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統一獨逸의 舊東獨體制不法淸算 槪觀 / 法務部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法務部, 1995
청구기호
통일 320.158 ㅂ413ㅌ
자료실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형태사항
ⅹⅹⅹⅹⅹⅷ, 1095 p. ; 23 cm
제어번호
MONO1199601415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정오표=0,1,1

[표제지 등]=0,2,2

발간사/법무부장관 안우만=0,4,2

서문/법무부 법무실장 김수장=0,6,3

주요목차 및 집필자=0,9,1

목차=i,10,52

약어표=xxxxxiii,62,6

제1편 총설=1,68,2

제1장 서설=3,70,1

Ⅰ. 개설=3,70,1

1. 과거청산의 의의=3,70,1

가. 과거청산의 개념=3,70,3

나. 과거청산의 조건=5,72,1

다. 과거청산의 유형=5,72,2

2. 통일독일의 구동독 과거청산=6,73,4

Ⅱ. 연구목적=9,76,3

Ⅲ. 본서의 체계=11,78,5

제2장 구동독의 체제와 특성=16,83,1

Ⅰ. 개설=16,83,1

Ⅱ. 구동독의 체제=17,84,1

1. 독일사회주의통일당=17,84,1

가. 서언=17,84,2

나. 조직=18,85,2

다. 중앙위원회와 정치국=19,86,1

(1) 중앙위원회=19,86,2

(2) 정치국=20,87,2

2. 위성정당 및 대중조직=21,88,1

가. 위성정당=21,88,2

나. 대중조직=22,89,2

다. 인민전선=23,90,2

3. 국가=24,91,1

가. 국가와 독일사회주의통일당의 관계=24,91,2

나. 중앙국가기관=25,92,1

(1) 인민의회=25,92,2

(2) 국가평의회와 각료회의=27,94,2

(3) 국방위원회=28,95,2

다. 행정구조=29,96,1

4. 국방 및 치안기관=29,96,1

가. 서언=29,96,2

나. 국가공안부=30,97,1

(1) 창설=30,97,1

(2) 조직 및 인원=30,97,4

(3) 활동=33,100,2

다. 인민경찰=34,101,2

라. 무장조직=35,102,2

마. 국경수비대=36,103,2

5. 사법제도=37,104,1

가. 서언=37,104,2

나. 법원=38,105,1

다. 검찰=38,105,2

Ⅲ. 구동독체제의 특징=39,106,1

1. 개관=39,106,2

2. 독일사회주의통일당의 절대우위=40,107,2

3. 정치적 반대의 차단=41,108,2

4. 형식적 사회주의적 법치주의=42,109,2

5. 국가공안부를 통한 독재=43,110,1

6. 기본적 인권의 제한=43,110,2

제3장 구동독 체제불법의 태양=45,112,1

Ⅰ. 체제불법의 개념=45,112,2

Ⅱ. 구동독 체제불법의 특징=46,113,2

Ⅲ. 구동독 체제불법의 유형별 태양=47,114,1

1. 침해법익별 불법태양=47,114,1

가. 생명 침해=47,114,2

나. 신체와 건강에 대한 침해=49,116,1

다. 인간의 존엄성 및 자유에 대한 침해=49,116,2

라. 소유권 및 재산에 대한 침해=50,117,2

마. 직업에 대한 침해=51,118,1

2. 범죄유형별 불법태양=52,119,1

Ⅳ. 구동독 체제불법의 시기별 변화과정=53,120,1

1. 소련점령군 치하=53,120,2

2. 탈스탈린화 시대=55,122,2

3. 베를린장벽 건설 이후=56,123,2

4. 프라하의 봄 이후=57,124,2

5. 구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이후=58,125,3

제2편 불법청산의 기초=61,128,2

제1장 서설=63,130,8

제2장 불법청산의 배경과 성격=71,138,1

Ⅰ. 배경=71,138,1

1. 개관=71,138,1

2. 정치적 배경=72,139,1

가. 동독주민들의 요구=72,139,4

나. 내적통일의 완성=75,142,4

3. 역사적 배경=78,145,3

4. 법리적 배경=80,147,3

Ⅱ. 성격=82,149,1

1. 구조적 성격=82,149,5

2. 나치청산과의 비교=86,153,2

가. 차이점=88,155,4

나. 유사성=91,158,2

제3장 불법청산의 기준=93,160,1

Ⅰ. 개설=93,160,2

Ⅱ. 인간의 존엄성과 법치국가원리=94,161,1

1. 개관=94,161,2

2. 기준적용의 당위성=95,162,2

가. 정치적 이유=96,163,2

나. 헌법적 이유=97,164,3

다. '승자의 재판(Siegerjustiz)' 이라는 오해 불식=99,166,2

3. 법치국가원리의 구체적 내용=100,167,1

가. 동독 민주화혁명의 목표로서의 법치국가=100,167,4

나. 자유민주적 법치국가의 내용=103,170,3

Ⅲ. 사회국가원리=106,173,2

Ⅳ. 청산기준 적용상의 한계=108,175,1

1. 개관=108,175,2

2. 규범적 측면=109,176,2

가. 소급효금지원칙이 적용되는 단계=110,177,2

나. 위법성의 도출시점=111,178,1

다. 체제범죄의 개념=111,178,4

라. 체제범죄의 위법성의 도출=114,181,2

(1) 법치국가적 원칙의 무시=115,182,4

(2) 실질적 법치국가원칙의 존중=118,185,5

3. 사실적 측면=123,190,2

제4장 불법청산의 제도적 기초=125,192,2

Ⅰ. 기본제도=126,193,1

1. 법원과 검찰=126,193,1

가. 구서독의 법원ㆍ검찰조직=126,193,1

(1) 구서독의 법원조직=126,193,4

(2) 구서독의 검찰조직=129,196,6

나. 신연방주의 법원ㆍ검찰의 재건=134,201,2

(1) 경과기간에 대한 규율=135,202,2

(2) 새로운 법원ㆍ검찰조직의 구축=137,204,11

2. 헌법재판소=147,214,1

가. 기존의 헌법재판소=147,214,3

나. 신연방주의 헌법재판소=149,216,1

3. 기타 수사ㆍ정보기관=150,217,1

가. 헌법수호청(Bundesamt, Landesamt fur(이미지참조) Verfassungsschutz;Bfv, LfV)=150,217,1

나. 연방정보부(Bundesnachrichtendienst;BND)=151,218,1

다. 연방범죄청(Bundeskriminalamt;BKA)=152,219,2

라. 군방첩대(Militarische(이미지참조) Abschirmdienst;MAD)=153,220,1

마. 주의 경찰=154,221,1

Ⅱ. 특별기구=155,222,1

1. 중앙법무기록보존소(Zentrale Erfassungsstelle)=155,222,1

가. 서언=155,222,2

나. 설립=156,223,3

다. 조직과 인원=158,225,2

라. 임무=159,226,4

마. 업무추진방법=162,229,3

(1) 연방국경수비대 초소보고의 이용=164,231,1

(2) 신문기자 등 언론인의 이용=164,231,1

(3) 피해자나 증인의 개인적 진술=165,232,1

(4) 주 또는 연방기관에의 조회와 동기관으로부터의 통보=165,232,2

(5) 기센(GieBen(이미지참조))중앙긴급수용소 자료의 이용=166,233,2

(6) 탈출군인=167,234,1

바. 업적=167,234,2

2. 구동독 독일사회주의통일당 독재체제 잔재청산위원회=168,235,1

가. 설치배경 및 경위=168,235,4

나. 설립취지=171,238,2

다. 조사분야 및 임무=172,239,3

라. 조직과 구성=174,241,2

마. 활동방법=175,242,4

바. 보고서와 성과=178,245,2

3. 국가공안부문서관리청=179,246,1

가. 설치경위=179,246,1

(1) 통일 전=179,246,3

(2) 통일 후=181,248,2

나. 조직=182,249,2

다. 임무=183,250,1

(1) 국가공안부자료의 열람ㆍ공개ㆍ사본교부=183,250,1

(2) 피해자 복권 및 보상의 지원=183,250,2

(3) 공공기관 종사자 및 종사희망자들에 대한 인적 심사=184,251,1

(4) 국가공안부의 조직, 수법과 활동방법의 조사ㆍ연구=184,251,2

(5) 구동독 체제범죄 형사소추의 지원=185,252,1

(6) 국가공안부 문서의 보존ㆍ정리ㆍ보고=186,253,1

라. 임무수행과 사생활 보호=186,253,2

마. 실적=187,254,1

4. 정권범죄 특별수사본부(Arbeitsgruppe der Regierungskriminalitat(이미지참조))=188,255,1

가. 서언=188,255,1

나. 설치=188,255,1

(1) 베를린주 최고검찰청 산하 정권범죄 특별수사본부(Arbeitsgruppe Regierungskriminalitat(이미지참조) bei der Staatsanwaltschaft bei dem Kammergericht Berlin)=188,255,3

(2) 베를린 제2지방검찰청으로서의 정권범죄 특별수사본부=190,257,1

다. 조직=191,258,1

라. 수사상황=191,258,3

마. 문제점 및 운영전망=193,260,1

바. 신연방주의 중점수사부=193,260,3

5. 정권ㆍ통일범죄 중앙수사본부(Zentrale Ermittlungsstelle Regierungs-und Vereinigungskriminalitat(이미지참조);ZERV)=195,262,1

가. 서언=195,262,1

나. 설치=196,263,2

다. 조직=197,264,1

라. 임무=197,264,3

마. 국가공안부문서관리청과의 업무협조=199,266,1

6. 피해자구제 관련기관=199,266,3

제5장 불법청산의 법률적 기초=202,269,1

Ⅰ. 통일조약(Einigungsvertrag)=202,269,1

1. 법통합의 일반원칙=202,269,3

2. 형사법통합의 기본방향=204,271,1

3. 통일조약상 형사법통합=205,272,1

가. 형법과 형법시행법=205,272,1

(1) 연방형법의 확장적용=205,272,2

(2) 경과규정=206,273,3

(3) 그 밖의 형법과 형법시행법 관련경과조치=208,275,3

나. 형사소송법=210,277,1

(1) 구동독 파기절차의 수정ㆍ존속=210,277,2

(2) 구동독 형사판결의 집행에 있어서의 합법치국가성=211,278,1

(3) 사법공조관련 동독판결의 집행불허판정의 효력=211,278,1

(4) 연방중앙등록법상 특칙규정=212,279,1

(5) 구동독 형사절차의 인수 등=212,279,1

(6) 벌금형의 집행과 환형유치=212,279,2

(7) 재심절차=213,280,1

Ⅱ. 복권법=214,281,3

Ⅲ. 구동독 국가공안부 문서에 관한 법률=216,283,8

Ⅳ. 제1차 독일사회주의통일당 불법청산법=223,290,4

Ⅴ. 제2차 독일사회주의통일당 불법청산법=226,293,2

1. 행정복권법=227,294,3

2. 직업복권법=229,296,4

Ⅵ. 공소시효연장에 관한 법률=232,299,5

제3편 정치적 가해자 처벌=237,304,2

제1장 형사법 이론상의 문제점=239,306,1

Ⅰ. 개설=239,306,1

1. 개관=239,306,2

2. 이론적 문제의 유형=240,307,1

3. 접근방법=241,308,1

4. 용어정의=241,308,1

가. 정권범죄=241,308,3

나. 구범죄=243,310,2

Ⅱ. 형사재판고권=244,311,1

1. 개관=244,311,1

가. 문제의 소재=244,311,1

나. 구동독의 법적 지위=244,311,2

다. 검토의 방향=245,312,1

2. 구동독 연방가입의 과정=246,313,1

가. 대외적 측면=246,313,1

나. 대내적 측면=246,313,2

3. 통일조약의 법적 성격=247,314,1

4. 구동독 연방가입의 효과=248,315,1

가. 구동독 지역의 연방화=248,315,1

나. 구동독의 소멸=249,316,1

다. 연방독일 영토의 확장=249,316,1

라. 기본법 적용영역의 확장=250,317,1

(1) 기본법 적용영역의 개념=250,317,1

(2) 기본법상 규율=250,317,1

(3) 영토고권원칙(Prinzip der Gebietshoheit)=250,317,1

5. 형사재판고권의 근거=251,318,1

가. 국가법적 관점=251,318,1

(1) 특수한 법적 상황=251,318,1

(2) 형사재판고권의 이전 또는 통합=251,318,2

나. 국제법적 관점=252,319,1

(1) 국가면책원칙과 국제형사법원의 부존재=252,319,2

(2) 구동독의 국가면책원칙 포기=253,320,1

Ⅲ. 준거법=254,321,1

1. 개관=254,321,1

가. 서언=254,321,2

나. 준거법 관련법=256,323,1

(1) 연방형법=256,323,3

(2) 통일조약=258,325,1

(3) 형법시행법률=259,326,2

다. 통일 이전의 법적 상황=261,328,1

(1) 국내형법적용규정(Interlokales Strafrecht)의 적용=261,328,1

(가) 배경=261,328,1

(나) 국내형법적용규정 개관=261,328,3

(다) 구동서독 관계에서의 적용=263,330,2

(2) 보호영역설(Schutzbereichtheorie)=264,331,2

(3) 기능적 내국개념(Funktionaler Inlandsbegriff)=265,332,2

라. 통일조약에 의한 법적 상황=267,334,1

(1) 통일 이후의 범죄에 대한 준거법=267,334,1

(가) 연방형법의 확장적용=267,334,1

(나) 일부 구동독 형법의 계속 적용=267,334,2

(2) 구범죄에 대한 준거법=268,335,1

(가) 원칙=268,335,1

(나) 예외=268,335,3

2. 준거법의 결정=270,337,1

가. 서언=270,337,1

(1) 문제의 소재=270,337,3

(2) 학설의 구분=272,339,3

나. 국제형법적용규정 적용설(Die International-strafrechtliche Losung(이미지참조))=274,341,1

(1) 연방형법 제7조 제1항, 제2항 제1호 전단 적용설=274,341,1

(가) 내용 및 근거=274,341,4

(나) 비판=277,344,2

(2) 연방형법 제7조 제2항 제1호 후단 적용설=278,345,1

(가) 내용 및 근거=278,345,3

(나) 비판=280,347,2

다. 내국이론(Inlandtheorie)=281,348,1

(1) 내용 및 근거=281,348,3

(2) 비판=283,350,3

라. 형법시행법 제315조, 연방형법 제2조 직접 적용설=285,352,1

(1) 내용 및 근거=285,352,3

(2) 비판=288,355,1

마. 판례의 태도=288,355,1

(1) 종전의 연방헌법재판소 및 연방대법원의 입장=288,355,2

(2) 최근 연방대법원의 입장=289,356,2

(3) 최근 연방헌법재판소의 입장=290,357,3

3. 관련문제=292,359,1

가. 서언=292,359,2

나. 이중처벌금지원칙(Doppelbestrafungsverbot) 관련=293,360,3

다. 이주자(Ubersiedler(이미지참조))=295,362,3

라. 제3국에서의 범죄=297,364,2

Ⅳ. 구성요건=299,366,1

1. 개관=299,366,1

가. 구성요건의 개념=299,366,2

나. 법익(Rechtsgut)=300,367,1

다. 문제의 소재=301,368,1

2. 구성요건 대칭성(Tatbestandsymetrie)의 원칙=301,368,1

가. 개념=301,368,2

나. 기능=302,369,2

다. 요건=303,370,1

(1) 대응구성요건 존재시=303,370,2

(2) 대응구성요건 부존재시=304,371,1

라. 효과=304,371,2

마. 예외인정 여부=305,372,1

3. 국가적 법익ㆍ사회적 법익 침해범죄의 문제점=305,372,1

가. 서언=305,372,2

나. 법적 상황=306,373,2

다. 연방형법의 적용 여부=308,375,1

(1) 국가적 법익 침해범죄=308,375,2

(2) 사회적 법익 및 일부 국가적 법익 침해범죄=309,376,6

Ⅴ. 위법성=314,381,1

1. 개관=314,381,1

가. 위법성의 개념=314,381,2

나. 위법성조각사유=315,382,1

다. 문제의 소재=315,382,3

2. 구동독법상 위법성조각사유 인정 여부=317,384,1

가. 무제한 인정설=317,384,1

(1) 내용=317,384,1

(2) 근거=317,384,2

(3) 비판=318,385,3

나. 제한적 인정설=320,387,2

3. 구동독법상 위법성조각사유 인정의 한계=321,388,1

가. 구동독 고유의 내재적 한계=321,388,1

(1) 내용=321,388,2

(2) 근거=322,389,1

(3) 심사기준=322,389,2

(4) 비판=323,390,1

나. 기본법상의 공서양속에 의한 한계=324,391,1

(1) 내용=324,391,1

(2) 근거=324,391,2

(3) 심사기준=325,392,1

(4) 비판=326,393,1

다. 국제법규범에 의한 한계=327,394,1

(1) 내용=327,394,1

(2) 근거=327,394,2

(3) 심사기준=328,395,2

(4) 비판=329,396,2

라. 초실정법 내지 자연법 원칙에 의한 한계=330,397,1

(1) 내용=330,397,1

(2) 근거=330,397,2

(3) 심사기준=331,398,2

(4) 비판=332,399,1

바. 판례의 태도=333,400,1

(1) 구동독 고유의 내재적 한계=333,400,1

(2) 기본법상의 공서양속의 한계=333,400,2

(3) 국제법규범에 의한 한계=334,401,2

(4) 초실정법 내지 자연법 원칙에 의한 한계=335,402,2

4. 소급효금지원칙과의 관계=336,403,1

가. 문제의 소재=336,403,1

나. 소급효금지원칙 위반설=336,403,2

다. 소급효금지원칙 부합설=337,404,2

Ⅵ. 책임=338,405,1

1. 개관=338,405,1

가. 책임의 개념=338,405,2

나. 문제의 소재=339,406,1

다. 구범죄와 금지착오의 유형=339,406,1

(1) 전형적 금지착오=340,407,1

(2) 특별한 금지착오=340,407,1

2. 금지착오=341,408,1

가. 개념=341,408,2

나. 회피가능성의 판단기준=342,409,1

(1) 양심의 긴장=342,409,1

(2) 양심의 긴장의 범위=342,409,2

3. 명령에 의한 행위=344,411,1

가. 관련법령=344,411,1

(1) 구동독 형법=344,411,1

(2) 연방사병법 및 연방군형법=344,411,2

나. 적용법률=345,412,2

다. 명백성의 인정기준=346,413,1

4. 관련문제=347,414,1

가. 확신범(Uberzeugungstater(이미지참조))=347,414,1

나. 과잉행위(ExzeBtat(이미지참조))=347,414,1

Ⅶ. 범죄가담형태=348,415,1

1. 개관=348,415,1

2. 실행행위자=348,415,1

가. 법률규정=348,415,2

나. 문제의 소재=349,416,1

다. 종범설=349,416,1

(1) 내용=349,416,1

(2) 슈타쉰스키판결(Staschinskij Urteil)=350,417,1

(3) 항케 판결(Hanke Fall)=350,417,2

(4) 비판=351,418,2

라. 정범설=352,419,1

마. 판례의 태도=353,420,1

3. 배후자 및 명령자=353,420,1

가. 법률규정=353,420,2

나. 문제의 소재=354,421,1

다. 간접정범설=354,421,1

(1) 내용=354,421,2

(2) 비판=355,422,2

라. 공동정범설=356,423,1

(1) 내용=356,423,1

(2) 비판=356,423,2

마. 교사범설=357,424,1

(1) 내용=357,424,2

(2) 비판=358,425,1

바. 판례의 태도=358,425,2

4. 중간자=360,427,1

가. 서언=360,427,1

나.「상향」가담=360,427,1

다.「하향」가담=361,428,1

(1) 교사범설=361,428,1

(2) 종범설=361,428,2

Ⅷ(Ⅶ). 공소시효=362,429,1

1. 개관=362,429,2

2. 공소시효법(Verjahrungsgesetz(이미지참조))=363,430,1

가. 법적 성격=363,430,2

나. 통일 이전의 공소시효규정=364,431,1

(1) 시기별 적용=365,432,1

(2) 양독 형법상 공소시효규정의 비교=365,432,2

다. 통일조약상 및 이후 공소시효규정의 변화=366,433,1

(1) 제12차 개정 형법시행법 제315조의 a=366,433,2

(2) 제15차 개정 형법시행법 제315조의 a=367,434,1

(3) 제16차 개정 형법시행법 제315조의 a=367,434,2

(4) 제2차 공소시효기간 산정에 관한 법률=368,435,2

라. 공소시효규정 개정논의의 전개과정=369,436,1

(1) 1991년 제63차 주법무부장관회의=369,436,2

(2) 제1차 공소시효법 초안=370,437,2

(3) 제2차 공소시효법 초안=371,438,1

(가) 경위=371,438,2

(나) 사민당 초안=372,439,2

(다) 연방상원 초안=373,440,1

(라) 90동맹 및 녹색당 연합 초안=374,441,1

(마) 연방하원 정당합동 초안=374,441,2

(바) 연방하원 최종초안=375,442,2

3. 사안유형별 공소시효규정의 적용=377,444,1

가. 사안의 유형=377,444,1

나. 양독형법상 공소시효가 미완성인 경우=377,444,1

(1) 연방형법의 배타적 우선적용=377,444,2

(2) 공소시효의 연장효과=378,445,1

(3) 공소시효중단 규정의 적용=378,445,1

다. 구동독 형법상의 공소시효만 완성된 경우=378,445,1

(1) 형사소추가능설=378,445,2

(2) 형사소추불가능설=379,446,1

라. 연방형법상의 공소시효만 완성된 경우=379,446,1

(1) 형법시행법 제315조의 a 제1항 제1문, 제2문의 적용=379,446,2

(2) 입법취지=380,447,2

(3) 형법시행법 제315조의 a 제1항 제2문 추가의 의미=381,448,2

마. 양독 형법상 공소시효가 모두 완성된 경우=382,449,2

4. 공소시효의 중단=383,450,1

가. 법률상 중단사유=383,450,1

나. 소급효금지원칙과의 관계=383,450,2

다. 적용범위=384,451,1

(1) 표제기준설=384,451,2

(2) 내용기준설=385,452,2

5. 공소시효의 정지=386,453,1

가. 서언=386,453,1

(1) 문제의 소재=386,453,2

(2) 공소시효 정지규정=387,454,1

(가) 통일 이전=387,454,1

(나) 통일 이후=387,454,2

나. 공소시효 정지론의 기초=388,455,1

다. 연방형법에 의하여서만 가벌적이었던 범죄=389,456,1

(1) 정지설=389,456,1

(가) 내용 및 근거=389,456,1

(나) 비판=389,456,2

(2) 비정지설=390,457,1

(가) 내용 및 근거=390,457,1

(나) 비판=391,458,1

라. 구동독 형법에 의하여서만 가벌적이었던 범죄=391,458,1

(1) 정지설=391,458,1

(가) 내용 및 근거=391,458,1

(나) 비판=391,458,1

(2) 비정지설=392,459,1

(가) 내용 및 근거=392,459,1

(나) 비판=392,459,1

마. 양독 형법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가벌적이었던 범죄=392,459,1

(1) 쟁점=392,459,3

(2) 형벌청구권의 경합 및 회복 여부=394,461,1

(가) 형벌청구권 경합 부정설=394,461,2

(나) 형법시행법 제315조 제4항에 의한 회복금지설=396,463,1

(다) 소급효금지원칙에 의한 회복금지설=397,464,2

(라) 회복가능설=398,465,2

(3) 공소시효정지 여부=399,466,3

바. 공소시효정지 준거법=401,468,1

(1) 구동독 공소시효규정 적용원칙=401,468,2

(2) 구체적 적용=402,469,1

(가) 구동독 형법 제83조 제1호=402,469,1

(나) 구동독 형법 제83조 제2호=402,469,2

사. 공소시효 정지기간의 산정=403,470,1

(1) 기산시점=403,470,1

(2) 종료시점=403,470,1

6. 공소시효의 배제=403,470,2

제2장 호네커 재판=405,472,1

Ⅰ. 개설=405,472,1

1. 개관=405,472,1

2. 법정에 선 국가=406,473,1

3. 호네커재판의 의미=406,473,2

Ⅱ. 공판관련사항=407,474,1

1. 피고인=407,474,3

2. 피해자=409,476,1

가. 피해자 개요=409,476,2

나. 기소대상=410,477,4

3. 재판부=413,480,2

4. 검찰=414,481,2

5. 변호인=415,482,1

가. 호네커의 변호인단=415,482,3

나. 기타 변호인들=417,484,2

6. 베를린주 헌법재판소=418,485,1

가. 연혁 및 구성=418,485,2

나. 주헌법재판소의 관할 및 기능=419,486,2

다. 호네커재판과 베를린주 헌법재판소=420,487,2

Ⅲ. 공소사실 및 피고인 주장요지=421,488,1

1. 공소사실=421,488,1

가. 사실관계=421,488,2

나. 법적 평가=422,489,2

2. 호네커의 진술요지=423,490,1

가. 공판에 대한 입장=423,490,2

나. 공소와 재판의 부당성=424,491,3

다. 베를린장벽 설치의 배경=426,493,4

라. 정치적 결정에 대한 사법심사의 배제=430,497,2

마. 동독의 역사, 사회주의에 대한 입장=431,498,2

Ⅳ. 공판진행상황=432,499,1

1. 개관=432,499,1

가. 호네커의 독일탈출 및 송환=432,499,2

나. 공판준비상황=433,500,3

2. 공판진행상황=435,502,1

가. 제1회 공판=435,502,2

나. 제2회 공판=436,503,2

다. 제3회 공판=437,504,2

라. 제4회 공판=438,505,2

마. 제5회 공판=439,506,1

바. 제6회 공판=439,506,2

사. 제7회 공판=440,507,1

아. 제8회 공판=440,507,2

자. 제9회 공판=441,508,2

차. 제10회 공판=442,509,2

카. 제11회 공판=443,510,2

타. 제12회 공판=444,511,2

파. 베를린 주최고법원의 항고기각=445,512,2

하. 헌법소원 제출=446,513,1

거. 제13회 공판=446,513,1

너. 제14회 공판=446,513,2

더. 제15회 공판=447,514,2

3. 베를린주 헌법재판소의 결정=448,515,1

가. 결정내용=448,515,2

나. 결정에 대한 비판=449,516,2

다. 심사권한에 관한 주헌법재판소의 입장=451,518,1

(1) 기본법으로부터의 권한 부여=451,518,2

(2) 베를린주 헌법 자체로부터의 권한 부여=452,519,2

4. 베를린주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의 경과=453,520,1

가. 공판중지 및 구속취소결정=453,520,1

나. 호네커의 석방=453,520,2

다. 호테커재판의 종결=454,521,3

Ⅴ. 법적 문제=456,523,1

1. 국가행위이론=456,523,1

가. 서언=456,523,2

나. 국가행위 인정설=457,524,1

다. 국가행위 부정설=457,524,2

라. 국제형법적 측면=458,525,1

(1) 국제법 직접적용에 의한 형사책임=458,525,3

(2) 고권행위에 대한 국가기관의 형사책임=460,527,2

2. 면책특권=462,529,1

가. 서언=462,529,1

나. 연방법원조직법의 규정=462,529,2

다. 호네커에 대한 적용 여부=463,530,2

라. 소급효금지원칙과의 관계=465,532,1

(1) 비적용설=465,532,1

(2) 적용설=465,532,2

마. 국제관습법과 면책특권=466,533,1

(1) 면책특권의 포기=466,533,1

(2) 면책특권의 사후박탈=467,534,2

3. 범죄가담형태=468,535,2

Ⅵ. 여론=470,537,2

제3장 구동독 정권고위층 관련범죄=472,539,1

Ⅰ. 개설=472,539,2

Ⅱ. 국방위원=473,540,1

1. 개관=473,540,2

2. 국경살해사건과 관련한 형사처벌=474,541,1

가. 서언=474,541,2

나. 사건의 요지=475,542,5

다. 법률문제=479,546,1

(1) 구성요건 해당성=479,546,2

(2) 위법성 및 책임성=481,548,2

(3) 범죄가담형태=482,549,6

(4) 죄수=487,554,3

라. 판결결과=489,556,2

마. 헌법소원 제기=490,557,1

Ⅲ. 정치국원=490,557,1

1. 개관=490,557,3

2. 국경살해사건과 관련한 형사처벌=492,559,1

가. 공소사실 요지=492,559,2

나. 가벌성 문제=493,560,3

다. 재판의 경과=495,562,2

라. 전망=496,563,2

3. 기타의 범죄행위=497,564,1

가. 선거부정=497,564,1

나. 배임행위=497,564,2

다. 기타 문제점=498,565,2

제4장 국경수비대 총격사건=500,567,1

Ⅰ. 통일 전 동서독간의 인적 교류=500,567,1

1. 개관=500,567,2

2. 베를린장벽 설치 이전=501,568,4

3. 베를린장벽 설치 이후=504,571,6

4. 베를린장벽의 붕괴=509,576,4

Ⅱ. 구동독 탈주자에 대한 총격살해 관련판결=512,579,1

1. 개설=512,579,2

2. 총격살해자에 대한 통일 전 서독의 입장=513,580,3

3. 국경수비대 관련판결=515,582,1

가. 서언=515,582,4

나. 제1차 동독 국경수비대사건(Gueffroy 사건) 베를린지방법원 판결=518,585,1

(1) 재판 관련사항=518,585,1

(2) 주문=519,586,1

(3) 사건개요=519,586,2

(4) 판결이유=521,588,1

(가) 법률적 평가=521,588,2

(나) 피고인 하인리히=522,589,16

(다) 피고인 슈미트=537,604,2

다. 제2차 동독 국경수비대사건(Schmidt 사건) 베를린지방법원 판결=538,605,1

(1) 재판 관련사항=538,605,2

(2) 주문=539,606,1

(3) 사건개요=539,606,2

(4) 판결이유요지=540,607,2

라. 제2차 동독 국경수비대사건 독일연방대법원 판결=541,608,1

(1) 재판 관련사항=541,608,2

(2) 주문=542,609,1

(3) 판결이유=542,609,1

(가) 사건개요 및 원심의 판결이유요지=542,609,4

(나) 국가행위이론에 대한 판단=545,612,3

(다) 법률적 판단=547,614,1

① 법률적 평가=547,614,4

② 위법성에 대한 판단=550,617,24

③ 정범성(Taterschaft(이미지참조))에 대한 판단=574,641,3

④ 금지착오에 대한 판단=576,643,4

⑤ 양형에 대한 판단=580,647,1

마. 제3차 동독 국경수비대사건(Sievert 사건) 베를린지방법원 판결=580,647,1

(1) 재판 관련사항=580,647,1

(2) 주문=580,647,1

(3) 사건개요=581,648,2

(4) 판결이유=582,649,2

Ⅲ. 형사처벌 가부에 관한 논쟁=584,651,1

1. 형사처벌 가능론과 형사처벌 불가론=584,651,1

가. 형사처벌 가능론=584,651,4

나. 형사처벌 불가론=587,654,3

2. 주요쟁점=589,656,1

가. 동독 형법 제213조 및 국경법 제27조의 규정내용=589,656,3

나. 위법성조각사유에 관한 논쟁=591,658,1

(1) 동독법상의 위법성조각사유=591,658,3

(2) 동독 형법 제95조 및「시민적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제12조=593,660,5

(3) 상위법규범 및 일반적 법원칙=597,664,4

(4) 연방대법원 판례의 입장=600,667,2

다. 정범성과 금지착오 등=601,668,3

제5장 사법종사자 법률왜곡=604,671,1

Ⅰ. 개설=604,671,1

1. 개관=604,671,3

2. 법률왜곡의 유형=606,673,5

3. 법률왜곡의 처벌현황=611,678,2

Ⅱ. 형벌적용법률=612,679,1

1. 형법시행법 제315조 제1항=612,679,2

2. 구동독 형법 제244조=613,680,1

가. 불법의 연속성(Unrechtskontinuitat(이미지참조))=613,680,2

나. 경한 법률=615,682,3

다. 부가적 가벌성(Zusatzliche(이미지참조) Strafbarkeit)=617,684,2

Ⅲ. 사법의 독립성=618,685,2

Ⅳ. 법률왜곡의 적용범위=619,686,1

1. 행위의 주체=619,686,2

2. 행위의 태양(Tathandlung)=620,687,5

3. 행위의 주관적 측면(Die Subjektive Tatseite)=624,691,2

4. 경합범죄=625,692,2

Ⅴ. 발트하임 재판(Waldheimer ProzeB(이미지참조)) 사건=627,694,1

1. 발트하임 재판의 개요=627,694,1

가. 배경=627,694,2

나. 재판의 준비 및 진행=628,695,5

다. 판결의 내용=632,699,2

2. 오토 위르겐(Otto Jurgen(이미지참조)) 사건=633,700,1

가. 사안 개요=633,700,1

(1) 하인츠 R(Heinz R) 사건=633,700,2

(2) 콘라드 R(Konrad R) 사건=634,701,2

(3) 헤르만 D(Hermann D) 사건=635,702,1

(4) 칼 R(Karl R) 사건=635,702,2

(5) E 사건=636,703,1

(6) 쿠르트 G(Kurt G) 사건=636,703,2

(7) 리하르트 H(Richard H) 사건=637,704,1

나. 판결의 내용=637,704,4

Ⅵ. 구동독 판사의 법률왜곡=640,707,1

1. 케스틴 T(Kestin T), 클라우스 R(Klaus R) 판사사건=640,707,1

가. 사안개요=640,707,2

나. 판결의 내용=641,708,1

2. E 판사사건=641,708,2

가. 사안 개요=642,709,1

나. 슈베린지방법원의 제1심 판결내용=643,710,2

다. 연방대법원의 판결내용=644,711,8

Ⅶ. 구동독 검사의 법률왜곡=651,718,1

1. 사안 개요=652,719,3

2. 판결의 내용=654,721,5

제6장 국가공안부관련 범죄=659,726,1

Ⅰ. 개설=659,726,1

1. 국가공안부 범죄의 유형=659,726,2

2. 국가공안부 범죄의 처벌현황=661,728,1

가. 간첩사건=661,728,3

나. 반법치국가적 범죄=663,730,2

Ⅱ. 간첩사건=664,731,1

1. 문제제기=664,731,3

2. 사건개관=666,733,1

가. 하리 쉬트(Harry Schuett) 사건=666,733,2

나. 마르쿠스 볼프(Markus Wolf) 사건=667,734,1

다. 베르너 그로스만(Werner GroBmann(이미지참조)) 사건=667,734,2

3. 형사소추의 근거=668,735,1

가. 연방형법=668,735,2

나. 형법시행법 제315조 제4항=669,736,3

다. 공범철벌규정=671,738,1

4. 형사소추의 장애요인=671,738,1

가. 범죄입증상의 난점=671,738,2

나. 위헌논의 제기=673,740,1

(1) 처벌가능론=673,740,4

(2) 처벌불가론=677,744,1

(가) 국제법상 일반원칙을 원용하는 입장=677,744,6

(나) 내국이론=682,749,3

(다) 평등원칙위반설=685,752,4

(라) 소급효금지위반설=688,755,4

(마) 신뢰보호위반설=691,758,3

다. 공소시효 완성에 의한 난점=693,760,3

5. 사면논의의 제기=695,762,2

6. 연방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697,764,1

가. 결정의 내용=697,764,4

나. 소수의견=700,767,2

다. 여론의 반응=701,768,3

Ⅲ. 불법 전화도청 사건=704,771,1

1. 제1차 전화도청사건 판결=704,771,1

가. 사안 개요=704,771,2

나. 판결의 내용=705,772,3

2. 제2차 전화도청사건 판결=707,774,1

가. 사안 개요=707,774,3

나. 판결의 내용=709,776,3

Ⅳ. 불법 우편물검열 사건=711,778,2

1. 사안개요=712,779,2

2. 판결의 내용=713,780,7

제7장 선거부정=720,787,1

Ⅰ. 개설=720,787,2

Ⅱ. 가벌성 여부 관련문제=721,788,1

1. 준거법=721,788,3

2. 구성요건해당성=723,790,2

3. 소급효금지원칙 위반 여부=724,791,2

Ⅲ. 드레스덴지구 선거부정사건=725,792,2

1. 사안 개요=726,793,3

2. 드레스덴지구법원의 판결내용=728,795,1

가. 준거법 결정=728,795,3

나. 경한 법의 결정=730,797,1

다. 구성요건 비교 및 불법의 연속성 여부=730,797,1

(1) 범죄주체=730,797,1

(2) 범죄객체=731,798,1

(3) 고의 및 행위태양=731,798,2

라. 범죄가담형태=732,799,2

마. 위법성조각 여부=734,801,1

제8장 상사조정단관련 경제범죄=735,802,1

Ⅰ. 개설=735,802,2

Ⅱ. 상사조정단=737,804,1

1. 설립경위 및 임무=737,804,1

2. 조직 및 활동=738,805,4

Ⅲ. 상사조정단관련 경제범죄=741,808,1

1. 개관=741,808,1

2. 금수품거래=742,809,1

3. 무기거래=742,809,2

4. 미술품반출=743,810,2

5. 외환의 부정사용=744,811,1

6. 정치범 석방거래관련 배임행위=744,811,3

Ⅳ. 상사조정단 관련재판=747,814,1

1. 포겔사건=747,814,1

가. 사건의 내용=747,814,2

나. 재판의 경과=749,816,4

2. 샬크 골롯코프스키사건=752,819,2

3. 리조프스키사건=753,820,2

네9장 사면논의=755,822,1

Ⅰ. 사면의 의의=755,822,2

Ⅱ. 통일 이전 동독에서의 사면에 관한 관심=756,823,2

Ⅲ. 국가반역 및 대외안전위해사범에 대한 형벌면제에 관한 법률초안=757,824,5

Ⅳ. 최근의 사면논의=761,828,2

1. 사면찬성론=762,829,3

2. 사면반대론=764,831,5

Ⅴ. 전망=768,835,5

제4편 정치적 피해자 구제=773,840,2

제1장 서설=775,842,1

Ⅰ. 개설=775,842,1

Ⅱ. 형법적 불법청산의 한계=776,843,1

Ⅲ. 피해자 구제의 필요성과 한계=776,843,2

Ⅳ. 피해자 구제조치=777,844,1

1. 통일조약=777,844,1

2. 복권법=777,844,2

Ⅴ. 복권법의 기본원칙=778,845,1

1. 법치국가의 기본원칙에 대한 현저한 침해=778,845,1

가. 법치국가원칙=778,845,1

(1) 각 복권법상의 규정=778,845,1

(2) 법치국가의 의의=778,845,2

(3) 법치국가의 내용=779,846,2

나. 현저한 침해의 원칙=780,847,1

2. 공공부조로서의 일부보상=780,847,1

3. 이중절차=781,848,1

Ⅵ. 복권법 상호간의 관계=781,848,1

Ⅶ. 불법행위 수인의 법적 근거=781,848,2

제2장 형사복권법=783,850,1

Ⅰ. 형사복권의 개념=783,850,1

Ⅱ. 형사복권의 연혁=783,850,1

1. 1989년 구동독 평화혁명시까지의 조치=783,850,2

2. 평화혁명 이후 통일조약 발효일까지의 조치=784,851,2

가. 파기규정의 개정=785,852,2

(1) 요건=787,854,1

(가) 대상=787,854,1

(나) 파기사유=787,854,2

(다) 신청=788,855,2

(2) 파기절차=789,856,1

(가) 관할법원=789,856,2

(나) 준비절차=790,857,1

(다) 재판=791,858,2

(3) 효과=792,859,1

나. 구복권법의 제정=792,859,2

(1) 복권의 적용범위=793,860,1

(가) 형사복권=793,860,3

(나) 치료감호시설 수용의 피해자에 대한 복권=795,862,1

(2) 복권절차=796,863,2

3. 통일조약 발효 이후 형사복권법 발효일까지의 조치=797,864,2

4. 형사복권법의 제정=798,865,3

Ⅲ. 형사복권의 요건=800,867,1

1. 형사복권의 대상이 되는 재판=800,867,1

가. 재판(Entscheidung)=800,867,1

나. 독일국가법원(Staatliches Deutsches Gericht)에 의한 형사재판=800,867,1

(1) 독일 법원=800,867,2

(2) 국가법원=801,868,1

(3) 형사 재판=801,868,2

다. 재판의 장소적 한계=802,869,1

2. 심사기준=802,869,1

가. 형사복권법의 규정=802,869,2

나. 포괄구성요건=803,870,1

(1) 포괄구성요건의 필요성=803,870,1

(2) 자유법치국가적 기본원칙의 의의=804,871,1

(3) 반법치국가적 재판의 정황=804,871,2

(4) 법치국가적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한 경우의 복권 여부=805,872,2

다. 구체적 복권요건=806,873,1

(1) 재판이 정치적 박해에 이용된 때=806,873,1

(가) 서=806,873,2

(나) 정치적 박해에 이용된 규정목록=807,874,6

(다) 규정목록의 추정력(Indizwirkung)과 그 중단=812,879,1

(2) 현저히 비례성을 잃은 재판=812,879,2

3. 특칙=813,880,1

가. 발트하임재판(Waldheimer ProzeB((이미지참조))=813,880,1

(1) 의의=813,880,1

(2) 발트하임재판의 반법치국가성=813,880,1

(3) 처리=813,880,2

나. 부분 무효=814,881,1

(1) 형사복권법의 규정=814,881,1

(2) 원칙=814,881,2

(3) 전부무효의 특칙=815,882,1

(가) 의의=815,882,1

(나) 중요성 판단 기준=815,882,3

다. 자유박탈을 내용으로 하는 형사절차 이외의 법원이나 행정당국의 결정=817,884,1

Ⅳ. 형사복권의 절차=818,885,1

1. 개관=818,885,1

가. 신청주의=818,885,1

나. 복권 절차의 구조=818,885,1

다. 일반 불복제도와의 관계=819,886,1

(1) 재심제도와의 관계=819,886,1

(2) 항소, 상고, 항고제도와의 관계=819,886,1

(3) 판결의 집행에 대한 이의제도와의 관계=819,886,1

라. 복권 이익=819,886,2

마. 복권신청 준비를 위한 자료수집 보장=820,887,2

2. 신청=821,888,1

가. 신청의 기간=821,888,2

나. 신청권자=822,889,1

(1) 직접 당사자나 그의 법정대리인=822,889,2

(2) 간접당사자=823,890,2

(3) 검사=824,891,2

다. 신청접수 법원=825,892,1

라. 신청서 기재내용=825,892,2

마. 신청의 대리=826,893,1

바. 재신청의 허용=827,894,1

(1) 문제의 소재=827,894,1

(2) 처리 원칙=827,894,1

(3) 특칙=827,894,1

(가) 원칙=827,894,2

(나) 구체적 사례검토=828,895,2

사. 신청의 철회=830,897,1

3. 복권법원=830,897,1

가. 관할=830,897,1

(1) 사물관할=830,897,1

(2) 토지 관할=830,897,2

(3) 관련재판적=831,898,2

나. 재판부의 구성=832,899,1

4. 심리 절차=832,899,1

가. 직권심리주의(Amtsermittlungsgrundsatz)=832,899,1

(1) 의의=832,899,2

(2) 한계=833,900,1

(3) 신청인의 협력의무=833,900,1

(4) 검사에의 수사의뢰=833,900,2

나. 증거조사절차=834,901,1

(1) 자유로운 증명(Freibeweis)의 원칙=834,901,1

(2) 강제조치=835,902,1

(3) 구동독 국가공안부 자료의 수집과 활용=835,902,1

(가) 구동독 국가공안부 문서의 활용 허부=835,902,1

(나) 수집 절차=835,902,2

(다) 활용상의 문제점=836,903,1

(4) 증명력=836,903,2

다. 서면심리의 원칙=837,904,1

(1) 의의=837,904,1

(2) 예외적 구두설명기일 지정=837,904,1

(3) 구두설명기일에의 출석 명령=837,904,2

라. 복권절차에서의 검사 및 신청권자의 진술권=838,905,1

마. 이해관계인의 참여권 보장=838,905,1

(1) 의의=838,905,1

(2) 이해관계있는 제3자=838,905,2

(3) 이해관계있는 제3자의 권리=839,906,1

바. 법원조직법(Gerichtsverfassungsgesetz)과 형사소송법의 준용=839,906,1

5. 복권재판=839,906,1

가. 재판형식=839,906,2

나. 결정에 적시하여야 하는 필요적 내용=840,907,1

(1) 결정의 모두에 적시하여야 하는 내용=840,907,1

(2) 결정의 주문에 적시하여야 하는 내용=840,907,1

(가) 복권심리의 대상이 된 재판 또는 조치의 표시=840,907,1

(나) 무효의 범위=840,907,2

(다) 불법 자유박탈(Freiheitsentziehung) 기간=841,908,1

(라) 복권심리의 대상이 된 판결에 따라 지출한 벌금중 보상될 총액=842,909,1

(마) 복권심리의 대상이 된 재판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출된 재판비용 및 필요적 경비의 보상에 대한 기본 결정=842,909,1

(바) 기타 주문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842,909,2

(3) 결정의 이유부분에 적시되어야 할 내용=843,910,1

(4) 불복 수단의 안내=843,910,1

6. 이의 절차=843,910,1

가. 항고(Beschwerde)=843,910,1

나. 항고기간=843,910,2

다. 항고권자와 항고의 대상=844,911,1

라. 항고할 수 없는 복권재판=844,911,3

마. 관할법원=846,913,1

바. 항고재판의 심판의 범위=846,913,1

사. 항고재판에 대한 불복=846,913,2

아. 항고법원의 이견제안의무(Divergenzvorlagepflicht)=847,914,1

(1) 의의=847,914,1

(2) 요건=847,914,1

(가) 법률문제에 관한 결정=847,914,1

(나) 연방대법원이나 다른 지구법원 또는 다른 고등법원에서 확정된 종국재판과 다른 결정=847,914,2

(3) 제안 절차=848,915,1

7. 복권재판의 확정력=848,915,2

8. 비용부담=849,916,1

Ⅳ. 복권의 효과=849,916,1

1. 개관=849,916,2

2. 추후청구권=850,917,1

가. 형의 집행종료=850,917,2

나. 전과말소=851,918,1

다. 납입된 벌금, 소송비용, 필요적 경비에 대한 보상=852,919,1

(1) 서=852,919,1

(2) 보상의 범위=852,919,1

(3) 구체적 보상대상=852,919,1

(가) 벌금형의 보상=852,919,2

(나) 재판 비용의 보상=853,920,1

(다) 당사자의 필요비(Notwendige Auslagen des Betroffenen)보상=853,920,1

(4) 보상청구권의 상속성=853,920,2

(5) 보상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비용=854,921,1

(가) 구금으로 인한 손실(Haftkosten)=854,921,1

(나) 보석보증금(Sicherheitsleistung)=854,921,1

(6) 보상청구권의 평가=854,921,2

(7) 관할=855,922,1

라. 몰수재산권의 반환=855,922,2

3. 사회적 조정급부 청구권=856,923,1

가. 서언=856,923,1

(1) 구복권법과의 비교=856,923,2

(2) 형사복권법 제3장 규정에 대한 비판=857,924,2

나. 신청=858,925,1

(1) 신청의 의의=858,925,1

(2) 신청권자=858,925,1

(가) 구복권법에 따라 복권된 자=858,925,1

(나) 통일조약 발효 이후 파기절차에 따라 보상청구권을 가진 자=858,925,2

(다) 구금자원호법 제10조 제4항에 따른 급부청구권증명서를 가진 자=859,926,1

(3) 신청권의 배제=859,926,1

(가) 법률규정=859,926,2

(나) 근거=860,927,1

(다) 배제 요건=860,927,3

(라) 불법행위자 유족의 권한배제=862,929,1

(마) 배제 범위=863,930,1

(바) 심사기관=863,930,1

(4) 신청절차=863,930,2

다. 보상청(Behorde, Entschadigungsamt)(이미지참조)=864,931,1

(1) 의의=864,931,1

(2) 보상청의 종류=865,932,1

(가) 서론=865,932,1

(나) 금전보상을 담당하는 보상청=865,932,2

라. 사회적 조정급부의 내용=867,934,1

(1) 금전보상(Kapitalentschadigung(이미지참조))=867,934,1

(가) 의의=867,934,1

(나) 금전보상 청구권의 내용=867,934,3

(다) 이중 급부의 배제=869,936,2

(라) 금전보상청구권의 상속과 양도=870,937,3

(마) 곤경구제규정(Harteregelung(이미지참조))=872,939,2

(바) 관할과 절차=873,940,1

(2) 원조급부(Unterstutzungsleistung(이미지참조))=873,940,1

(가) 의의=873,940,2

(나) 청구권자=874,941,1

(다) 원조급부의 내용=874,941,2

(라) 절차=875,942,1

(마) 유족에 대한 원조급부 청구권=875,942,2

(3) 피해자 원호(Beschadigtenversorgung(이미지참조))=876,943,1

(가) 의의=876,943,1

(나) 요건=876,943,4

(다) 피해자 원호의 내용=879,946,4

(라) 피해자 원호청구권의 확대=882,949,2

(마) 관할과 심리 절차=883,950,2

(4) 유족원호(Hinterbliebenenversorgung)=884,951,1

(가) 의의=884,951,1

(나) 청구권자=884,951,1

(다) 건강상의 손상으로 인한 사망=884,951,1

(라) 유족원호의 내용=885,952,2

(마) 반법치국가적 사형판결의 집행으로 인한 유족에 대한 보상=886,953,1

(바) 관할과 절차=887,954,1

(5) 수개의 건강장애의 경합=887,954,1

(6) 수개의 청구권의 경합=887,954,2

(7) 형사복권법에 의한 원호급부청구권과 법정재해보험법상의 청구권의 경합=888,955,1

(8) 원호급부액수에 있어서 동서독간의 조정=888,955,1

제3장 행정복권법=889,956,1

Ⅰ. 개설=889,956,1

1. 행정복권법의 제정=889,956,3

2. 체계적 구조=891,958,1

3. 형사복권법 및 직업복권법과의 관계=891,958,2

Ⅱ. 행정복권의 실질적 요건=892,959,1

1. 개관=892,959,2

2. 복권대상-독일관청의 행정결정=893,960,1

가. 공간적ㆍ시간적 적용범위=893,960,1

나. 독일행정의 고권적 조치=893,960,1

(1) 개념요소의 분석=893,960,2

(2) 독일의 관청 및 SED의 조치=895,962,2

(3) 고권적 조치=896,963,1

(가) 법적 집행처분력이 있는 행정처분=896,963,2

(나) 단순한 사실적 행정조치=897,964,2

(다) 강제이주=898,965,2

다. 구체적 한계문제=899,966,1

(1) 조세처분=899,966,1

(2) 재산법과의 한계=900,967,3

(3) 보상연금법상의 반법치국가적 조치=902,969,2

라. 취소배제ㆍ반법치국가성의 확인=903,970,1

(1) 법규정의 이론적 근거=903,970,2

(2) 구체적 검토=904,971,1

(가) 영업허가의 박탈=904,971,2

(나) 교육관계에 있어서의 취소의 배제=905,972,1

(다) 무장된 조직에 있어서의 취소의 배제=905,972,2

(라) 국가공안부의 미행 및 억압=906,973,1

3. 심사기준-인간의 존엄성과 법치국가원리=906,973,2

가. 정의의 원칙=907,974,1

나. 법적 안정성의 원칙=907,974,1

다. 비례성의 원칙=908,975,1

4. 보호법익의 침해=908,975,1

가. 복권대상 보호법익의 제한=908,975,2

나. 침해의 정도=909,976,2

5. 인과관계의 존재=910,977,2

Ⅲ. 행정복권의 절차=911,978,1

1. 개관=911,978,2

2. 복권신청=912,979,1

가. 신청권자=912,979,3

나. 신청기간=914,981,2

다. 신청접수기관과 협조의무=915,982,2

라. 신청방식과 신청서 기재사항=916,983,2

3. 복권관청=917,984,1

가. 복권관청의 설치=917,984,1

나. 사물관할=917,984,2

다. 토지관할=918,985,2

라. 원호급부사건의 특별규정=919,986,1

(1) 관할 관청=919,986,1

(2) 행정절차=919,986,2

4. 복권심사절차=920,987,1

가. 직권조사의 원칙=920,987,2

나. 자유심증의 원칙(Grundsatz der Freien Beweiswurdigung(이미지참조))=921,988,1

다. 당사자의 참여=921,988,1

라. 증인ㆍ감정인의 의무=921,988,1

(1) 서=921,988,1

(2) 증인과 감정인의 참여=922,989,1

마. 신청인의 입증책임의 완화=922,989,1

(1) 입증완화의 요건=922,989,2

(2) 선서에 갈음한 보증=923,990,1

바. 행정절차법의 보충적용=923,990,1

5. 복권결정=924,991,1

가. 결정의 범위=924,991,1

나. 보상절차상의 연계적 구속력=924,991,2

6. 불복절차=925,992,1

가. 이의절차=925,992,1

나. 행정소송의 심급제한=925,992,1

(1) 행정법원의 관할=925,992,2

(2) 사실심으로서의 항소의 제한=926,993,2

(3) 법률심 상고허용=927,994,1

7. 비용부담=928,995,1

가. 복권관청에 있어서의 행정절차=928,995,1

나. 이의절차시의 비용=928,995,1

다. 신청이 명백하게 이유없는 경우의 비용=928,995,1

Ⅳ. 행정복권의 효과=929,996,1

1. 개관=929,996,2

2. 행정행위의 효력=930,997,1

가. 통일조약 제19조의 의미=930,997,2

나. 일반규정상의 확정력(Bestandskraft)=931,998,1

(1) 서=931,998,2

(2) 구체적 검토=932,999,1

(가) 무효규정의 적용=932,999,2

(나) 일반규정에 의한 취소=933,1000,2

3. 추후청구권=934,1001,1

가. 개요=934,1001,1

(1) 성격=934,1001,2

(2) 재산법ㆍ투자우선법ㆍ보상법상의 반환ㆍ보상청구권=935,1002,2

(3) 연방원호법상의 피해자ㆍ유족원호청구권=936,1003,2

(4) 직업복권법상의 급부청구권=937,1004,1

(5) 방해배제청구권 등 기타 청구권의 배제=937,1004,1

(가) 다른 또는 그밖의 청구권의 배척=937,1004,2

(나) 군용익임대차계약(Kreispachtvertrage(이미지참조))=938,1005,2

나. 악의자에 대한 추후청구권의 제척=939,1006,1

(1) 제척조항의 근거=939,1006,2

(2) 개별적인 추후청구권의 제척사유=940,1007,5

다. 재산법ㆍ투자우선법ㆍ보상법상의 반환ㆍ보상청구권=945,1012,1

(1) 서=945,1012,1

(2) 행정복권법상의 반환=946,1013,1

(가) 행정복권법상 인정되는 재산가치=946,1013,1

(나) 재산의 몰수=946,1013,2

(다) 취소의 효과=947,1014,3

(라) 재산법 기준일의 조정(Anpassung)=950,1017,1

(마) 절차문제=950,1017,4

(3) 가치저하시의 소유권 포기=953,1020,1

(가) 서=953,1020,2

(나) 방해자의 책임=954,1021,2

(다) 절차문제=955,1022,2

라. 피해자원호=956,1023,1

(1) 피해자원호의 요건=956,1023,1

(가) 청구권한이 있는 자=956,1023,1

(나) 건강상의 훼손과 그 효과=957,1024,1

(다) 인과관계의 문제=957,1024,2

(라) 복권관청의 심사의 난점=958,1025,1

(마) 원호행정에 있어서의 신청=959,1026,1

(2) 피해자원호급부의 내용=959,1026,2

(3) 사고원호보호=960,1027,1

(가) 규정의 목적=960,1027,2

(나) 인적 보호범위=961,1028,1

(4) 사고보호의 확대=961,1028,2

(5) 보조기구에 대한 침해=962,1029,1

(6) 입증책임의 완화(추정원호)=962,1029,1

마. 유족원호=963,1030,1

(1) 서=963,1030,1

(2) 유족원호급부의 요건=963,1030,1

(3) 유족에 대한 급부내용=964,1031,1

(4) 보완성=964,1031,1

(5) 유족원호의 확대=964,1031,2

바. 직업ㆍ교육복권급부=965,1032,2

사. 청구권의 경합과 이중급부의 배제=966,1033,1

(1) 청구권의 경합=966,1033,1

(가) 서=966,1033,2

(나) 동일종류의 원호청구권의 경합=967,1034,1

(다) 상이한 연금청구권의 경합=967,1034,1

(라) 양친부양연금의 계산=967,1034,2

(2) 이중급부의 배제=968,1035,1

(가) 규정의 의미=968,1035,3

(나) 보상토지에 대한 취급=970,1037,1

Ⅴ. 재정부담=970,1037,1

1. 개관=970,1037,2

2. 개별적 검토=971,1038,1

가. 건강상 훼손을 이유로 한 비용=971,1038,2

나. 금전급부의 개념=972,1039,1

다. 연방위임행정으로서의 행정복권법의 집행=972,1039,1

제4장 직업복권법=973,1040,1

Ⅰ. 개설=973,1040,2

Ⅱ. 직업복권의 요건=974,1041,1

1. 정치적 박해행위의 존재-피박해자성=974,1041,2

가. 피박해자성의 시간적ㆍ공간적 적용범위=975,1042,1

나. 형사ㆍ행정복권의 요건충족=975,1042,3

다. 정치적 박해에 기여한 기타 조치=978,1045,1

(1) 입법취지=978,1045,1

(2) 정치적 박해=979,1046,2

2. 직업ㆍ교육상 손해발생=981,1048,1

가. 손해의 정도=981,1048,1

나. 직업상 불이익=981,1048,3

다. 교육상 불이익=983,1050,3

3. 인과관계와 입증=985,1052,2

4. 급부청구권의 배척사유=986,1053,1

가. 반법치국가적 악의자 제척=986,1053,2

나. 국가책임관련 청구의 배제=987,1054,2

Ⅲ. 직업복권의 절차=988,1055,1

1. 개관=988,1055,2

2. 복권신청=989,1056,1

가. 신청권자=989,1056,1

나. 신청기간=989,1056,1

다. 신청방식과 신청서 기재사항=990,1057,1

3. 관할관청=990,1057,1

가. 복권관청=990,1057,2

나. 관할의 종류와 경합=991,1058,1

4. 복권심사절차와 불복제도=991,1058,1

가. 복권심사절차=991,1058,2

나. 복권결정=993,1060,1

(1) 복권결정의 의의=993,1060,1

(2) 복권결정의 내용=993,1060,1

(가) 직업 및 직업관련 교육상의 복권사건=993,1060,2

(나) 피박해학생의 급부청구사건=994,1061,1

(3) 복권결정의 효력=994,1061,1

다. 불복제도=995,1062,1

5. 비용부담=995,1062,2

Ⅳ. 직업복권의 효과=996,1063,1

1. 개관=996,1063,1

2. 연금조정급부청구권=997,1064,1

가. 연금보험상 불이익 조정=997,1064,1

나. 산정기준-박해기간과 평균수입=997,1064,1

(1) 직업복권법 제2조의 박해기간=997,1064,2

(2) 연금보험상 산정기준=998,1065,1

(가) 사회복지법 제6편 소정의 기준=998,1065,4

(나) 가입지역(구동독) 규정상의 기준=1001,1068,2

(3) 공무원재직연한의 고려=1003,1070,1

다. 관할기관=1003,1070,1

라. 급부신청=1003,1070,2

3. 교육상의 복권급부청구권=1004,1071,1

가. 각종교육의 우선적 지원보장=1004,1071,1

(1) 보충교육과 전환교육시의 부양금지원=1004,1071,1

(2) 입학연령제한 배제=1005,1072,1

(3) 피박해학생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특례=1005,1072,2

나. 관할기관=1006,1073,1

다. 급부신청=1006,1073,1

4. 곤궁자 특별보호=1007,1074,1

가. 제도의 의의=1007,1074,1

나. 조정급부의 청구요건=1007,1074,2

다. 급부내용과 보호=1008,1075,2

5. 임시복권증서제도=1009,1076,2

Ⅴ. 재정분담=1010,1077,3

참고문헌=1013,1080,18

부록=1031,1098,2

(부록1) 제1차 독일사회주의통일당 불법청산법(형사복권법)=1033,1100,17

(부록2) 제2차 독일사회주의통일당 불법청산법(행정복권법ㆍ직업복권법)=1050,1117,27

색인=1077,1144,19

판권지=1096,1163,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661226 통일 320.158 ㅂ413ㅌ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0000661227 통일 320.158 ㅂ413ㅌ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