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nhanc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libraria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을 위한 사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개발 방안 연구 Ok Nam Park, Sin-Young Kim p. 5-22
초등학교 교과 연계 주제어휘집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ubject vocabulary linked 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focused on second grade textbooks : 초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명성, 이미화 p. 23-44
서지 매핑을 이용한 도서관 정보기술 및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ibraries using bibliographic mapping 박영희, 김성희 p. 45-65
초등 사서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대한 인식 조사 = Perception of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librarians 김채영, 임정훈, 이종욱 p. 67-91
지역소멸 대응 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대한 사서의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s of changes in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s institutions to respond to local extinction 노영희, 강정아 p. 93-118
동시인용분석과 인용네트워크 분석을 함께 활용한 대학도서관 연구 지적구조 분석 = An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ies research using co-citation analysis and citation network analysis 이재윤 p. 119-140
농어촌지역의 독서실태가 도서관 독서문화 환경 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tatus of local reading in rural areas on perceptions of library reading environment policies : focusing on area A : A지역을 중심으로 정대근, 홍소람 p. 141-162
전자기록물 보존포맷 선정평가를 위한 지원도구 설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framework for a support tool in evaluating digital records preservation formats 김지혜, 송채은, 양동민 p. 163-201
정보활용교육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zing the impa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oyalty : a case study of K university library : K대학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진은미, 박은경 p. 203-221
도서관 가상현실(VR) 콘텐츠 이용자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virtual reality (VR) content service of library 배경재, 권선영 p. 223-243
전문인력의 직무분석에 기초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수준 측정을 위한 지표의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level of school library activation based on job analysis of professional personnel 차성종 p. 245-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