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무념과 무애의 거대한 예술세계와 만나다 : 매머드 기획전 '성파 선예(禪藝) 특별전' 앞둔 성파 종정 [인터뷰] | [인터뷰이]: 성파 ; 글: 유정서 | p. 30-31 | ||
현대인의 삶에 훌륭한 지표 되어주길 : 오랜 연구를 토대로 신간 《고사인물도》 펴낸 유미나 교수 [인터뷰] | [인터뷰이]: 유미나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32-33 | ||
"훌륭한 작품들이 좋은 공간에서 강한 생명력 지니길 바라는 마음" : 삼청동 오매갤러리 오픈한 김이숙 대표 [인터뷰] | [인터뷰이]: 김이숙 ; 글: 김송희 ; 사진: 우인재 | p. 34-37 | ||
용이란 어떤 존재인가 : 경기대학교소성박물관 특별전 <龍河니, 용해> | 글: 김석영 ; 사진: 우인재 | p. 38-41 | ||
꿈을 향한 당당한 발걸음 : 노호남 | 글: 김석영 | p. 68-69 | ||
민화가 알려준 일상의 소중함 : 민봉기 | 글: 김석영 | p. 70-71 | ||
민화가 곧 나고, 내가 곧 민화인 삶 : 이선구 | 글: 김송희 | p. 72-73 | ||
자유로운 세계, 견고한 정체성 : 최천숙 | 글: 김송희 | p. 74-75 | ||
송지은 교수의 한국화 재료학. 1, 금속재료 | 글: 송지은 | p. 110-117 | ||
민화 뜻풀이. 3, 종교관 접근법과 색채 사용법으로 민화 읽기 | 글: 김용권 | p. 118-121 | ||
강원 영동지역 서화의 맥, 소남 이희수의 시의산수도 | 글: 강영주 | p. 122-127 | ||
추사 김정희의 예서와 석촌 윤용구의 서화 : 완당 예서·해관 죽석 12폭 병풍 | 글: 이태호 | p. 128-135 | ||
글씨는 조화의 자취이다 : 실학적인 독서인 홍양호. 2 | 글: 임상선 | p. 136-141 | ||
우리의 수호신, 백호 | 글: 서민자 | p. 142-148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