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페인팅을 활용한 예술 작품 복원 기법 연구 = Study on artwork restoration techniques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inpainting
|
이문영, 손유지, 윤유경, 정수연
|
p. 1-14
|
|
|
|
지하공동구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data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s
|
정민우, 신동빈
|
p. 15-24
|
|
|
|
LoRa 통신망 기반 통합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스마트 온실 에뮬레이터 및 엽록소 형광 분석 시스템 구현 = Implementation of smart greenhouse emulator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analysis system using LoRa network-based integrated IoT device
|
김태현, 이현병, 백정현, 허정욱, 이정민, 이정호, 조병관
|
p. 25-36
|
|
|
|
DRT 가상정류장 생성에 관한 연구 = Decision of demand-responsive transit virtual stops using shared bicycle data : 캠퍼스 내 공유자전거 데이터를 활용을 중심으로
|
김재철, 김승학, 김현
|
p. 37-48
|
|
|
|
지능형 양액공급시스템 EC센서의 공급 안정성 개선 = Implement of stability for EC sensor in intelligent nutrient solution system
|
홍영신, 김태현, 이정민, 이정호, 백정현
|
p. 49-56
|
|
|
|
방파제의 태풍위험도 평가기준 = Typhoon damage evaluation criteria for breakwaters
|
최정욱
|
p. 57-64
|
|
|
|
LLM과 RAG를 활용한 스마트팜 제어 및 관리 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rol and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smart farms using LLM and RAG
|
이현병, 최인찬, 임동혁, 허정욱, 김태현, 이정민, 이정호, 박성진, 이태석, 백정현
|
p. 65-76
|
|
|
|
국내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의 인식 및 이용 실태 = Awareness and usage of domestic food nutrition information database platforms
|
곽지원, 오지은, 이경원, 조미숙
|
p. 77-88
|
|
|
|
중력식 안벽의 지진위험도 평가기준 = Seismic damage evaluation criteria for gravity quay walls
|
최정욱
|
p. 89-96
|
|
|
|
헤르만 슈미츠의 공간론을 통해 본 이머시브 시어터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theater through Hermann Schmitz’s choriologie : focusing on stakeholders of ‘Sleep No More' in Shanghai : 상하이의 ‘Sleep No More’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
천현, 김인설
|
p. 97-116
|
|
|
|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재구성을 위한 내러티브(narrative) 기본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basic elements of narrative for reconfigur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program’
|
강내영
|
p. 117-127
|
|
|
|
아우라와 탈아우라의 경계 = The boundary between aura and de-aura : K-Pop photo cards and fandom : K-Pop 포토 카드와 팬덤
|
오윤지
|
p. 128-139
|
|
|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캐릭터 기반 콘텐츠 확장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based content expansion type of <League of Legends>
|
이지민, 윤혜영
|
p. 140-154
|
|
|
|
AI 도구 활용 방식에 따른 예술 창작과정 = Art cre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AI tools
|
지웅, 조성희
|
p. 155-161
|
|
|
|
<서유기의 대성귀래>에서 손오공 주체의 이미지 메이킹 연구 = The research on the image creation of the main subject Sun Wukong in “Monkey King: Hero is Back”
|
풍빈, 김세훈
|
p. 162-172
|
|
|
|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의 정신질환 재현과 ‘은유(metaphor)’의 해체 = Representation of mental illness and the deconstruction of ‘metaphor’ in the drama <Daily Dose of Sunshine>
|
김미라, 김소희
|
p. 173-189
|
|
|
|
캐릭터의 자아 정체성과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공간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s’ self-identity of the film “YiYi” (2000)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space theory : 대만 영화 <하나 그리고 둘>을 중심으로
|
이빙아, 한창완
|
p. 190-198
|
|
|
|
OTT 플랫폼 드라마를 위한 솔 바스(Saul Bass)의 오프닝 타이틀 특징 분석 연구 = Analysis of Saul Bass' opening title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to OTT platform dramas
|
예차오, 김숭현
|
p. 199-210
|
|
|
|
로제 카이와의 놀이론을 통한 연애 리얼리티 연구 = Resea[r]ch on dating reality TV show through Roger Caillois theory : focusing on <Transit Love2> : <환승연애2>를 중심으로
|
양수함
|
p. 211-223
|
|
|
|
존 메이어 《Continuum》 앨범 기타 솔로 연주에 나타난 지미 헨드릭스의 연주 관행 고찰 = An analysis of Jimi Hendrix's playing conventions as reflected in John Mayer's guitar solos on the album 《Continuum》
|
함창원, 홍성규
|
p. 224-237
|
|
|
|
음악 저작권 침해소송의 창작성 판단 기준 고찰 = Considering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creativity in music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
김주헌, 이경호
|
p. 238-252
|
|
|
|
AI 캐릭터 봇을 활용한 콘텐츠 창작 대학 수업 설계 연구 및 운영사례 = A content creation university class design research using AI character bot and operation case : focusing on character AI and Tooning GPT beta : 캐릭터 AI와 투닝 GPT베타를 중심으로
|
이영수
|
p. 253-262
|
|
|
|
캡스톤 디자인 기반 예비보육교사의 현장연계 유아평가 실행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field-linked early childhood assessment by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based on capstone design
|
박미경
|
p. 263-275
|
|
|
|
성인학습자들의 사이버대학 교육내용 만족도와 학교관심도 = Adult learners’ satisfaction with cyber university education content and school interest
|
하오현
|
p. 276-286
|
|
|
|
한국 고등학생의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요인 = The impact factors of eudaimonia in Korea high school students : youth and children data of NYPI in Korea : 한국 아동·청소년 통합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
이상민
|
p. 287-300
|
|
|
|
개별화전환계획(ITP)과 전환교육지원기관의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 and support from transition education support institutes : focusing o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복헌수
|
p. 301-310
|
|
|
|
전자책 추천자의 신뢰도가 전자책 진단성과 구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f e-book recommender on e-book diagnosticity and subscription intention : the role of curation support : 큐레이션 지원의 역할
|
황인호
|
p. 311-323
|
|
|
|
특성화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연구 =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English class : focused on L2 motivational self : 제2 언어 동기적 자아를 중심으로
|
이승은
|
p. 324-332
|
|
|
|
직장인의 지속학습활동과 인게이지먼트, 경력적응력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of office workers :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crafting :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고연경, 정기수
|
p. 333-347
|
|
|
|
명리학 연구가-서자평이 송대에 생존했는가의 여부가 명리학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Xu Ziping's historical existence in the Song Dynasty on the development of Myeongri Studies
|
신경수, 김덕기
|
p. 348-357
|
|
|
|
중고 거래의 설득 전략 = Persuasion strategies in secondhand transactions : the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and storytelling : 메시지 측면성과 스토리의 효과
|
소현진
|
p. 358-365
|
|
|
|
숏폼 미디어의 뉴스·시사정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Factors that influence the credibility of news and current affairs information in short-form media : focusing on TikTok users in China : 중국 틱톡 플랫폼 이용자를 대상으로
|
여신이, 정용국
|
p. 366-377
|
|
|
|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효과적인 메시지와 미디어 플랫폼 유형 = The effect of message and media platform type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 a focus on climate change campaign : 기후변화 캠페인을 중심으로
|
김정현, 황주영, 김유승
|
p. 378-386
|
|
|
|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Netflix interactive content
|
장성원, 성동규
|
p. 387-409
|
|
|
|
법적 처벌과 윤리적 억제가 불법 복제 영화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impact of legal and ethical deterrents on the behavior and consumption of pirated flim[실은 film] consumers
|
유우제, 유창석
|
p. 410-420
|
|
|
|
AI와 쇼러너의 협업 모델: OTT 콘텐츠 기획의 혁신적 접근 = Collaboration model between AI and showrunners: an innovative approach to OTT contents planning : a case study of the “Deathmatch” project : “데스매치” 프로젝트 사례 연구
|
박나나, 김정환
|
p. 421-433
|
|
|
|
동질성이 K-pop 아이돌 챌린지 협업에 미치는 영향 = Network analysis of homophily in K-pop idol challenge collaborations : an ERGM approach : ERGM을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
김주희, 오소욱, 이원실, 정동일
|
p. 434-445
|
|
|
|
연령별 식품영양정보와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의 인식 및 이용 실태 조사 = A survey on awareness and usage of the food nutrition information and food nutrition information database platform by age group
|
곽지원, 오지은, 이경원, 조미숙
|
p. 446-456
|
|
|
|
충족과 프랜차이즈 콘텐츠 관여가 위치기반 증강현실 게임의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ratifications and franchise contents involvement on continued use of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games
|
이규동
|
p. 457-464
|
|
|
|
Stata 통계패키지에서 활용가능한 GIS 개발 = Development of a GIS-compatible tool for Stata
|
민인식
|
p. 465-471
|
|
|
|
환기성과 브랜드 태도 간의 VVIQ 조절효과 분석 = The moderating effect of VVIQ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ocativeness and brand attitude
|
김재홍, 박지섭
|
p. 472-481
|
|
|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과 지식공유의 관계 = Online anonymity and knowledge sharing in online communities : focusing on self-identity : 자아 정체성을 중심으로
|
김경규, 김광호, 이애리
|
p. 482-496
|
|
|
|
국내 관광산업의 인공지능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
김수정
|
p. 497-508
|
|
|
|
도슨트 역량에 대한 평가가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docent capability expectation on exhibition viewing intention : focusing on AI robot docent effect : 인공지능 로봇 도슨트의 효과를 중심으로
|
강지성, 신형덕
|
p. 509-516
|
|
|
|
생성형 AI을 활용한 메타버스 아바타의 개인정보 침해 유형 분석 및 분류 체계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types in metaverse avatars using generative AI
|
박기택
|
p. 517-527
|
|
|
|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 요인들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MyData services
|
김수현
|
p. 528-535
|
|
|
|
경제성장과 철강산업 탄소배출의 탈동조화 촉진방안 연구 = Study on accelerating the decoupling of economic growth and carbon emissions in the steel industry
|
오충종, 박상철
|
p. 536-546
|
|
|
|
경쟁전략이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impact of competitive strategy on corporat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D activity type : R&D수행 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봉균, 최종민
|
p. 547-558
|
|
|
|
창업교육강사의 역량이 창업교육만족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ructor's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 focusing on th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 대학생 기술창업교육을 중심으로
|
노정숙, 박종복
|
p. 559-573
|
|
|
|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ocusing on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working type and trust of subordinates : 근무형태와 상사 신뢰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이일주, 한승준, 김양균, 송원섭
|
p. 574-585
|
|
|
|
사회적 지지 유형별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types of social support : 성별 차이 분석
|
옥준우, 최규선, 현병환
|
p. 586-603
|
|
|
|
조직 구성원의 목표지향성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goal orientation on goal commitment :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이정언
|
p. 604-612
|
|
|
|
마약류 사범에 대한 수강명령 의무교육의 효과성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t-mandated programs for drug offenders
|
권혜진, 양나윤, 박신영, 이석호
|
p. 613-621
|
|
|
|
소년원 출원자들의 외상후성장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A life history study of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among juvenile detainees
|
김진숙
|
p. 622-643
|
|
|
|
대학생의 포커싱적 태도가 사회정서역량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cusing manner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in university students
|
김희진, 주은선
|
p. 644-656
|
|
|
|
머신러닝과 회귀분석 기반의 사회서비스 취약지구 추출을 위한 연구방법론 탐색연구 = Exploring methodologies for identifying vulnerable areas in social services using machine learning and regression analysis
|
류태경
|
p. 657-668
|
|
|
|
저소득 청년이 희망하는 복지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welfare services desired by low-income youth : focusing on participants of the youth tomorrow savings accounts : 청년내일저축계좌 참여 청년을 중심으로
|
한진경, 강성민, 한창근
|
p. 669-682
|
|
|
|
불안정애착이 연인관계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ttachment insecurity on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perfectionism and intrusive behavior : 관계완벽주의와 간섭행동의 매개효과
|
유지운, 조민아
|
p. 683-694
|
|
|
|
성별에 따른 중년기 가족관계 만족도와 우울이 노년기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The long-term impa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middle age on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across gender : a latent growth modeling with a distal outcome : 원격 결과변수를 포함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
이나헌, 최윤영
|
p. 695-707
|
|
|
|
치위생과 학생들의 그릿, 대학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grit and stress on college life
|
강용주
|
p. 708-718
|
|
|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및 호스피스 인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nd hospice care on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
강유라, 김기량, 우주현, 황미진, 이승희
|
p. 719-727
|
|
|
|
국내 유튜브 영상의 조산 예방 콘텐츠 분석 및 질 평가 = Content analysis and quality evaluation of premature birth prevention videos on YouTube in Korea
|
김선희, 김부연, 박미경
|
p. 728-739
|
|
|
|
COVID-19 전후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ev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 a study based on patient safety reporting & learning system data : 환자안전 보고 학습시스템 데이터 기반 연구
|
손유미, 이미진
|
p. 740-751
|
|
|
|
간호대학생의 IPE에 대한 준비도와 문제해결역량 관계에서 IPE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I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ess for IPE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전수영
|
p. 752-759
|
|
|
|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이 건강행태 및 질병이환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 behaviors and disease prevalence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 using data from the 2023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활용
|
진예은, 배성희
|
p. 760-775
|
|
|
|
여대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행동, 식행동, 피로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endocrine disruptors exposure, eating behavior, and fatigue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오윤주, 문장미, 김민제, 배수인, 윤지현, 이채원, 신선화
|
p. 776-787
|
|
|
|
영상의학 검사 시 탄소섬유 발열매트의 유용성 평가 = Evaluation of usefulness of carbon fiber heating mat in radiography
|
곽영곤
|
p. 788-796
|
|
|
|
비소세포성 폐암의 유전자 분자 진단의 최신 지견 = Recent advances in genetic molecular diagnostic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미숙
|
p. 797-805
|
|
|
|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 이해 능력과 복약순응이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alth literacy and medical adherence on health level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주관적 건강 상태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이주희, 이영
|
p. 806-816
|
|
|
|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프로그램 효과 =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programs for hemodialysis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literature)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국내문헌을 중심으로)
|
김소희, 반선화, 장경오
|
p. 817-826
|
|
|
|
장간종 작물 연중 생산을 위한 컨테이너형 수직농장 개발 및 유동장 분포 연구 = Development of container-type vertical farm for year-round production of long stem plants and study on flow distribution
|
이정민, 최인찬, 임동혁, 김태현, 백정현, 이정호, 이승철, 허정욱
|
p. 827-837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