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바라본 2024년 한국연극 [좌담]
|
사회: 김기란 ; [좌담]: 김세환, 김은희, 배선애, 신진호, 조훈성 ; 편집: 박소리 ; 사진: 정수연
|
p. 20-29
|
|
|
|
여성국극 배우 조영숙
|
정리: 김기란
|
p. 30-32
|
|
|
|
"눈이 부시게 푸르른 아름다운 연극인" : 제9회 늘푸른연극제 선정 연극인 [좌담]
|
사회: 조정민 ; [좌담]: 강한근, 김재건, 장미자 ; 편집: 박소리 ; 사진: 정수연
|
p. 33-39
|
|
|
|
'공무원'의 '공(公)'은 누구인가? : (주)파인플레이 <전시의 공무원>
|
글: 배선애
|
p. 40-41
|
|
|
|
'괜찮아. 아직은 괜찮아!' 삶에 지친 자들을 위무하는 고선웅의 퉁소소리 : 서울시극단 <퉁소소리>
|
글: 백로라
|
p. 42-43
|
|
|
|
캔디의 치유 방식, 로켓의 욕망 : 공놀이클럽 <로켓 캔디>
|
글: 김건표
|
p. 44-46
|
|
|
|
지금/여기의 시차 : 두산아트센터 <시차>
|
글: 이주영
|
p. 47-49
|
|
|
|
'이후'를 살아가기 : 앤드씨어터 <유원>
|
글: 김태희
|
p. 50-51
|
|
|
|
조승우의 햄릿, 그 찬란하고 불안한 청춘의 딜레마 : 예술의전당 <햄릿>
|
글: 김기란
|
p. 52-53
|
|
|
|
지역 축제의 현재와 지속 가능성 : 2024년 강릉 페스티벌 <로스팅 드림즈>, <리-매치>, <태양의 발견>
|
글: 정명문
|
p. 54-57
|
|
|
|
2024년 제5회 감동진연극제 [인터뷰]
|
인터뷰이: 이상우 ; 글: 조훈성
|
p. 66-68
|
|
|
|
노다 히데키 <정삼각관계>에 담긴 수많은 사색 : 일본
|
글: 야마구치 히로코 ; 번역: 김유빈
|
p. 70-72
|
|
|
|
한국연극의 글로벌 도약 : 중장기 지원 사업의 필요성과 '빨간 차' 현지화 전략 : 영국
|
글: 김준영
|
p. 73-75
|
|
|
|
독일 사회의 제도적 인종차별을 꼬집은 다큐멘터리 연극 : <지금은 하나우(And Now Hanau)>
|
글: 래이 리
|
p. 76-77
|
|
|
|
자동차 출동 기사 배우 원종철 [인터뷰]
|
[인터뷰이]: 원종철 ; 글·인터뷰: 김정아
|
p. 78-79
|
|
|
|
공연예술의 국제교류 지원사업 방향과 발전
|
글: 이정남
|
p. 80-81
|
|
|
|
안산문화예술의전당과 상주단체
|
글: 조형준
|
p. 82-8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