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누출 사고에 따른 환경피해 영향 범위 예측 = A study on environmental damage impact by ammonia accident
|
이연희, 남근우, 염혜성, 김보경, 신창현, 김재영
|
p. 1-10
|
|
|
|
접목 방법이 포도 '캠벨얼리' /3309C 묘목 생산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grafting methods on production of grape ‘Campbell Early’/3309C nursery stock
|
박재현, 박규현, 사공동훈
|
p. 11-21
|
|
|
|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 중 대류권 오존에 대한 고찰 = Study on the ozone in the troposphere among short lived climate pollutants
|
김진호, 이종식, 박규현, 이찬욱, 홍성창, 김민욱, 이혜민
|
p. 22-31
|
|
|
|
Assessment on the magnesia/mineral supplier-treated Korean cattle compost (MMC) for the reduction of water pollution and the recovery of soil through field test
|
Keon Sang Ryoo
|
p. 32-51
|
|
|
|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의 공영식재가 고추의 생육 및 해충방제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romatic companion plan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est control of pepper in rooftop urban agriculture
|
박재현, 김한길, 윤용한, 주진희
|
p. 52-60
|
|
|
|
대목별 DMSO (Dimethyl sulfoxide) 및 IBA (Indole-3 butyric acid) 처리농도가 포도 ‘흑보석’ 포트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DMSO (Dimethyl sulfoxide) and IBA (Indole-3 butyric acid) treating concentrations by rootstocks on the production of potted nursery stock in the grape ‘Heukboseok’
|
박재현, 사공동훈
|
p. 61-71
|
|
|
|
토양개량제로서 가축분연소바닥재의 처리에 의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생육 특성 =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in the root zone blending with bottom ash produced after combusting dry livestock manure as soil amendment
|
김영선, 임승재
|
p. 72-81
|
|
|
|
노즐 타입과 살포 압력에 따른 Droplet Size 측정 및 DRIFTSIM을 이용한 비산 거리 예측 = Measurement of droplet size by the nozzle type and spraying pressure and prediction of drift distance using the DRIFTSIM model
|
노현호, 김창조, 김소희, 유승화, 강연구, 이춘구, 이상협, 경기성
|
p. 82-91
|
|
|
|
가축분뇨발효액비 관비 처리 후 상추와 배추의 생육 = Growth responds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after fertigating livestock liquid fertilizer
|
이태영, 김태웅, 김영선
|
p. 92-100
|
|
|
|
아세트산 칼륨을 활용한 한국 논 토양에서 메탄 생성 미생물 군집 예측 = Prediction of methanogenic microbial community in Korean rice paddy soil using potassium acetate
|
백지현, 이평호, 구연종
|
p. 101-108
|
|
|
|
왕겨 바이오차 연용시 배추 재배에서 온실가스 배출 및 토양 탄소 수지에 미치는 영향 평가 = Evaluation of the impact of continuous use of rice hull biochar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net ecosystem carbon balance in kimchi cabbage cultivation
|
박도균, 김혜원, 이형석, 이민지, 박혜란, 오택근, 이선일
|
p. 117-127
|
|
|
|
Effects of planting depth and sunshine drying on expression of greenness at the tip of peeled ‘Hongsan’ garlic cloves
|
Binod Prasad Luitel, Hee-Jin Lee, Min-Seon Choi, Tae-Jun Lim
|
p. 128-136
|
|
|
|
QGIS를 이용한 하수악취 민원다발지역에 대한 하수악취 민원지도 및 농도지도 작성 = Creating civil complaint map and concentration map of a sewage malodor for areas with frequent sewage malodor civil complaint using QGIS
|
정태욱, 송도규, 이범구, 박정옥, 김경아, 유은철
|
p. 137-148
|
|
|
|
완효성 비료 처리 후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stis palustris Huds.) 생장 특성 = Growth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after applying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
김영선, 임승재, 강지혜, 이경목, 이긍주
|
p. 109-116
|
|
|
|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of method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methimazole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
|
Hyesu Lee, Jin Ha Sim, Ji Young Kim, Gui-Hyun Jang, Miok Eom
|
p. 149-158
|
|
|
|
환경 중 플라스틱 가소제의 생분해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리뷰 = A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biodegradation of plastic additives in the environment
|
서유진, 한후빈, 조은혜
|
p. 159-173
|
|
|
|
전착제를 활용한 무인항공기 농약 살포 시 수도작에서의 농약 비산 양상 비교 = Comparison of tricyclazole drift in paddy fields from unmanned aerial vehicle spraying using various adjuvants
|
은혜란, 김소희, 정문주, 이예진, 김수민, 이윤희, 민이기, 노현호, 신용호
|
p. 174-187
|
|
|
|
Uptake and translocation of fenitrothion and thiobencarb in rice plant under laboratory and filed conditions
|
Mohamed R. Fouad, Ahmed F. El-Aswad, Maher I. Aly
|
p. 188-199
|
|
|
|
실시간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농업지역 대기오염물질 특성 분석 = Analysis of air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areas using continuous monitoring data
|
이혜민, 김혜원, 김진호, 김민욱
|
p. 200-210
|
|
|
|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of nereistoxin and nereistoxin-related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
Chae Yeong Park, Su Jung Lee, Sun Young Gu, Jung Mi Lee, Gui Hyun Jang, Miok Eom
|
p. 211-222
|
|
|
|
깔따구(Chironomus riparius)와 조각깔따구(Glyptotendipes tokunagai)에 대한 Buprofezin 급성독성 평가 = Assessment of acute toxicity of buprofezin to Chironomus riparius and Glyptotendipes tokunagai
|
박경훈, 방준형, 윤창영, 황소정, 김보선, 김주영, Vasamsetti Bala Murali Krishna, 전경미
|
p. 223-232
|
|
|
|
Droplet Size 조절을 통한 항공살포 농약의 비산 저감 = Reduction of drift in aerial pesticide application through regulation of droplet size : effect of lecithin adjuvant : Lecithin 보조제의 효과
|
노현호, 김소희, 김동주, 오은빈, 최정도, 문지효, 김창조, 경기성
|
p. 233-241
|
|
|
|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주·야간 온도차가 고려엉겅퀴 생육 및 생리활성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DIF on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Cirsium setidens (Dunn) Nakai in plant factory using artificial light
|
이혜리, 손다정, 이한수, 황정은, 진순우, 추영무
|
p. 242-250
|
|
|
|
목질계 농림부산물 바이오차의 과량 투입과 처리방법이 상추 생육 및 탄소 격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ettuce growth and carbon sequestration by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with excessive amount of wood-based agricultural and forestry by-product biochar
|
이슬린, 이재훈, 노준석, 박유진, 이정목, 박종환, 서동철
|
p. 251-260
|
|
|
|
원통형 종이포트 크기, 관수 방법 및 관수 주기에 따른 사과대목(‘M.26’)의 초기 생육 =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n apple rootstock (‘M.26’) applying cylindrical paper pot size, irrigation method and irrigation frequency
|
김영선, 김태웅
|
p. 261-270
|
|
|
|
식물공장 내 대마(Cannabis sativa L.) 유묘 수경 생장에 미치는 광질의 영향 = Light quality influences hydroponic growth of hemp (Cannabis sativa L.) seedlings in a plant factory system
|
허정욱, 이정민, 백정현, 김태현
|
p. 271-278
|
|
|
|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Phorate 및 그 대사물질의 잔류양상 = Residue patterns of phorate and its metabolites based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김도, 노현호, 이상협, 김택겸, 권혜영, 류지혁, 이효섭, 최정윤, Aniruddha Sarker, 경기성, 정원태
|
p. 279-289
|
|
|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inseng growth promoting bacteria from Korean ginseng rhizosphere
|
Euyeon Kim, Jihyeon Baek, Pyeong Ho Lee, Kyu-Won Hwang, Joon Kwan Moon, Yeonjong Koo
|
p. 290-300
|
|
|
|
UHPLC-QTOF을 이용한 수산물(바다장어, 넙치, 새우) 중 농약 273성분의 동시분석법 검증 = Simultaneous analysis of 273 pesticide multiresidues in seafood (conger eel, flatfish, and shrimp) using UHPLC-QTOF
|
김수민, 정문주, 이예진, 백재운, 이윤희, 장귀현, 이주희, 조형욱, 문준관, 신용호
|
p. 301-315
|
|
|
|
노지 가지 관비재배 시 인산 관비공급에 따른 작물 생산성과 비료 이용효율 = Crop productivity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as affected by phosphorus fertigation rates in open-field eggplant cultivation
|
송요성, 이예진
|
p. 316-325
|
|
|
|
타워형 방제기를 활용한 밀식 사과원 저약량 방제 효과 분석 = Effectiveness of low-volume spraying with tower-type sprayers in high-density apple orchards
|
전종훈, 신배연, 윤태명, 반승현
|
p. 326-335
|
|
|
|
밭작물의 드론 방제 시 농약 비산량 예측 모델 개발 = A spray drift curve model for pesticide drift prediction during drone spraying applications for field crop
|
이세연, 박진선, 이채린, Daniel Kehinde Favour, 박지연, 유승화, 이춘구, 홍세운
|
p. 336-347
|
|
|
|
생분해성 멀칭필름 사용 이력이 토양 항온실험에서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분해 속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period of exposure to biodegradable mulch films on the degradation rate of biodegradable films in soil microcosms
|
정준휘, 연제형, 최한석, 전유나, 안시현, 김다연, 고영준, 원항연, 안재형
|
p. 348-357
|
|
|
|
국내 사과 묘목 재배지에서 과수 화상병 발생 및 그 특징 = Occurrence of fire blight on an apple tree seedling field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
함현희, 이우형, 이미현, 이세원, 이용환
|
p. 358-364
|
|
|
|
LC-MS/MS를 활용한 현미와 볏짚 중 azoxystrobin과 difenoconazole 분석법 확립 및 살포량과 전착제에 따른 무인항공방제 효과 비교 = Analysis of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brown rice and dried straw using LC-MS/MS, and comparison of efficacy by UAV spraying with different dosages and adjuvants
|
백재운, 은혜란, 김수민, 이예진, 이윤희, 이호승, 민이기, 신용호
|
p. 365-375
|
|
|
|
국내 복숭아 주산지 과원의 토양환경과 과실특성 간 상관성 분석 = Analyzing the relationships of soil environmen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orchards in major peach (Prunus persica L. cv. Kawanakajima Hakuto) production areas in Korea
|
이인복, 정대호, 이평호, 정승탁
|
p. 376-385
|
|
|
|
유기농경지 재배 유형에 따른 토양 미생물 활성 및 군집 특성 = Soil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by organic agricultural type
|
이영미, 이슬기, 방정환, 홍성준
|
p. 386-393
|
|
|
|
풋거름작물 시용 처리가 유기재배 오이의 수량 및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green manures on fruits yield and nitrogen utilization efficiency of cucumbers cultivated in organic systems
|
공민재, 이상민, 이초롱, 황현영, 이영미, 안난희, 조정래
|
p. 394-403
|
|
|
|
고추재배지에서 피복작물이 해충 및 천적 발생밀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ver crop on density of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pper field
|
박종호, 한은정, 심창기, 김민정, 김용욱, 변영웅, 한민영, 김용기
|
p. 404-412
|
|
|
|
논 토양에서 유기물원 투입에 따른 벼 수량과 토양유기탄소 축적 효과 = Effect of different type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on rice yield and soil organic carbon stock in paddy soil
|
윤진주, 심재홍, 김성헌, 전상호, 이유나, 노안성
|
p. 413-420
|
|
|
|
퇴비혼합 시용에 따른 논밭 전환지 토양의 깊이별 유효인산 함량 차이 = Difference in available phosphorus by soil depth in drained paddy fields with combined application of mineral and compost fertilizers
|
허관용, 조주영, 권현우, 고다게다라 고다얄라게다라 라크미니, 이금아, 김영남, 이용복
|
p. 421-425
|
|
|
|
인산석고 유래 석회의 중금속 복합 오염토양 안정화 효과 평가 = Effect of lime derived from phosphogypsum on heavy metal immobilization and uptake by lettuce (Lactuca sativa L.) in soil
|
박병준, 이영돈, 정석순, 노수빈, 김다은, 김혁수
|
p. 426-434
|
|
|
|
콩을 이용한 장기간의 윤착이 토양 화학성과 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long-term crop rotation with beans on soil chemistry and production efficiency
|
김소희, 황현영, 이상민, 안난희, 이초롱
|
p. 435-44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