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에 대한 중국어권 학습자의 인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ognitive patterns of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regarding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 인량위, 이미향 p. 1-29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산출과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 교사의 지각 연구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Korean monophthongs by beginner Chinese learners and the perception of non-native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쉬진위엔, 남영자 p. 31-56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ChatGPT 피드백 활용 경험 및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ChatGPT feedback by advanced Korean learners of Chinese background for academic purposes 김유미, 임립 p. 57-87
구어성 분석 기준에 대한 한중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riteria for analyzing colloquiality of Korean and Chinese 이근 p. 89-113
韩语母语者汉语“把”字句的“句法-语用”界面习得研究 = Th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he Chinese ba construction at the syntax-pragmatics interface by Korean native speakers 陈冰娴, 孙道功 p. 115-141
모더니티의 심연을 엿본 자의 내면 풍경 = The inner landscape of a person who peeped into the abyss of modernity : the world of “The Sea and the butterfly” by Kim Kirim : 김기림 시 「바다와 나비」의 해석 김유중 p. 143-171
금강산과 민족의 상상적 현존 = The imaginary presence of Mt. Geumgang and the Korean people : Mt. Geumgang in Dong-A Ilbo and Chosun Il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조선일보』속의 금강산 김풍기, 홍성구 p. 173-198
초점자를 변경한 결말 이어쓰기 활동과 소설 교육 =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the activity of rewriting the ending of a novel with a changed focus point 김효주 p. 199-219
중국조선족 소설에 투영된 한국 이주 양상과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 The migration of Korean-Chinese to South Korea and changes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 focusing on novels since the 1990s : 199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姬偉傑 p. 221-248
형태의(Lettre) 번역 ‘다시 읽기’ = “Right understanding” of lettre translation : letter translation beyond literal translation : 직역을 넘어 문자 번역으로 강은정 p. 249-274
단어 모형의 관점에 따른 현대중국어 ‘XX人’형 단어군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hinese ‘XX Ren’ type words group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words model 손가연, 이영호, 김은희 p. 275-299
한국한자음과 객가·월방언의 合口韻 수용 양상 비교 = The evolution of hekou rhyme in Sino-Korean, Hakka, and Cantonese : centered on the first and second divisions : 1·2等字를 중심으로 김영란 p. 301-319
뮤지컬 번역 연구 현황에 대한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musical translation research : focusing on Korea and China : 한국과 중국의 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신문봉 p. 321-349
두만강 지역어의 중국어 차용 유형과 변용 양상 = Loanword types and variations of Chinese in the Dumangang dialect 진관우 p. 351-376
연암의 『史記』 <刺客列傳> ‘형가전’의 수용 및 변용 양상 = The patterns of the acceptance and the transformation in Jingke in the biography of the assassins in the Historical Records : focused on Banggunkakyejun Usangjun, YeulhaIlgi Dogangrok : 『放璚閣外傳』 <虞裳傳> ·『熱河日記』 <渡江錄>을 중심으로 심은경, 김원중 p. 377-407
중국 대학 내 공학계열 중한합작운영 교육기관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future issue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inese-Korean cooperative engi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t Chinese universities 유소소 p. 409-446
日本朝鲜语教育研究 =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s : 以高中朝鲜语教育为中心 杨晶晶, 童晓玲 p. 447-466
文化抉择与转向 = Choices and turns of culture : accepting trajectory,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Korean loanwords : 浅议韩语外来词接受的轨迹、特点及影响 闫仁举, 尹允镇 p. 467-484
形容词“晚/迟”、“慢”的跨语言研究 = A cross language study of adjectives late and slow : discussion on the causes of word mixing by CSL learners : 兼论CSL学习者的混用成因 苏向丽, 임진호 p. 485-507
文化共同体视域下看朝鲜文人柳得恭对18-19世纪东亚社会的理解 = Study on Yu Deuk-gong's views about 18, 19C East Asi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mmunity 郑泽星 p. 509-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