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공사를 둘러싼 갈등 "베를린 코미셰 오퍼를 지켜라!"
|
글: 오주영
|
p. 26
|
|
|
|
시대음악 연주단체의 민낯 : 시대악단의 수장과 고용자의 복잡한 관계와 폐해
|
글: 한정호
|
p. 32
|
|
|
|
가능성 열고, 다양한 길을 걷고 싶다 : 첼리스트 백승연 [인터뷰]
|
[인터뷰이]: 백승연 ; 글: 김강민
|
p. 48
|
|
|
|
인생의 새로운 장을 펼치며 : 바이올리니스트·지휘자 르노 카퓌송
|
글: 이의정
|
p. 52-59
|
|
|
|
이탈리아 오페라의 역사와 긍지 : 라 스칼라 극장 대표 도미니크 마이어 [인터뷰]
|
[인터뷰이]: 도미니크 마이어 ; 글: 박선민
|
p. 64-67
|
|
|
|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 : 첼리스트 미클로시 페레니 [인터뷰]
|
[인터뷰이]: 미클로시 페레니 ; 글: 이의정
|
p. 70-73
|
|
|
|
'슈퍼 비르투오소'를 둘러싼 오해와 이해 : 피아니스트 마르크-앙드레 아믈랭
|
글: 허서현
|
p. 76-78
|
|
|
|
마음속의 겨울을 걷는 나그네 : 바리톤 베냐민 아플 [인터뷰]
|
[인터뷰이]: 베냐민 아플 ; 글: 송주호
|
p. 84-85
|
|
|
|
융합과 창조로 새 콘텐츠를 생산하다 : 지휘자 진솔 [인터뷰]
|
[인터뷰이]: 진솔 ; 글: 류태형
|
p. 86-87
|
|
|
|
성장하는 방랑자 : 바이올리니스트 김동현
|
글: 홍예원
|
p. 88-89
|
|
|
|
멘델스존의 현악 4중주 분석
|
글: 이민희
|
p. 90-91
|
|
|
|
사찰로 흐르는 소리 : 사운드 아티스트 요시 호리카와 [인터뷰]
|
[인터뷰이]: 요시 호리카와 ; 글: 김강민
|
p. 93
|
|
|
|
화폭에 담는 소리 : 비주얼 아티스트 이다희 [인터뷰]
|
[인터뷰이]: 이다희 ; 글: 김강민
|
p. 94-95
|
|
|
|
북녘의 전통 노래와 해학을 이어가는 후예 : 소리꾼 장효선
|
글: 송현민
|
p. 98-100
|
|
|
|
푸치니의 삶과 오페라
|
글: 이용숙
|
p. 106-109
|
|
|
|
왜 다른 나라를 배경으로 했을까? : 푸치니 오페라에 담긴 이국적 풍경과 오리엔탈리즘
|
글: 강지영
|
p. 110-111
|
|
|
|
토레 델 라고 푸치니 페스티벌
|
글: 손수연
|
p. 112-113
|
|
|
|
카라칼라 축제, 토스카·투란도트
|
글: 이실비아
|
p. 114-115
|
|
|
|
소프라노 안젤라 게오르규 : 서울시오페라단의 '토스카' 무대 주인공 [인터뷰]
|
[인터뷰이]: 안젤라 게오르규 ; 글: 이의정
|
p. 116-117
|
|
|
|
최대 규모의 프로덕션, 한국 상륙! : 아레나 디 베로나 무대의 '투란도트' [인터뷰]
|
[인터뷰이]: 체칠리아 가스디아, 이소영, 전여진 ; 글: 허서현
|
p. 118-121
|
|
|
|
푸치니는 '오페라'만 작곡했을까?
|
글: 송주호
|
p. 122-123
|
|
|
|
실황 영상물로도 푸치니 오페라의 감동을!
|
글: 유형종
|
p. 124-125
|
|
|
|
스타 성악가의 깊고 절제된 무대 : 바리톤 김태한 리사이틀
|
글: 류태형
|
p. 130
|
|
|
|
기획과 연출의 귀재 : 율리우스 아잘 피아노 독주회
|
글: 이의정
|
p. 131
|
|
|
|
스물아홉, 그리고 내년의 서른을 바라보며 : 제주국제관악제 개막공연
|
글: 송현민
|
p. 132
|
|
|
|
어린이의 상상은 막연하지 않다 : 인형극 '산초와 돈키호테'
|
글: 황승경
|
p. 133
|
|
|
|
죽음의 설화에서 길어 올린 사랑 노래 : 뮤지컬 '하데스타운' & 뮤지컬 '홍련'
|
글: 허서현
|
p. 134-135
|
|
|
|
20년에 걸친 칸타타 전곡 녹음으로 도달한 경지 : 우리 시대의 바흐, 스즈키 마사아키
|
글: 이준형
|
p. 138-141
|
|
|
|
관객이 공감할 작품, 시대를 담을 욕심 : 극작가 박천휴·작곡가 윌 애런슨
|
글: 홍예원
|
p. 148-149
|
|
|
|
흥미로운 소재, 부지런한 현지화 : 뮤지컬 프로듀서 강병원
|
글: 홍예원
|
p. 150
|
|
|
|
언어는 바뀌었어도, 메시지는 싱싱했다 : 뮤지컬 '마리 퀴리'
|
글: 정재은
|
p. 151
|
|
|
|
국내·외 시장을 잇는 가교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유통팀 팀장 이정은
|
글: 홍예원
|
p. 152
|
|
|
|
K-뮤지컬의 꿈,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 해외 뮤지컬 시장에 대한 대비와 현지화 전략
|
글: 박병성
|
p. 153
|
|
|
|
여름밤에 그리는 축제의 선율 : 그슈타트 메뉴인 페스티벌 : Switzerland
|
글: 전윤혜
|
p. 158-159
|
|
|
|
전통을 담고, 미래를 꿈꾸다 : 라 로크 당테롱 피아노 페스티벌 [인터뷰]
|
[인터뷰이]: 쥐스탱 테일러 ; 글: 박찬미
|
p. 160-161
|
|
|
|
푸른 물속에 잠긴 붉은 욕망 : 웨스트엔드 무대에 오른 연극 '레드 스피도' : United Kingdom
|
글: 정재은
|
p. 162-163
|
|
|
|
각기 다른 '해석'으로 빛난 '고전'의 향연 : 뮌헨·잘츠부르크·바이로이트 페스티벌
|
글: 박제성
|
p. 164-165
|
|
|
|
사이먼 래틀을 만나다
|
글: 노먼 레브레히트 ; 번역: evener
|
p. 166-170
|
|
|
|
델릴라 : 예술이 그들의 죄를 사하리니
|
글: 오주영
|
p. 188-189
|
|
|
|
국격을 높인 음악가의 긍지 : 행진곡의 대가, 존 필립 수자
|
글: 홍승찬
|
p. 192-19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