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 : 식생분류도 작성을 중심으로. Ⅱ / 전성우, 정휘철 [공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9
청구기호
526.982 ㅎ155ㅅ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70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99-07
표준번호/부호
ISBN: 8988055853
제어번호
MONO120000285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서언=0,3,1

목차=i,4,4

표차례=v,8,2

그림차례=vii,10,3

I. 서론=1,13,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13,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2,14,3

II. 식생지수 및 분류의 이론적 고찰=5,17,1

1. 식생지수=5,17,1

1.1. 식생지역의 광학적 특성=5,17,2

1.2. 식생지수 산출시 이용 가능한 위성자료=6,18,1

1.3. 식생지수의 정의=6,18,2

1.4. 기본적인 지수들=7,19,1

1.4.1. 비율식생지수(RVI : Ratio Vegetation Index)=7,19,1

1.4.2. 정규식생지수(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7,19,2

1.4.3. 적외선비율식생지수(IPVI : Infrared Percentage Vegetation Index)=8,20,1

1.4.4. 차이식생지수(DVI : Difference Vegetation Index)=8,20,2

1.4.5. 수직식생지수(PVI :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9,21,1

1.4.6. 가중차이식생지수(WDVI : Weight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9,21,2

1.5. 토양간섭(Soil Noise)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10,22,1

1.5.1. 토양보정식생지수(SAVI :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10,22,1

1.5.2.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TSAVI : Transform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10,22,2

1.5.3.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MSAVI : 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11,23,1

1.5.4.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 2 (MSAVI2: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2)=11,23,2

1.6. 대기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12,24,1

1.6.1. 지구환경모니터지수(GEMI : Global Environment Monitoring Index)=12,24,1

1.6.2. 대기저항식생지수(ARVI :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12,24,2

1.7. 다른 지수=13,25,1

2. 식생분류=14,26,1

2.1. 식생분류방법론=14,26,1

2.1.1. DEM을 이용한 Landsat TM 영상자료의 지형적 정규화=14,26,5

2.1.2. 선행 확률(Prior probability)을 포함한 Maximum-Likelihood 분류=18,30,3

2.2. 식생분류비용=20,32,2

3. 식생분류 정확도=21,33,2

III. 국내ㆍ외 사례조사 및 분석=23,35,1

1. 식생지수=23,35,1

1.1. 정규식생지수를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연부 탐지=23,35,2

1.2. 식생지수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24,36,1

1.3. 녹색식생지수를 이용한 서울시 녹지변화=25,37,2

1.4. 식생지수와 녹지자연도의 비교평가=26,38,1

1.5. 인공위성영상자료와 GIS 기법을 이용한 녹지자연도 등급판정 기법 개발=27,39,2

1.6. AVHRR과 SeaWifs위성자료를 이용한 광역식생지수=28,40,2

2. 식생분류=30,42,1

2.1. 미. USGS-NPS의 식생도 제작사업=30,42,1

2.1.1. 개요=30,42,1

2.1.2. 식생도 작성에 사용된 자료=30,42,2

2.1.3. 식생도 제작을 위한 영상분석의 한계성=32,44,3

2.1.4. 식생분류체계와 지도제작=35,47,1

2.2. USDA와 NCASI의 Eastside 식생도 작성사업=36,48,3

2.3. 미. 미네소타주의 위성자료를 이용한 산림자원 조사=38,50,3

2.4. 식생의 구조파악=40,52,4

3. 육상식생의 1차생산력 추정=44,56,1

3.1. AVHRR/NDVI를 이용한 육상NPP의 추정=44,56,4

3.2. NPP를 추정하는 생태계 모델=47,59,1

3.2.1. 위성에 의한 LAI의 추정=47,59,3

3.2.2. LAI의 생태계모델로의 통합=49,61,2

3.3. ∑NDVI와 FOREST-BGC의 비교=50,62,2

4. 식생도를 이용한 얼룩 올빼미 서식지 연구=51,63,1

4.1. 개요=51,63,2

4.2.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임분(stand)기반 식생지도화기법의 유형과 구조=52,64,2

4.3. 공간적 개체군 모형=53,65,3

4.4. 얼룩올빼미 서식지의 SEPM모형=55,67,5

IV. 사례연구=60,72,1

1.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선정=61,73,1

2.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현황=62,74,1

2.1. 지형ㆍ지세 현황=62,74,3

2.2. 산림 및 공원녹지현황=65,77,2

2.3. 하천현황=66,78,2

3. 이용가능한 위성자료 및 참조자료=67,79,2

4. 분석결과물 및 시사점=68,80,1

4.1. 양평군 전체분석=68,80,1

4.1.1. 토지피복분류 결과=68,80,3

4.1.2. 식생지수분석결과=71,83,6

4.1.3. 식생분류 결과=76,88,8

4.2. 심층분석=83,95,1

4.2.1. 현존식생도의 문제점=84,96,7

4.2.2. 식생분류=91,103,16

4.2.3. 식생지수=106,118,9

V. 식생분류도 활용방안 및 추진원칙=115,127,1

1. 식생분류도 활용방안=115,127,3

2. 식생분류도 작성을 위한 추진원칙 및 향후 연구과제=117,129,3

VI. 요약 및 결론=120,132,2

참고문헌=122,134,8

부록 1 : 일본의 위성화상을 이용한 식생조사방법=130,142,24

부록 2 : 토지피복분류결과 및 정확도 검증=154,166,17

판권지=171,183,1

(표II-1) 위성영상자료별 비율식생지수=7,19,1

(표II-2) 위성자료별 NDVI와 TVI=8,20,1

(표II-3) 항공사진과 Landsat 디지털자료의 비용비교=20,32,1

(표II-4) 위성영상센서간의 비용비교=21,33,1

(표II-5) 다중계절의 특성을 이용한 식생분류=22,34,1

(표III-1) 사례대상지역의 NDVI 결과=23,35,1

(표III-2) 미네소타주 산림자원조사 분류클래스=39,51,1

(표III-3) 항공사진판독과 인공위성영상 분류결과의 비교=39,51,1

(표III-4) Tasseled Cap 지수와 수관구조와의 상관관계=43,55,1

(표III-5) 6각형 셀 내의 서식지 면적과 적합성 스코어=57,69,1

(표III-6) 올빼미의 행동영역과 둥지의 위치 비교=59,71,1

(표IV-1) 양평군의 표고분석=62,74,1

(표IV-2) 경사분석결과=63,75,1

(표IV-3) 향 분석결과=64,76,1

(표IV-4) 양평군의 산림변화율 ('91-'97년)=65,77,1

(표IV-5) 양평군의 공원현황(1997년 기준)=65,77,1

(표IV-6) 양평군 공원면적 분석표 (1997년 12월 31일)=66,78,1

(표IV-7) 양평군 시설녹지현황=66,78,1

(표IV-8) 양평군 녹지현황 (1997년)=66,78,1

(표IV-9) 양평군 하천현황 (1997년)=66,78,1

(표IV-10) 양평군 1인당 하천변연장=67,79,1

(표IV-11) 이용가능한 자료=67,79,1

(표IV-12) 이용가능한 참조자료=67,79,1

(표IV-13) 1987년 위성영상자료의 NDVI 분석결과=72,84,1

(표IV-14) 1994년 위성영상자료의 NDVI 분석결과=73,85,1

(표IV-15) 1987년 위성영상자료의 WETNESS 지수 분석결과=74,86,1

(표IV-16) 1994년 위성영상자료의 WETNESS 지수 분석결과=75,87,1

(표IV-17) 1987년 영상의 주성분 분석결과=76,88,1

(표IV-18) 1994년 영상의 주성분분석(PCA) 결과=80,92,1

(표IV-19) 1번 지역의 수종조사=87,99,1

(표IV-20) 2번 지역의 수종조사=89,101,1

(표IV-21) 3번지역의 층위별 수종조사=90,102,1

(표IV-22) 4번지역의 층위별 우점치=90,102,1

(표IV-23) 연구대상지역의 현존식생=912,104,1

(표IV-24) 위성자료별 분광대=95,107,1

(표IV-25) 잣나무군락의 수종별 분류 혼동성=105,117,1

(표IV-26) 위성 영상별 식생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111,123,1

(부록표II-1) 연구지역 Landsat Image의 평균과 표준편차=156,168,1

(부록표II-2) Training 지역의 선행확률(Prior probability)=160,172,1

(부록표II-3) 각 지역별 reference 개수=165,177,1

(부록표II-4) 서울, 안양, 성동, 둔전 지역의 정확도 평가 결과=166,178,1

(부록표II-5) 임당, 서화, 용하, 인제 지역의 정확도 평가 결과=167,179,1

(부록표II-6) 대야, 보령, 원산도, 대천 지역의 정확도 평가 결과=169,181,1

(부록표II-7) 대합, 창영, 남지, 영산 지역의 정확도 평가 결과=170,182,1

(부록표II-8) 네 지역의 전체 정확도=170,182,1

(그림I-1) 연차별 연구계획=3,15,1

(그림I-2) 1999년도 연구사업의 흐름도=4,16,1

(그림II-1) 나뭇잎과 광선과의 관계 모식도=5,17,1

(그림III-1) 북한산국립공원의 NDVI 지도 (왼쪽 : 1985. 5, 오른쪽 1993. 5)=24,36,1

(그림III-2) 1979년 GVI=25,37,1

(그림III-3) 1990년 GVI=25,37,1

(그림III-4) 1979년-1990년 간의 GVI 변화=25,37,1

(그림III-5) 각 범주의 식생의 계절적 변이=29,41,1

(그림III-6) SeaWiFS위성 NDVI자료에 의한 세계 식생도=29,41,1

(그림III-7) USGS-NPS 식생도 제작사업 진행현황=30,42,1

(그림III-8) Devils Tower 국립공원 지역의 항공사진=31,43,1

(그림III-9) 미국 Devils Tower국립공원 지역의 USGS-NPS식생도=35,47,1

(그림III-10) 수관면적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6,48,1

(그림III-11) 산림구조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7,49,1

(그림III-12) 산림구성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8,50,1

(그림III-13) Semivariance의 전형적인 모양=41,53,1

(그림III-14) 대상지역의 식생, 수관크기, 수관밀폐도, 얼룩올빼미의 둥지를 표시한 지도=54,66,1

(그림III-15) 예상되는 올빼미 활동영역과 실제 올빼미 둥지의 위치=58,70,1

(그림IV-1) 사례연구의 흐름=60,72,1

(그림IV-2) 사례연구대상지역의 위치=61,73,1

(그림IV-3)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DEM결과물=62,74,1

(그림IV-4) 경사분석도=63,75,1

(그림IV-5) 향분석도=64,76,1

(그림IV-6) 분류과정도=68,80,1

(그림IV-7) 지형보정전의 RGB 합성=69,81,1

(그림IV-8) 지형보정전의 분류결과=69,81,1

(그림IV-9) 지형보정후의 RGB 합성=69,81,1

(그림IV-10) 지형보정후의 분류결과=69,81,1

(그림IV-11) 1994년 지형보정전 분류결과(위), 지형보정후 분류결과(아래)=70,82,1

(그림IV-12) 1987년 NDVI 분석결과=71,83,1

(그림IV-13) 1994년 NDVI 분석결과=72,84,1

(그림IV-14) 1987년에서 1994년까지의 NDVI 지수의 변화=73,85,1

(그림IV-15) 1987년 WETNESS 지수 분석결과=74,86,1

(그림IV-16) 1994년 WETNESS 지수 결과물도=75,87,1

(그림IV-17) 1987년에서 1994년까지의 WETNESS 지수의 변화=76,88,1

(그림IV-18) 1987년도 True Color 합성도=77,89,1

(그림IV-19) 1987년도 PCA 제1축=77,89,1

(그림IV-20) 1987년도 PCA 제2축=77,89,1

(그림IV-21) 1987년도 PCA 제3축=78,90,1

(그림IV-22) 1987년도 PCA컬러합성물=78,90,1

(그림IV-23) 1987년 위성영상과 임상도의 중첩 영상=79,91,1

(그림IV-24) 1987년도 위성영상과 현존식생도의 중첩영상=80,92,1

(그림IV-25) 1994년도 True Color 합성도=81,93,1

(그림IV-26) 1994년도 PCA 제1축=81,93,1

(그림IV-27) 1994년도 PCA 제2축=81,93,1

(그림IV-28) 1994년도 PCA 제3축=82,94,1

(그림IV-29) 1994년도 PCA컬러합성물=82,94,1

(그림IV-30) 1994년 위성영상분류결과와 임상도를 중첩한 결과=82,94,1

(그림IV-31) 1994년 위성영상분류결과와 현존식생도를 중첩한 결과=83,95,1

(그림IV-32) 현존식생도와 인공위성영상자료간의 일치성=84,96,1

(그림IV-33) 양평군 현장 조사 지점의 위치와 현존 식생도 수종=86,98,1

(그림IV-34) 1번지점의 현황사진(근경(좌), 원경(우), 99. 7. 30)=87,99,1

(그림IV-35) 식생수관 분포 단면도=88,100,1

(그림IV-36) 식생수관 분포 입면도=88,100,1

(그림IV-37) 2번지역의 현황사진 원경(99. 7. 30)=89,101,1

(그림IV-38) 식생분류흐름도=91,103,1

(그림IV-39) Landsat TM 영상의 월별 분류 결과=94,106,1

(그림IV-40) 위성체별 영상의 무감독 분류 결과=96,108,1

(그림IV-41) 자료합성 기법을 이용한 분류=98,110,1

(그림IV-42) 잣나무군락의 분류에 이용된 Training 지역 위치=101,113,1

(그림IV-43) Training시 이용되는 화소 변화가 분류결과에 미치는 영향 ( 1987년도 4월 27일 Landsat TM영상 )=102,114,1

(그림IV-44)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계절별 잣나무군락의 분류결과=103,115,1

(그림IV-45) 잣나무군락의 분류결과와 현존식생도 항목간의 비교=104,116,1

(그림IV-46) Cartesian 공간의 NDVI=106,118,1

(그림IV-47) TM Ch4와 Ch3의 Scatter Plot상의 식생의 분포=107,119,1

(그림IV-48) MODVI 의 적용흐름도=109,121,1

(그림IV-49) Landsat TM 영상의 적외선, 적색 밴드의 Scatter Plot ( x축 ; 적외선 밴드, y축 ; 적색밴드)=110,122,1

(그림IV-50) Landsat TM 영상의 정규식생지수(NDVI)=112,124,1

(그림IV-51) Landsat TM 영상의 수정 식생지수(MODVI)=113,125,1

(부록그림I-1) 식생조사 사업의 흐름=131,143,1

(부록그림I-2) 조사 분석 과정흐름=133,145,1

(부록그림I-3) 영상작성방법=134,146,1

(부록그림I-4) 화상판독순서=146,158,1

(부록그림I-5) 변화패턴의 분류기준=151,163,1

(부록그림II-1) 분류과정도=155,167,1

(부록그림II-2) 연구대상지역과 지형정규화에 이용된 음영기복도=157,169,1

(부록그림II-3) 1차 지형정규화 이전과 이후의 영상의 밝기값 변화=157,169,1

(부록그림II-4) 마스킹에 이용되는 수역=158,170,1

(부록그림II-5) 연구지역의 분류 방법별 분류 결과=160,172,1

(부록그림II-6) Competitive Training과 Para-ML를 이용한 무감독분류결과=161,173,1

(부록그림II-7) 혼성된 분류지도와 최종적으로 생성된 피복 분류 결과=162,174,1

(부록그림II-8) 토지피복분류방법론=163,175,1

(부록그림II-9) 시가화 건조지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서울, 안양, 성동, 둔전)=166,178,1

(부록그림II-10) 산림이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임당, 서화, 용하, 인제)=167,179,1

(부록그림II-11) 수계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대야, 보령, 원산도, 대천)=168,180,1

(부록그림II-12) 경작지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대합, 창영, 남지, 영산)=169,181,1

(그림III-1) 북한산국립공원의 NDVI 지도 (왼쪽 : 1985. 5, 오른쪽 1993. 5)=24,36,1

(그림III-2) 1979년 GVI=25,37,1

(그림III-3) 1990년 GVI=25,37,1

(그림III-4) 1979년-1990년 간의 GVI 변화=25,37,1

(그림III-5) 각 범주의 식생의 계절적 변이=29,41,1

(그림III-6) SeaWiFS위성 NDVI자료에 의한 세계 식생도=29,41,1

(그림III-7) USGS-NPS 식생도 제작사업 진행현황=30,42,1

(그림III-8) Devils Tower 국립공원 지역의 항공사진=31,43,1

(그림III-9) 미국 Devils Tower국립공원 지역의 USGS-NPS식생도=35,47,1

(그림III-10) 수관면적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6,48,1

(그림III-11) 산림구조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7,49,1

(그림III-12) 산림구성 분류도와 올빼미의 서식처 분포도=38,50,1

(그림III-14) 대상지역의 식생, 수관크기, 수관밀폐도, 얼룩올빼미의 둥지를 표시한 지도=54,66,1

(그림III-15) 예상되는 올빼미 활동영역과 실제 올빼미 둥지의 위치=58,70,1

(그림IV-2) 사례연구대상지역의 위치=61,73,1

(그림IV-3)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DEM결과물=62,74,1

(그림IV-4) 경사분석도=63,75,1

(그림IV-5) 향분석도=64,76,1

(그림IV-7) 지형보정전의 RGB 합성=69,81,1

(그림IV-8) 지형보정전의 분류결과=69,81,1

(그림IV-9) 지형보정후의 RGB 합성=69,81,1

(그림IV-10) 지형보정후의 분류결과=69,81,1

(그림IV-11) 1994년 지형보정전 분류결과(위), 지형보정후 분류결과(아래)=70,82,1

(그림IV-12) 1987년 NDVI 분석결과=71,83,1

(그림IV-13) 1994년 NDVI 분석결과=72,84,1

(그림IV-14) 1987년에서 1994년까지의 NDVI 지수의 변화=73,85,1

(그림IV-15) 1987년 WETNESS 지수 분석결과=74,86,1

(그림IV-16) 1994년 WETNESS 지수 결과물도=75,87,1

(그림IV-17) 1987년에서 1994년까지의 WETNESS 지수의 변화=76,88,1

(그림IV-18) 1987년도 True Color 합성도=77,89,1

(그림IV-19) 1987년도 PCA 제1축=77,89,1

(그림IV-20) 1987년도 PCA 제2축=77,89,1

(그림IV-21) 1987년도 PCA 제3축=78,90,1

(그림IV-22) 1987년도 PCA컬러합성물=78,90,1

(그림IV-23) 1987년 위성영상과 임상도의 중첩 영상=79,91,1

(그림IV-24) 1987년도 위성영상과 현존식생도의 중첩영상=80,92,1

(그림IV-25) 1994년도 True Color 합성도=81,93,1

(그림IV-26) 1994년도 PCA 제1축=81,93,1

(그림IV-27) 1994년도 PCA 제2축=81,93,1

(그림IV-28) 1994년도 PCA 제3축=82,94,1

(그림IV-29) 1994년도 PCA컬러합성물=82,94,1

(그림IV-30) 1994년 위성영상분류결과와 임상도를 중첩한 결과=82,94,1

(그림IV-31) 1994년 위성영상분류결과와 현존식생도를 중첩한 결과=83,95,1

(그림IV-32) 현존식생도와 인공위성영상자료간의 일치성=84,96,1

(그림IV-33) 양평군 현장 조사 지점의 위치와 현존 식생도 수종=86,98,1

(그림IV-35) 식생수관 분포 단면도=88,100,1

(그림IV-36) 식생수관 분포 입면도=88,100,1

(그림IV-39) Landsat TM 영상의 월별 분류 결과=94,106,1

(그림IV-40) 위성체별 영상의 무감독 분류 결과=96,108,1

(그림IV-41) 자료합성 기법을 이용한 분류=98,110,1

(그림IV-42) 잣나무군락의 분류에 이용된 Training 지역 위치=101,113,1

(그림IV-43) Training시 이용되는 화소 변화가 분류결과에 미치는 영향 ( 1987년 4월 27일 Landsat TM영상 )=102,114,1

(그림IV-44)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계절별 잣나무군락의 분류결과=103,115,1

(그림IV-45) 잣나무군락의 분류결과와 현존식생도 항목간의 비교=104,116,1

(그림IV-49) Landsat TM 영상의 적외선, 적색 밴드의 Scatter Plot ( x축 ; 적외선 밴드, y축 ; 적색밴드 )=110,122,1

(그림IV-50) Landsat TM 영상의 정규식생지수(NDVI)=112,124,1

(그림IV-51) Landsat TM 영상의 수정 식생지수(MODVI)=113,125,1

(부록그림II-2) 연구대상지역과 지형정규화에 이용된 음영기복도=157,169,1

(부록그림II-3) 1차 지형정규화 이전과 이후의 영상의 밝기값 변화=157,169,1

(부록그림II-4) 마스킹에 이용되는 수역=158,170,1

(부록그림II-5) 연구지역의 분류 방법별 분류 결과=160,172,1

(부록그림II-6) Competitive Training과 Para-ML를 이용한 무감독분류결과=161,173,1

(부록그림II-7) 혼성된 분류지도와 최종적으로 생성된 피복 분류 결과=162,174,1

(부록그림II-9) 시가화 건조지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서울, 안양, 성동, 둔전)=166,178,1

(부록그림II-10) 산림이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임당, 서화, 용하, 인제)=167,179,1

(부록그림II-11) 수계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대야, 보령, 원산도, 대천)=168,180,1

(부록그림II-12) 경작지가 많은 지역의 분류영상(대합, 창영, 남지, 영산)=169,18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14128 526.982 ㅎ155ㅅ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814129 526.982 ㅎ155ㅅ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