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지신의 의미 되새길 때 : 한국 문화예술계의 산증인, 김종규 (사)한국박물관협회 명예회장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40-41
|
|
|
|
1세대 민화 작가의 시선으로 본 민화 화단의 오늘과 내일 : 1세대 민화작가 새해맞이 특별좌담회
|
진행: 유정서 ; [좌담]: 금광복, 엄재권, 윤인수 ; 정리: 김석영 ; 사진: 우인재
|
p. 42-49
|
|
|
|
오색찬란 부처님의 세계로 : 수산 임석환 불화장
|
글: 김석영 ; 사진: 우인재
|
p. 74-77
|
|
|
|
민화를 사랑하는 곡진한 마음으로 : 제17회 (사)한국민화협회 대한민국민화공모대전 대상 수상자 샤오팅팅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78-79
|
|
|
|
전통 천연안료의 맥을 잇다 : (주)홍익안료 조규성 대표
|
글·사진: 우인재
|
p. 80-83
|
|
|
|
예술은 자신을 위한 것 : 박복자
|
글: 김석영
|
p. 86-87
|
|
|
|
정직이 가장 큰 미덕 : 방희원
|
글: 김송희
|
p. 88-89
|
|
|
|
정통성 담아내고 창의성 발현할 것 : 성혜숙
|
글: 김송희
|
p. 90-91
|
|
|
|
고단함 잊게 하는 창작의 기쁨 : 옥도윤
|
글: 김석영
|
p. 92-93
|
|
|
|
강원 영동지역 서화의 맥, 소남 이희수(1836~1909)와 강원의 서화가
|
글: 강영주
|
p. 106-109
|
|
|
|
그림은 뜻을 보아야 한다. 1, 우리 역사를 중시한 이종휘
|
글: 임상선
|
p. 110-115
|
|
|
|
민화 뜻풀이. 6, 벽사용 인물그림, 호경덕·진숙보
|
글: 김용권
|
p. 116-117
|
|
|
|
전통 책거리의 극적인 진화, '슈필라움' 시리즈의 정점을 만나다 : 최서원 초대전 <Spielraum for her>
|
글: 유정서 ; 사진: 우인재
|
p. 118-121
|
|
|
|
현대민화의 개념, 명칭, 장르의 문제
|
윤진영
|
p. 157-168
|
|
|
|
예술은 언제나 우리 삶 가까이에 : 경기도미술관 민화와 K팝아트 특별전 <알고 보면 반할 세계>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30-32
|
|
|
|
과거와 현대를 잇는 교두보 : 아트조선 스페이스 기획전 <한국미의 레이어>
|
글: 김석영 ; 사진: 우인재
|
p. 33-35
|
|
|
|
K-궁중음식의 모든 것 :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36-37
|
|
|
|
바로크 시대를 풍미한 거장의 작품들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기획전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
글: 김석영
|
p. 38-3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