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체와 발전의 변증법 = Dialectics of disbandment and development :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by Kang Man-gil : the re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 강만길의 조선시대사 연구 : 자본주의맹아론의 재해석 지점 최주희 p. 7-41
분단을 넘는 역사학 = Historiography overcoming division : Kang Man-gil's work on the national unification front movement : 강만길의 민족 통일전선 운동 연구 홍종욱 p. 43-72
의식 있는 민중의 발견 = The discovery of conscious people : Gang Man-Gil's perception of colonial society and poor life : 강만길의 식민지 사회와 빈민 생활 인식 남기현 p. 73-108
『고려사절요』 수찬관의 사유와 역사 인식 = A study for the Golyeosajeolyo(高麗史節要)’s compilers and historical awareness 김인호 p. 111-143
『高麗史節要』의 修史方式에 나타난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ographic method in 『Goryeosajeolyo』 : focused on the textual comparison with 『Goryeosa』 records of King Yejong : 『高麗史』 예종 연간 기사와의 교감을 중심으로 김병인 p. 145-177
『高麗史節要』와 『高麗史』 「世家」의 여진 관계 기사 기재 방식 = Method of writing articles related to Yeojin(女眞) in the 『Goryeosajeoryo (高麗史節要)』 and the 『Goryeosa(高麗史)』 「Sega(世家)」 李鎭漢 p. 179-216
고구려 초·중기 도성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discussions on the early and mid-Goguryeo capitals 정호섭 p. 219-253
고려시대 占·筮 행위의 구성 요소 = Fortune-telling in Goryeo period. 1, Who, where, and how 李美智 p. 255-290
朴知誡 耳目口鼻有心 논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정치사회적 의미 =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Bak Jigye’s argument that the ears, eyes, mouth, and nose have minds of their own and its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조성산 p. 291-333
18~19세기 군역 운영과 軍籍의 성격 변화 = The evolution of military service operation and the nature of military registers from the 18th to 19th centuries 송양섭 p. 335-365
1923~1925년 경인 지역 유력자의 부평수리조합 창설과 전기 양수기 도입 = Establishment of the Bupyeong Irrigation Association and introduction of electric pumping machines by influence groups in the Gyeongin area, 1923-1925 이대열 p. 367-407
일본 학계의 신안선 연구 동향과 전망 = Trends and prospects in Shinan Ship research in Japanese academia : focusing on textual studies and historical textbook narratives : 문자자료 연구 및 역사 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정순일 p. 409-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