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게 보이다와’ ‘-어 보이다의’ 특성 비교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e boida’ and ‘-eo boida’ 정연주, 김현주 p. 7-43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피드백 방안 = Feedback methods for Korean writing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learner perceptions and preferences differences between ChatGPT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feedback : ChatGPT와 한국어 교사의 쓰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선호도 차이를 중심으로 심지연 p. 45-79
서우(西友)와 양계초의 시문(詩文) = Seou and Liang Qichao’s poetry and prose : the identity of academy and literary sinitic writing : 문언(文言) 글쓰기와 학회의 정체성 임상석 p. 81-105
디카시와 웹3.0의 현대시 = Dica-poem and modern poetry in Web 3.0 : focusing on ChatGPT and Midjourney : ChatGPT와 Midjourney를 중심으로 김남규 p. 107-140
산 이동 설화의 이원적 세계관과 형상화 방식 = Dualistic worldviews and representations in mountain-moving tales 홍연표 p. 141-179
함경도 서사무가 <성주굿>의 서사구조와 제의적 의미 = 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 and ritual meaning of the shamanic epic “SeongJu-Gut” in Hamgyeong-do Mangmuk-gut 신호림 p. 181-211
<구운몽>에 나타난 사랑의 작동원리와 의미 = The mechanism and meaning of love in The Nine Cloud Dream : focusing on Yang So-yu, the beloved human : 사랑하는 인간, 양소유를 중심으로 정혜경 p. 213-254
일제강점기 『일기』를 통해 본 순종(純宗)의 일상생활과 그 의미 = The daily life and meaning of King Sunjong through the “Di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윤종선 p. 255-285
甁窩 李衡祥의 『南屣錄』을 통해 본 旅程과 詩會의 자취 = A study on journey and traces of the poetry collection through Namsarok(南屣錄) by Byeongwa(甁窩) Lee Hyung-sang(李衡祥) 김기엽 p. 287-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