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북조 시대 인동문을 활용한 벽지 패턴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wallpaper pattern design utilizing honeysuckle motif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강잠, 엄경희 p. 1-14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획전시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맹학교 중학생의 관람 후기 분석 = Analysis of blind middle school students' feedback on the data visualization of exhibitions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고미화, 현은령 p. 15-24
디자인 보편 문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niversal grammar of design : focusing on the logical tautology system : 논리적 동어반복 체계를 중심으로 고재성 p. 25-32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에이징 테크 패키지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ging tech packaging for active seniors : focusing on skincare cosmetics with NFC technology : NFC 적용 기초 화장품을 중심으로 곽혜정 p. 33-48
몬드리안 신조형주의 작품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utilizing techniques from Mondrian's neo-plasticism 국맹, 엄경희 p. 49-63
팀 활동에 있어서 개인의 성격과 협력적 창의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personality and collaborative creative tendencies in team activities : focusing on the case of MBTI-based team building practices in convergent design class at university level : D대학교 융합형 디자인 수업에서 MBTI 기반 팀 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원, 윤우람 p. 65-75
무선통신 기술(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적용 패키지를 통한 소비자 편의성 연구 = A study on consumer convenie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ed to packaging : focusing on locating products in hypermarkets : 대형마트 내 상품 위치 파악을 중심으로 곽혜정 p. 77-94
시니어의 거주지 기반 여가활동 증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연구 = Service design to enhance residence-based leisure activities for seniors : focused on the baby boomer generation : 베이비부머 세대 중심으로 김담이, 김선유, 장예빈, 이해나, 이연준 p. 95-109
고령운전자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략 제안 = Proposing communication design strategies to enhance elderly driver traffic safety 김민정, 차승화 p. 111-122
다학제 협업 기반 아이디어 발상 단계의 ChatGPT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ChatGPT in the idea generati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김민주, 정재희 p. 123-135
인간-AI협업을 통한 성인 ADHD의 자발적 인지 행동 개선 서비스 제안 = Proposed voluntary cognitive behavior improvement services for adult ADHD through human-AI collaboration 김성희, 정유진, 조현서, 구유리 p. 137-150
세그먼트 기반 ChatGPT의 고객 경험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ustomer experience in segment-based ChatGPT 김정연, 김민주, 조성환, 정재희 p. 151-163
의류제조 기술자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operating living lab to solve aging problem of clothing manufacturing technicians : focusing o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youth inflow disruption and defining design problems in the clothing manufacturing cluster in Beomil-dong, Busan : 부산 범일동 의류 제조 집적지의 청년층 유입 단절 원인 분석 및 디자인 문제 정의를 중심으로 김현정, 김미영, 서미화, 이경희 p. 165-181
패션 순환 경제 관점에서 중고거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second-hand trans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shion circular economy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표적 집단 면접조사(FGI)를 중심으로 김혜린, 성희원 p. 183-199
감성공학 이론에 기반한 아동 의약품 패키지의 감성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emotional elements of children's medicines package based on emotional engineering theory : focusing on the paracetamol package for children in China : 중국 아동용 파라세타몰 패키지를 중심으로 두일범, 김응화 p. 201-216
핀테크 서비스의 고객 세그먼트 분석을 통한 고객 경험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customer experience through customer segment analysis of fintech services : focusing on fintech investment services : 핀테크의 투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라경연, 김솔아, 김민재, 정재희 p. 217-233
인공지능과의 협업을 통한 디자인 교육 혁신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박정기 p. 235-245
VALS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국 전통의상의 문화적 정체성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ultural identity of traditional Chinese clothes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based on VALS model 백흠우, 이성원 p. 247-260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보행 보조기 디자인 개발 = Design development of a walking aid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disabled person 변서희, 이지영, 박소현, 이병종, 김한성, 박명숙, 유승현, 최종은 p. 261-271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Tujia architectural decoration based on neuroaesthetics = 신경미학에 기반한 중국 토가족 건축 장식의 미의식 연구 Xiao, Lu, Cho, Taig Youn p. 273-288
아파트단지 외부환경의 고령친화성 분석 = Analysis of elderly-friendlines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es : focusing on the Toegye Jugong Apartments in Chuncheon : 춘천 퇴계 주공 아파트를 중심으로 석정모, 김진오 p. 289-300
비전문가 고객 세그먼트를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 서비스디자인 개선 제안 = Proposal for improving service design of image-generative AI service for non-expert customer segments 손가현, 김여정, 김희진, 정재희 p. 301-312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반영한 인테리어용 서피스제품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terior surface product design reflecting biophilic design 손아진, 엄경희 p. 313-327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Case study on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 design based on experience economy theory : focusing on experiential popup stores of Nike, Adidas, and Puma :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의 체험형 팝업스토어를 중심으로 심원, 송지성 p. 329-346
(A) study on the structure of enhancing positive user experience in product design = 제품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의 호감 증진 구조에 관한 연구 Liang, Zhi Qi, Cho, Taig Youn p. 347-363
미용 대학생의 내·외재적 직업가치가 예비취업준비행동과 본격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nternal and external work values of beauty college students on preliminar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full-fledge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오화정 p. 365-379
AIGC를 기반으로 한 한국 고건축 스타일 고양이 케이지 디자인 연구 = Research on the design of a Korean architectural style cat cage based on AIGC 왕검봉, 주기, 리메이르 p. 381-393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용한 인테리어용 텍스타일패턴디자인 연구 = A study on interior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generative AI : focused on Midjourney & 2024-2025 Heimtextil design trends : 미드저니 & 2024-2025 하임텍스타일 디자인 트렌드 중심으로 위우청, 엄경희 p. 395-407
알고리즘 기반의 프랙탈 예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lgorithm-based fractal arts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artwork : 작품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윤민희 p. 409-419
신해체주의적 관점에서 본 데님 패션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denim fashion from the neo-deconstructive perspective 이경림 p. 421-434
디지털 경험을 기반한 이동통신사 고객센터 애플리케이션 UI/UX디자인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I/UX design for mobile carrier customer center application based on digital experience 이기훈, 강태임 p. 435-447
디자이너의 혁신을 위한 절박감 활용 전략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strategies to utilize sense of desperation for designers' innovation 이원섭 p. 449-458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미술교육 학습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art education learning program using PBL(problem based learning) and design thinking 이은아, 곽대영 p. 459-468
비즈를 활용한 현대 주얼리의 고찰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temporary jewelry an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using beads 임진, 이형규 p. 469-480
근거이론-AHP 기반 한국전통시장 사인시스템 디자인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ign system design in Korean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grounded theory and AHP 장양, 폭건, 정의태 p. 481-492
생성형 AI를 활용한 동양 신화 속 용(龍) 캐릭터 제작 연구 = Research on the creation of dragon characters in oriental mythology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the depiction of dragons in traditional mythology : 전통 신화 속 용의 묘사를 중심으로 장운초, 곡위광 p. 493-501
AIGC를 이용한 황산시 도시브랜드 캐릭터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designing the city brand character of Hangshan city using AIGC 전언연, 정의태 p. 503-513
빅데이터 기반 홈 뷰티디바이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분석 = Analysis of consumer perception changes in home beauty devices based on big data : focusing on 2020 to 2024 : 2020년부터 2024년을 중심으로 정선주 p. 515-530
Safety perception design proposals considering the impact of familiar living environments on place attachment in older adults = 노인들의 익숙한 생활 환경이 고령층의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안정감지 디자인 제안 : 인지신경과학을 기반으로 :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Zhao, Pei Xu, Cho, Taig Youn p. 531-545
근거이론과 결합한 S-O-R 기반 지역 ‘국조’ FMCG 패키지 디자인 모델 요소의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regional 'Guochao' FMCG package design model elements based on S-O-R and grounded theory 주기, 이유란, 정의태 p. 547-560
중국 전통 융화기법의 현대적 장신구 활용응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ronghua techniques in modern jewelry 천루시, 이형규 p. 561-577
Neuroscience perspective investigation on the stress and pocket park design of elderly people as inter-generational caregivers = 세대 간 돌봄 제공자로서 노령층의 스트레스와 포켓 공원 설계에 대한 신경과학적 고찰 Zhao, Pei Xu, Cho, Taig Youn p. 579-593
Z세대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이 인스타그램의 패션 인플루언서 속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generation Z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on the evaluation of fashion influencer attributes on Instagram 최수경 p. 595-608
가전 브랜드 공간에서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 연구 = A study on space branding strategy in the home appliance brand space 최은신 p. 609-619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thinking process utilizing generative AI : focused on space design :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최정수 p. 621-633
전통석류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제안 = Development of a textile pattern design in use of traditional pomegranate patterns : focusing on pomegranate patter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 청화백자에 표현된 석류문양을 중심으로 최정연 p. 635-647
감성 디자인 관점에 기반한 장가계 우링위안 관광 브랜드 사용자 경험 분석 = User experience analysis of Zhangjiajie Wulingyuan tourism brand based on emotional design theory 푸가흔, 펑효첩, 리메이르 p. 649-661
도자기 유물 무늬의 인스타그래머블 전시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instagrammable exhibitions of ceramic artifacts : a case study of the "Patterns and Principles" exhibition at The Place Museum in China : 중국 The Palace Museum의 "무늬의 도리(纹以载道)" 전시 대상으로 황설풍, 현은령 p. 663-673
생성형 AI를 활용한 마오타이주 브랜드 리뉴얼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process of Moutai liquor brand renewal using generative AI 황윤정, 무예 p. 675-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