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양계농가 안정과 발전을 위해 산·학·관 사이에 긴밀한 협력과 타협 기술 필요 : 민원기 (사)한국가금학회 회장(국립경상대학교 교수) [인터뷰] | [인터뷰이]: 민원기 ; 취재: 장성영 | p. 92-94 | ||
닭 상태를 보고 환경을 맞춘다 : 가나안 농장(육계) | 취재: 김동진 | p. 96-100 | ||
12~1월 야생철새 분포 절정, 농장 발생 확률 높아 | 정리: 김동진 | p. 101-103 | ||
다시 등장한 형식적인 방역 초소 | 취재: 김동진 | p. 104-107 | ||
갯벌에서 찾아낸 진주, 양계업 소득향상에 기여 | 취재: 김동진 | p. 108-111 | ||
카니발리즘(cannibalism)의 발생 원인과 그 대책 | 월간 양계 | p. 112 | ||
계란 생산량 지속적 증가, 고병원성 AI 피해가 변수 : 2025년 산란계 전망 | 김지수 | p. 114-117 | ||
닭고기 소비감소 추세 지속, 생산 위축에 영향줄 듯 : 2025년 육계 전망 | 임효빈 | p. 118-121 | ||
HPAI 발생 추이에 따라 시장 상황전환 가능성 높아 : 2025년 상반기 채란업 흐름과 병아리 수급 전망 | 정한민 | p. 122-125 | ||
원료의 충분한 공급으로 배합사료 가격 안정세 예상 : 2025년 양계사료 시장 동향 및 전망 | 서상훈 | p. 126-130 | ||
미뤄온 숙제 '육계의 암수분리사육', 이제는 할 수 있을까? | 김시동 | p. 132-135 | ||
양계산업과 기후변화 | 유재석 | p. 136-139 | ||
토종닭의 선발과 교배 | 신승철 | p. 140-143 | ||
제발 을사년에는 | 한장혁 | p. 144-146 | ||
2024년 양계 질병진단 결과 분석 및 2025년도 전망 | 김재겸 | p. 147-151 | ||
효율적인 양계 관리 : 비타민이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 | 신동훈 | p. 152-155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