theory of earth out of the five elements 이흥주 p. 87-106
中国古代绘画中的文人袒裸形象研究 = An examination of the depiction of nude scholars in ancient Chinese painting : a semiotic analysis based on Peirce’s triadic sign theory : 基于皮尔斯符号三分法视角 Sui Chenglong, 김원경 p. 107-120
王振鵬이 그린 「孔子聖蹟圖」의 眞僞에 관한 고찰 = Reflections on the authenticity of Wang Zhenpeng's The Holy Map of Confucius : 그림의 序와 題跋을 중심으로 문미진 p. 121-142
中國農村隔代教育類型及其對留守兒童學業的影響硏究 = A study on the type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n rural China and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 of left-behind children 王湖濱, 張家燕 p. 143-158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The cultural ident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reinterpretation in modern society : focusing on Korea, China and Japan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곽현숙 p. 159-183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중국 徑山茶宴 = Chinese Jingshan Tea Ceremony (徑山茶宴)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from 'Qinggui'(淸規) to digital tourism resources : ‘청규(淸規)’에서 디지털 문화관광으로의 전개 김성순, 엄영욱 p. 185-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