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5kW급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최종보고서 / 산업자원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산업자원부, 1999
청구기호
621.312429 ㅌ363ㅇ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ⅹⅹⅲ, 580 p. : 삽도, 도표, 사진 ; 27 cm
제어번호
MONO1199916446
주기사항
사업수행책임자: 김창수
이전저자 : 통상산업부
사업수행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이전표제: 5kW급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i,4,18

총목차=xix,22,2

서론=xxi,24,3

제1장 5kW급 고분자 스택 및 시스템 개발=1,27,2

목차=3,29,4

그림목차=7,33,9

표목차=16,42,1

제1절 서론=17,43,2

제2절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요소기술=19,45,2

1. 연료전지 스택=20,46,2

가. 전극=22,48,1

(1) 연료전지 전극의 전기화학 반응=22,48,1

(가) 반응열역학=22,48,4

(나) 전극전위=25,51,2

(다) 전극반응=26,52,3

(라) 전위 및 전류밀도 특성곡선=28,54,3

(마) 산소전극=30,56,2

(바) 전지성능저하=31,57,3

(2) 전극구조=33,59,1

(가) 전극지지체=33,59,3

(나) 전극촉매층=35,61,2

(3) 전극제조=36,62,2

(가) 공기극의 제조=37,63,4

(나) 연료극의 제조=40,66,10

(4) 전해질막/전극 접합체=49,75,1

(가) 전해질막의 전처리=49,75,2

(나) 전해질막/전극 접합체 제조공정=50,76,19

나. 고체고분자 전해질=68,94,1

(1) 연료전지 전해질의 조건=68,94,1

(2) 고체고분자 전해질의 특성=69,95,2

(3) 고분자 전해질막의 개발 현황=70,96,6

(4)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 분석=75,101,38

(5) 고분자 전해질막 개발 목표=112,138,3

다. 바이폴라판=114,140,5

2. 연료 개질기=118,144,1

가. 발전용 연료=118,144,1

나. 연료 개질=118,144,3

(1) 전처리 공정=120,146,1

(2) 수증기 개질 공정=120,146,1

(3) 후처리 공정=121,147,1

다. 메탄올 개질=121,147,5

3. 전력변환부=125,151,2

가. 전력 변환 기술=126,152,1

(1) DC-DC 컨버터=127,153,3

(2) DC-AC 인버터=129,155,4

4. 공기압축부=132,158,1

제3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운전 특성=133,159,1

1.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물조절=133,159,1

가. 물조절의 효과=133,159,9

나. 물의 역할=141,167,5

다. 물조절 방법=145,171,6

2.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용 가습기=151,177,1

가. 내부형 가습기=151,177,7

나. 외부 장착형 가습기=158,184,1

3. 연료전지 스택 운전인자=158,184,1

가. 공급 기체 유량의 영향=158,184,5

(1) 수소기체=162,188,1

(2) 산소기체=162,188,2

(3) 반응공기=163,189,1

나. 공급 기체 중단의 영향=164,190,2

다. Oxygen gain의 전기화학적 고찰=165,191,4

제4절 단위전지 및 스택 제작 및 운전=169,195,1

1. 소형 단위전지 운전=169,195,1

가. 실험방법=169,195,1

(1) 전해질막 전처리 공정=169,195,2

(2) 전해질막/전극접합체(MEA)제조=170,196,1

나. 단위전지 성능특성=170,196,2

다. 상용전극의 특성=171,197,7

2. 대면적 전극제조 방법=177,203,1

가. 코팅 및 롤링법에 의한 전극제조=177,203,2

나. 혼합법에 의한 전극제조=178,204,6

다. 탄소천을 이용한 전극 제조=183,209,5

3. 전해질막 전처리=187,213,3

4. 전해질막/전극 접합체(MEA)제조=189,215,1

가. 전형적인 MEA 제작법=189,215,1

나. 직접코팅에 의한 MEA 제조=189,215,5

5. 연료전지 유동장 설계=193,219,1

가. 개요=193,219,2

나. 유동장 해석 기본 방정식=194,220,4

다. 실험을 통한 압력분포 해석=197,223,7

라. 유동장과 압력분포 해석=204,230,9

6. 대면적 단위전지 제작가공=213,239,7

7. 단위전지 성능 시험=219,245,29

8. 스택 제작 및 운전=248,274,13

제5절 5kW 급 스택 및 시스템 제작운전=261,287,1

1. 5kW 급 스택의 제작=261,287,3

2. 5kW 급 개질기 및 운전 시스템 제작=263,289,5

3. 전자부하 및 자료측정 시스템 제작=268,294,5

4. DC/AC 전력변환 장치 제작=272,298,3

가. DC/DC 컨버터=274,300,1

(1) DC/DC 컨버터의 구성=275,301,3

(2) DC/DC 컨버터의 작동=277,303,11

(3) Resistor Block/Dummy Load=287,313,1

나. DC/AC 인버터=287,313,1

(1) DC/AC Inverter의 구성=287,313,3

5. 5kW 급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290,316,1

가. 5kW 스택의 운전전 고려사항=290,316,2

나. 5kW 스택의 발전 특성=291,317,8

제6절 결론=299,325,3

참고문헌=302,328,3

제2장 PEMFC용 불소계 프로톤 교환막 개발=305,331,2

목차=307,333,3

그림목차=310,336,4

표목차=314,340,1

제1절 서론=315,341,1

1. 프로톤 교환막의 개발 동향=315,341,5

2. 불소계 프로톤 교환막의 구조 및 특성=319,345,1

가. 불소계 프로톤 교환막의 구조=319,345,3

나. 불소계 프로톤 교환막의 성질=321,347,5

(1) 물 수착 특성=325,351,5

(2) 공중합체 용액=329,355,4

(3) 전도도=332,358,2

(4) 물의 전달=333,359,5

3. 사업의 목표 및 내용=337,363,1

가. 사업의 목표=337,363,1

나. 사업의 내용=338,364,1

제2절 본론=339,365,1

1. 소면적 막의 개발=339,365,1

가. 실험 방법=339,365,1

(1) 막의 제조=339,365,1

(가) 막소재 합성 및 필름 제조=339,365,1

(나) 가수분해=339,365,4

(다) 가수분해 과정에서의 치수 변화=342,368,1

(2) 당량 중량(EW) 측정=342,368,2

(3) 물 수착량 측정=343,369,1

(4) 전해질에서의 이온 전도도 측정=343,369,1

(가) 막의 전처리=343,369,2

(나) 이온 전도도의 측정=344,370,2

(5) 단위 연료 전지 성능 측정=345,371,1

(가) 막의 전처리 및 MEA 제작=345,371,3

(나) 단위 전지 구성 및 성능 측정=347,373,1

나. 결과 및 검토=347,373,1

(1) 막 소재의 물성=347,373,6

(2) 가수분해시 치수 변화=352,378,1

(가) 시간 효과=352,378,1

(나) 팽윤제 첨가 효과=352,378,2

(다) NaOH와 KOH의 비교=353,379,1

(3) 물 수착 특성=353,379,8

(4) 이온 전도도=361,387,2

(5) 단위 연료전지 성능=363,389,5

2. 대면적 막의 개발=368,394,1

가. 실험 방법=368,394,1

(1) 막 소재의 합성=368,394,1

(가) 장치의 대규모화(Scale Up)=368,394,1

(나) 중합=368,394,4

(다) 특성 조사=371,397,1

(2) 대면적 필름의 제조=371,397,1

(가) 압출, 적층 가공 라인의 구축=371,397,1

(나) 압출 가공 실험=371,397,1

(다) 적층 가공 실험=371,397,2

(라) 특성 조사=372,398,1

(3) 가수분해 실험=372,398,3

(4) 대면적 막의 특성 조사=375,401,1

(5) 단위 연료전지 적용 실험=375,401,1

(가) 자체 시험=375,401,1

(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시험=375,401,1

나. 결과 및 검토=375,401,1

(1) 막 소재의 특성=375,401,4

(2) 대면적 막의 물성=378,404,5

(가) 인장강도=382,408,5

(나) 인열강도=386,412,2

(3) 대면적 막의 이온 전도도=387,413,2

(4) 대면적 막의 전기생산 능력=388,414,1

(가) 자체 시험 결과=388,414,3

(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시험 결과=390,416,6

제3절 결론=396,422,2

참고문헌=398,424,3

제3장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용 고성능전극 개발=401,427,2

목차=403,429,2

그림목차=405,431,2

표목차=407,433,2

제1절 서론=409,435,4

1.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반응=413,439,1

2. 전극의 kinetic parameter=413,439,2

제2절 본론=415,441,1

1. 이온교환법으로 제조한 전극의 연료전지 성능평가(1차년도연구과제)=415,441,2

가. 실험방법=416,442,1

(1) 재료=416,442,2

(2) 백금담지방법=417,443,2

(3) 전해질/전극접합체 제조=418,444,1

나. 연료전지의 측정=418,444,1

(1) 단위전지의 제작=418,444,1

(2) 전극의 분극성능=419,445,1

(3) 연료전지 운전장치=419,445,1

다. 결과 및 고찰=419,445,1

(1) Nafion함침에 의한 전지성능변화=419,445,3

(2) 가스압력에 따른 전지성능변화=421,447,4

2. 백금-크롬-니켈 삼원합금의 촉매특성고찰(2차년도 연구과제)=424,450,2

가. 실험방법=425,451,1

(1) 백금-크롬-니켈 합금촉매의 제조=425,451,2

(2) 촉매의 X선 회절 분석=426,452,1

(3) 전지의 cyclic voltammetry=426,452,1

나. 결과 및 고찰=426,452,1

(1) XRD을 이용한 특성 분석=426,452,4

(2) 합금 촉매의 전지 성능 평가=429,455,6

3. 백금-금속산화물 촉매제조와 전기화학적 특성고찰(3차년도 연구과제)=434,460,2

가. 실험방법=435,461,1

(1) 재료=435,461,1

(2) Pt-TiO₂/C 촉매의 제조=435,461,2

(3) Pt-H₂WO₄/C 촉매의 제조=436,462,1

나. 결과 및 고찰=436,462,1

(1) Pt-TiO₂/C 촉매의 제조와 전지성능분석=436,462,1

(가) Sol-gel법에 의해 제조된 Pt-TiO₂/C 촉매의 XRD분석=436,462,2

(나) TiO₂의 함량에 따른 Pt-TiO₂/C 전극의 성능평가=438,464,4

(다) Pt-TiO₂/C 촉매의 전극반응에 대한 kinetic parameter=441,467,2

(라) Pt-TiO₂/C 전극의 cyclic voltammograms=442,468,3

(2) Pt-H₂WO₄/C 촉매의 제조와 전지성능분석=444,470,1

(가) Pt-H₂WO₄/C 촉매에 대한 XRD데이터를 이용한 특성분석=444,470,3

(나) Pt-H₂WO₄/C 촉매의 전지성능 평가=447,473,1

(다) Pt-H₂WO₄/C 촉매의 cyclic voltammograms=447,473,3

(라) Impedance 측정=450,476,1

(마) Kinetic parameters의 비교=450,476,3

제3절 결론=453,479,2

참고문헌=455,481,4

제4장 전해질악/전극 어셈블리에 관한 연구=459,485,2

목차=461,487,2

그림목차=463,489,2

표목차=465,491,2

제1절 서론=467,493,2

제2절 본론=469,495,1

1. 실험방법=469,495,1

가. 상용전극 및 막의 물성측정=469,495,1

(1) 이온투과실험=469,495,1

(2) 함수율(Water content)=469,495,1

(3) 이온교환 능력(AR(이미지참조))=470,496,1

나. 전극 제조=470,496,1

(1) 직류 도금법 및 펄스 도금법=470,496,1

(2) Spraying법=470,496,3

다. 전극/막 어셈블리 제조 및 단위 전지 구성=472,498,3

라. 단위전지 성능 측정=475,501,1

마. 교류 임피던스 측정=475,501,3

2. 실험결과=478,504,1

가. 상용전극 및 막의 물성 측정=478,504,1

(1) 전극의 구조=478,504,1

(2) 막의 특성=478,504,4

나. 단위전지 성능측정=481,507,1

(1) Hot pressing 온도의 영향=481,507,5

(2) Hot pressing 압력의 영향=485,511,6

(3) 운전조건의 영향=490,516,3

다. 전기도금법에 의한 전극제조=493,519,1

(1) 직류도금시 도금 전류밀도의 영향=493,519,4

(2) 펄스 도금 조건에 따른 전극 성능의 변화=496,522,1

(가) duty cycle의 영향=496,522,1

(나) Pulse frequency의 영향=496,522,5

라. 교류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계면저항과 전지성능과의 관계 규명=500,526,1

(1) Nafion 용액 함침 방법의 영향=500,526,5

(2) Nafion 용액 함침량의 영향=504,530,6

(3) 건조온도의 영향=509,535,4

제3절 결론=513,539,1

참고문헌=514,540,3

제5장 메탄올 개질기 특성연구=517,543,2

목차=519,545,2

그림목차=521,547,2

표목차=523,549,2

제1절 서론=525,551,2

제2절 본론=527,553,1

1. 메탄올 수증기 개질반응=527,553,5

2. 부분 산화 반응(partial oxidation reaction)=532,558,1

가. Evaporator을 사용하지 않은 부분 산화 개질반응=532,558,1

(1) 열역학적 평형=532,558,4

(2) 실험장치 및 방법=536,562,2

(3) 결과 및 고찰=538,564,8

나. Evaporator을 사용한 1단계 부분 산화 개질반응=545,571,1

(1) 실험장치 및 방법=545,571,1

(가) 실험장치=545,571,4

(나) 촉매=548,574,1

(다) 실험방법=548,574,3

(2) 결과 및 고찰=550,576,6

다. evaporator를 사용한 2단계 부분 산화 반응=555,581,1

(1) 실험장치 및 방법=555,581,1

(가) 실험장치=555,581,7

(나) 촉매=561,587,1

(다) 실험방법=561,587,1

(2) 결과 및 고찰=562,588,3

3. CO의 선택적 산화 반응(preferential oxidation, PROX)=565,591,1

가. CO의 선택적 산화반응=565,591,1

(1) CO의 제거=565,591,2

(2) 실험장치 및 방법=566,592,1

(가) 실험장치=566,592,1

(나) 촉매=566,592,2

(다) 실험방법=567,593,1

(3) 결과 및 고찰=567,593,9

제3절 결론=576,602,2

참고문헌=578,604,3

서지정보양식=581,607,2

(표1.1) Kuhera E-715 탄소종이의 물성=34,60,1

(표1.2) Toray 탄소종이의 물성=35,61,1

(표1.3)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Nafion 의 물성=71,97,1

(표1.4) 온도와 압력에 따른 Aciplex-S, Dow 및 Nafion 막의 물성; 건조 막 두께 약 125μm, H₂-O₂셀의 특성=88,114,1

(표1.5) 온도와 압력에 따른 Aciplex-S, Dow 및 Nafion 막의 물성; 건조 막 두께 약 125μm, H₂-Air 셀의 특성=89,115,1

(표1.6) 세가지 막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이들 막을 사용한 고체고분자 연료전지를 95℃, 5atm, H₂/O₂에서 작동시켜 얻은 특성=90,116,1

(표1.7) 여러 가지 고분자막의 물함량=95,121,1

(표1.8) 여러 가지 고분자 전해질막의 물성=97,123,1

(표1.9) 탈수에 따른 막의 수축율=98,124,1

(표1.10) 수화에 따른 막의 인장강도 변화(Pascals x 107(이미지참조) )=98,124,1

(표1.11) 연료전지 발전에 사용 가능한 연료의 특성 비교=119,145,1

(표1.12) LTS 촉매의 조성=123,149,1

(표1.14) 여러 가지 전해질막=152,178,1

(표1.15) IBIDEN 바이폴라판의 특성=216,242,1

(표1.16) 전력 변환 장치의 기본 사양=273,299,1

(표1.17) DC/DC 컨버터 각 모듈의 사양=277,303,1

(표2.1)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에 있는 프로톤 교환막=319,345,1

(표2.2) 불소계 술폰산형 프로톤 교환막 분자 구조=320,346,1

(표2.3) 당량 중량이 1100인 불소계 아이오노머 막의 물 수착량=326,352,1

(표2.4) 당량 중량이 다른 불소계 아이오노머 막의 물 수착량=327,353,1

(표2.5) 합성한 불소계 술폰산 공중합체의 당량 중량 및 용융 지수=349,375,1

(표2.6) 가수분해 용액의 조성 및 처리 시간에 따른 막 면적 팽창률=352,378,1

(표2.7) 합성한 막의 이온 전도도(25℃)=361,387,1

(표2.8) 소면적 막의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전기 생산 성능=363,389,1

(표2.9) 준상용 규모 설비에서 제조한 불소계 술폰산형 공중합체의 당량 중량(EW) 및 용융 지수(MI)=378,404,1

(표2.10) 건조 상태에서의 막의 MD방향의 인장 강도 및 신율=382,408,1

(표2.11) 건조 상태에서의 막의 TD방향의 인장 강도와 신율=383,409,1

(표2.12) 젖은 상태에서의 막의 MD방향의 인장 강도 및 신율=386,412,1

(표2.13) 각종 막의 건조 상태에서의 인열 강도 및 신율(MD)=387,413,1

(표2.14) 합성한 막의 이온 전도도=388,414,1

(표2.15) 대면적 막의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전기 생산 특성=390,416,1

(표3.1) 황산용액에서의 leaching 과정 전과 후에 변화되는 백금-크롬-니켈 합금촉매의 격자상수와 입자크기=429,455,1

(표3.2)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백금-크롬-니켈합금촉매의 kinetic parameter;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1/1atm, 0.2mg-Pt/cm²,1.0mg-Nafion/cm²=433,459,1

(표3.3) TiO₂함량변화에 따른 Pt-TiO₂/C 촉매의 교환전류밀도(io(이미지참조)), Tafel 기울기(b), 활성표면적(Sact(이미지참조))=443,469,1

(표3.4) TiO₂함량변화에 따른 Pt-TiO₂/C 촉매의 mass activity(Ag(이미지참조))와 specific activity(Ao(이미지참조))=443,469,1

(표3.5) Pt-H₂WO₄/C 촉매의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전극 kinetic parameter=452,478,1

(표4.1) Hot pressing 온도에 따른 막 내의 수분함량=484,510,1

(표4.2) Hot pressing후 건조된 막 내의 수분함량(80℃,47hr)=484,510,1

(표4.3) Nafion 함침 방법에 따른 전극 성능 및 임피던스 Data=506,532,1

(표4.4) Nafion 함침량에 따른 전극의 성능 및 저항값=511,537,1

(표5.1) ICI 53-1의 물성치와 성분조성=549,575,1

(표5.2) 실험조건에 따른 부분산화 반응의 생성물 성분조성(Reactor I)=552,578,1

(표5.3) 5.4kW급 개질기에서의 O₂/CH₃OH에 따른 메탄올 전화율=556,582,1

(표5.4) 실험조건에 따른 부분산화 반응의 생성물 성분조성(Reactor II)=563,589,1

(표5.5) 1단계 PROX에 대한 실험조건과 CO 전화율=568,594,1

(표5.6) 2단계 PROX에 대한 실험조건과 CO 전화율=575,601,1

[그림1.1]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스택=21,47,1

[그림1.2] 산소 및 수소 전극의 전위=27,53,1

[그림1.3] 연료전지내에서 전극의 전기화학 반응=27,53,1

[그림1.4] 연료전지에서의 분극 곡선=29,55,1

[그림1.5] 전극촉매 제조 방법(Goodenough 방법)=39,65,1

[그림1.6] PTFE-bonded 전극 제조공정(Goodenough 방법)=41,67,1

[그림1.7] Hamnett이 사용한 Na6Pt(SO₃)₄(이미지참조) 제조법=43,69,1

[그림1.8] Swathirajan이 사용한 Pt-Ru 이원 촉매 제조 방법=43,69,1

[그림1.9] Pt-Ru 촉매층 제조 공정도(Watanabe 법)=47,73,1

[그림1.10] 전해질막의 불순물 제거 방법(Toyota 자동차)=51,77,1

[그림1.11] MEA 제조 공정=54,80,1

[그림1.12] 스프레이법에 의한 MEA 제조 공정도(Japan Storage Battery)=56,82,1

[그림1.13] Hot-press에 의한 MEA 접합 방법(Japan Storage Battery)=57,83,1

[그림1.14] Rolling 법에 의한 MEA 제조 방법(Sanyo)=58,84,1

[그림1.15] Paste에 의한 MEA 제조 방법(Matsushita Battery)=59,85,1

[그림1.16] Screen printing 법에 의한 MEA 제조 공정 (Du Pont)=61,87,1

[그림1.17] 여러 가지 MEA 제조 방법=67,93,1

[그림1.18] Dupont사 Nafion막과 Dow사막의 구조=72,98,1

[그림1.19] 여러 가지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76,102,1

[그림1.20] 여러 가지 고분자막의 Conductance=77,103,1

[그림1.21] Nafion막과 Dow막의 합성과정=79,105,1

[그림1.22] Weak acid functional group을 갖는 고분자막의 구조=79,105,1

[그림1.23] Nafion 및 Dow막을 사용한 Siemens H₂-O₂셀의 특성=82,108,1

[그림1.24] Nafion 및 Dow막을 사용한 Ballard H₂-Air셀의 특성=83,109,1

[그림1.25] 두께가 서로 다른 막을 사용한 H₂-O₂셀의 특성(95℃, 4~5 atm)=84,110,1

[그림1.26]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프로톤전도막의 영향(반응가스 H₂-O₂, E-TEK 전극-20%Pt/C, 0.4mg Pt cm-²)(이미지참조), 95℃, 5atm; Aciplex-S 1004 (●); Dow (■); Nafion 115(▲).=85,111,1

[그림1.27]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프로톤전도막의 영향(반응가스 H₂-Air, E-TEK 전극-20%Pt/C, 0.4mg Pt cm-²)(이미지참조), 95℃, 5atm; Aciplex-S 1004 (●); Dow (■); Nafion 115(▲).=86,112,1

[그림1.28] 여러 가지 막을 사용한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의 서로 다른 반응가스 즉, H₂/Air와 H₂/O₂에 따른 성능;(E-TEK 전극(20% Pt/C, 0.4 mg Pt cm-²)(이미지참조), 50℃, latm=91,117,1

[그림1.29] Aciplex-S 막의 Sulfonic acid 함량에 대한 막의 최대 물함량의 관계(●), Dow (■)와 Nafion 115(▲)막=93,119,1

[그림1.30] 0.14mg Pt/cm²의 촉매를 사용한 20μm 두께 GORE-SELECT 막(1100 EW)의 Polarization 및 High-frequency resistance 곡선(Tcell=80℃, H₂/Air=2.8/4.2atm)(이미지참조)=100,126,1

[그림1.31] 12μm 두께 GORE-SELECT 막(900 EW)을 사용한 셀의 반응가스 압력에 따른 Polarization 곡선(촉매 0.20mg Pt/cm²,T=80℃)=101,127,1

[그림1.32] 12μm 두께 GORE-SELECT 막(900 EW)을 사용한 셀을 0.5V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한 전류밀도의 변화(Tcell=80℃, H₂/Air=2.8/4.2atm)(이미지참조)=102,128,1

[그림1.33] Raymion 막의 이상적 화학구조=104,130,1

[그림1.34] Permion 4010 막의 이상적 화학구조=104,130,1

[그림1.35] 여러 종류의 막을 사용한 전기분해전지의 시간에 따른 셀전압의 변화(Nafion 117, Raymion과 Permion 4010 막, 80℃, 1A/cm², 상압)=105,131,1

[그림1.36] Poly(trifluorostyrene) 구조 (a)linear, (b)crosslinked=107,133,1

[그림1.37] Sulphonated BAM3G 합성과정과 화학구조=109,135,1

[그림1.38] BAM3G, Nafion, Dow의 무게당량에 따른 물흡수량 변화=110,136,1

[그림1.39] 여러 종류의 막을 사용한 초기 polarization data의 비교=111,137,1

[그림1.40] Non-perfluorinated membrane 제조공정=113,139,1

[그림1.41] 변성반응의 열역학적 조성=122,148,1

[그림1.42] DC-DC 컨버터의 기본회로=128,154,1

[그림1.43] 단상 브리지 인버터의 기본회로와 파형=130,156,1

[그림1.44] 0.86A/cm²의 35-셀 스택에서 물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였을 때와 조절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셀과 셀사이의 전위 차이(전극 면적 232cm², 전해질막 Dow XUS-13204.10, PH₂=3 bar, Pair=4.5 bar, Tcell=80℃)(이미지참조)=134,160,1

[그림1.45] 서로 다른 공기압에 따른 포화온도에서 반응가스의 희석에 미치는 수증기의 영향=136,162,1

[그림1.46] 물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였을 때와 조절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연료전지의 Polarization 곡선(활성면적 232cm², Dow XUS-13204.10 막, PH2=Pair=4.5bar, Tcell=70℃)(이미지참조)=137,163,1

[그림1.47] 셀 동력밀도와 효율(전압에 비례)에 미치는 효과적인 물조절의 영향(활성면적 232cm², Dow XUS-13204.10 막, PH2=Pair=4.5bar, Tcell=70℃)(이미지참조)=138,164,1

[그림1.48] 셀 성능에 미치는 낮은 공기 양론비에서의 Anode water removal 영향(활성면적 232cm², Dow XUS-13204.10 막, PH2=Pair=4.5bar, Tcell=70℃)(이미지참조)=139,165,1

[그림1.49] Nafion Cluster 구조 (a) hydrated (b) dehydrated=142,168,1

[그림1.50] 고체고분자 연료전지에서 일어나는 이동현상=144,170,1

[그림1.51] 전해질막의 cluster 구조=146,172,1

[그림1.52] 온도에 따른 포화수증기압=148,174,1

[그림1.53] 전해질막의 비전도도와 상대습도의 관계=153,179,1

[그림1.54] Dummy cell 형태의 가습기=155,181,1

[그림1.55] 전해질막에 직접 가습하는 방법=156,182,1

[그림1.56] 다공성 바이폴라판을 이용한 가습장치=157,183,1

[그림1.57] 기체 bubbling에 의한 가습 장치=159,185,1

[그림1.58] 물투과성 튜브를 이용한 가습장치=160,186,1

[그림1.59] 직접 물분사에 의한 가습장치=161,187,1

[그림1.60] Tarasivich 등이 제안한 산소 환원반응 경로=168,194,1

[그림1.61] I-V 특성곡선(전극면적 5cm², E-TEK 전극, 0.4mg Pt/cm²1.2mg Nafion/cm², Nafion 117, cell 온도=80℃)=172,198,1

[그림1.62] 상용 E-TEK 전극과 Globetech 전극의 촉매층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 (a) E-TEK 전극 (b) Globetech 전극=173,199,1

[그림1.63] 상용 E-TEK 전극과 Globetech 전극의 기체확산층의 전자현미경 사진 (a) E-TEK 전극 (b) Globetech 전극=174,200,1

[그림1.64] 상용 E-TEK 전극과 Globetech 전극의 촉매층의 WDX 결과 (a) E-TEK 전극 (b) Globetech 전극=176,202,1

[그림1.65] 혼합법에 의한 연료전지 전극 제조 공정도=180,206,1

[그림1.66] 혼합법으로 제조한 전극=182,208,1

[그림1.67] 혼합법으로 제조한 전극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182,208,1

[그림1.68] 탄소천을 전극지지체로 사용한 전극제조 공정도=185,211,1

[그림1.69] 탄소천으로 제조한 전극=186,212,1

[그림1.70] 초순수물 제조 장치=186,212,1

[그림1.71] 전해질막 전처리 욕조=188,214,1

[그림1.72] 진공 건조기=188,214,1

[그림1.73] MEA 제조에 사용되는 Hot-press=190,216,1

[그림1.74] 전극 제조용 자동식 스크린 프린터 장치=192,218,1

[그림1.75] 사각 채널 크기=198,224,1

[그림1.76] 채널 유량 및 압력 측정 시스템=199,225,1

[그림1.77] 채널 유량 및 압력 측정 시스템 구성도=200,226,1

[그림1.78] 유량과 압력 저하와의 관계=203,229,1

[그림1.79] 매니폴드가 적을 경우의 유동장 분포=205,231,1

[그림1.80] 매니폴드가 충분히 클 경우의 유동장 분포=206,232,1

[그림1.81] 매니폴드 크기에 따른 채널당 유량 분포 차이=208,234,1

[그림1.82] 유량에 따른 압력 분포=209,235,1

[그림1.83] 대면적 단위전지용으로 가공된 바이폴라판=210,236,1

[그림1.84] 대면적 단위전지용 바이폴라판의 가공치수=211,237,1

[그림1.85] 가스 유로의 상세 치수=212,238,1

[그림1.86] 대면적 단위전지의 전체 구성도=214,240,1

[그림1.87] 대면적 단위전지의 유체 흐름도=215,241,1

[그림1.88] 대면적 단위전지 Stacking 모습=217,243,1

[그림1.89] 조립된 대면적 단위전지=217,243,1

[그림1.90] 단위전지 성능 시험장치 계통도=218,244,1

[그림1.91] 대면적 단위전지의 I-V 곡선=220,246,1

[그림1.92] 전극면적이 300cm²(A)인 단위전지=222,248,1

[그림1.93] 전사 필름에 스크린 프린트한 촉매층 건조(135℃, 120분)시킨 후의 촉매층 표면의 SEM 사진=224,250,1

[그림1.94] MEA의 전극 촉매층 표면의 SEM 사진=225,251,1

[그림1.95] MEA의 전극 촉매층 단면의 SEM 사진=227,253,1

[그림1.96] Nafion 112(▲, △), 115(●, ○) 및 117(■, □) 멤브레인과 20wt. % Pt/C 촉매로 제조한 MEA의 성능 곡선=229,255,1

[그림1.97] 단위전지의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채워진 기호)과 전력밀도(비워진 기호)에 미치는 셀 온도의 영향(80℃:▲, △; 70℃: ●, ○; 및 25℃: ■, □)=231,257,1

[그림1.98] 단위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반응가스 압력의 영향(1/1 atm: ▲, △; 2/2 atm: ●, ○; 및 3/3 atm: ■, □)=232,258,1

[그림1.99] 20wt. % PtNi/C(▲, △)와 20wt. % PtNiCo/C(■, □)를 공기측 촉매, 20wt. % Pt/C를 연료극 촉매로 사용한 MEA를 O₂/H₂셀(채워진 기호)과 공기/H₂셀(비워진 기호)에서 80℃로 운전하여 얻은 성능=234,260,1

[그림1.100] 상용 MEA와 전사코팅법으로 제조한 MEA의 성능 비교=236,262,1

[그림1.101] 여러 종류의 전해질막을 사용하여 전자코팅법으로 제조한 MEA의 성능 비교=237,263,1

[그림1.102] 두께가 서로 다른 3가지 Hanwha 전해질막(EW=1100)과 Nafion 115(EW=1100)로 제조한 MEA의 성능 비교=239,265,1

[그림1.103] 당량중량(EW)과 두께가 서로 다른 2가지의 Hanwha 전해질막과 Nafion 112와 115(당량중량; 1100)를 사용하여 제조한 MEA의 성능 비교=240,266,1

[그림1.104] 단위전지의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채워진 기호)과 전력밀도(비워진 기호)의 변화=242,268,1

[그림1.105] 단위전지에서 H₂+10ppm CO 혼합 가스를 사용하였을 때 시간의 경과(0분: ■, 30분: ●, 60분: ▲, 120분: ▼, 200분: ◆)에 따른 전극의 성능 변화=243,269,1

[그림1.106] Hanwha 114(두께:90μm)를 멤브레인, 공기극 촉매로 40Pt/C, 연료극 촉매로는 30PtRu/C를 사용하여 제조한 MEA의 성능 곡선=246,272,1

[그림1.107] 전극면적이 다른 단위전지에서의 Nafion 115로 제조한 MEA의 성능 (전극면적: 50cm²(▲), 217cm²(■), 300cm²(●)(A), 300cm²(◆)(B)=247,273,1

[그림1.108] 전극면적 300cm²인 직선형 유로의 MEA 30개로 구성된 1단계 2kW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과 시스템=249,275,1

[그림1.109] 스택에 사용된 바이폴라판의 유로 형상=250,276,1

[그림1.110] 바이폴라판의 치수=251,277,1

[그림1.111] 스택에 적용된 가스 흐름=252,278,1

[그림1.112] 스택운전용 성능측정장치 계통도=253,279,1

[그림1.113] 전극면적 300cm²이고 MEA 20개인 S자형 유로로 구성된 내부 가습형 2단계 2kW 고분자 시스템의 스택=255,281,1

[그림1.114] 전극면적이 300cm²인 MEA 30개로 구성된 1단계 2kW 스택(▲)과 전극면적이50cm²인 MEA 24개로 구성된 300 스택(●) 성능=257,283,1

[그림1.115] 전극면적이 300cm²인 MEA 20개로 구성된 2단계 2kW 스택에서 전류밀도에 따른 스택 전압(■)과 스택 출력(●)의 변화=258,284,1

[그림1.116] 전극면적이 300cm²인 전극 20개로 구성된 2단계 2kW 스택의 각 셀의 셀 전압(스택 전류: 171A, 작동 온도: 75℃)=260,286,1

[그림1.117]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263,289,1

[그림1.118]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계통도=264,290,1

[그림1.119]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면도=266,292,1

[그림1.120]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측면도=267,293,1

[그림1.121]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성능 시험장치=269,295,1

[그림1.122] 자료 측정 결과 표시=270,296,1

[그림1.123] 자동 자료 측정 주프로그램의 구성=271,297,1

[그림1.124] 시스템의 계통도와 장치별 성능=272,298,1

[그림1.125] 전력 변환 시스템의 Block Diagram=274,300,1

[그림1.126]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I-V 특성=275,301,1

[그림1.127] DC/DC 컨버터의 block diagram=276,302,1

[그림1.128] Main Power Board=278,304,1

[그림1.129] Full Bridge Converter 의 출력 파형=280,306,1

[그림1.130] MOSFET MODULE=281,307,1

[그림1.131] Primary Side Controller=282,308,1

[그림1.132] Control Power Supply=284,310,1

[그림1.133] Secondary Side Controller=285,311,1

[그림1.134] DC/AC Inverter 블록다이아그램=288,314,1

[그림1.135]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의 OCV 분포=293,319,1

[그림1.136]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곡선(수소/공기운전)=294,320,1

[그림1.137] 일정전류 100A에서 스택의 전위 분포=295,321,1

[그림1.138] 일정전류 200A에서 스택의 전위 분포=296,322,1

[그림1.139]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곡선(개질가스/공기운전)=297,323,1

[그림1.140] 일정전류 50A에서 스택의 전위 분포(개질가스/공기운전)=298,324,1

[그림2.1] 불소계 술폰산형 막의 TFE 함량과 결정화도 사이의 관계=322,348,1

[그림2.2] 불소계 술폰산형 폴리머의 H-형, Cs-형에 대한 Dynamic Mechanical Spectra=323,349,1

[그림2.3] 불소계 술폰산형 막에 대한 클러스터 네트�p 모델=324,350,1

[그림2.4] 불소계 술폰산형 막의 30℃ 기상에서의 물의 활동도에 따른 수착량 변화=330,356,1

[그림2.5] NafionR(이미지참조) 117막의 30℃와 80℃ 기상에서의 물에 대한 평형 수착량=331,357,1

[그림2.6] 이온 교환 용량에 따른 전기 전도도 관계=334,360,1

[그림2.7] 가성소다 농도에 따른 막의 전도도의 의존성=335,361,1

[그림2.8] 불소계 술폰산형 막의 수착량에 따른 30℃에서의 프로톤 전도도=336,362,1

[그림2.9] NafionR(이미지참조) 117막의 물의 수착량에 따른 30℃에서의 프로톤 전도도=336,362,1

[그림2.10] 소규모 막 소재의 합성 시스템의 개략도=340,366,1

[그림2.11] FS 공중합체의 조성과 반응 혼합물 조성 관계도=341,367,1

[그림2.12] 전기화학적 특성치 측정을 위한 막의 전처리 절차=344,370,1

[그림2.13] 막의 비저항(AC Specific Resistance) 측정용 셀=346,372,1

[그림2.14] 단위 연료전지의 구성도=348,374,1

[그림2.15] 연료전지 시험 장치의 개략도=348,374,1

[그림2.16] 합성한 FS 공중합체(EW=1217)의 TGA 그래프=350,376,1

[그림2.17] 합성한 FS 공중합체(EW=1217)의 DSC 그래프=351,377,1

[그림2.18] Na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의 막 면적 팽창률=354,380,1

[그림2.19] KOH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시의 막 면적 팽창률=355,381,1

[그림2.20] 당량 중량이 다른 여러 가지의 FS 막(H-형)의 액상 물에서의 시간에 따른 물 수착량=357,383,1

[그림2.21] 당량 중량이 다른 여러 가지의 FS 막(Na-형)의 액상 물에서의 시간에 따른 물 수착량=358,384,1

[그림2.22] 당량 중량이 다른 여러 가지의 FS 막(H-형)의 액상 물에서의 온도에 따른 물 수착량=359,385,1

[그림2.23] 당량 중량이 다른 여러 가지의 FS 막(Na-형)의 액상 물에서의 온도에 따른 물 수착량=360,386,1

[그림2.24] 제조한 프로톤교환막의 당량 중량과 이온전도도의 관계(1M H₂SO₄, 25℃)=362,388,1

[그림2.25] 제조한 프로톤교환막 #1 (EW=1100)의 50℃에서의 단위전지에서의 전압-전류밀도 관계=364,390,1

[그림2.26] 제조한 프로톤교환막 #2 (EW=1200)의 50℃에서의 단위전지에서의 전압-전류밀도 관계=365,391,1

[그림2.27] NafionR(이미지참조) 115막(EW=1100)의 50℃에서의 단위전지에서의 전압-전류밀도 관계=366,392,1

[그림2.28] 제조한 프로톤교환막 #1 (EW=1100)의 온도에 따른 단위전지에서의 전압-전류밀도 관계=367,393,1

[그림2.29] TFE 생산장치 사진=369,395,1

[그림2.30] 15리터 반응기 사진:=370,396,1

[그림2.31] 대면적 막의 압출 및 적층 제조 라인=373,399,1

[그림2.32] 기계적 강도 측정용 시편(KS M3001):(a)인열강도, (b) 인열강도=374,400,1

[그림2.33] 연료전지 시험 장치 (Fuel Cell Test Station) 사진=376,402,1

[그림2.34] 제조한 FS 공중합체의 EW와 MI 관계=377,403,1

[그림2.35] 제조한 FS 공중합체의 DSC 그래프=379,405,1

[그림2.36] 제조한 FS 공중합체의 TGA 그래프(FS981030)=380,406,1

[그림2.37] 제조한 Na 교환막 사진=381,407,1

[그림2.38] 제조한 FS 공중합체의 당량중량과 인장 강도와의 관계=384,410,1

[그림2.39] 제조한 프로톤 교환막의 당량 중량과 이온 전도도의 관계=389,415,1

[그림2.40] 제조한 프로톤교환막의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전압-전류밀도 관계 (80℃, H₂/O₂=1atm/1atm)=392,418,1

[그림2.41] 제조한 프로톤 교환막(FS981015H)의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운전 시간에 따른 전압-전류밀도 관계(80℃, H₂/O₂=1atm/1atm)=393,419,1

[그림2.42] 한화 프로톤 교환막의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전기 생산 성능(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시험)=394,420,1

[그림2.43] 한화 프로톤 교환막의 두께에 따른 단위 연료전지에서의 전기 생산 성능(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시험)=395,421,1

[그림3.1]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전지구성과 운전장치=420,446,1

[그림3.2] FC-9촉매(Johnson-Matthey Co.)과 Nafion 담지된 carbon으로 제조된 전극의 성능변화.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1/1atm, 0.35mg-Pt/cm²,1.0mg-Nafion/cm²=422,448,1

[그림3.3] Nafion pre-impregnation(0.125/1.0)된 전극의 압력변화에 대한 전지특성변화.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0.35mg-Pt/cm²=423,449,1

[그림3.4] 백금-크롬-니켈 합금의 XRD 분석=430,456,1

[그림3.5] 열처리온도에 따른 백금-크롬-니켈 합금촉매의 전지성능 변화=432,458,1

[그림3.6] TiO₂함량비에 따른 Pt-TiO₂/C의 XRD 분석=437,463,1

[그림3.7] TiO₂함량비에 따른 Pt-TiO₂/C촉매의 전류-전위 곡선.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1/1atm, 0.3mg-Pt/cm²=439,465,1

[그림3.8] TiO₂함량에 따른 Pt-TiO₂/C촉매의 각각의 전류에 대한 전위 곡선.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1/1atm, 0.3mg-Pt/cm²=440,466,1

[그림3.9] Pt-TiO₂/C 전극의 cyclic voltammograms. scan rate 20mV/s, 전지온도 80℃, 수소/질소 90/85℃ 1/1atm, 0.3mg-Pt/cm²=445,471,1

[그림3.10] Pt-H₂WO₄/C 촉매의 XRD 분석=446,472,1

[그림3.11] Pt-H₂WO₄/C 촉매의 전류-전위곡선. 전지온도 80℃, 수소/산소 90/85℃ 1/1atm, 0.3mg-Pt/cm²=448,474,1

[그림3.12] Pt-H₂WO₄/C 전극의 cyclic voltammogram. scan rate 20mV/s, 전지온도 80℃, 수소/질소 90/85℃ 1/1atm, 0.3mg-Pt/cm²=449,475,1

[그림3.13] 다양한 조성으로 제조된 Pt-H₂WO₄/C 전극의 impedance. 전지온도 80℃, 수소/질소 90/85℃ 1/1atm; 0.3mg-Pt/cm²=451,477,1

[그림4.1] 전기도금장치의 개략도=471,497,1

[그림4.2] Spraying법을 이용한 고분자막/전극 어셈블리 제조법=473,499,1

[그림4.3] 단위전지 구성도=474,500,1

[그림4.4] (a) 단위전지의 등가회로도 (b) 고주파의 경우 (c) 저주파의 경우=476,502,1

[그림4.5] E-TEK 전극 SEM 사진 a) 표면 b) 단면=479,505,1

[그림4.6] E-TEK 전극의 Pt/C(Vulcan XC-72) 촉매층 TEM 사진=480,506,1

[그림4.7] Hot pressing 온도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 곡선(70℃,2atm,2Metric ton)=482,508,1

[그림4.8] Nafion 양이온 막의 구조변화 a)수화 b)건조=483,509,1

[그림4.9] Hot pressing 온도에 따른 단위전지의 임피던스 측정결과(70℃,0.7V)=486,512,1

[그림4.10] Hot pressing 압력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 곡선(70℃,2atm.Hot pressing 온도:120℃)=487,513,1

[그림4.11] Hot pressing 압력에 따른 막/전극 어셈블리의 SEM 사진 a) 1 Metric ton b) 3 Metic ton=488,514,1

[그림4.12] Hot pressing 압력에 따른 단위전지의 임피던스 측정결과(70℃,0.7V)=489,515,1

[그림4.13] 반응압력 변화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 곡선(Hot pressing 온도:120℃,2Metric ton)=491,517,1

[그림4.14] 상압에서 온도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 곡선(Hot pressing 온도:120℃,2Metric ton)=492,518,1

[그림4.15] 전류밀도에 따른 DC 전기도금 단위전지 성능 곡선=494,520,1

[그림4.16] SEM 사진을 통한 백금촉매의 dendritic 결정=495,521,1

[그림4.17] DC 전기도금법에 의한 전극의 단면에서의 백금촉매 분포 (a) 20 mA/㎠ (b) 50 mA/㎠=497,523,1

[그림4.18] 펄스전기도금법에서 duty cycle에 따른 전극 성능변화=498,524,1

[그림4.19] 펄스전기도금법에서 Pulse frequence에 따른 전극 성능변화=499,525,1

[그림4.20] 펄스전기도금법에 의한 전극표면에서 백금촉매의 TEM 관찰=501,527,1

[그림4.21] Nafion 함침법에 따른 셀 성능곡선=502,528,1

[그림4.22] Nafion 함침법에 따른 전극 구조 비교 (a) Spraying (b) Bushing=503,529,1

[그림4.23] Nafion 함침법에 따른 임피던스 곡선=505,531,1

[그림4.24] Nafion 함침량에 따른 셀 성능 곡선=507,533,1

[그림4.25] Nafion 함침량에 따른 임피던스 곡선=508,534,1

[그림4.26] Nafion 건조온도에 따른 셀 성능 곡선=510,536,1

[그림4.27] Nafion 건조 온도에 따른 임피던스 곡선=512,538,1

[그림5.1] 250℃, 1기압에서의 H₂O/CH₃OH에 따른 평형조성=528,554,1

[그림5.2] H₂O/CH₃OH=1.0, 1.5기압에서의 온도에 따른 평형조성=530,556,1

[그림5.3] O₂/CH₃OH=0.25, 200℃, 1기압에서의 H₂O/CH₃OH따른 평형조성=533,559,1

[그림5.4] O₂/CH₃OH=0.25, H₂O/CH₃OH=0.5, 1기압에서의 온도에 따른 평형조성=535,561,1

[그림5.5] Evaporator을 사용하지 않은 부분산화 반응기=537,563,1

[그림5.6] H₂O/CH₃OH=0.5일 때 메탄올의 공급속도에 따른 전화율=539,565,1

[그림5.7] H₂O/CH₃OH=0.5일 때 생성된 수소의 분율=540,566,1

[그림5.8] O₂/CH₃OH=0.32, H₂O/CH₃OH=0.5이 때 반응기 온도분포=541,567,1

[그림5.9] O₂/CH₃OH=0.30, H₂O/CH₃OH=0.5이 때 반응기 온도분포=542,568,1

[그림5.10] O₂/CH₃OH=0.28, H₂O/CH₃OH=0.5이 때 반응기 온도분포=543,569,1

[그림5.11] 메탄올의 공급속도에 따른 수소의 생성속도=544,570,1

[그림5.12] Evaporator을 사용한 1단계 부분 산화 반응 장치도=546,572,1

[그림5.13] Evaporator=547,573,1

[그림5.14] Reactor I에서의 반응기 내부 온도 분포=553,579,1

[그림5.15] 시간에 따른 생성물의 생성속도=554,580,1

[그림5.16] O₂/CH₃OH에 따른 메탄올의 전환율=557,583,1

[그림5.17] 온도에 따른 생성물의 분율=558,584,1

[그림5.18] O₂/CH₃OH에 따른 반응기 내부의 온도 분포=559,585,1

[그림5.19] Evaporator을 사용한 2단계 부분 산화 반응 장치도=560,586,1

[그림5.20] Reactor II에서의 반응기 내부 온도 분포=564,590,1

[그림5.21] 공기 과잉량에 따른 CO 전화율(W/Fcoo=7.88g/sec cm-³)(이미지참조)=570,596,1

[그림5.22] 공기 과잉량에 따른 CO 전화율과 hotspot온도(W/Fcoo=13.45g/sec cm-³)(이미지참조)=571,597,1

[그림5.23] 공기 과잉량에 따른 CO 전화율(W/Fcoo=23.27g/sec cm-³)(이미지참조)=572,598,1

[그림5.24] W/FCoo(이미지참조) 따른 CO 전화율=573,599,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02337 621.312429 ㅌ363ㅇ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802338 621.312429 ㅌ363ㅇ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