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 함평만 갯벌을 중심으로 / 해양수산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해양수산부, 1999
청구기호
333.917 ㅎ174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875 p. : 삽도,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00526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협동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인하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제종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요약문=3,5,12

SUMMARY=15,17,12

목차=27,29,6

표목차=33,35,4

그림목차=37,39,8

부록목차=45,47,2

제1장 서론=47,49,10

제2장 함평만 갯벌의 퇴적환경=57,59,2

제1절 서론=59,61,2

제2절 갯벌의 퇴적작용 및 지형변화에 대한 연구동향=60,62,1

1. 갯벌의 지형=60,62,2

2. 퇴적물 및 퇴적작용=61,63,3

3. 퇴적작용에 대한 기상효과=63,65,2

4. 퇴적물의 집적/침식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요인=64,66,2

제3절 함평만 조하대의 퇴적환경=65,67,1

1. 연구지역 개관=65,67,6

2. 조사 및 분석방법=70,72,7

3. 조사 결과=76,78,70

제4절 만 입구에서의 부유퇴적물의 거동과 플럭스=146,148,1

1. 조사 개요=146,148,1

2. 조사 및 분석방법=147,149,3

3. 조사 결과=149,151,34

제5절 함평만 갯벌의 퇴적환경=182,184,1

1. 조사 개요=182,184,3

2. 조사 방법=184,186,4

3. 조사 결과=187,189,70

제3장 함평만 갯벌의 생태계 조사=257,259,2

제1절 조사 개요=259,261,2

제2절 돌말류(규조류) 및 엽록소-a=260,262,1

1. 재료 및 방법=260,262,3

2. 결과 및 고찰=263,265,15

제3절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278,280,1

1. 재료 및 방법=278,280,1

2. 결과 및 고찰=278,280,30

제4절 대형저서동물=307,309,1

1. 조사지선 조사=307,309,27

2. 대형저서동물 종분포 조사=333,335,16

3. 저인망 조사=348,350,10

제5절 출현종 목록=357,359,1

1. 재료 및 방법=357,359,2

2. 결과=358,360,5

제4장 함평만 갯벌의 오염현황 조사=363,365,2

제1절 조사개요=365,367,1

제2절 재료 및 방법=366,368,1

1. 수질조사=366,368,1

2. 퇴적물 조사=366,368,6

제3절 결과=371,373,1

1. 수질조사결과=371,373,17

2. 퇴적물 조사결과=387,389,32

제5장 함평만 갯벌의 수산자원 현황 조사=419,421,2

제1절 조사개요=421,423,1

제2절 갯벌의 전통어장과 어업 방법 현황=421,423,1

1. 조사방법=421,423,2

2. 결과=422,424,16

제3절 갯벌의 수산자원 현황=437,439,1

1. 조사방법=437,439,1

2. 결과=437,439,6

제6장 함평만 갯벌 주변의 사회ㆍ경제적 특성=443,445,2

제1절 조사개요=445,447,3

제2절 인문ㆍ사회적 특성 및 변화추세=447,449,1

1. 함평만의 전통적 이용 및 문화=447,449,2

2.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448,450,3

3. 지역경제 현황=451,453,1

제3절 토지이용실태 및 용도지정 현황=451,453,1

1.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451,453,3

2. 용도지역 지정 현황=453,455,3

3. 산업단지 현황 및 개발 계획=455,457,9

제4절 함평만 갯벌분포의 도면화=463,465,4

제7장 갯벌생태계의 기능 연구=467,469,2

제1절 조사개요=469,471,1

1. 갯벌 생태계의 자연과학적 기능=469,471,1

2. 갯벌생태계의 수질정화 기능=470,472,3

3. 1차년도(1999년) 연구범위=472,474,1

제2절 외국 갯벌연구현황 및 연구사례 분석=473,475,1

1. 독일의 갯벌연구 현황=473,475,12

2. 프랑스 CREMA 연구소의 갯벌생태계 연구현황=484,486,3

3. 갯벌 생태계의 물질교환작용 연구 사례=486,488,5

4. 갯벌생태계 수질정화기능의 정량화 연구사례=490,492,4

제3절 연구방향=493,495,1

1. 갯벌생태계의 수질정화기능 연구방향=493,495,3

2. 갯벌생태계의 먹이망 연구방향=496,498,1

제4절 예비현장 연구(장봉도 주변해역 갯벌의 저서동물 군집구조)=497,499,1

1. 서론=497,499,2

2. 재료 및 방법=498,500,4

3. 결과=501,503,12

4. 고찰=512,514,11

제8장 갯벌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및 평가방법=523,525,2

제1절 연구개요=525,527,2

제2절 갯벌자원의 분류 및 가치이론=526,528,1

1. 우리 나라의 갯벌자원 및 특성=526,528,3

2. 갯벌자원의 가치평가 이론=528,530,4

3. 갯벌자원의 가치평가 방법 및 이용=531,533,9

제3절 갯벌의 가치평가 및 사례 분석=539,541,1

1. 수산물 생산의 가치=539,541,2

2. 서식지 역할의 가치=540,542,2

3. 정화처리의 가치=541,543,2

4. 심미적 역할의 가치=542,544,3

5. 태풍 및 홍수조절의 가치=544,546,1

6. 갯벌의 경제적 가치와 활용사례=545,547,5

제4절 함평만 해수욕장의 가치평가=549,551,1

1. 해양환경자원의 오락적 이용=550,552,1

2. 여행 비용 모델=551,553,3

3. 여행자 비용모델의 유용성=553,555,2

4. 여행비용법의 이용시 고려사항=554,556,4

5. 여행자 비용모델의 예=557,559,3

6. 함평만의 해양관광자원=559,561,2

7. 돌머리 해수욕장 이용현황=560,562,2

8. 함평만의 관광자원 가치평가=561,563,10

제9장 갯벌 보전전략과 이용방안=571,573,2

제1절 연구개요=573,575,2

제2절 갯벌보전 및 이용과 관련한 주요쟁점=574,576,1

1. 연안개발 정책에 따른 갯벌 보전쟁점의 변화=574,576,2

2. 인천광역시ㆍ경기도 갯벌=575,577,3

3. 충청남도 갯벌=577,579,4

4. 전라북도 갯벌=580,582,3

5. 전라남도 갯벌=582,584,4

6. 부산ㆍ경남ㆍ제주 갯벌=585,587,2

제3절 외국의 갯벌보전 및 이용제도와 정책분석=586,588,1

1. 외국사례연구의 필요성=586,588,2

2. 미국의 습지 관리 정책=587,589,6

3. 미국 캘리보니아주 습지관리정책(보존ㆍ관리종합계획,CCMP)=592,594,4

4. 와덴해 연안 3국의 습지관리정책=596,598,3

5. 일본의 습지관리정책=598,600,7

제4절 국내 갯벌보전 및 이용제도와 정책분석=604,606,1

1. 갯벌보전 및 이용관리 법률=604,606,8

2. 문제제기=611,613,6

제5절 갯벌보전의 국가전략=616,618,1

1. 갯벌보전의 목표=616,618,8

2. 갯벌보전의 추진전략(안)=624,626,1

제6절 갯벌보전전략의 시행 방향=625,627,1

1. 갯벌보전지역 지정을 통한 갯벌보전제도의 실효적 운영=625,627,6

2. 갯벌보전지역의 용도구획을 통한 합리적 운영=630,632,13

3. 갯벌보전을 위한 행정역량 강화=642,644,3

4. 갯벌보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644,646,3

5. 갯벌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이해관계자 합의도출 기반 강화=646,648,3

6. 갯벌보전의 권한위탁을 통한 지역주민 역량 강화=648,650,3

7. 갯벌보전지역과 연계한 생태관광 활성화=650,652,9

8. 갯벌보전지역 갯벌교육프로그램 개발=658,660,4

9. 갯벌보전지역 시민참여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661,663,6

제10장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667,669,2

제1절 연구개요=669,671,1

1. 국내현황=669,671,2

2. 국외현황=670,672,5

3.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674,676,3

4. 연구방법=676,678,5

제2절 "해양환경교육 훈련 과정" 실행=680,682,1

1. 참가인원 및 단체현황=680,682,3

2. 해양환경교육 교과과목과 교육내용=682,684,3

3. 해양환경교육 훈련 과정 종합 평가=684,686,7

4.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수료증 수여=690,692,1

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이후, 교육생의 활동 현황=690,692,2

제3절 민간단체 해양환경교육 활동 지원=692,694,1

제4절 해양환경교육 실천 전략(안) 수립=692,694,7

제11장 갯벌 생태지도 작성(강화도 남단 갯벌)=699,701,2

제1절 연구개요=701,703,3

제2절 생태지도 작성=704,706,1

1. 수치지도와 주제도 작성=704,706,1

2. GIS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705,707,3

3. 생태지도 제작=707,709,2

제3절 항공사진 촬영=708,710,1

1. 항공사진 촬영=708,710,11

2. 갯벌면적 산정=719,721,1

제4절 연안습지 분류=719,721,1

1. 습지분류의 필요성=719,721,5

2. 해안습지 분류(사례)=723,725,7

3. 해안습지 분류체계의 제안=729,731,14

제12장 종합고찰=743,745,6

부록=749,751,2

부록1. 함평만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ㆍ초대형저서동물의 종별 개체수=751,753,16

부록2. 함평만 갯벌에서 출현한 염생식물, 저서동물, 어류 및 조류의 목록=767,769,16

부록3. 최근 11년간 함평만 수질 조사 결과(1989-1999)=783,785,6

부록4. 함평만에서 출현한 저서성 돌말류의 도판=789,791,12

부록5. 함평만에서 채집한 어류 도판=801,803,4

부록6.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의 훈련내용 및 수료자 명단=805,807,4

부록7. 해양환경교육 활동 지원 민간단체 실행 보고서=809,811,66

부록8. 강화도 남단 갯벌 생태지도=875,877,2

판권지=877,879,1

표2-1. 함평만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직변수(정점 위치는 그림2-4 참고)=77,79,5

표2-2. 유공충 샘플링 정점의 입도조직변수와 퇴적상=102,104,1

표2-3. 연구지역의 표층퇴적물내 분포하고 있는 유공충 군집의 상대적 풍부량(%)=103,105,3

표2-4. 모든 정점의 전체 군집에서 2%이상을 차지하는 종들의 집괴분석을 위한 47개의 유공충 종에 대한 표=107,109,2

표2-5. 4개의 생물상에 대한 유공충 특성=111,113,1

표2-6. 함평만의 조하대에서 채취한 중력코어 샘플의 물성변화=114,116,4

표2-7. 함평만 입구의 남서쪽 정점 H1에서 1999년 8월 13일 12.5시간 동안 수층별 관측한 수리역학 및 부유퇴적물의 변화특성에 대한 요약=151,153,3

표2-8. 함평만 입구의 북동쪽 정점 H2에서 1999년 8월 12일 12.5시간 동안 수층별 관측한 수리역학 및 부유퇴적물의 변화특성에 대한 요약=156,158,4

표2-9. 각 정점에서의 창조와 간조시에 대하여 시간평균된 유속, 유향, 수온, 염분, 부유퇴적물의 농도 그리고 유기물의 함량=164,166,1

표2-10. 각 정점에서 한 조석주기동안에 대하여 계산된 잔여유속, 부유퇴적물의 순이동률 및 이동량=171,173,1

표2-11. 1999년 8월 12-13일 정선관측시 수층별 부유되어 있는 쇄설성 입자들의 입도조직변수=177,179,1

표2-12. 1999년 8월 15-16일 YS-와 MS-Line을 따라 채취된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직 변수와 물성=201,203,2

표2-13. 1999년 8-11월 기간동안 관측된 갯벌 표층퇴적물의 함수율과 최상부층에서 측정된 전단응력 값의 변화=208,210,1

표2-14. 1999년 8-11월 기간동안 측정된 갯벌 퇴적물의 집적/침식 변화. 깊이변화와 무게변화로써 퇴적률을 나타내었음=212,214,1

표2-15. 여름철(1999년 8월 15일) YS-Line을 따라 채취된 주상시료의 물성변화(채취 위치는 그림2-39 참고)=218,220,2

표2-16. 여름철(1999년 8월 16일) MS-Line을 따라 채취된 주상시료의 물성변화(채취 위치는 그림2-39 참고)=238,240,2

표3-1. 조사지역 표층 퇴적물의 엽록소-a(mg/㎡)=264,266,1

표3-2. 함평만에서 출현한 저서성 돌말류의 목록 및 분류표=267,269,4

표3-3. 함평만에서의 정점별 돌말류 개체수(cell/㎠) 분포=274,276,1

표3-4. 함평만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281,283,1

표3-5. 함평만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별 출현 분류군의 체 크기에 따른 서식밀도=295,297,7

표3-6. 산남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밀도 및 생체량=309,311,1

표3-7. 시목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밀도 및 생체량=310,312,1

표3-8. 마산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밀도 및 생체량=311,313,1

표3-9. 산남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17,319,1

표3-10. 시목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19,321,1

표3-11. 마산리 조사선(SN Line)에서 1999년 8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21,323,1

표3-12. 함평만 갯벌에서 여름철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338,340,1

표3-13. 함평만의 초대형저서동물 채집장소 및 아가시 트롤(Agassiz trawl)을 이용한 채집 방법=351,353,1

표3-14. 함평만에서 출현한 초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및 조사선별 생물 조성=353,355,1

표3-15. 함평만에서 출현한 전체 초대형저서동물 중 상위 2% 이상인 우점종의 분포=356,358,1

표4-1. 함평만 표층 수질 분석결과(1999년 6월)=372,374,1

표4-2. 최근 11년간 함평만 수질의 경년 변화=376,378,2

표4-3. 함평만 표층 퇴적물의 COD, TIL, TOC, TON, AVS 지점별 농도=388,390,1

표4-4. 주상 퇴적물의 TIL, TOC, TON, AVS 농도=391,393,1

표4-5. 함평만 표층퇴적물 내 중금속 분석결과=393,395,1

표4-6. 함평만 주상시료내 중금속 분석결과=397,399,1

표4-7. 함평만 주상시료 중 중금속 원소의 농도 범위 및 평균농도=406,408,1

표4-8. 조사지역과 타지역과의 중금속 농도 비교=406,408,1

표4-9. 중금속 원소의 matrix correlation coefficients=408,410,1

표4-10. 함평만 주상퇴적물 내 210Pb(이미지참조) 총 방사능 및 퇴적속도=410,412,1

표4-11. 함평만 표층 퇴절물로 입자성 중금속 및 COD의 유입량 결과=414,416,1

표5-1. 영광지구 수산자원 보전 지역의 지정 현황=422,424,1

표5-2. 함평만내 군별 수산물 생산량과 이용율=439,441,1

표6-1. 함평만지역 육지면적 현황=449,451,1

표6-2. 함평만 유역 인구변동 현황=450,452,1

표6-3. 어업인구 및 어가 수 현황=450,452,1

표6-4. 함평만 3개군 인근 배후 읍면의 지목별 토지이용현황=452,454,1

표6-5. 함평만 3개군 인근 배후 읍면 현황=452,454,1

표6-6. 함평만 3개군 목장용지 현황=453,455,1

표6-7. 함평만 3개군 염전이용 현황=453,455,1

표6-8. 함평만 3개군 국토이용계획 고시현황(1998)=454,456,1

표6-9. 함평만 3개군 도시계획 현황(1998)=455,457,1

표6-10. 함평만 3개군 수산자원 보전지구 지정 현황=455,457,1

표6-11. 함평만 3개군 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456,458,1

표6-12. 함평만 연안 3개군 주요 개발 계획=457,459,1

표6-13. 영산강 유역 농업종합 개발계획 및 추진현황=459,461,1

표6-14. 영산강 4단계 사업추진 및 해제경위=460,462,1

표6-15. 함평만 갯벌보전에 따른 위협요인 현황=463,465,1

표7-1.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갯벌국립공원의 서식지별 면적(1985년 7월 22일 기준)=475,477,1

표7-2. 수질정화기능 연구 시스템 비교=494,496,1

표7-3. 조사 해역의 개체수 자료에 근거한 우점종 서열=510,512,1

표7-4. 조사 해역의 생물량 자료에 근거한 우점종 서열=511,513,1

표8-1. 1987년과 1998년의 갯벌면적 비교=527,529,1

표8-2. 지역별 갯벌의 특징=529,531,1

표8-3. 지역별 환경수준=535,537,1

표8-4. 개인별 여행비용 및 방문횟수=535,537,1

표8-5. 갯벌의 기능에 따른 평가 방법의 적용 가능성=538,540,1

표8-6. 미국 연안 갯벌의 가치 비교=545,547,1

표8-7. 갯벌의 기능별 가치 비교=546,548,1

표8-8. 여행 목적별 비율의 예=555,557,1

표8-9. 야생동식물 관찰의 구분 예=555,557,1

표8-10. 여행비용 자료=558,560,1

표8-11. 돌머리해수욕장의 시설현황=561,563,1

표8-12. 지역별 응답자=564,566,1

표8-13. 지역별 이용객의 연간 추정치=564,566,1

표8-14. 지역별 여행비용=565,567,1

표9-1. 갯벌 보전 및 이용관련 주요 현안=575,577,1

표9-2. 미국의 습지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법제도 현황=590,592,1

표9-3. 캘리포니아 습지보전 관련 프로그램 현황=593,595,1

표9-4. 캘리포니아주 습지보전 종합관리계획 현황=595,597,1

표9-5. 와덴해 및 연안육역 현황=596,598,1

표9-6. 습지의 환경적, 사회ㆍ경제적 가치=622,624,1

표9-7. 연안보전가치 평가기준(환경부, 1998)=631,633,1

표9-8. 호주 Great Barrier Marine Park의 용도지역별 이용행위 제한=635,637,1

표10-1. 미국 환경교육기관의 목표 및 활동내용=672,674,1

표10-2. 유럽에서 환경교육기관의 목표 및 활동 내용=673,675,1

표10-3. 환경교육 활동과 관련된 내용=674,676,1

표10-4.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프로그램을 위해 참고한 환경단체의 해양환경 교육관련 프로그램=677,679,1

표10-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교육평가서 내용=679,681,1

표10-6.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실습보고서 작성 요령=681,683,1

표10-7. 참가자 및 단체현황=682,684,1

표10-8.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교과목의 배당시간 현황=683,685,1

표11-1. U.S.Fish and Wildlife Service의 초기 습지분류체계=725,727,1

표11-2. U.S.FWS 국가습지목록(National Wetland Inventory)의 습지분류체계=727,729,1

표11-3. Wetworth 기준에 따른 퇴적물 입도 분류=732,734,1

표11-4. 해안습지 분류체계(시안)=739,741,1

그림1-1. 함평만 위치도=51,53,1

그림1-2. 1910년대 함평만과 갯벌(1917년에 제작된 지도에서 인용)=53,55,1

그림1-3. 함평만 옛지도(1879년 제작된 지도, 규장각 소장)=54,56,1

그림2-1. 함평만 항공사진의 모자이크(류, 1998 참고)=67,69,1

그림2-2. 함평만의 수심도를 나타내는 지도. 등수심선의 간격을 1미터이며, 평균해수면이 기준선으로 활용되었음(국립지리원, 1983 참고)=68,70,1

그림2-3. 함평만 서쪽 유월리 갯벌과 육지의 경계부에 대한 측면 사진촬영 결과. 해안절벽 바로 밑에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사질퇴적물이 집적되고 있음=69,71,1

그림2-4. 입도분석과 유공충분석을 위한 표층퇴적물 정점. 유공충 정점은 채워지지 않은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음=71,73,1

그림2-5. 퇴적역학 및 다른 조사정점들을 나타내고 있는 그림. 각 기호들에 대한 설명은 그림의 범례를 참고하기 바람=72,74,1

그림2-6. 유공충 샘플링 정점을 나타내는 그림=75,77,1

그림2-7. Folk(1968)의 분류기준을 따라 나타낸 함평만 표층퇴적물의 분포=82,84,1

그림2-8. 함평만 표층퇴적상의 공간분포=83,85,1

그림2-9. 표층퇴적물 입도조직변수의 공간분포=85,87,1

그림2-10. 해저면 퇴적물중 역질, 사질 그리고 니질퇴적물의 함량분포=90,92,3

그림2-11. 해저면 퇴적물내 유기물의 함량. 북동쪽과 남서쪽의 니질조간대에서 비교적 높은 값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94,96,1

그림2-12. 해저면 퇴적물내 함유되어 있는 탄산염의 함량분포=95,97,1

그림2-13. 함평만에 설정된 측선들을 따라 관측된 지형특성(측선의 위치는 그림2-5참고)=96,98,5

그림2-14. 유공충 군집자료의 집괴분석에 의한 덴드로그램=109,111,1

그림2-15. 서로 다른 유공충 군집에 의해 분류된 세 개의 생물상=110,112,1

그림2-16. 함평만의 외곽 주조류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1의 X-방사선 사진=118,120,2

그림2-17. 함평만의 외곽 주조류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2의 X-방사선 사진=120,122,1

그림2-18. 함평만 입구 안쪽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3의 X-방사선 사진=121,123,1

그림2-19. 함평만 입구 안쪽 사퇴위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4의 X-방사선 사진. 이 코어는 24cm 길이로 가장 짧게 채취되었으며 대부분 조립한 사질내지 역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음=122,124,1

그림2-20. 함평만의 서쪽 조하대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5의 X-방사선 사진=123,125,1

그림2-21. 함평만의 북동쪽 조하대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6의 X-방사선 사진=125,127,2

그림2-22. 함평만의 안쪽 주조류로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7의 X-방사선 사진(위치는 그림 2-5참고)=127,129,1

그림2-23. 함평만 동쪽의 조하대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8의 X-방사선 사진=128,130,2

그림2-24. 함평만 최안쪽 현화리 조간대로 유입되고 있는 조류로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GC-9의 X-방사선 사진(위치는 그림 2-5참고)=130,132,1

그림2-25. 함평만의 조하대지역에서 채취된 주상시료 퇴적물의 물성과 입도특성에 대한 수직 프로파일;(a)GC-1;(b)GC-2;(c)GC-3;(d)GC-4;(e)GC-5;(f)GC-6;(g)GC-7;(h)GC-8;(i)GC-9=131,133,9

그림2-26. 함평만 입구의 남서쪽 정점 H1에서 1999년 8월 13일 대조기에 정선관측된 해양학적 특성(위치는 그림2-5참고)=154,156,1

그림2-27. 함평만 입구의 북동쪽 정점 H2에서 1999년 8월 12일 대조기에 정선관측된 해양학적 특성(위치는 그림2-5참조)=160,162,1

그림2-28. 정점 H1에서 한 조석주기동안 관측된 유속, 유향 그리고 부유퇴적물 농도의 특성=162,164,1

그림2-29. 정점 H2에서 한 조석주기동안 관측된 유속, 유향 그리고 부유퇴적물 농도의 특성=165,167,1

그림2-30. 정선관측 정점들에서의 수심적분된 조석변화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이동률=168,170,1

그림2-31. 각 정점에서의 한 조석주기동안에 대하여 계산된 수층별 잔여유속량의 분포=169,171,1

그림2-32. 각 수층별 한 조석주기동안에 대하여 시간적분되어 계산된 부유퇴적물의 순이동률 분포=172,174,1

그림2-33. 정점 H1에서 수층별 샘플된 부유퇴적물의 유기물 함량과 쇄설성 입자의 평균 입도 그리고 분급도의 시계열 분포특성=174,176,1

그림2-34. 정점 H1에서 관측기간동안 수층별 샘플된 해수내 쇄설성 입자의 등급별 입도 분포=175,177,1

그림2-35. 정점 H1에서 정선관측시 샘플된 해수의 현장 필터링을 통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부유퇴적물의 입자덩어리 모습=178,180,1

그림2-36. 정점 H2에서 수층별 샘플된 부유퇴적물의 유기물 함량과 쇄설성 입자의 평균 입도 그리고 분급도의 시계열 분포특성=179,181,1

그림2-37. 정점 H2에서 관측기간동안 수층별 샘플된 해수내 쇄설성 입자의 등급별 입도 분포=180,182,1

그림2-38. 정점 H2에서 정선관측시 샘플된 해수의 현장 필터링을 통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부유퇴적물의 입자덩어리 모습=181,183,1

그림2-39. 함평만 유월리와 마산갯벌의 퇴적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선과 정점을 나타내는 지도=185,187,1

그림2-40. 함평만내에 발달하고 있는 갯벌의 면적을 계산하기 위한 지도=188,190,1

그림2-41. 대조기 만조시 갯벌이 침수되는 기간에 설정된 측선을 따라 고해상도의 측심기를 이용하여 관측된 갯벌의 지형=190,192,1

그림2-42. 각 갯벌에서 측선을 따라 1999년 10월 촬영한 지역=192,194,1

그림2-43. YS-Line에서의 특징적인 퇴적학적 양상을 보여주는 사진들(유월리 갯벌;촬영위치는 그림2-42참고)=193,195,3

그림2-44. MS-Line에서의 특징적인 퇴적학적 양상을 보여주는 사진들(마산 갯벌;촬영위치는 그림2-42참고)=196,198,3

그림2-45. 여름철(1999년 8월) YS-Line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직변수 및 물성의 수평적 분포변화 특성=203,205,1

그림2-46. 여름철(1999년 8월) MS-Line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직변수 및 물성의 수평적 분포변화 특성=205,207,1

그림2-47. 1999년 8월부터 11월까지의 갯벌 표층퇴적물의 함수율 변화;(a)YS-Line;(b)MS-Line=209,211,1

그림2-48. 1999년 8월부터 11월까지 갯벌의 최상부층에서 측정된 전단응력 변화;(a)YS-Line;(b)MS-Line=211,213,1

그림2-49. 유월리 갯벌(YS-Line)에서의 1999년 8월-11월 기간동안의 퇴적률의 변화=214,216,1

그림2-50. 마산 갯벌(MS-Line)에서의 1999년 8월-11월 기간동안의 퇴적률의 변화=216,218,1

그림2-51. 여름철(1999년 8월) 유월리 갯벌에서 측선을 따라 채취된 주상시료 퇴적물들의 물성에 대한 수직 프로파일과 X-방사선 사진=220,222,11

그림2-52. 여름철(1999년 8월) 마산 갯벌에서 측선을 따라 채취된 주상시료 퇴적물들의 물성에 대한 수직 프로파일과 X-방사선 사진=240,242,9

그림3-1. 조사지역의 돌말류 및 엽록소-a 채집 정점=262,264,1

그림3-2. 조사지역의 표층 엽록소-a(mg/㎡)의 분포=265,267,1

그림3-3. 조사지역의 돌말류 출현 종수 분포=271,273,1

그림3-4. 조사지역의 돌말류 개체수(Cell/㎠) 분포=275,277,1

그림3-5. 조사지역의 Gyrosigma 속의 돌말류 개체수(Cell/㎠) 분포=276,278,1

그림3-6. 조사지역의 Pleurosigma 속의 돌말류 개체수(Cell/㎠) 분포=277,279,1

그림3-7. 함평만 조간대 및 조하대에서의 중형저서생물(meiobenthos) 조사 정점=279,281,1

그림3-8.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에서의 중형저서동물의 개체수 밀도=282,284,1

그림3-9. 중형저서동물 중 가장 우점하는 선충류의 각 정점별 서식 개체수=283,285,1

그림3-10. 중형저서동물 중 우점 그룹인 저서성 요각류의 각 정점별 개체수=284,286,1

그림3-11. 중형저서동물 중 우점 그룹인 갑각류 유생의 각 정점별 개체수=285,287,1

그림3-12. 중형저서동물 중 우점 그룹인 유공충의 각 정점별 개체수=287,289,1

그림3-13. 함평만의 각 조사지선에서의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구성비율=289,291,4

그림3-14. 함평만 전 조사지선 전 정점에서의 평균 우점 분류군의 서식비율=293,295,1

그림3-15. 각 조사지선 각 정점에서의 중형저서동물의 서식 밀도=303,305,4

그림3-16. 함평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조사선 위치도.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08,310,1

그림3-17. 함평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공간 분포.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12,314,1

그림3-18. 함평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 밀도의 공간 분포.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13,315,1

그림3-19. 함평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생체량의 공간 분포.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14,316,1

그림3-20. 산남리 조사선(SN line)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의 공간분포=318,320,1

그림3-21. 시목리 조사선(SN line)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의 공간분포=320,322,1

그림3-22. 마산리 조사선(SN line)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의 공간분포=322,324,1

그림3-23. 함평만 각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 다양도 공간 분포.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24,326,1

그림3-24. 함평만 각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균등도 공간 분포. SN line:산남리 조사선, SN line:시목리 조사선, MS line:마산리 조사선=325,327,1

그림3-25. 산남리 조사선(SN line)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326,328,1

그림3-26. 시목리 조사선(SM line)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327,329,1

그림3-27. 마산리 조사선(MS line)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328,330,1

그림3-28. 산남리 조사선에서 방형구(50×50cm)에 의해 조사된 주요 우점종과 혈거성 게 굴(burrow)의 공간분포=330,332,1

그림3-29. 마산리 조사선에서 방형구(50×50cm)에 의해 조사된 주요 우점종과 혈거성 게 굴(burrow)의 공간분포=331,333,1

그림3-30. 마산리 조사선에서 방형구(50×50cm)에 의해 조사된 주요 우점종과 혈거성 게 굴(burrow)의 공간분포=332,334,1

그림3-31. 함평만의 대형저서동물 채집정점(총81개 정점이 선정되었음)=335,337,1

그림3-32. 함평만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 출현개체수 및 생물량에 있어서의 군집조성=336,338,1

그림3-33. 함평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도 분포도=339,341,6

그림3-34. 조사정점별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345,347,1

그림3-35.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분포도=346,348,1

그림3-36.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도=347,349,1

그림3-37. 저서동물의 출현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 배열=349,351,1

그림3-38. 함평만내 초대형저서동물 채집 장소=352,354,1

그림3-39. 함평만에서 출현한 초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종 조성(%)=354,356,1

그림3-40. 함평만에서 출현한 초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개체수 조성(%)=355,357,1

그림4-1. 수질 조사 정점(★는 장기 수질 조사 정점)=367,369,1

그림4-2. 퇴적물 조사 정점 및 수심도(●는 표층 퇴적물 정점, ★는 퇴적율 주상 시료 정점)=368,370,1

그림4-3. 함평만 표층수 중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의 지점별 변화=373,375,1

그림4-4. 함평만 표층수 중 COD, SS, DIN, DIP의 지점별 변화=374,376,1

그림4-5.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수온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78,380,1

그림4-6.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용존산소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79,381,1

그림4-7.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COD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80,382,1

그림4-8.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DIN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81,383,1

그림4-9.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DIP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82,384,1

그림4-10. 함평만 표ㆍ저층수의 DIN/DIP의 경년변화(점선은 이동평균 추세선)=383,385,1

그림4-11. 함평만 표층 퇴적물 중 TIL, COD, AVS의 지점별 농도 변화=389,391,1

그림4-12. 함평만 표층 퇴적물 중 Fe, Mn, Cr, Cu의 지점별 농도 변화=394,396,1

그림4-13. 함평만 표층 퇴적물 중 Zn, Pb, Cd의 지점별 농도 변화=395,397,1

그림4-14. 함평만 주상퇴적물 중 중금속과 TIL의 수직 농도변화=398,400,8

그림4-15. 퇴적물 깊이에 따라 210Pb(이미지참조) 총 방사능 분포=412,414,1

그림5-1. 손잡이 어구류(호미, 갈구리)=424,426,1

그림5-2. 손잡이 어구류(갈구리, 작살)=424,426,1

그림5-3. 낚기 어구류(외줄낚시, 대낚, 주낚)=424,426,1

그림5-4. 은신 함정류=427,429,1

그림5-5. 울타리 함정류=427,429,1

그림5-6. 울타리 함정류와 어망=428,430,1

그림5-7. 유인 함정류=428,430,1

그림5-8. 주목망류=430,432,1

그림5-9. 채그물류=430,432,1

그림5-10. 끌 어구류=432,434,1

그림5-11. 저층 끌그물류=433,435,1

그림5-12. 투망류=433,435,1

그림5-13. 두리 걸그물류=433,435,1

그림5-14. 홑얽애 그물류=436,438,1

그림5-15. 삼중얽애 그물류=436,438,1

그림5-16. 함평만내 수산자원의 품종별 생산율=439,441,1

그림5-17. 함평만내 어획되는 수산물의 품종별 조성비=440,442,1

그림6-1. 연구지역(함평만내 갯벌 음영처리)=446,448,1

그림6-2. 함평만 갯벌 및 어장분포=464,466,1

그림6-3. 함평만 용도지구 현황 및 이용계획=465,467,1

그림7-1. 갯벌생태계의 자연과학적 기능들=469,471,1

그림7-2. 독일 갯벌국립공원의 염생식물 군락. 독일에서는 모든 갯벌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개발을 최대한 억제하며 갯벌국립공원 관리소를 통해 보존, 연구,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474,476,1

그림7-3. 갯벌국립공원은 해안 제방으로부터 150m 떨어진 지점부터 시작한다. 이곳은 대부분 염생식물 군랑으로 덮혀있으며, 양떼의 방복지이기도 하다=476,478,1

그림7-4. 물개가 휴식을 취하는 사주(sand bank)와 새들의 산란장은 제1보호구역이다=477,479,1

그림7-5. 갯벌국립공원의 입구마다 세워진 안내표지판은 공원의 지리 및 생태정보, 환경보호 지침 등을 알기 쉽게 표현하고 있어, 대 국민 환경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479,481,1

그림7-6. 염생식물 군락 표지판(좌). Grazing effect 교육장(우):울타리를 경계로 초식자인 양들의 섭식확동 영향을 받는 곳과 이들을 배재시켜 풀이 무성해진 곳이 뚜렷이 대비된다=479,481,1

그림7-7. '와덴해 생태계 통합 모니터링 및 평가'의 4단계=482,483,1

그림7-8. 연안 3국 모니터링ㆍ평가 프로그램의 구조=482,484,1

그림7-9. Sylt 해양연구소의 연구지역인 Konigshafen tidal flat 전경. 이 지역의 우점종 다모류 Arenicola marina가 만들어낸 위분 둔덕(fecal mounds)이 특징적이다=483,485,1

그림7-10. 포식자 배제 실험(predator exclusion experiments)을 위한 가두리(좌). Mussel bed 위에서의 포식자 배제 실험을 위해 가두리를 설치한 모습(우)=483,485,1

그림7-11. 해조류 이식실험(seagrass transplant experiments). Box can corer(상), 이식되기 전의 해조류와 퇴적물(좌), 이식시킨 해조류(우)=484,486,1

그림7-12. 연구지역 Marennes-Oleron Bay=486,488,1

그림7-13. 넓게 발달된 펄 갯벌과 호버크래프트를 이용한 채집=486,488,1

그림7-14. Sylt-flume의 모식도=487,489,1

그림7-15. 저서생태계 터널 BEST(Benthic Ecosystem Tunnel) 모식도=488,490,1

그림7-16. Aoyama Benthic Chamber 모식도=489,491,1

그림7-17. 조사 해역도=500,502,1

그림7-18. 갯벌 정점에서의 모래, 펄, 함량(a), 평균입도(b), 그리고 분급도(c)=503,505,1

그림7-19. 조사해역의 분류군별 종수, 개체수 및 생물량(백분율)=504,506,1

그림7-20.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정점별 변화양상(백분율)=505,507,1

그림7-21.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정점별 변화양상=506,508,1

그림7-22. 조사 해역의 정점별 생태학적 제지수(다양도와 균등도)=508,510,1

그림7-23. 조사 해역의 퇴적학적 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정점간 유사도=513,515,1

그림7-24. 조사 해역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정점간 유사도=514,516,1

그림7-25.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근거로한 주성분분석 결과=517,519,1

그림8-1. 미국 소규모 매립허가 절차=548,550,1

그림8-2. 미국의매립허가의 개별 허가 절차=548,550,1

그림8-3. 여행자비용의 수요곡선=558,560,1

그림8-4. 돌머리 해수욕장의 수요곡선=566,568,1

그림9-1. 캘리포니아 습지보전 관련 제도 현황=593,595,1

그림9-2. 갯벌보전정책 추진방향=615,617,1

그림9-3. 갯벌보전전략수립을 위한 총체적 접근방식=618,620,1

그림9-4. 우리 나라 갯벌보전목표 및 추진전략=619,621,1

그림9-5. 환경보전해역 지정기준(해양수산부, 1999)=628,630,1

그림9-6. 갯벌보전목표에 따른 갯벌보호지역 지정기준=632,634,1

그림9-7. 갯벌보호지역 관리를 위한 용도구획 방안=642,644,1

그림9-8.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계획 수립 체계=659,661,1

그림10-1. 해양환경교육 및 생태관광으로 갯벌 및 연안습지를 방문한 방문객 추이변화=675,677,1

그림10-2.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교과목의 배당시간 비율=682,684,1

그림10-3. 훈련 과정 중에 주관과 운영팀에 대한 평가=684,686,1

그림10-4. 훈련 과정 중에 훈련생에 대한 평가=685,687,1

그림10-5. 훈련 과정 중에 강사에 대한 평가=686,688,1

그림10-6. 가장 좋았던 교과목=687,689,1

그림10-7. 가장 준비가 잘 되었던 교과목=688,690,1

그림10-8. 가장 인상 깊었던 강사=688,690,1

그림10-9. 해양환경교육 실천 전략(안) 추진방향=697,699,1

그림11-1. 생태지도의 사용자 검색 절차=706,708,1

그림11-2. 생태지도 작성 흐름도=709,711,1

그림11-3. 갯벌의 퇴적상 주제도=710,712,1

그림11-4. 갯벌의 생물종수 분포 주제도=711,713,1

그림11-5. 갯벌의 양식장 주제도=712,714,1

그림11-6. 갯벌의 변천사 주제도=713,715,1

그림11-7. 갯벌의 서식하는 생물을 검색하고 영상으로 생물을 확인할 수 있다=714,716,1

그림11-8. 항공사진촬영으로 나타난 갯벌과 그면적=720,722,1

그림1-3. 함평만 옛지도(1879년 제작된 지도, 규장각 소장)=54,56,1

그림6-1. 연구지역(함평만내 갯벌 음영처리)=446,448,1

그림6-2. 함평만 갯벌 및 어장분포=464,466,1

그림6-3. 함평만 용도지구 현황 및 이용계획=465,467,1

강화도남단갯벌생태지도=876,878,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19328 333.917 ㅎ174ㄱ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