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주호 수질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영계획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ffective dam operation pla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YoungJu Reservoir 김지원, 서동일 p. 311-319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인과 기반 가뭄 전파 분석 = Causality-based drought propagation analysis from meteorological to hydrological drought 이채림, 원정은, 최시중, 김상단 p. 320-330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succession prediction of the Korean Peninsula's major deciduous broadleaf fores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유혜린, 유영한, 박지원, 박여빈 p. 331-337
Test-Bed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습지의 오염저감도 평가 = Evaluation of pollution reduction in hybrid constructed wetlands on test-bed scale 홍진, 길경익 p. 338-343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Improving monitoring performance of VHI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정하은, 최시중, 김상단 p. 344-355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 Improvement considerations for strengthening wetland policies with case stud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y 임정철, 노백호 p. 356-373
비식생 갯벌 표층에서 탄소 저장률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 Calculation of carbon storage rate and analysis for influencing factors at the surface layer in unvegetated tidal flats : Hampyeong Bay and Suncheon Bay : 함평만과 순천만 박경덕, 강동환, 양민준, 박진영, 조원기, 이준호 p. 374-379
동진강 일대 생태계교란 식물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의 고밀도 군락 내 중장비를 활용한 제거 효과 = Effect of using heavy equipment to remove high-density populations of the invasive alien plant Solidago altissima along the Dongjin River 이수인, 최동희, 김영하, 유혜린 p. 380-388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facility cultivation areas on the water quality of the main stream in the Namgang basin 갈병석, 박재범, 김성민, 김현맥, 신상민, 전민재, 이동현 p. 389-397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 Comparison of standing carbon in urban park and roadside green spa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net primary production and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이응필, 정헌모, 강성룡, 장인영 p. 398-409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Treatment study of the turbid water from construction sites by using synthetic fiber filter device 김영철 p. 410-419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 여재의 형태와 선행강우일수가 충진형 습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Yaoping Chen, Youngchul Kim p. 420-434
금강수계 유기물질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 the Geum River basin 김상욱, 태은아, 박찬홍, 최혜선, 민중혁 p. 435-447
점봉산 산지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및 강우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the rainfall effects on their communities in Mt. Jeombongsan 권혁영, 권순직, 손세환, 이영상, 주성배, 박정수, 김재훈, 전영철 p. 448-456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 Changes in carbon absorption capacity according to land use and function evaluation of village wetlands in Sejong City 박미옥, 염택욱, 구본학 p. 457-467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 Seasonal and spatial changes in carbon storage and fluxes in forested wetlands in Goheung-gun, Korea 장인영, 정헌모, 한상학, 이응필, 강성룡 p. 468-477
복원 초기 우포늪 산밖벌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early restoration phase of Sanbakbeol in Upo wetland 임정철, 김미정, 김평범 p. 478-501
국내 피트 치유자원의 활용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The utilization and standards of domestic peat healing resources 박선영, 강정원, 장요순, 정용기 p. 502-510
항생제 오염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연구동향 = Exploring research trends on antibiotic pollution control in constructed wetlands through a bibliometric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view : 계량서지학 분석 및 종합검토 오유경, 미구엘, 비스포치니, 전민수, 김이형 p. 51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