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韓國戰爭史. 第1-2卷 /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967-1968
청구기호
951.74 ㄱ427ㅎ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2책 : 사진 ; 27 cm
제어번호
MONO1198020805
주기사항
내용: 第1卷. 解放과 建軍 -- 第2卷. 北韓傀儡軍의 南侵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등]

서문

발간사

목차

해방의 감격 19

비극 국토양단 20

38선의 대치 21

신탁통치 결사반대 23

제1장 해방과 국토 양단 25

1. 서설 27

1. 아세아에 있어서의 한반도 27

일본의 대륙침략과 노서아의 남침 27

한국민의 항일투쟁 29

2.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문제 30

연합국의 반격과 한국문제 대두 30

카이로선언과 한국독립의 적당한 시기 31

얄타 비밀협정과 소련의 대일참전의 대가 33

포츠담 선언과 일본의 패망 35

2. 해방과 미·소군의 진주 37

1. 해방전야 37

2. 해방 38

해방과 공산세력의 침투 38

3. 소군의 진주와 도인민위원회의 발족 43

38선일대 소군진주와 남행열차의 운행정지 47

4. 38도선의 설정발표와 국내 움직임 48

5. 미군의 진주와 군정실시 52

금융기관 접수에서 드러난(들어난) 일제의 최후 발악 55

박헌영이 공산당 재건 55

미군정의 기구정비 56

3. 미·소군 점령하의 민족분열의 격동기 57

1. 남한의 임정요인 환국·북한은 김일성체제의 확립 57

2. 신의주학생의거와 소군정의 진상 59

소군정의 약탈로 인한 사회혼란 59

신의주학생의거와 시베리아 유형 61

3. 모스크바결정 발표와 결정적인 민족분열 63

탁치결사반대 64

공산당의 돌연찬탁으로 인한 민족분열 66

4. 소련의 저의를 은폐한 미·소 공동위원회 67

북한의 반탁기세 제거와 조만식선생 감금 67

소련의 고등정략과 사실상의 김일성 괴뢰정권 수립 68

소련의 고등정략에 말려든 미군정 70

4. 정부수립 태동기 73

1. 미군정의 통일정부 모색의 실패 73

북에서 남으로 민족의 대이동 73

좌·우합작과 민족진영의 자체분열 74

2. 북한의 공산사회로의 경화와 남한에서의 공산의 테로·파업·폭동화 76

공산당의 음모, 테로·파업·폭동 76

입법의원의 설치와 북괴의 동향 78

3. 미·소공동위원회 재개와 한국문제 UN에의 이관 79

미·소공동위원회재개 79

UN의 한국문제결의와 한국위원단구성 81

제2장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북괴정권 89

1. 정부수립 전야의 좌익계의 발악 91

1. 정부수립전 민주진영의 의견대립 91

2. 남북협상재개와 좌익계의 폭동음모 93

2. 성공적인 5. 10 총선거 98

1. 선거법 공포 98

2. 선거결과 100

3. 송전중단과 그들의 저의 102

3. 대한민국정부의 탄생 105

1. 제헌국회의 개원과 헌법공포 105

2. 초대 대통령선거와 내각의 탄생 109

3.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와 승인 116

4. 북한괴뢰정부 119

1. 북괴정권조작 119

2.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선거 120

5. 정부수립 후의 국내일반정세 129

1. 반민법 파동 129

2. 여·순반란사건과 그 여파 133

3. 남로당 국회푸락치 사건 140

4. 남·북한의 군사정세 145

5. 공산푸락치 침투에 의한 제사건 150

6. 정부수립후의 국내경제 157

1. 경제적 혼란요인 157

2. 남·북한의 경제적 분석 160

3. 결론 165

제3장 미·소 양진영의 대립 171

1. 국제연합의 성립과 미·소의 대립 173

1. 국제연합의 성립 173

2. 동서의 대립 174

3. 미국의 트루만·독트린 및 마샬플랜 175

4. 콤민포름과 베를린봉쇄 177

5. 소련의 대극동정책 179

소련의 중공지원 180

소련의 대 한국정책 182

6. 미국의 군사정책 184

국가군사동원체제의 해제 184

7. 국가안전보장체제의 정비 186

국제동맹체제의 형성(서구군사정책) 187

2. 미국의 대한군사정책 191

1. 주한미군의 철퇴 191

2. 미국의 대한군사원조 202

3.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의 설치 206

3. 한국의 전략위치 214

1. 미군철퇴에 대한 한국의 반향 214

2. 미군철퇴를 주장한 이박사 216

3. 미국의 극동방위권과 애치슨선언 223

제4장 대한민국 국군의 창설 231

육군 237

1. 경비대의 태동기 239

1. 사설군사단체의 난립 239

조선임시군사위원회 치안대총사령부 240

학병동맹 241

학병단 243

조선국군준비대 244

조선국군학교(중앙육군사관학교) 245

한국장교단군사주비회 246

대한무관학교 246

육군사관예비학교 246

광복군 및 동계단체 246

육해공군출신동지회 247

2. 미군정청의 국방기구설치 248

3. 군사영어학교의 설치 249

4. 조선경비대 창설 기본계획 252

5. 사설군사단체의 해체 253

2. 남조선 국방경비대의 창설 255

1. 경비대 창설에 따르는 문제점 255

통일정부 수립시의 남북한 군대의 위치 255

경찰예비대의 시비 256

군사경력자의 기용과 신원보장문제 257

2. 경비대의 창설 258

경비대설치령 258

제1연대의 발족 259

간부의 임명 260

3. 경비대사령부의 발전개황 260

4. 각 연대의 창설(제1연대~제9연대) 268

제1연대 268

부평지구경비 271

김포비행장 및 인천항만경비 272

연대의 완전편성 272

제2연대 274

제3연대 278

제4연대 281

제5연대 283

제6연대 286

제7연대 290

제8연대 291

제9연대 293

3. 통위부에서 국방부로 296

1. 국방기구의 변천 296

2. 통위부에서 국방부로 297

3. 미군정 및 미국의 대 한국군 정책 306

4. 여단(사단)의 창설과 증편 310

5. 연대의 증설(제10연대~제25연대, 기갑연대) 315

각연대의 창설상황 316

6. 통위부 직할부대의 창설 323

7. 특수부대의 창설 325

4. 경비대에서 육군으로 328

1. 육군의 탄생 328

각 여단 사단으로 승격 331

육군 각 병과의 제정 331

구 군인의 등용 331

2. 한·미군사안전 잠정협정 332

3. 국방부 직제의 제정 334

4. 병역법 및 기타 제법 336

국방경비법의 제정 337

5. 예비단과 민병창설 345

호국군 345

청년방위대 347

5. 교육 훈련 351

1. 육군사관학교(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조선경비사관학교) 351

육군사관학교의 연혁 352

사관후보생 교육 훈련 개황 354

2. 각 교육기관의 설치 356

3. 부대훈련상황 361

주일 미군사단 실무교육단 명단 365

4. 제8연대의 특별교육과 야외연습 366

6. 인사 376

1. 국방사령부의 인사관리 376

2. 경비대시대~육군기 인사 378

3. 계급제정과 계급장 380

4. 복제 382

5. 훈장, 표식 및 휘장 383

6. 복무신조 (국군3대선서·병사훈·국군맹서·군인복무령) 384

7. 급여 및 후생 387

7. 군수 389

1. 병참관계 389

2. 병기관계 390

생산부문 390

각 공장생산실적 391

제3공장 391

감독공장 391

차량현황 392

병기·탄약 392

3. 공병·통신관계 394

8. 군내 주요사건 395

1. 제1연대 제1대대 소요사건 395

2. 제2연대장 부정, 불은사건 400

3. 제3연대장 배척사건 402

4. 제4연대 영암 군경충돌사건 404

5. 제8연대 제3대대장 구타사건 408

6. 제8연대 2개대대 월북사건(표무원 소령, 강태무 소령) 411

월북원인과 표·강의 사상적 배경 412

제1대대의 월북 415

제2대대 월북 415

양사건의 발견 416

사건조치 418

7. 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구타사건 419

8. 남북교역사건 420

참모총장과 사단장의 시비 422

9. 반란과 토벌과 숙군 433

1. 제주도폭동과 토벌작전 433

제주도폭동(4.3사건)의 군사적 배경 433

제9연대의 해체와 제11연대의 작전 436

박진경대령의 토벌작전 436

연대장 박진경대령의 피살 437

제11연대의 토벌작전경과 437

제9연대의 재편과 토벌작전 438

제2연대의 3단계 작전 440

2. 여·순반란사건 447

여수, 순천의 대유혈 447

여수점령 451

순천의 반란군 452

반란군 진압작전 454

광주 제4연대 454

전투사령부의 설치와 계엄령 선포 455

이승만 대통령의 경고문 457

순천탈환전 457

여수탈환전 462

보성방면진압 467

나주주둔의 중대반란 467

제15연대장 최남근중령의 말로 468

반군주력부대 추격전 470

백인기연대장의 자결 471

연대장 수색작전 472

반군의 구례기습 473

반도 김지회 홍순석의 사살 475

김지회 반도 추격행정좌담 479

전제14연대장 오동기소령에 대한 시비 480

오동기소령의 군법회의 481

오동기소령의 배경 482

제14연대장으로서의 오소령 482

북괴남침후의 오동기소령 483

3. 대구반란사건 (제6연대) 485

제1차 반란사건(1948. 11. 2) 486

제2차 반란사건 (1948. 12. 6) 488

제3차 반란사건 (1949. 1. 30) 489

4. 대숙군 490

숙군 대두 491

숙군선풍의 화 492

5. 북괴인민유격대의 남침과 그 토벌 494

유격대의 남침(제1차~10차) 494

북괴 유격대 토벌작전 496

김달삼사살 501

10. 38선경비와 충돌사건 502

1. 옹진지구 503

제1차 침공 503

① 옹진지구전투사령부의 설치 504

② 작산방면의 전세 504

③ 제13연대 제2대대의 작산전투 505

④ 38유격대의 전투 507

은파산점령과 전선정비 508

제2차 침공 511

제3차 침공(은파산전투) 514

2. 개성지구 516

송악산지구 5.4전투 516

육탄10용사에 대한 후문 518

백천침공 521

송악산지구 7.25 전투 522

3. 의정부지구 525

사직리전투 525

4. 춘천지구 526

신남지구침공 526

5. 강릉지구 531

기토문리포격사건 531

양양돌입사건 532

6. 종합전과(1946. 1. 1~1949. 12. 31) 534

7. 육군의 병력, 장비(1950. 6. 현재) 535

해군 541

1. 해사대시대 543

1. 해사대 결성 543

2. 해사대와 난민수송 545

2. 해방병단시대 546

1. 해방병단 탄생 546

2. 해방병단의 확충 548

3. 해안경비대시대 552

1. 해안경비대 창설 552

2. 기구의 확장 556

3. 편대훈련과 특무정대 설치 558

4. 제주도폭동사건과 출동 559

5. 함정월북과 정부수립직전의 전력 560

4. 해안경비대에서 해군으로 563

1. 해군으로의 개칭과 여·순반란사건 563

2. 기구의 강화 565

3. 좌익음모와 숙군 567

4. 몽금포 기습작전 568

5. 인사, 교육 및 군수 569

1. 창설초의 인사 및 교육상황 569

2. 해안경비대의 교육훈련 571

3. 해군의 교육기관 572

해군사관학교 572

사관후보생 특별교육상 573

사병교육대 573

4. 해방병단시대의 재정경리 574

5. 예산과 군수문제 575

6. 해군의 전력과 장비 577

1. 건군과 함정도입 577

2. 병기행정과 장비확충 578

3. 6. 25직전의 해군력 579

공군 583

1. 공군창설 585

1. 항공인의 단합 585

2. 항공인의 동태와 주요인물 586

3. 창설간부의 임관 587

4. 항공부대의 창설 589

편성과 병력충원 589

항공기지부대와 105인시대 590

5. 연락계 보유와 육군항공군사령부의 발족 591

제1차 연락기(L-4) 도입 591

육군항공군사령부의 발족과 기구개편 592

제2차 연락기(L-5) 도입 592

6. 공군의 독립 594

공군 독립의 주장 594

공군 독립의 실현 596

기구·병력의 증편 597

기지확장 597

2. 항공기 구입 599

1. 항공기 원조요청의 좌절 599

대미군사원조 요청 599

센노트장군 초청과 막후교섭 600

2. 항공기 헌납운동과 건국기 601

3. 비행부대의 작전 604

1. 여·순반란군 진압작전 604

2. 제주도 토벌작전 605

3. 태백산지구 및 옹진지구작전 605

4. 인사. 교육훈련. 정비. 기상. 의무 605

1. 인사 605

병력충원 605

사병충원 606

여자항공병 606

헌병 607

정비요원 607

장교충원 608

보임 609

인사근무 610

2. 교육훈련 611

기본군사훈련 611

기술교육 613

비행훈련 614

정규사관 교육 616

3. 정비 618

4. 통신 620

5. 기상 620

6. 의무 621

5. 공군의 전력과 장비 621

부대 변천 및 지휘관 이동 624

해병대 631

1. 해병대 창설 633

1. 창설의 동기 633

2. 편성 과정 635

2. 인사. 교육. 훈련. 군수 638

3. 진주지구 공비토벌 작전 642

1. 진주에 부대파견 642

2. 진주주둔과 정신단련 644

3. 공비의 내습과 해병대의 활약 645

4. 제주도지구 공비토벌작전 650

1. 임무와 부상배치 650

2. 정신훈련과 민심수급 652

3. 공비토벌 654

4. 토벌작전(1950. 2~6) 656

제5장 북괴군의 창군과 남침준비 665

1. 북한괴뢰군의 창군 667

1. 해방직후의 무장세력 667

치안대와 적위대 667

북조선 철도보안대 669

2. 북괴군의 간부양성기관 671

평양학원 671

북조선중앙보안간부학교 673

보안간부훈련대대부의 창설 676

인민집단군의 창설 678

3. 괴뢰 인민군의 창군 680

4. 동북의용군의 입북과 사단의 증강 685

5. 전차부대의 창설 687

6. 해군창설경과 690

7. 북괴공군 창설경과 693

8. 보안대의 발전개요 699

38선 경비대 699

조만국경경비대 700

철도경비대 700

2. 북괴군의 전략적 남침준비 701

1. 소련군사절단의 북한파견 701

2. 북괴의 소련, 중공간의 제 비밀협정 705

조·소 경제문화협정과 군사원조협약 705

조·중 상호방위협정 707

중·소 비밀협정 707

할빈(합이빈) 협정 708

모스크바조약 708

중·소 동맹 708

국제극동공산군의 창설 710

3. 남침직전의 공산권의 동향 710

소련의 움직임 710

극동담당외교관의 소환 711

일본공산당의 동향 712

중공군의 대만침공 태세 714

4. 남침직전의 북괴군 716

3. 북괴의 평화공세 718

1. 조국통일전선의 결성 718

2. 세계평화옹호대회를 가장한 평화공세 719

3. 목단봉극장의 무력남침회의 720

4. 남침을 앞둔 평화연막공세 722

5. 북한괴뢰 38선에 전투전개 724

제6장 6.25전야의 한국의 군사정세 739

1. 북괴군 침공을 경고한 정보 741

1949년도 연말종합 정보보고서 741

국제연합 제5차 총회에 제출된 국제연합 한국위원단 보고서 745

2. 한국을 포기한 미국의 책임 748

맥아더 사령부의 비밀정보보고 749

이대통령의 요청내용 752

3. 인사이동과 정일권준장의 소환 753

4. 5·6월의 제반경계 755

5월 1일 메데이(May Day) 경계 755

5. 30총선거에 대비한 경계 755

북괴의 평화공세에 대한 경계 756

5. 6. 25전야의 38선징후와 아군의 무방비상태 756

괴뢰군의 예상주공방향에 대한 미비 756

장비의 후송 757

38선의 이상을 경시 757

6. UN 감시단의 내한과 38선 시찰 760

7. 북괴의 평화공세에 대한 대한민국의 반응 761

연표 : 한국전쟁사 제1권 767

범례 795

한국전쟁사 제1권 편찬담당자 796

판권기 797

정오표

[표제지 등]

서문

발간사

범례

목차

제1장 한국전쟁의 배경과 피아의 정세 820

1. 한국전쟁도발의 배경 822

1. 북한괴뢰의 침략동기 및 배경 822

2. 북한괴뢰의 침략을 경시한 한국의 국방시책 826

3. 극동에서의 미·소 양진영 군사력비교 830

4. 한국 대 북괴의 국력비교 831

한국군 보병사위 편성표 834

북괴군 보병사단 편성표 834

한국군 주요지휘관 835

한국군 주요지휘관편성 836

북한괴뢰군 주요간부 837

북한괴뢰군 주요간부편성 837

2. 북한괴뢰군의 진공계획 841

1. 침략시기(6월 25일) 결정의 이유 841

2. 진공계획 842

3. 기동연습을 가장한 북괴군의 전투전개 845

4. 적반하장의 남침 책임전가 847

3. 한국군의 방어계획 851

1. 육군의 38선경비를 위한 배치 851

2. 육군본부의 방어계획 851

정보국에서 판단한 적의 주공방향 852

3. 각 사단의 방어계획 853

옹진반도의 제17연대의 철수계획 853

개성방면의 제1사단 853

의정부방면의 제7사단 854

춘천방면의 제6사단 854

주문진, 강릉방면의 제8사단 855

방어세부계획 855

제2장 북한괴뢰군 38선에서 전면침공 866

1. 한국군 수뇌부의 무사주의 868

1. 북한괴뢰군의 남침정보를 묵살 868

2. 육군본부 정보국과 전쟁일보전의 주말외출 869

3. 6월 25일 미명의 38선 871

4. 작전지도의 무력 873

2. UN한국위원단의 북괴 남침보고 876

1. UN 한국위원단의 활동상황 876

2. UN 한국위원단의 긴급조치 876

UN한국위원단이 UN사무총장에게 보낸 긴급서한 877

UN한국위원단이 UN사무총장에게 제출한 보고서 877

UN한국위원단이 UN사무총장에게 보낸 긴급전보 879

3. 옹진반도 전투 882

1. 전투개요 882

2. 해주돌입의 오보경위 889

4. 개성, 문산, 봉일천방면 전투 890

1. 개성지구 전투(6월 25일 상황) 890

2. 문산지구 전투(6월 26일 상황) 902

3. 봉일천지구 전투(6월 27일 상황) 907

4. 행주도하 작전(6월 28일 상황) 911

5. 의정부, 포천, 동두천방면 전투 918

1. 적의 주공방향 918

2. 포천지구 전투 919

제3연대의 증원 922

3. 동두천지구 전투 923

4. 의정부지구 전투 925

26일 의정부방면 상황 928

5. 육사생도대대의 출동 937

6. 창동선의 저지작전 940

6. 춘천, 홍천방면 전투 946

1. 춘천지구 전투 946

춘천에서의 격전 948

2. 홍천지구 전투 959

3. 제6사단 충주로 철수 964

7. 동해안방면 전투 965

1. 남침전의 적 유격활동과 작전기도 965

2. 강릉지구 전투 969

수·륙 양면에서의 적 기습공격 972

주저항선의 붕괴와 강릉포기 981

3. 제8사단의 철수작전 985

대관영에서 제천으로 철수 989

8. 한미 해·공군의 초기작전 993

1. 한국해군의 긴급조치 993

2. 미 해군에 대한 출동명령 1001

3. 적기의 내습 1005

4. 한국공군의 초기작전 1008

제3장 수도서울의 함락 1012

1. 수도서울의 위기 1014

긴장된 서울의 일요일 1014

주한미대사의 긴급조치 1015

불안과 공포속의 서울시민 1016

2. 국무회의와 군수뇌부회의 1019

졸렬한 작전지도 1019

군사경력자의 긴급회의 1020

비상국무회의 1020

국방수뇌의 연석회의 1021

3. 군부의 서울철수 1026

육군본부참모 및 재경부대장회의 1026

육군본부의 철수와 재복귀 1026

4. 미아리방어선의 붕괴 1029

미아리방면의 상황 1029

적 전차의 시내돌입 1031

전차파괴조의 활동 1033

청량리방면의 상황 1035

보도과장 김현수 대령의 전사 1037

5. 한강교의 조기폭파 1039

한강교 폭파직전의 정황 1039

한강교 폭파와 혼란 1041

공병감 최창식 대령의 군법회의 1045

6. 서울침략과 아군의 상황 1048

적 선견대 서울에 침입 1048

안병범 대령의 자결 1050

송호성 준장의 전향 1052

7. 함정에 빠진 서울시민 1054

8. UN 안전보장이사회의 긴급결의 1057

UN안전보장이사회 긴급결의 1950. 6. 25 1059

UN안전보장이사회 긴급결의 1950. 6. 27 1063

제4장 한강저지선의 지연작전과 미군의 참전 1066

1. 한강저지선의 형성 1068

1. 김홍일 소장의 작전지휘 1068

시흥지구작전사령부의 설치 1068

북한괴뢰군의 제2단계작전기도 1069

2. 한강선의 방어편성 1070

김포방면 전투 1070

오류동 전투 1073

한강선의 전투 1074

3. 북한괴뢰군의 한강도하[원문불량;p.282] 1077

4. 맥아더 장군의 전선시찰 1081

5. 과천지구 전투 1085

6. 시흥, 안양, 수원지구 전투 1086

2. 한국공군과 UN공군의 참전 1089

1. 한국공군의 전시편성과 활동 1089

전시편성하의 수원과 대전에의 부대이동 1089

공군본부 1090

비행단 1090

김포주둔 각부대 1091

전쟁초기의 정찰전 1092

2. UN공군의 참전 1094

6. 25당시의 미 극동공군 1094

주한 미국인의 철수엄호 1098

첫 공중전의 개가 1101

본격적인 UN공군의 참전 1102

미 극동공군의 초기이동과 항공기의 보충 1106

3. 한·미해군의 활약 1110

1. 평양강습 1110

2. 전쟁초기의 동해안포격 1113

3. 대전의 해군전투사령부 1120

4. JML 305정의 침몰 1121

5. 서해안 봉쇄작전 1123

6. 미 해군의 활약 1127

4. 육군총참모장의 경질과 미 지상군의 참전 1130

1. 미 극동군사령부 전방지휘소(GHQ ADCOM) 설치 1130

적진으로 오인된 수원 1130

쳐치 장군 일행의 한국도착 1131

미 전방지휘소(ADCOM)의 활동 1132

애드컴(ADCOM) 대전으로 철수 1133

2. 육군총참모장의 경질 1134

육·해·공군 총사령관에 정일권 소장 취임 1134

육군본부 대전으로 이동 1135

3. 미 제24사단의 긴급출동 1136

트루만 미 대통령의 결정 1136

미 제24사단 1137

최초의 미 지상군부대 투입 1137

4. 맥아더 원사의 정세판단 1141

제5장 미 지상군의 초전과 한국군의 지연전 1152

1. 스미스특수임무부대의 초전 1154

스미스특수임무부대 오산으로 전진 1154

한국군 제17연대의 증원 1155

대전차전 1156

보병전투 1158

2. 제1군단의 발족과 전선정리 1163

1. 전선정리 1163

2. 평택, 안광지구 전투 1167

미 제34연대의 전투전개 1167

바 드 장군의 지휘 1168

방어전 1169

3. 천안, 조치원지구 전투 1170

북한괴뢰군의 제3단계 작전기원 1170

천안전투 1174

전의전투 1178

조치원전투 1182

3. 진천, 청주방면 전투 1188

1. 적의 기도와 수도사단의 병력배치 1188

2. 진천 탈환작전과 문안산 전투 1190

3. 청주전투 1197

보은에서의 재편성과 전선의 재조정 1204

문의전투 1204

4. 음성, 충주방면 전투 1206

1. 음성으로 철수한 제6사단 1206

2. 무극리전투 1208

3. 제1사단의 음성방어 1211

괴산으로 철수한 제6사단 및 제1사단 1212

4. 충주지구 전투 1213

5. 괴산, 보은방면 전투 1217

1. 적의 병력과 장비 1217

2. 괴산방어전 1218

3. 제13연대의 기산전투 1219

4. 516고지 반격전 1227

6. 제천, 단양, 영주방면 전투 1229

1. 제천으로 철수한 제8사단 1229

전장군기 1230

충주로 이동명령 1230

2. 단양지구 전투 1234

매포리 기습공격 1234

적의 단양돌입 1236

청풍방면 상황 1239

3. 죽영지구 전투 1240

4. 춘양의 제25연대 제1대대 단독작전 1242

소천면에 출현한 적 1244

재산면 현동전투 1244

춘양에서의 적 잔멸 1247

5. 풍기, 영주지구 지연전 1249

풍기에서의 개가 1252

예천의 제21연대 혼성대대 1253

지휘관의 즉결처분 1255

제6장 UN군 창설과 한·미양군 지원작전 1258

1. UN군과 한국군의 지휘권 이양 1260

UN군창설 1260

7월 말일까지 참전한 UN제국 1261

미 제8군사령부 대구에 설치 1261

한국군 작전지휘권의 위임 1262

2. 한국공군의 재정비와 정찰비행 1264

1. 대구 및 진해로 이동 1264

2. F-51 전투기인수와 비행단작전 1269

3. 정찰비행대의 작전 1272

3. 미 공군의 한국이동과 작전 1274

1. 2개 비행단의 한국이동과 기지확장 1274

미 제5공군 2개 비행대대 한국으로 이동 1276

2. 항공작전 지휘계통의 확립 1277

3. 후방차단 작전 1281

전투기의 차단작전 1283

4. 근접지원 작전 1284

전술통제기구의 설치 1284

5. 미 공군의 전략폭격 1287

4. 한국해군의 활동 1291

1. 군산지구 경비 1291

2. 목포지구 경비 1292

제7장 금강 방어선의 붕괴 1296

1. 금강 방어선의 붕괴 1298

1. 딘 소장의 대전방어 계획 1298

대전의 전략적 중요성 1298

딘 소장의 상황판단 1298

2. 공주방면 전투 1299

적 제4사단의 금강도하 1303

미 제63야전포병대대의 피습 1306

3. 대평리방면의 미 제19연대 전투 1308

미 제21연대 후방경계 1309

적의 금강도하 1309

제19연대의 후방차단 1313

도로대진 지점의 돌파 1314

제19연대의 패전 1315

2. 대전방어전 1317

1. 적의 작전계획과 딘 소장 1317

2. 대전시 외곽전투 1322

3. 대전비행장 전투 1324

대전방어전 1327

4. 딘 소장의 실종 1332

3. 영동, 김천방면 방어전 1334

1. 미 제1기병사단과 영동전투 1334

미 제1기병사단의 이동 1334

전투개요 1335

2. 황간지구 전투 1337

3. 김천지구 방어전 1342

4. 상주방면 지연전 1344

1. 미 제25사단 한국으로 이동 1344

2. 상주지구 전투 1344

제8장 서남부방면 지연전 1356

1. 서해안지구전투사령부 작전 1358

2. 장항, 군산, 이리방면 전투 1364

1. 해병대의 출동 1364

2. 장항지구 전투 1368

3. 군산지구 전투 1369

4. 이리지구 전투 1372

5. 제7사단과 해병대의 지연작전 1376

3. 함양, 거창방면 전투 1378

1. 남원, 운봉, 안의지구 전투 1378

2. 거창지구 전투 1387

4. 묘산방면 전투 1389

1. 제17연대의 권빈리 전투 1389

2. 현풍십이리 전투 1393

5. 하동, 진주방면 전투 1404

1. 하동지구 전투 1404

화개장 전투 1404

미 제29연대의 증원 1405

한·미양군 하동으로 전진 1407

기습당한 미 제29연대 1410

2. 진주지구 전투 1413

6. 한·미해군의 작전 1420

1. 여수철수와 서남해의 봉쇄작전 1420

함정별 철수상황 1420

서남해의 봉쇄작전 1421

2. 부산교두보와 근접항공지원 1428

제9장 한국군의 재편성과 후퇴하는 전선 1436

1. 한국군의 재편성과 전세 1438

1. 사단의 개편과 군단사령부의 창설 1438

2. 천연적인 방어선 소백산맥 1439

3. 적 병참선의 신장과 전황 1442

2. 안동방면 전투 1446

1. 안동지구 지연전 1446

2. 안동철수 작전 1448

수부사단의 엄호상황 1452

안동인도교 및 철교의 폭파 1453

제8사단 수색중대의 비극 1454

3. 안동철수작전의 실패원인 1455

4. 사단장의 경질 1457

수도사단장 김석원 준장 1457

제8사단장 이성가 대령 1459

3. 화령장 전관 1461

1. 제17연대의 동비령전투 1461

금곡리전투 1461

갈영전투(동비령) 1469

2. 제1사단의 화령장 전투 1475

4. 문경, 함창방면 전투 1480

1. 이화령 전투 1480

2. 제 6사단 영강선으로 철수 1485

3. 옥녀봉 전투 1486

4. 영강방어 전투 1490

5. 울진, 영덕방면 전투 1496

1. 피아의 일반상황 1496

제3사단의 부대전개 1496

2. 울진, 평해지구 전투 1497

초기작전에서의 실패원인 1502

3. 영덕, 강구지구 전투 1502

전차파괴조의 활동 1508

4. 제3사단 장사동으로 철수 1509

오십천교의 조기폭파 1510

육본직할 독립제2대대의 작전 1511

6. 청송, 보현산방면 전투 1513

1. 기갑연대 전투 1513

청송의 지리적위치 1513

기갑연대의 전투개요 1513

청송전투 1514

2. 강원도경찰대의 전투 1519

3. 제18연대의 구수동철수 1521

4. 보현산지구 전투 1525

경북경찰대의 소탕전 1528

제1201건설공병단의 전투 1529

7. 한·미해군의 작전 1533

1. 구암산 전투 1533

2. 포항 육전대의 방어전 1536

3. 영덕, 포항지구 전투 1537

4. UN 해군의 원산정유공장 폭격 1544

5. 미 제1기병사단의 포항상륙 1547

제10장 낙동강 방어선으로 철수 1554

1. 한·미연합군전선의 개황 1556

1. 북한괴뢰군 제4단계 작전기도 1556

2. UN군의 증수 1559

3. 적 승리의 기회를 상실 1560

4. 해소되지 않은 UN군전선의 위기 1562

5. 워커 중장의 현 전선사수 결의 1563

2. 낙동강 방어선으로 철수 1566

1. 낙동강서남부의 미군철수 1566

2. 부산교두보와 전투편성 1569

3. 한국군과 미군의 손실비교 1576

한국전에 투입된 미 병력상황 (1950. 8, 4 현재) 1579

한국전쟁사 제2권 연표 1582

참고문헌 1598

면담자 명단 1600

한국전쟁사 제2권 편찬담당자 1606

판권기 1607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111445 951.74 ㄱ427ㅎ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111446 951.74 ㄱ427ㅎ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121994 951.74 ㄱ427ㅎ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121995 951.74 ㄱ427ㅎ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120573 951.74 ㄱ427ㅎ v.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