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논쟁, 더 많은 토론을 위하여 : 강제노동과 역사 전시
|
권기준
|
p. 46
|
|
|
|
보화각을 넘어 : 공간과 시간을 확장하는 간송 컬렉션 [인터뷰]
|
전인건 [인터뷰이] ; 심지언 [취재]
|
p. 48-51
|
|
|
|
《대지의 메아리: 살아있는 아카이브》 [인터뷰]
|
레픽 아나돌 [인터뷰이] ; 정소영 [취재]
|
p. 52-53
|
|
|
|
미술사를 횡단하던 만화 캐릭터 후(Who), 일상으로 후니버스(Whoniverse) 확장 [인터뷰]
|
사이먼 후지와라 [인터뷰이] ; 심지언 [취재]
|
p. 54-55
|
|
|
|
Art premium effect. 5, 과시적 여가로서 아트를 소비한다는 것
|
한여훈
|
p. 66-71
|
|
|
|
지식 공유의 수평적 연결
|
장승연
|
p. 74-77
|
|
|
|
시차, 時差, 市差
|
강민형
|
p. 78-81
|
|
|
|
미술을 경험하고 싶은 사람 모두 모여, Studio Pie [인터뷰]
|
[인터뷰이]: 박현정 ; 기획·진행: 강재영
|
p. 82-83
|
|
|
|
수평적 기술문화를 만들자, 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인터뷰]
|
[인터뷰이]: 전유진 ; 기획·진행: 강재영
|
p. 84-85
|
|
|
|
재밌는 미술을 계속-같이-다르게-새롭게 하는, YPC Space [인터뷰]
|
[인터뷰이]: 권정현, 이아름, 유지원 ; 기획·진행: 강재영
|
p. 86-87
|
|
|
|
당신의 레퍼런스를 들려주세요, d/p [인터뷰]
|
[인터뷰이]: 이민지 ; 기획·진행: 강재영
|
p. 88-89
|
|
|
|
매체로서의 워크숍, 임가영 [인터뷰]
|
[인터뷰이]: 임가영 ; 기획·진행: 강재영
|
p. 90-91
|
|
|
|
자격 없는 이들을 위한 실험적 미술교육, 등촌야학 [인터뷰]
|
[인터뷰이]: 김망고, 김강리 ; 기획·진행: 강재영
|
p. 92-93
|
|
|
|
모임의 효능
|
강재영
|
p. 94-95
|
|
|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생동하는 물질의 예술 : 존재론적 전회와 신유물론적 예술
|
안진국
|
p. 96-103
|
|
|
|
링커, 분해/병치에서 결합/연결로 : 이재석
|
김주원
|
p. 104-111
|
|
|
|
정희민의 감응적 그림과 동시대 지각
|
문혜진
|
p. 112-119
|
|
|
|
SeMA 옴니버스
|
박미화
|
p. 120-125
|
|
|
|
작가의 호기심과 흥이 넘치는 사색추론 과정을 엿보는 재미 :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
|
문소영
|
p. 126-131
|
|
|
|
그 새는 어디서 왔을까? : 《이완: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
우혜수
|
p. 132-133
|
|
|
|
직조공이 아카이브를 봉합하는 방식 : 《나현: 봉래산-포모사 프로젝트》
|
하도경
|
p. 134-135
|
|
|
|
End vs And : 《제일 뒤가 가장 앞이다》
|
김웅기
|
p. 136-137
|
|
|
|
바나나 잎의 단단함을 발견하다 : 《바나나 잎을 땋는 마음으로》
|
정소영
|
p. 138-139
|
|
|
|
미술시장, 도시를 새롭게 정의하다 : 키아프와 프리즈서울이 그린 한국 아트페어의 미래
|
김영애
|
p. 146-14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