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2030년까지의 대응에 달렸다
|
이준이
|
p. 10-11
|
|
|
|
기후변화가 한국경제에 가져올 거대한 위험에 대안 찾을 때
|
홍종호
|
p. 14-15
|
|
|
|
우리 산업이 탄소중립과 성장 모두 이루는 게임체인저 되려면
|
정은미
|
p. 16-17
|
|
|
|
"한국형 가상발전소 모델 선도해 기후위기 시대 에너지 효율 높인다" :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인터뷰]
|
김구환 [인터뷰이] ; 신정아 [취재]
|
p. 18-19
|
|
|
|
생산자와 소비자 선의에 기댄 전략으론 먹거리 탄소중립 달성할 수 없다
|
윤지로
|
p. 20-21
|
|
|
|
도시 삶을 지탱하는 전 과정의 탄소중립과 건물의 에너지 전환 필요
|
홍진규
|
p. 22-23
|
|
|
|
"종말적인 시나리오를 상상하기보다 자연과 나의 관계를 다시 설정해 보길" :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인터뷰]
|
김산하 [인터뷰이] ; 신정아 [취재]
|
p. 24-25
|
|
|
|
넷 중 한 집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시대, 그 파생산업의 명과 암
|
이지안
|
p. 28
|
|
|
|
"모든 동물들이 마지막 가는 길만큼은 차별 없이 존중받기를" : 박영옥 페트나라 대표 [인터뷰]
|
박영옥 [인터뷰이] ; 오성록 [취재]
|
p. 30-31
|
|
|
|
반려동물·연관산업 개념 정립뿐 아니라 민간 역할 강화도 중요
|
황윤재
|
p. 32
|
|
|
|
펫케어에 집중된 인력양성, 보다 다양한 분야로 확대할 필요
|
김현주
|
p. 33
|
|
|
|
올바른 산책은 그저 동네 한 바퀴가 아닌 보호자와 반려견이 서로 교감하는 것
|
이웅종
|
p. 34
|
|
|
|
동물과 함께 산다는 것의 무게를 법에 담아야
|
김도희
|
p. 35
|
|
|
|
증가하는 가계빚, 부채 억제보다 포괄적 구조개혁이 중요
|
김미루
|
p. 36-37
|
|
|
|
리더들이여, 불만 뒤의 헌신을 보라 : 리더들의 일대일 미팅법
|
신수정
|
p. 38
|
|
|
|
여성들이 전 생애에 걸쳐 경력 축적할 수 있는 환경 조성해야
|
장보성
|
p. 42-43
|
|
|
|
독일의 중요한 성장동력 고숙련 이민자… 우리도 전문인력 이민정책 확대·개선할 필요
|
김현정
|
p. 44-45
|
|
|
|
"유연한 노동시장이 중장년 인력 활용의 답" : 황윤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운영본부장 [인터뷰]
|
황윤주 [인터뷰이] ; 최슬기 [취재]
|
p. 46
|
|
|
|
중소기업 유예기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결혼하면 100만 원 세액공제 : 2024년 세법개정안 : 기획재정부
|
양순필
|
p. 48-49
|
|
|
|
해외건설사업 수주에 공공 역할 강화하고 도시개발 특화진출도 확대 : 해외 투자개발사업 활성화 방안 : 국토교통부
|
최신형
|
p. 50-51
|
|
|
|
추심횟수 주 7회로 제한… 연체이자는 연체금액에만 적용 : 「개인금융채권의 관리 및 개인금융채무자의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시행 : 금융위원회
|
김광일
|
p. 52-53
|
|
|
|
자율주행으로 완성하는 전혀 새로운 세상 : 한지형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표
|
글: 이재영
|
p. 54-55
|
|
|
|
창의성은 선천적인 재능이 아니라 길러낼 수 있는 것 :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22 창의적 사고력 평가결과 발표
|
이지현
|
p. 56-58
|
|
|
|
WTO 수산보조금 협정 2단계 협상, 또다시 다음을 기약
|
김혜연
|
p. 59-61
|
|
|
|
K편의점의 몽골 성공모델, 중앙아시아에서도 통하려면
|
김정훈
|
p. 62-63
|
|
|
|
소중하고 소중한 나의 '땀'
|
강양구
|
p. 64-65
|
|
|
|
정희진을 공부하기 [서평]
|
김혼비 [평]
|
p. 66
|
|
|
|
통계 개발로 기업의 ESG 지원한다
|
강은영
|
p. 68-69
|
|
|
|
위기의 자영업, 연착륙 도와야 한다
|
이정희
|
p. 7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