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편향 정치재판소', '헌법도망소'… : 전·현직 판사가 말하는 '정치 편향' 헌법재판소
|
김태완, 김광주
|
p. 62-75
|
|
|
|
"상식적이라면 '2말 3초' 선고 불가능… 결정문 작성에만 한 달 이상 소요" : 이인호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헌법학 교수 [인터뷰]
|
이인호 [인터뷰이] ; 박지현 [취재]
|
p. 76-88
|
|
|
|
"나는 이른바 운동권도 아니고 좌파도 아니다"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대행의 블로그 글들을 보니…
|
배진영
|
p. 89-95
|
|
|
|
"민주당·민노총·MBC 對 이진숙 싸움이었다" : 174일 만에 업무 복귀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인터뷰]
|
이진숙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
p. 96-107
|
|
|
|
윤석열의 마지막 카드는 전격 下野! : 下野의 타이밍을 잘 잡으면 '救國의 영웅' 될지도!
|
趙甲濟
|
p. 108-119
|
|
|
|
국힘은 후보 10명 넘을 듯, 민주당은 이재명 一極체제 '휘청' : 5월 早期 대선 가능성… 여야는 지금
|
권세진
|
p. 120-127
|
|
|
|
"뛰어난 실력, 다양한 경험… 정치인으로서 자질·매력 있다" : 탄핵 정국 속에서 경제 중심 잡고 있는 이창용 韓銀 총재
|
이경훈, 김세윤
|
p. 128-145
|
|
|
|
'정무적 판단' 싫어하는 유연한 원칙주의자 : 지휘부 와해된 軍 중심 잡고 있는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
이경훈
|
p. 146-157
|
|
|
|
"좌파, 여전히 선전·선동 무기로 정권 잡으려 하고 있어" : '태극기 집회' 영화로 만든 우종창 前 《월간조선》 기자 [인터뷰]
|
우종창 [인터뷰이] ; 김세윤 [취재]
|
p. 158-163
|
|
|
|
허은아 私黨化인가, 이준석 上王정치인가 : 개혁신당 내홍 사태
|
이경훈
|
p. 164-178
|
|
|
|
"능력·도덕성·국민통합능력이 '검증'된 사람이 지도자가 돼야"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인터뷰]
|
유정복 [인터뷰이] ; 권세진 [취재]
|
p. 180-193
|
|
|
|
"인천은 진보와 보수가 공존하는 곳… 지역선거 축소판이 인천"
|
백재호, 고기정
|
p. 194-207
|
|
|
|
"나라가 붕괴되면 직장도 가정도, 자유도 없다" : '한국사 일타 강사'에서 '아스팔트 보수'로 변신한 전한길 [인터뷰]
|
전한길 [인터뷰이] ; 김광주 [취재]
|
p. 208-220
|
|
|
|
경제 불안, 반중 정서, 지정학적 위기의식 폭발 : 이대남은 왜 '아스팔트 보수'가 되었나
|
임명묵
|
p. 222-232
|
|
|
|
'극우' 낙인찍기는 레닌식 용어 혼란 전술 : 광화문 태극기부대는 정말 극우인가?
|
이종배
|
p. 233-243
|
|
|
|
'한국 없는 한반도 논의'가 시작됐다! : 트럼프-이시바 정상회담 어떻게 볼 것인가
|
유민호
|
p. 244-256
|
|
|
|
내정 혼란으로 국제정세 급변에 대응하지 못하다가 패망 : 1930년대 프랑스가 오늘날 한국에 주는 교훈
|
김승영
|
p. 258-273
|
|
|
|
혼다-닛산 합병 결렬 내막
|
박정규
|
p. 274-287
|
|
|
|
"통신 산업은 국가 안보 문제… '바이 코리아 퍼스트' 정책 필요" : 미·중 네트워크 전쟁 시대, 한국 통신 네트워크 사업의 현주소
|
정혜연
|
p. 288-297
|
|
|
|
"진짜 이러다 내가 죽을 것 같아" : 극단적 선택한 MBC 기상 캐스터 오요안나씨 사건
|
고기정
|
p. 302-308
|
|
|
|
역사를 바꾼 1995년 《월간조선》 12·12 녹음테이프 특종
|
趙甲濟
|
p. 310-323
|
|
|
|
'배달민족' 처음 나오는 《규원사화》, 일본군 참모본부의 《만주지》 베낀 것 : '배달민족'의 문헌적 어원과 '창조'된 민족주의
|
박종인
|
p. 324-339
|
|
|
|
"어른다운 노인, 후대를 생각하는 노인들의 단체로" : '노인 연령 75세' 추진하는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인터뷰]
|
이중근 [인터뷰이] ; 오동룡 [취재]
|
p. 342-357
|
|
|
|
"이 버스는 새벽을 여는 사람들의 작은 등불이에요" : A160번 '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 타고 출근길 동행해 보니…
|
고기정
|
p. 358-363
|
|
|
|
"북한 정권의 붕괴, 딱 하나만 보고 성큼 걸어가겠다" : 이시영 자유북한방송 신임 대표 [인터뷰]
|
이시영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
p. 364-377
|
|
|
|
"내게 죄가 있다면, 국군 포로를 존경한 것뿐" : 국군포로 돕다 중국에서 8년간 옥살이한 이재훈씨 [인터뷰]
|
이재훈 [인터뷰이] ; 박지현 [취재]
|
p. 378-387
|
|
|
|
"스포츠에 매진해서 삶을 좀 더 품위 있게 살 수 있었다" : 장충식 범은장학재단 이사장 [인터뷰]
|
장충식 [인터뷰이] ; 정혜연 [취재]
|
p. 390-403
|
|
|
|
"트럼프 2기, 종교 자유 더 강조할 것" : 국제종교자유회의(IRF Summit) 2025 현장
|
하주희
|
p. 404-412
|
|
|
|
"진영으로 찢어진 대한민국에서 직업 드러내놓고 밝히지 못해 통탄" : 시사만평가 김경수의 '한 컷의 테러리즘' [인터뷰]
|
김경수 [인터뷰이] ; 김태완 [취재]
|
p. 414-424
|
|
|
|
중국의 펜타닐 수출, 초한전의 일부인가
|
박한슬
|
p. 425-433
|
|
|
|
"클럽 월드컵, 단순한 참가가 아닌 '증명의 무대'" : 클럽 월드컵 진출한 울산 HD FC 선수단과의 하루 [인터뷰]
|
울산 HD FC 선수단 [인터뷰이] ; 고기정 [취재]
|
p. 434-449
|
|
|
|
왜 우리는 음모론에 매혹되나 : 로또 조작설부터 무안공항 참사 음모론까지
|
하주희
|
p. 450-460
|
|
|
|
"댁의 가정은 안녕하십니까?" : 해외 저널에 실린 한국형 가족치료 모델
|
김태완
|
p. 462-473
|
|
|
|
"사명감으로 이 직업 택했다" : 성동소방서와 함께한 설 연휴 [인터뷰]
|
성동소방서 [인터뷰이] ; 백재호 [취재]
|
p. 474-489
|
|
|
|
"죄 없이는 생명도 없다" : 시인 이문길 [인터뷰]
|
이문길 [인터뷰이] ; 김태완 [취재]
|
p. 490-498
|
|
|
|
칼을 둘러싼 동서고금 이야기 [서평]
|
김태완 [평]
|
p. 513-521
|
|
|
|
동중서의 大一統 사상 받아들여 黃帝로 거슬러 올라가는 계보 저술
|
이한우
|
p. 542-553
|
|
|
|
러시아 혁명과 내전, 그 야만의 기록 [서평]
|
배진영 [평]
|
p. 340-34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