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패가 다시 분배된다면, 주사위 또한 다시 던져져야 한다 : 1990년대 이후 사회운동의 궤적과 체제전환운동의 전망 | 정정훈 | p. 17-45 | ||
좌파 이론의 수용은 사회운동에 얼마나 기여했는가 | 장석준 | p. 46-65 | ||
체제 전환의 시대, 문화연구의 현재와 미래 [좌담] | [좌담]: 김성일, 미류, 이동연, 이현재, 천주희 ; 사회자: 정원옥 ; 녹취·사진 촬영: 이해수 | p. 66-106 | ||
노동의 '정의로운 전환'을 넘어선 전환의 조건 | 전주희 | p. 135-153 | ||
젠더, 한없이 하찮고 시시한 전환의 키워드 | 손희정 | p. 154-175 | ||
빈곤의 얼굴들 | 소준철 | p. 176-194 | ||
AI 기술 신경망, 자본주의 멀티모달 비판 : 렌티어/봉건 국면에서 공통 연결체 되기 | 신현우 | p. 195-220 | ||
인공권력, 인간권력, 자본권력 : 계산적 합리화에 의한 민주주의 자동화 시대, 'AI 대전환'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 김현준 | p. 221-242 | ||
체제 전환의 지렛대, 탈성장 | 김현우 | p. 245-262 | ||
돌봄의 정치 : 무엇을 돌볼 것인가? | 권범철 | p. 263-285 | ||
포스트휴먼 되기의 기술 : '포스트휴먼'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 | 김은주 | p. 286-303 | ||
동아시아의 저항정치와 국경을 넘는 연대의 가능성 | 홍명교 | p. 304-325 | ||
수익형 인스타툰이 구성하는 '갓생'과 '갓생러'의 정체성 | 박규리 | p. 329-344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