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웹툰이 재현하는 청소년 성장 서사와 가족 공동체에 대한 성찰 =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teenager growth-narrative’ and reflection on the family community in webtoon : focused on Naver webtoon <I don't have a home> : 네이버 웹툰 <집이 없어>를 중심으로 강영훈 p. 7-36
영화 속 예술적 차용과 상징성 표현 연구 = A study on artistic borrowing and symbolic expression in movies : focusing on <Across the Universe> :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를 중심으로 김미숙 p. 37-53
강경옥의 『노말시티』 = Kang Kyung Ok’s Normal City : romanticizing unfamiliar bodies : 낯선 몸의 낭만화 김은정 p. 54-71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만화·웹툰 교육의 기대 = A study on the expectations and outcomes of using generative AI in comics and webtoon education : focusing on storytelling education utilizing ChatGPT : 성과 연구 챗GPT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지 p. 72-88
오토메 게임(Otome Game)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 A semiotic study of the Otome game : focusing on <Love and Deepspace> : <러브 앤 딥스페이스(戀與深空)>를 중심으로 곽호연, 이진 p. 89-110
<Royal Match> 게임 요소의 게이머 욕구 단계 충족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how game elements in <Royal Match> meet player needs at different levels 류중치, 이종한 p. 134-156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영역의 확장 = Expansion of the scope of animation production with AI : focusing on generative animation : 생성형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오동일 p. 157-171
최근 SF 웹툰의 장르 융합 현상 연구 = A study on the genre fusion phenomenon of SF webtoon recently : centered on the SF award winners, <The Royal Concubine Attack> and <Rendezvous> : SF 어워드 수상작 <후궁공략>과 <랑데부>를 중심으로 최배은 p. 172-186
카카오톡 이모티콘 ‘와다다곰’을 통해 본 관계 미학 연구 = A study of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the KakaoTalk emoticon ‘Wadada Bear’ 이선영, 이승진 p. 187-200
AI 기술 요소의 진화에 따른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제작 효율성 제고 연구 = A study on enhancing production efficiency of 3D character animation through the evolution of AI technology elements : focusing on perceived usefulness : 지각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이경은, 한창완 p. 201-230
AI 시대 애니메이터의 역할 = The role of animators in the age of AI : focusing on motion studies of <Tom and Jerry> : <톰과 제리>의 동작 연구를 중심으로 고지수, 김규현 p. 11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