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무용교육의 연결주의(Connectivism)이론 적용 가능성 = The applicability of connectivism theory in dance education amid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s 강요섭 p. 1-21
공연예술축제 관람객이 지각한 서비스스케이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visitors' servicescape on behavioral intentions in performing arts festival :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강정환, 윤미라 p. 23-36
무용전공자의 정서지능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와 무용표현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ceived stress and dance expression in dancers 김유리아, 이해준, 정선해 p. 37-55
혼종성(Hybridity)에 기반한 한국창작춤 연구 = A study on Korean creative dance based on hybridity : focusing on the National Dance Company's 『Scent of Ink』 : 국립무용단의 『묵향』을 중심으로 김은주, 이미영 p. 57-72
요안 부르주아 (Yoann Bourgeois)의 <무위(WuWei)>에 내재된 도교철학 요소 고찰 = A study on the Taoist philosophy elements inherent in Yoann Bourgeois's <WuWei> 마영, 손관중 p. 73-91
대학생의 창의성지지 교수학습 환경, 암묵적 믿음 및 창의적 무용수행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supportiv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implicit beliefs, and creative performance in college dance students 박기현 p. 93-118
융복합 교양무용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 Exploring a new paradigm for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dance education 이다혜 p. 119-134
감정과학적 접근을 통한 ‘춤에 영혼이 없다’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no soul in the dance' with an emotion science approach 이보민 p. 135-151
무용예술의 NFT 융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tential NFT convergence in dance art : focusing on Natalia Osipova : 나탈리아 오시포바를 중심으로 이소미, 서연수 p. 153-175
밀양작약산예수재(豫修齋) 작법무(作法舞)의 미적 가치와 발전 방안 = The aesthetic value and development plan of the Miryangjakyaksanyesujae Jakbeobmu 이수영, 박상용 p. 177-189
K-pop 댄스의 글로벌 성공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global success of K-pop dance 이연수, 차지은 p. 191-222
왕 라미레즈(Wang Ramirez)의 작품 <보더라인(Borderline): 경계에서>에 나타난 움직임 확장 연구 = A study on the expesion[실은 expansion] of movement in Wang Ramirez's <Borderline> : focused on the fusion of street dance : 스트릿 댄스의 융합을 중심으로 이주희, 박종현 p. 223-235
LLM을 활용한 생성형 AI에 대한 안무가 인식조사 = Researching choreographer perceptions of generative AI with LLMs 임준희 p. 237-257
가상의 인간, 존재하는 춤 = Virtual humans, embodied dance : an exploration of dance and identity in K-POP virtual idols : K-POP 가상 아이돌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제환정 p. 259-271
해석학 관점에서 본 안무가의 리터러시 함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ultivating choreographers' literacy from a hermeneutic perspective 조원석 p. 273-287
재외한국문화원 K-Dance 프로그램 현황 분석 = Analysis of the status of Korean Cultural Center K-DANCE program : focusing on Europe : 유럽권역을 중심으로 천수경, 최은용 p. 289-315
시공간의 변형 = Transformation of time and space : symbolism and nonverbal expression in Dimitris Papaioannou's choreography :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Dimitris Papaioannou)의 안무 작품에 나타난 심벌리즘과 비언어적 표현 초천아, 손관중 p. 317-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