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n smartphone MMORPGs and impact on player immersion = 스마트폰 MMORPG에서 감성 디자인의 적용과 플레이어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Yan Wenjun, Ken Nah p. 11-3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index in home furniture business = 홈퍼니싱 비즈니스의 고객만족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Tan, Suqin, Nah, Ken p. 33-47
Algorithmic framework for design thinking = 디자인 사고를 위한 확률적 프레임워크 : 복잡한 문제 공간에서 혁신 증진 : enhancing innovation in complex problem spaces Penalva Tebar, Jose iguel, Nah, Ken p. 48-61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ome furniture product service system =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홈 퍼니처 제품 서비스 시스템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focus on the Chinese market Tan, Suqin, Nah, Ken p. 62-74
(The) effect of AI integration on designers' creativity in the sketching process for design ideation = 디자인 아이데이션 스케치 과정에서 AI의 활용이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Won, Hayoun p. 75-86
ADHD 아동 보호자를 위한 자기모니터링 기반 모바일 앱 서비스 제안 = A mobile application proposal for self-monitoring b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ADHD : the potential for behavioral improvement in ADHD caregivers through mobile technology :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ADHD 아동 보호자 행동 개선 가능성 강예림, 조은이, 허지윤, 오세정, 최종인, 박수이 p. 87-96
AHP-AD-TOPSIS 기법을 활용한 해변 공공시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t coastal areas using AHP-AD-TOPSIS method : focusing on the beaches of Busan : 부산 지역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정아신, 강원, 김면 p. 97-107
ChatGPT 사용자 경험 측정모형의 구성타당도와 이해타당도 평가 = An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and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for ChatGPT UX evaluation 정다운, 나건 p. 108-122
IPA 분석을 통한 아트부산 2023 참관자의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ective attributes at Art Busan 2023 through IPA analysis 손영희, 나건, 김현선 p. 123-134
KANO-AHP 모델을 이용한 하드쉘 재킷(바람막이)의 사용자 수요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demand of hardshell jacket users based on KANO-AHP model 온우범, 이성원 p. 135-150
MZ 세대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인에 대한 인식이 지속가능한 명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Z generation's perception of sustainable design factors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sustainable luxury goods 송가섭, 나건 p. 151-164
NeRF와 3DGS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활용 사례 연구 = Study on trends in NeRF and 3DGS technologies and content application cases 조수진, 김단비 p. 165-180
OSMU 콘텐츠 개발 전략 방안 연구 = A study on OSMU content development strategy : focusing on webtoons : 웹툰을 중심으로 김헌재 p. 181-190
SOR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국 금박 문화상품의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urchase intention for Chinese gold foil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based on the SOR model 이민, 정원준 p. 191-205
UX 리서치 과정 중 리서처-디자이너 간 의견차이 패턴 이해 = Understanding dissensus patterns between researchers and designers in UX research process : focusing on case study of practical research projects : 실무 리서치 프로젝트 사례 분석 중심 성혜린, 나건 p. 206-215
감성 디자인-AHP 기반 해양 박물관 전시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exhibition room design of marine museums based on emotional design and AHP 정아신, 이민, 김면 p. 216-225
감정 이론에 기반한 자폐증 전시회 포스터 시각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elements of posters in autism exhibitions based on theory of emotion 펑효첩, 정의태 p. 226-239
고객 지각 가치 이론에 기반한 중국 안양은허(安陽殷墟) 문화상품의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xamining the impact of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of the Yinxu in Anyang, China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perceived value 광가로, 정원준 p. 240-251
고령자 주거 복지 정책의 한계와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limi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senior housing welfare policy : focusing on Seoul apartments :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차승화, 김민정 p. 252-262
구성주의 포스터에서 발현되는 낯설음의 그래픽 해석 = Graphic interprettation[실은 interpretation] of unfamiliarity in constructivist posters 진신, 양재범 p. 263-277
국가 홍보 영상 트렌드 변화의 기호적 분석을 통한 국가 브랜드 고찰 = A study on the national brand through symbolic analysis of changes in national public promotional video trends : focusing on Korea's overseas promotional videos : 한국의 홍보 영상을 중심으로 엄기준, 김민정 p. 278-288
국내 프리미엄 식품관에서 나타나는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ce branding in premium food halls in Korea : focusing on domestic department store food halls : 서울 소재 백화점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현지, 박주성 p. 289-298
국제영화제 포스터에 나타난 3D 이미지 시각 요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3D image visual factors appearing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s : focusing on the official posters of Korea's three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 국내 3대 국제영화제 공식 포스터를 중심으로 박광신 p. 299-309
그래피티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의식 조사 = Investiga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n graffiti 김문석 p. 310-319
근거이론-AHP 혼합모델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가상전시 디자인 전략 연구 = A study on sustainable virtual exhibition design strategies using a grounded theory-AHP hybrid mode[l] 이유란, 정의태 p. 320-332
다문화가정의 한국 식재료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design for managing Korean food ingredi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박서영, 박수진 p. 333-345
도시 브랜드 이미지 전략 및 도시 로고 디자인의 상징성 관한 연구 = A study on urban brand image strategy and the symbolism of city logo design : centering on Hangzhou's urban brand : 항저우에 도시 브랜드 중심으로 왕효정, 한숙현 p. 346-357
도시 이미지 디자인의 포지셔닝 요소 및 정체성 연구 = Study on the positioning elements and identity in city image design : centering on New York, Hong Kong and Seoul : 뉴욕, 홍콩,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왕효정, 한숙현 p. 358-368
디자이너의 생성형 인공지능(AIGC)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esigners' satisfaction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GC) use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age 곽초잠, 정의태, 이선미 p. 369-383
디자인 씽킹을 통한 주민 참여형 예술 마을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developing a resident participation-based art village through design thinking : focused on Sinri Village, Gyuam-myeon, Buyeo-gun : 부여군 규암면 신리마을 중심으로 이혜선, 나건 p. 384-398
디자인 전공의 취업 능력 향상을 위한 전공플랫폼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major-specific platform model for enhancing employability in design majors : focused on communication design major in K university : K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아, 이지연 p. 399-411
디자인 창의성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과 인간 디자이너의 협업 기반 창작 프로세스 연구 = A study on the collaboration-based creative process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designer for design creativity education 최치권 p. 412-421
디지털 기술의 상호작용 경험 응용 연구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experience of digital technology : focusing on museums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n China after 2010 : 2010년 이후 중국지역 디지털 기술 적용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만치, 박주성 p. 422-434
럭셔리브랜드의 플래그십스토어에 나타난 파사드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acade design in flagship stores of luxury brands : focused on Louis Vuitton : LOUIS VUITTON 중점으로 전자흥, 김슬기 p. 435-447
로맨스 웹툰 배경의 시각적 특징 연구 = Study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romance webtoon background : focusing on the top 5 Naver Webtoon romance genres : 네이버 웹툰 로맨스 장르 상위 5편을 중심으로 김영찬 p. 448-462
리브랜딩 배경에서 브랜드 심벌마크 유형이 수용자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brand symbol mark types on audience cognitive response under the background of rebranding : focusing on the university brand : 대학 브랜드를 중심으로 저우이쉬안, 호지달, 장빙설 p. 463-472
린이시 ‘중국 농민 수확절’을 위한 브랜드 디자인 = Brand design for Linyi City's Chinese Farmers' Harvest Festival 유예설, 공욱, 정의태 p. 473-488
만화 콘텐츠 창작 교육을 위한 일본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Analysis and suggestions of university curriculum in the Japan for cartoon content creation education 김석래, 옥진명 p. 489-501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어포던스 디자인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scalability of affordance design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 focusing on case analysis in the business platform sector : 비즈니스 플랫폼 분야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윤병권 p. 502-511
미래 수중독립도시의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future underwater independent cities : based on the analysis of CiteSpace literature metrology : CiteSpace 문헌계량학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조국청, 민경훈 p. 512-521
반려동물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UI/UX design of pet community applications on user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cat community mobile applications : 반려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선동민, 남원석 p. 522-535
범주론적 분석을 통한 디자인 씽킹 개념 정립 = Establishing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최민수, 나건 p. 536-546
보호구역 도로표지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ement of protection zone road signs : focusing on the school zone in Korea : 한국의 어린이보호구역(School Zone) 안내를 중심으로 은덕수 p. 547-561
비주얼 아이덴티티(VI) 시스템에 무안경 증강현실(AR) 기술의 통합적 응용 = Glasses-free 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onvergent application in VI (visual identity) design : focusing on Kuan Er San Tea brand : 관이삼 차(寬⼆三茶) 브랜드를 중심으로 왕운호, 유연교 p. 562-575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중국 도시공원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of public facilities at urban park in China based on big data analysis 장강, 이상영 p. 576-586
사용자 경험을 통한 배달 앱의 UI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I design elements of takeout apps on user satisfaction through user experience 왕동, 추강 p. 587-597
생성형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한 데이터 기반 디자인 수행 및 평가 = Data-driven design and evaluation with generative AI and human collaboration : Korean kimbap package for the U.S. market : 미국시장 진출용 한국 김밥 패키지 최서령 p. 598-608
서울형 디자인산업생태계 모형개발 = Development of Seoul design industry ecosystem model 정성모 p. 609-620
소형 플레저보트 저항성능 향상을 위한 선형디자인 연구 = A study on hull design to improve resistance performance of small pleasure boats 박성환 p. 621-630
시각적 은유 광고를 수용하는 Z세대의 체험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f generation Z's experiential attributes by embracing visual metaphor advertising 유익상 p. 631-641
안도 다다오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표현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xpression in the architectural spaces of Tadao Ando 반이송, 김슬기 , 윤성호 p. 642-653
온라인 VR박물관 체험 특성이 방문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online VR museum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visitor satisfaction : a case study of Chinese cultural heritage museums : 중국 문화유산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자, 구자준 p. 654-667
온라인 구매 모델 기반 의류 브랜드 마케팅 전략 연구 =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of clothing brands based on online shopping models : centered on sales data analysis of China's TikTok : 중국 틱톡 판매 데이터를 중심으로 곽기, 이성원 p. 668-681
웹툰의 시각적 표현 요소와 구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and composition of webtoons : focusing on the media and visual of webtoons : 웹툰의 매체적·시각적 특징을 중심으로 김영찬 p. 682-695
유아기의 친환경 생애 교육을 위한 분리배출 교구 디자인 = Design of the waste separation educational tools for infants to eco-friendly life education 오한새, 장민지, 김성준 p. 696-709
유연한 콘텐츠를 위한 브랜드 세계관 디자인 방법 = The methodology of designing a brand universe for flexible content 최민수, 나건 p. 710-724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가상 사용자를 활용한 참여적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participatory design with data-driven virtual users built by AI : focusing on fitness app KEEP in China : 중국 피트니스 앱 KEEP을 중심으로 허신게, 리메이르 p. 725-737
인류세 시대의 지속 가능한 바이오모픽 디자인 연구 = Research on sustainable biomorphic design in the anthropocene 손숙영 p. 1-11[실은 738-748]
인물화 검사를 활용한 굿즈 디자인 수업이 특성화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goods design classes utilizing draw-a-person tests on self-ident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김은희, 남원석 p. 749-758
장수군 스마트팜과 조경 디자인의 융합 연구 = Integration of smart farms and landscape design in Jangsu County : focusing on enhancing ecological and aesthetic values : 생태 및 미적 가치 향상을 중심으로 이윤서 p. 759-768
전자책 플랫폼 디자인의 선호도에 따른 브랜드 태도 및 전환의도 분석 = Analysis of brand attitudes and switching intentions according to e-book platform design preferences 나경훈 p. 769-779
제품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 프롬프트 구성요소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prompt components for image-generative AI in product design : focusing on midjourney and chair : 미드저니와 의자를 중심으로 윤예찬, 주대원 p. 780-795
종합 병원 모바일 앱 GUI 사용성 연구 = A study on general hospital mobile app GUI usability : focusing on the case of a general hospital in the Chungcheongnam-do : 충청남도 지역 상급 종합 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빈 p. 796-809
중년 여성층 트로트 팬을 위한 팬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 User interface design for a fan platform targeting middle-aged female trot fans 김민정 p. 810-824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을 통한 가방디자인 연구 = Development of bag design through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 focusing on upcycled fishing net products from the KOOK brand : 페그물 업사이클링 KOOK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강희명, 기희숙 p. 825-838
지역별 책 표지디자인의 의미와 시각적 표현 패턴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and visual expression patterns of book cover designs by region : focusing on Harry Potter series : 해리포터 시리즈를 중심으로 고은정, 엄기준 p. 839-851
체화인지 기반 몰입형 체험 특성 연구 = A study on immersive experience characteristics based on embodied cognition : focusing on archaeological site museums in China in the third quarter of 2024 : 2024년 중국 3분기 고고학 유적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만치, 박현아 p. 852-863
카오스(Chaos)광고에 표현되는 프랙탈(Fractal)이미지의 속성 = Properties of fractal images represented in Chaos advertising 진양, 양재범 p. 864-878
팀랩 보더리스를 통한 미디어아트의 확장성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xtensions of media art through teamLab Borderless : focusing on Marshall Mcluhan's understanding media :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를 중심으로 오은석, 원종욱 p. 879-888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반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 특성 연구 = Research on the organ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tecture based on parametric design : focusing on prominent digital architecture projects completed since 1997 : 1997년 이후 준공된 대표적인 디지털 건축 중심으로 양자한, 박현아 p. 889-900
프롬프트의 우선순위가 생성형 AI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f how the prioritization of prompts affects generative AI images : focus on examples of generative AI works : 생성형 AI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심수연 p. 901-910
플렉서블디자인패턴을 활용한 아트키트 제품화 가능성 검토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ing art kits using flexible design patterns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DP's hedonic characteristics on user favorability : FDP의 유희적 특성이 사용자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해 하봉수 p. 911-921
피그마를 활용한 UX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UX design education using Figma : focusing on prototyping for implementation of parallax web : 패럴랙스 웹 구현을 위한 프로토타이핑을 중심으로 홍순재 p. 922-931
한국 정당 심벌마크의 연대기 = The chronology of Korean political party symbol marks : evolution within the sparse signification : 빈약한 의미화 과정 속의 진화 이은정, 홍재우 p. 932-946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현대미술관의 전시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exhibition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요사항, 윤성호 p. 947-963
현대 뮤지엄 전시공간의 디지털 융합 전시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vergence exhibitions in contemporary museum exhibition spaces 김동현, 윤재은 p. 964-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