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보셨습니까 [좌담]
|
사회: 정수진 ; [좌담]: 김기란, 정명문, 백로라, 조형준 ; 사진: 정찬일 ; 정리: 민규현
|
p. 7-28
|
|
|
|
국가예술지원 정책에 대한 연극 현장의 목소리 [좌담]
|
사회: 이화원 ; [좌담]: 강훈구, 공재민, 김도형, 윤기훈, 이은경 ; 사진: 정수연 ; 정리: 민규현
|
p. 29-54
|
|
|
|
보편적 디아스포라 : <바다를 넘어온 나무>
|
송민숙
|
p. 55-60
|
|
|
|
생의 감각을 포착해내려는 언어들 : <간과 강>
|
김나볏
|
p. 61-65
|
|
|
|
비극이 불가능한 시대의 그로테스크한 희극 : <트랩>
|
심재민
|
p. 66-71
|
|
|
|
천사는 오지 않았다 : <엔젤스 인 아메리카>
|
이우정
|
p. 72-80
|
|
|
|
통합 감성과 시선 극복의 시도 : <금선> <가리봉동 87번지> <붉은 손톱달>
|
정명문
|
p. 81-86
|
|
|
|
'이 관객들은 어디에 숨어 있었을까' : 관객을 향하는 연극의 가치 찾기 : <맥베스> <햄릿>
|
엄현희
|
p. 87-92
|
|
|
|
크고 작은 삶과 무대의 크기 : <두 번째 시간>
|
김남석
|
p. 93-97
|
|
|
|
유사 유토피아의 체험, 예술가 소재 뮤지컬 : <랭보>
|
박병성
|
p. 98-103
|
|
|
|
지극히 개인적인, 지극히 정치적인 : <바이 하트>
|
김미희
|
p. 104-108
|
|
|
|
마음을 잇는 연극 : <바이 하트>
|
최영주
|
p. 109-113
|
|
|
|
빈 무대, 흑백 조명 그리고 암전의 미학 : <이야기와 전설>
|
임혜경
|
p. 114-118
|
|
|
|
민간 극장이 다져갈 한국연극의 미래 : 강석란 두산아트센터장 × 이현정 LG아트센터장 [인터뷰]
|
[인터뷰이]: 강석란, 이현정 ; [취재]: 김기란, 정수진 ; 사진: 정수연 ; 정리: 민규현
|
p. 124-139
|
|
|
|
무대 미술의 과정을 통해 좋은 사람 되기
|
[글]: 남경식 ; 정리: 정명문
|
p. 141-145
|
|
|
|
내가 보고 싶은 것과 우리가 봐야 하는 곳
|
정병목
|
p. 146-150
|
|
|
|
시노그라퍼의 공간 읽기
|
[글]: 조민주 ; 정리: 정명문
|
p. 151-154
|
|
|
|
공간을 그려내는 빛과 디자인
|
[글]: 최보윤 ; 정리: 정명문
|
p. 155-159
|
|
|
|
우리 시대의 연극성, 모두의 연극, 감각 존중 혹은 나눔의 미
|
김기란
|
p. 161-165
|
|
|
|
극장 안에 다른 세계가 공존하며 연극 만들기 : 한국어와 한국 수어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미란
|
p. 166-172
|
|
|
|
모두예술극장의 접근성과 공연 운영 사례
|
오세형
|
p. 173-180
|
|
|
|
연극 심사와 평가에서 공정의 (불)가능성 재고
|
이유라
|
p. 181-188
|
|
|
|
최근 10년간 중남미 연극의 주요 주제 : 스페인/포르투갈
|
김선욱
|
p. 189-193
|
|
|
|
마라톤 5부작 연극 <안트로폴리스: 괴물, 도시, 테베(Anthropolis : Ungheuer. Stadt. Theben)> : 독일
|
래이 리
|
p. 194-200
|
|
|
|
홍콩 공연예술평론 현황 : SWOT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
[글]: 천궈후이 ; 번역: 윤국화
|
p. 201-204
|
|
|
|
대부분의 국제 비평가들이 현대 태국 연극을 거의 보지 않는 이유
|
[글]: 파윗 마하사리난 ; 번역: 한옥조
|
p. 205-212
|
|
|
|
서던 댄스 홀 : 팬데믹 이후 중국 남부 광저우의 움직임과 커뮤니티기
|
[글]: 티안티안 시에 ; 번역: 심수진
|
p. 213-221
|
|
|
|
한국 공연예술의 뿌리 찾기 [서평]
|
윤시향 [평]
|
p. 222-225
|
|
|
|
한국연극의 근대화과정과 글로벌 시대 한국 연극미학 연구 [서평]
|
황훈성 [평]
|
p. 226-232
|
|
|
|
지독한, 끈질긴 남북한의 젠더정치 [서평]
|
이주영 [평]
|
p. 233-23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