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쿼블리-ST, 양자 프로세서 제조 가속화하는 전략적 협력 체결해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24
램리서치, 팹 유지 보수 협동로봇으로 가동시간 늘리고 수율 향상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30
블랙베리 QNX 및 TTTech Auto, "복잡한 소프트웨어 워크로드 손쉽게 관리 가능해져"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32
지멘스, 실리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진보된 결정론적 테스트 지원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34
AMD 버설 적응형 SoC, 단일 칩 디바이스로 업계 최고 컴퓨팅 성능을 제공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35
인텔 파운드리, 미래 공정을 위한 혁신적인 트랜지스터 및 패키징 기술 발표 글: 반도체네트워크 편집부 p. 36
IoT에서 OLED 디스플레이 이상까지 : 드라큘라 테크놀로지스가 유기 전자 제품을 이렇게 재정의한다 저자: Sandok Ben Dkhill p. 37-39
2025년 반도체 시장을 들여다본다 : "기술 혁신과 글로벌 변화" 두드러져 글: 이공흠 p. 44-46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혁신을 고객 혜택으로 더 빠르게 전환" 할 것 : 요흔 하나벡(Jochen Hanebeck)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CEO [인터뷰] 요흔 하나벡 [인터뷰이] ; 반도체네트워크 [취재] p. 47-49
FiRa Consortium, "자동차 및 스마트폰 분야가 UWB 기술 채택율을[실은 채택률을] 높일 것" : Clint Chaplin FiRa 이사회 회장 및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의 수석 표준화 담당 수석 엔지니어 [인터뷰] [인터뷰이]: Clint Chaplin ; 글: 김홍덕 p. 50-51
Hprobe, MRAM 테스트에 이어 자기 센서 시장으로 진출한다 : La[u]rent Lebrun Hprobe CEO [인터뷰] [인터뷰이]: Laurent Lebrun ; 글: 김홍덕 p. 52-53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2025년 기술 전망: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기회" : Dan Krantz 키사이트 CIO, Nilesh Kamdar 키사이트 EDA의 수석 설계 및 검증 사업부 책임자 [인터뷰] Dan Krantz, Nilesh Kamdar [인터뷰이] ; 반도체네트워크 [취재] p. 54-55
드라큘라 테크놀로지스, "배터리없는 세상을 구현한다" : Brice Cruchon Dracula Technologies CEO [인터뷰] [인터뷰이]: Brice Cruchon ; 글: 김홍덕 p. 56-58
아나로그디바이스, 급변하는 자동차 산업, 혁신과 파트너십으로 미래 시장 선도해야 : 한유아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 ADI) 한국 지사장 [인터뷰] 한유아 [인터뷰이] ; 반도체네트워크 [취재] p. 59-61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과도 속도 및 효율 향상 방법 = Enhancing speed and efficiency for high transient automotive applications 글: 존 월리스, 이삭 시아바샤니, 알렉산드르 이크리아니코프 p. 62-69
라이더용 eGaN FET - EPC9126 레이저 드라이버를 최대한 활용하기. 2 글: John S. Glaser p. 70-75
AI는 IoT 혁신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글: 하병우 p. 76-80
위치추적, 내비게이션 및 타이밍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 대역 지원 GNSS 수신기 집중 분석 반도체네트워크 p. 81-85
고신뢰성, 빠른 스위칭, 낮은 EMI를 위해 공장 자동화에 무접점 계전기 사용 = Use solid state relays in factory automation for high reliability, fast switching, and low EMI 반도체네트워크 p. 86-91
산업 자동화에 사용되는 첨단 센서 및 분석 기술 = Sensors and analytics in industrial automation 글: 헥터 바레시 p. 92-96
eIQ® 시계열 스튜디오 소개 : 간소화된 엣지 AI 개발 글: Ted Kao p. 9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