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로스해 대륙대 퇴적물의 대자율 이방성 연구 =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of sediments in the Ross Sea continental rise, Antarctica : evaluation of paleocurrent variability reconstruction : 고수류 변화 복원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
신지영, 이민경, 강명일, 주영지
|
p. 349-360
|
|
|
|
강–연안–해양 환경 내 유기탄소∙질소의 공간적 기원 변동 특성 = Spatial variations of organic carbon-nitrogen origins within the river–estuary–marine continuum
|
정은지, 김승희, 정진영, 김태진, 이동헌
|
p. 361-374
|
|
|
|
형산강의 수리지화학 특성 = Hydrogeochemistry in the Hyeongsan River basin, South Korea
|
서민지, 최영진, 김정훈, 박호진, 나공태, 류종식
|
p. 375-388
|
|
|
|
광양만 용존 희토류 원소의 농도 분포 = Distributions of dissolved rare earth elements in the Gwangyang Bay, Korea
|
김주미, 김태진
|
p. 389-397
|
|
|
|
스트론티아나이트에 의한 방해석 치환 예비연구 = Preliminary study on calcite replacement by strontianite
|
김영재
|
p. 399-404
|
|
|
|
2023년 케냐 홍수에 대한 기후학적 분석 및 미래전망 = 2023 Kenyan floods : a climatological study and future perspectives
|
김현서, 전나연, 손락훈
|
p. 405-414
|
|
|
|
일조 모델과 측정을 통한 도시 지역 건물의 일조 시간과 표면 온도 분석 = Analysis of sunshine dur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of a building in urban areas using a sunshine duration model and measurements
|
강정은, 노주환, 이지은, 김성희, 김채린, 손정민, 조민재, 조은서, 박수진, 김재진
|
p. 415-423
|
|
|
|
자철석 가루 투입량이 페놀 폐수의 혐기성 소화에 미치는 영향 평가 = Effect of magnetite powder dosage on the anaerobic digestion of phenolic wastewater
|
정성윤, 김세은, 강선민, Thien Truc Thanh Ngo, 이준엽
|
p. 425-432
|
|
|
|
Network science approaches for analyzing regional interac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 네트워크 과학 접근을 활용한 해수면 온도의 지역 간 상호작용 분석
|
Daekyung Lee, Jong-Min Park, Heetae Kim, Eun Lee
|
p. 433-447
|
|
|
|
Water vapor retrievals from the ground-based direct-Sun measurements based on the spectral Langley method = 다분광랭리 기법에 기반한 지상원격탐사장비 직달광 관측을 활용한 수증기 전량 산출
|
Serin Kim, Ukkyo Jeong
|
p. 449-453
|
|
|
|
시계열 동위원소 변동성을 통한 인위적 영향 분석과 지표수 평균체류시간의 추정 = Assessing the impact of anthropogenic source on the estimation of mean transit time of surface water using time series stable water isotopes
|
정윤영, 최승현, 신우진, 양민준
|
p. 455-467
|
|
|
|
강 유량의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는 통계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stochastic model representing seasonal variability in river discharge
|
박설아, 김근영, 안수현, 문우석
|
p. 469-478
|
|
|
|
1차원 확산 해석해를 통한 저투수성 매체의 만곡도 추정 연구 = Tortuosity estimation through 1-D analytical diffusion model with different types of clay
|
김창민, 장성간, 양민준
|
p. 479-490, 1
|
|
|
|
“지질학회지”의 연구주제와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focus on LDA model and network analysis : LDA 모델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김태용, 박혜민, 허준용, 이혜림, 양민준
|
p. 491-505
|
|
|
|
지표환경에서 리튬 동위원소 분별 = Lithium isotope fractionation in terrestrial systems
|
류종식, Nathalie Vigier
|
p. 507-515
|
|
|
|
천연수소의 잠재적 근원암인 초고철질(사문암) 암체의 국내 분포와 특징 고찰 =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pentinized) ultramafic rocks in South Korea as potential source rocks of natural hydrogen
|
채용운, 임현수, 주영지
|
p. 517-534
|
|
|
|
“행매층의 새로운 정의와 이의 지질학적 중요성"에 대한 반론 = Comments on "the new definition of Hangmae formation and its geological significance" by Park et al. (2024)
|
이병수
|
p. 535-54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