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손가락과 반짝이는 응원봉 : 연대의 서사
|
노재민
|
p. 40
|
|
|
|
윤석열 정권 문화예술 검열의 현황과 종말
|
김대현
|
p. 42
|
|
|
|
건축, 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키는 매개체 : 조민석 [인터뷰]
|
조민석 [인터뷰이] ; 심지언 [취재]
|
p. 44-47
|
|
|
|
신안군 예술섬 프로젝트, 올라퍼 엘리아슨 <숨결의 지구>
|
심지언
|
p. 48-49
|
|
|
|
2024 아이디어 뮤지엄 '사이 어딘가에'
|
황수진
|
p. 50-51
|
|
|
|
MMCA 국제심포지엄 '미술관은 무엇을 지향하는가: 미술, 미술관, 공공성'
|
황수진
|
p. 52-53
|
|
|
|
욕망-기계-생명체 : 욕망이 독립해서 스스로 생명체가 되는 이야기
|
안진국
|
p. 66-69
|
|
|
|
최우람 [인터뷰]
|
[인터뷰이]: 최우람 ; [취재]: 정소영 ; 사진: 박홍순
|
p. 70-85
|
|
|
|
자연사적 감각학-임흥순 새롭게 읽기
|
곽영빈
|
p. 86-93
|
|
|
|
'집회(assembly)'는 계속되어야만 한다 : 불평등한 세계에 맞선 아트 액티비즘 : 리슨투더시티
|
심소미
|
p. 94-101
|
|
|
|
기억을 윤색하는 기술 : Ilkwon Yoon
|
강재영
|
p. 102-103
|
|
|
|
'3D 퍼포머티브 장치-환경'으로 설계한 상상의 실험실 : Inhwa Yeom
|
노재민
|
p. 104-105
|
|
|
|
K팝아트 시대, 민화로 쓰는 이상향 : 《알고 보면 반할 세계》
|
변종필
|
p. 106-111
|
|
|
|
보는 것, 아는 것, 그도 아닌 것 : 《이강소: 풍래수면시(風來水面時)》
|
박민영
|
p. 112-117
|
|
|
|
소금기둥이 되어 돌아보는 : 제4회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너희가 곧 신임을 모르느냐》
|
강재영
|
p. 118-119
|
|
|
|
성긴 표류기 :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 《아파기(阿波伎) 표류기: 물과 바람과 별의 길》
|
노재민
|
p. 120-121
|
|
|
|
지금의 시작 : 《서울 오후 3시》
|
이선영
|
p. 122-123
|
|
|
|
레지던시 기관으로서의 성과와 역할, 그 씁쓸한 '회고' : 《협업의 기술(The Act of Collaboration)》
|
홍경한
|
p. 124-125
|
|
|
|
두렁(remastered) : 미술동인 두렁 창립 40주년 기념전 《두렁, 지금》
|
양정애
|
p. 126-127
|
|
|
|
예술이라는 중정 : 《모든 조건이 조화로울 때》
|
김지연
|
p. 128-129
|
|
|
|
미술이 멈출 때 벌어지는 일 : 《화이트스페이스》
|
황재민
|
p. 130-131
|
|
|
|
양혜규: 일상의 연금술이라는 이름으로 : Haegue Yang: Leap Year : London
|
전민지
|
p. 132-137
|
|
|
|
때로는 즐겁고, 때로는 불안할지라도 : Happiness Is Not Always Fun : Berlin
|
박은지
|
p. 138-14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