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함께, 새 교육과정으로 가장 필요한 배움을 채워주자
|
서준형
|
p. 4-6
|
|
|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서울 교육과정'을 소개합니다
|
양정순
|
p. 8-15
|
|
|
|
학교자율시간을 이음(IEUM)+맞춤 교육과정으로 구현하다
|
김지영
|
p. 16-25
|
|
|
|
학교자율시간, 함께 만들었습니다
|
조윤실
|
p. 26-32
|
|
|
|
새로운 교육과정 실천을 이야기하다 [좌담]
|
[좌담]: 이상수, 이은하, 문병진, 박준우, 윤현주 ; 사회자: 이은희 ; 정리: 이세주 ; 사진: 김율
|
p. 33-42
|
|
|
|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길을 찾다 :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적용을 중심으로
|
송만호
|
p. 43-50
|
|
|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탐색 :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한 핵심역량의 함양'을 중심으로
|
이승미
|
p. 52-60
|
|
|
|
'놀이! 보고 듣고 즐기기' : 유아와 함께하는 놀이 평가 중심으로
|
유지연
|
p. 61-67
|
|
|
|
깊이 있는 학습의 이해와 실행 사례 : 초등학교
|
조호제
|
p. 68-74
|
|
|
|
과학, 깊이 있는 학습 도전 : 중학교 깊이 있는 학습
|
백종민
|
p. 75-81
|
|
|
|
생각 기르기 수업과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 역사 수업 이렇게 해보세요 : 고등학교 깊이 있는 학습
|
남궁원
|
p. 82-90
|
|
|
|
먼저 마음을 얻어라, 그 다음에 가르쳐라 : 초등학교 학급 운영
|
허승환
|
p. 92-98
|
|
|
|
학생들과 함께하는 슬기로운 학급 경영 : 중학교 학급 운영
|
손지선
|
p. 99-104
|
|
|
|
'힙지로'에 간 아이들, 지역의 창으로 세계를 배우다 : 성동고등학교 학교 밖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
이민재
|
p. 105-111
|
|
|
|
미래를 준비하는 '격(格) 높은' 진로 교육의 실천과 노력 :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진로 교육을 중심으로
|
허지원
|
p. 112-118
|
|
|
|
서울 학생 가치관 조사 연구
|
장선희
|
p. 120-128
|
|
|
|
일반학교 긍정적행동지원(PBS) 적용 사례 : 초등학교 6학년 꿈이 이야기
|
백영선
|
p. 136-141
|
|
|
|
마약에 만약은 없습니다
|
최경수
|
p. 142-146
|
|
|
|
AI 교과서 시대, 독서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서평]
|
안광복 [평]
|
p. 152-15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