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푸코의 주체 철학에 근거한 유아교육 재개념화 논의 = Discussion of a re-concept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Foucault’s subject philosophy 이화도 p. 1-24
한국형 유·초등 부모 사교육 인식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parental perception scale on privat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tudents 김효은, 편지애, 최나야 p. 25-45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educators :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은혜, 신혜영 p. 47-67
예비 유아교사의 긍정 심리 자본,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진로 준비 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강미희 p. 69-91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사-부모 협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parent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 mediating rol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 사회정서유능감의 매개효과 김성현 p. 93-115
하브루타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the Havruta teaching method : exploring application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교육 적용 방안 탐색 김희진, 이소현 p. 117-140
사립유치원 초임 남성 교사의 교직 적응을 위한 멘토링 과정에서 드러난 고충과 인식 = Difficulties and perceptions of novice male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revealed in the mentoring process for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박연실 p. 141-168
은유를 통해 살펴본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 Exploring metaphor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digital competence 박새롬, 노보람 p. 169-195
메타포 분석을 통한 아동학부 신입생의 유아교사 역할 인식 연구 =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roles among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rough metaphor analysis 김민솔, 박소윤 p. 197-212
보조교사의 역할,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놀이민감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eaching assistants,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lay sensitivity 한진원 p. 213-238
또래 유아가 만든 이야기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5세 유아들이 보인 반응 탐색 = Exploring the reactions of five-year-old children to stories created by their peers 이지은, 최연철 p. 239-267
보드게임 활용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만족도 변화 탐색 = Exploring changes in 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board game-based instruction 김성재, 황지애 p. 269-28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 관계에서 전문성과 보육 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hild care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배고은, 채영란 p. 291-313, [1]
미혼부와 자녀가 겪는 사회적 약자로서의 경험 = Inquiring about unmarried fathers and their children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박윤현, 박은주, 박련훤, 김대웅, 정가윤 p. 315-337
디지털 시대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 전략 = Empowering the digital edu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an analysis of German policies and practices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윤지, 이유승, 변수연 p. 339-368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media literacy on preschool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play interaction : 어머니-유아 놀이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검증 우수정, 홍찬영 p. 369-388
학령 전 및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인식 = Perceptions of school readiness among parents of pre-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박하연, 정혜린 p. 389-414
2세 영아반에서 ‘인공지능 스피커’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Experi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 a class of 2-year-old children : a case study 정슬기, 문수영, 박슬기 p. 415-436
H대학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운영 현황 및 인식 탐색 = Exploring the status and perceptions of simulated teaching experience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H university 오채선, 곽은영, 최슬기, 이정민, 장희지 p. 437-458
아동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chil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윤미승, 박종명 p. 459-480
지역 설화를 활용한 유아 놀이 지원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upporting young children’s play using a local folktale 최별녀, 박형신 p. 481-507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의 재고찰 = Rethink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living : implications of Nussbaum’s capabilities approach for competency-based sustainabi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 누스바움의 역량 접근법이 유아기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주는 시사점 최수연 p. 509-528
유능한 교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탐색 =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petent teachers : focused on concept mapping :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김윤지, 김언경 p. 529-554
2019 개정 누리과정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사 계획 활동 적용에 대한 이야기 =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mplementing teacher-planned activities within the 2019 Nuri curriculum 전지형 p. 555-584
최한기 실학사상에 나타난 ‘통(通)’의 개념이 아동교육에 주는 의미 =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Tong(通)’ in Choi Han-gi’s Silhak philosophy for children’s education 나성식 p. 585-608
AI 기술을 활용한 유아 언어발달 분석 사례 연구 = Analyzi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status through AI technology : a case study 박연정 p. 609-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