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포장 재료 개발을 위한 소재정보학과 분자동역학 활용연구 방법 고찰 = Research methods utilizing materials informatics and molecular dynamics for the development of road-pavement materials. 2, Material research tren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2,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재료·소재 연구 동향
|
주현진, 윤태영, 심승보
|
p. 1-11
|
|
|
|
아스팔트 바인더의 밀도 및 방사분포함수 분석을 통한 분자동역학의 대표 분자 구조 크기 검토 = Assessment of the representative-molecular-structure size in molecular dynamics through the analysis of asphalt-binder density and radial distribution functions
|
윤태영
|
p. 13-21
|
|
|
|
K-means 군집화 전처리를 활용한 제주도 지방도 포장 소성변형 예측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 model to predict road-pavement rutting depth in Jeju using K-means clustering preprocessing
|
연준석, 이재훈, 백승범, 정진훈
|
p. 23-32
|
|
|
|
장기계측을 통한 JCP와 접하는 국내 CRCP의 팽창줄눈 변위 조사 = Monitoring long-term displacement of CRCP expansion joints connected with JCPs at domestic expressway
|
유태석
|
p. 33-40
|
|
|
|
도로 노면표시 공사가 유발하는 탄소 발생량 추정 =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caused by road-marking works
|
김영록, 윤태영, 윤천주
|
p. 41-51
|
|
|
|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실내 성능 평가 =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low-noise asphalt pavements
|
윤재형, 김연태
|
p. 53-61
|
|
|
|
아스팔트 층 두께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과 기계학습 기법 활용에 대한 연구 = Use of statistical models and machine-learning techniques to predict asphalt layer thickness
|
김연태, 박혜민, 박희문
|
p. 63-72
|
|
|
|
역학적-경험적 설계를 기반으로 한 아스팔트 포장 등가단축하중계수 및 단면 두께 간편 설계식 개발 = Development of an equivalent single-axle load factor and thickness-design equations for asphalt concrete pavements based on the mechanical-empirical design concept : a case study for Jeju : 제주도 사례연구
|
이준식, 백철민
|
p. 73-84
|
|
|
|
도로 차선에 대한 주야간 라이다 강도, 근적외선, 반사도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day and night LiDAR intensity, near-infrared radiation, and reflectivity for road-lane marking
|
이준식, 김현욱, 이현종
|
p. 85-92
|
|
|
|
국내 노면 결빙사고의 영향인자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oad icing accidents in Korea
|
김세호, 진현호, 김효원, 최문규, 송기영, 정진훈
|
p. 93-103
|
|
|
|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의 모듈러 포장 구조체 활용을 위한 강도 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strength properties of recycled plastic materials as modular pavements
|
이강훈, 김용주
|
p. 105-113
|
|
|
|
줄눈 콘크리트 포장 생산 및 시공에서의 환경영향인자 배출량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impact-factor emissions for th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
|
엄병식, 윤태영
|
p. 115-126
|
|
|
|
복합형 탄성아스팔트 프리캐스트 신축이음장치 개발 및 성능 평가 =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composite elastic asphalt precast expansion joint
|
백철민, 권봉주
|
p. 127-136
|
|
|
|
Development of moisture-retaining asphalt concrete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SAP) = 초흡수성 폴리머(SAP)를 이용한 수분유지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개발
|
Dae-Seong Jang, Chi-Su Lim, Jae-Jun Lee, Cheolmin Baek
|
p. 137-145
|
|
|
|
확장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도로 노면 파손 검지 연구 = Detecting road-surface damage using a dila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김형규
|
p. 147-152
|
|
|
|
강원도 기후 및 교통 특성을 고려한 일반국도 아스팔트 포장 공용성 예측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performance-prediction models for asphalt pavements on national highways considering the climate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f Gangwon Province
|
김연태, 정진훈
|
p. 153-165
|
|
|
|
실리카퓸을 혼입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평가 = Evaluating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latex-modified concrete with silica fume : optimal mix design for bridge deck pavement : 교면포장용 최적배합 도출
|
김연태
|
p. 167-173
|
|
|
|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고함량 고형분 유화 아스팔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Development of high-solid emulsified asphalt for cold asphalt mixture
|
이종원, 양성린, 백철민
|
p. 175-183
|
|
|
|
ePCM을 혼입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열 특성 및 기초물성 평가 = Evaluation of therm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asphalt mixtures containing ePCMs
|
이종원, 양성린, 백철민
|
p. 185-194
|
|
|
|
포장 관리를 위한 Weigh-In-Motion 최적 위치 계획 = Optimal weigh-in-motion installation planning for pavement management
|
정윤경, 이진우
|
p. 195-203
|
|
|
|
딥러닝을 활용한 수화열 온도 및 초기 콘크리트 강도 예측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deep-learning-based model for predicting maturity and early-age concrete strength : a study
|
김연태, 황현식, 노승현
|
p. 205-213
|
|
|
|
파키스탄 역학적-경험적 도로포장 설계를 위한 기후자료 군집 분석 = Clustering analysis of climatic data for mechanistic-empirical pavement design in Pakistan
|
박희문, 조나래
|
p. 215-221
|
|
|
|
도로터널 적용을 위한 섬유혼입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for road tunnels
|
김기현, 이창헌, 박철우, 김승원
|
p. 223-230
|
|
|
|
타이어 부착방지형 택코트의 기초물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rackless tack coats
|
임치수, 정홍기, 이재준, 이강휘, 장대성
|
p. 231-240
|
|
|
|
지하도로 연결로 오르막구간의 감속행태에 따른 승용차 환산계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assenger car equivalent for deceleration behavior at exit sections of underground roads
|
최석원, 김상엽, 민동찬
|
p. 241-249
|
|
|
|
운전면허 자진반납에 따른 사고유형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변화 관계 분석 = Analyzing the impact of voluntary license return on traffic crash types involving elderly drivers
|
이동윤, 홍다희
|
p. 251-261
|
|
|
|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의 공공성 평가방법론 연구 = Publicity evaluation methodology of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using real-time demand response transit data
|
하정아, 장지용, 문병섭
|
p. 263-270
|
|
|
|
공유전동킥보드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과금모델링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of a pricing model to reduce shared personal mobility-related accidents
|
김윤성, 남창식, 손연희, 박제진
|
p. 271-281
|
|
|
|
도심교통환경 클러스터링 기반 자율주행 실증 도로 위험 구간 선정 방법 연구 = Clustering-based approach for selecting road hazard sections in UrbanTraffic environments
|
김주영, 유지혜, 소재현
|
p. 283-289
|
|
|
|
도시부 도로 신호교차로 대상 노면전차 운영전략 연구 = Evaluation of tram operation method at signalized intersections on urban highways
|
조재호, 김진태
|
p. 291-300
|
|
|
|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인프라 가이던스 기술의 검증 방법론 개발 연구 = Validation of the performance for infra-guidance to realize connected autonomous driving at higher levels
|
장지용, 양인철, 김형수
|
p. 301-310
|
|
|
|
택시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taxi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 부산광역시 교차로를 중심으로
|
유초롱, 정지효, 김회경
|
p. 311-31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