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감소 대책 연구. Ⅲ /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1997
청구기호
624.183 ㅎ155ㅋ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ⅹⅲ, 265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도로연 ; 97-59-41
제어번호
MONO1200008116
주기사항
1997년도 연구보고서
연구총괄: 김성곤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13

ABSTRACT 14

제1장 서론 15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6

제2장 1·2차년도 연구 결과의 요약 19

제3장 정착부 설계 지침서 23

3.1. 정착부 설계 지침 일반 23

3.2. 정착부 구조형식 분류 25

3.2.1. 정착부의 유형별 분류 25

3.2.2. 정착부 구조형식 분류 27

3.3. 단부 정착부 29

3.3.1. 동심 단일 구형 정착부 29

3.3.2. 직선 텐던을 가지는 편심 단일 구형 정착부 41

3.3.3. 곡선 텐던을 가지는 단일 구형 정착부 56

3.3.4. 직선텐던을 가지는 다중 정착부 70

3.3.5. 지점반력을 고려한 정착부 76

3.4. 중간 정착부 77

3.4.1. 슬라브 돌기 정착부 77

3.4.2. 리브 정착부 82

3.4.3. 내부 텐던의 구석부 돌기 84

3.4.4. 외부 텐던의 구석부 돌기 85

3.4.5. 매립 정착구 86

3.4.6. 설계 고려 사항 88

3.4.7. 철근 배근 상세 고려 사항 90

3.5. 외부텐던 다이아프램 정착부 92

3.5.1. D-영역의 범위 93

3.5.2. 국부 영역 지압강도 검토 94

3.5.3. 국부 영역 절점 검토 94

3.5.4. 기본 스트럿 타이 모델 95

3.5.5. 전단 마찰 모델 96

3.5.6. 뼈대 작용과 구석부 STM 96

3.5.7. 다이아프램 하부의 스트럿 타이 모델 97

3.5.8. 설계 예제 98

3.6. 슬라브 정착부 105

3.6.1. 모델 105

3.6.2. 절점 107

3.6.3. 국부영역 지압강도 검토 107

3.6.4. 설계 예제 108

제4장 스트럿 타이 모델을 이용한 배근 상세 설계 전용 프로그램 114

4.1. 설치 안내서 114

4.2. 사용자 설명서(User's Manual) 120

4.2.1. 개요 120

4.2.2. 기능 및 특징 120

4.2.3. 전체 프로그램의 구성과 시작 121

4.2.4.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125

4.2.5. 스트럿-타이 모델 구성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152

4.2.6. 배근 상세 프로그램 설명서 177

4.3. 적용 예제 180

4.3.1. SATM(Strut-and-Tie Model) Program 180

4.3.2. 유한 요소 해석 프로그램(Fem.exe)의 실행 182

4.3.3. STM Program의 실행 191

4.4. 프로그램 평가 보고서(Verification Manual) 205

4.4.1. Beam-Column Connection 205

4.4.2. Corbel 216

4.4.3. Deep Beam on two Supports 231

4.4.4. Deep Beam on three Supports 243

4.4.5. Anchorage Zone in the Bridge Decks 253

5. 결론 267

참고문헌 269

도서정보 280

INFORMATION SHEET 281

판권기 283

표 3.1. 예제의 철근 요구량 104

표 4.4.1.1. 선형탄성 유한요소해석의 재료성질 208

표 4.4.1.2.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의 재료성질 211

표 4.4.2.1. 선형탄성 해석에서의 재료 성질 218

표 4.4.2.2. 비선형 해석의 재료 물성치 221

표 4.4.2.3. 실험결과와 스트럿-타이 모델 계산 결과의 비교 230

표 4.4.3.1. 선형탄성 해석에서의 재료 성질 234

표 4.4.3.2. 비선형 해석의 재료 물성치 236

표 4.4.3.3. 실험결과와 스트럿-타이 모델 계산 결과의 비교 242

표 4.4.4.1. 선형탄성 해석에서의 재료 성질 246

표 4.4.4.2. 비선형 해석의 재료 물성치 248

표 4.4.5.1. 선형탄성 해석에서의 재료 성질 258

표 4.4.5.2. 비선형 해석의 재료 물성치 260

표 4.4.5.3. 실험결과와 비선형 해석 결과의 비교 261

표 4.4.5.4. 실험 결과와 스트럿-타이 모델 계산 결과의 비교 265

그림 3.1.1. 국부 영역과 일반 영역 23

그림 3.2.2. 동심 단부 정착 25

그림 3.2.3. 편심 단부 정착 25

그림 3.2.4. 횡방향 슬라브 정착 25

그림 3.2.5.a. 축방향 및 가로방향 상판 텐던 26

그림 3.2.5.b. 단면 A-A 축방향 상판 텐던 26

그림 3.2.6.a. 구석부 돌기 26

그림 3.2.6.b. 단면 A-A 구석부 돌기 26

그림 3.2.7. 양방향 들기 27

그림 3.2.8. 함몰 구멍 27

그림 3.2.9. 외부텐던 다이아프램 정착부 27

그림 3.2.10. 다이아프램 횡방향 보강 정착 27

그림 3.2.11. 단부 돌기와 상판 정착 28

그림 3.2.11.a. 다중 리브 정착 28

그림 3.2.11.b. 단면 A-A 다중 리브 정착 28

그림 3.3.1.a. 단일 타이 모델 29

그림 3.3.1.b. 다중 타이 모델 29

그림 3.3.2. 이상화된 절점 30

그림 3.3.3. 자유물체도 30

그림 3.3.4. 국부 영역 절점의 평형 31

그림 3.3.5. 간략화된 스트럿 모델 31

그림 3.3.6.a. 지압강도 32

그림 3.3.6.b. 절점 압축강도 33

그림 3.3.7. 절점-스트럿 교차면 34

그림 3.3.8.a. 국부영역-일반영역 교차면 34

그림 3.3.8.b. 가로방향 스트럿 두께 35

그림 3.3.9.a. 적은 편심의 STM 41

그림 3.3.9.b. 큰 편심의 STM 41

그림 3.3.10. 편심 국부영역 절점과 스트럿 42

그림 3.3.11. 박리력을 구하기 위한 자유물체도 43

그림 3.3.12.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비교한 박리력 예측 모델 44

그림 3.3.13. 편심 정착 스트럿-타이 모델 45

그림 3.3.15. 곡률 텐던의 쐐기 효과 56

그림 3.3.16. 곡률 텐던 정착부의 스트럿 타이 모델 57

그림 3.3.17. 국부영역 절점과 스트럿 58

그림 3.3.18. 다중 구형 정착부의 STM 70

그림 3.3.19.a. STM과 FEM의 박리력 비교 71

그림 3.3.19.b. 좁게 배열된 정착부 박리응력 72

그림 3.3.19.c. 넓게 배열된 정착부 박리응력 72

그림 3.3.20. 플랜지 단면의 다중 정착부 STM 73

그림 3.3.21.a. 힘이 균등 분배된 절점 74

그림 3.3.21.b. 힘이 불균등 분배된 절점 74

그림 3.3.22. 지점반력을 고려한 구형 정착부의 스트럿 타이 모델 76

그림 3.4.1.a. 집중 스트럿 모델 77

그림 3.4.1.b. 분할 스트럿 모델 77

그림 3.4.1.c. 슬라브로의 긴장력 전달 78

그림 3.4.1.d. 코벨 및 국부 휨 거동 78

그림 3.4.1.e. 정제된 모델 79

그림 3.4.1.f. 가로방향 휨 및 인장력 79

그림 3.4.2. 슬라브 돌기에서의 철근 배근 80

그림 3.4.3. 최소 부재 치수를 가지는 스트럿 타이 모델 81

그림 3.4.4. 리브 들기의 스트럿 타이 모델 82

그림 3.4.5. 내부 텐던의 구석부 돌기에서의 스트럿 타이 모델 84

그림 3.4.6. 외부 텐던의 구석부 돌기에서의 스트럿 타이 모델 85

그림 3.4.7. 매립 정착부의 응력 궤적 및 스트럿 타이 모델 86

그림 3.5.1. 다이아프램 상세 92

그림 3.5.2. 기본 모형 92

그림 3.5.3. 다이아프램 단부의 유효단면 93

그림 3.5.4. 지압 강도 94

그림 3.5.5. 국부영역의 절점 위치 94

그림 3.5.6.a. 3차원 스트럿 타이 모델 95

그림 3.5.6.b. 평면도 95

그림 3.5.6.c. 정면도 95

그림 3.5.7. 전단 마찰 모델 96

그림 3.5.8. 뼈대 작용 96

그림 3.5.9. 구석부 STM과 배근 상세 96

그림 3.5.10. 다이아프램 하부의 하중 경로 97

그림 3.5.11. 다이아프램 설계예 98

그림 3.5.12. 부재 끝단의 응력분포 98

그림 3.5.13. 다이아프램 단부의 응력분포 99

그림 3.5.14. 기본 스트럿 타이모델 99

그림 3.5.15. 중첩모델 100

그림 3.5.16. 전단 마찰 모델 100

그림 3.5.17. 스트럿의 유도단면 101

그림 3.5.18. 플랜지 스트럿의 압축응력 검토 101

그림 3.5.19. 경사 배근 103

그림 3.5.21. 주요철근상세 104

그림 3.6.1. 슬라브 정착부의 기본 모형 105

그림 3.6.2. 슬라브 정착부의 스트럿 타이 모델 106

그림 3.6.3. 슬라브 정착부의 절점 107

그림 3.6.4. 단일 정착 슬라브의 스트럿-타이 모델 109

그림 3.6.5. 다중 정착 슬라브의 스트럿-타이 모델 110

그림 4.1. Setup Program 준비 114

그림 4.2. SATM Installation Program의 시작 114

그림 4.3. User Information 115

그림 4.4. Destination Location 115

그림 4.5. Setup Type 116

그림 4.6. Program Folder 지정 116

그림 4.7. Setting 확인과 file copy의 시작 117

그림 4.8. file copy progress 117

그림 4.9. 설치 disk의 교환 118

그림 4.10. 설치의 완료 118

그림 4.11. 프로그램의 수행 119

그림 4.2.3.1. 전체 프로그램 구성도 123

그림 4.2.3.2. 초기화면 124

그림 4.2.3.3. 시작화면 124

그림 4.2.4.1.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대화상자 125

그림 4.2.4.2. 유한 요소 해석 과정 126

그림 4.2.4.3. 유한 요소 해석 초기 화면 127

그림 4.2.5.1. STM Data 윈도우 작업화면 153

그림 4.2.5.2. STM Data 입력화면 154

그림 4.2.5.3. 윈시파일의 출력 154

그림 4.2.5.4. 3번의 화면에서 DATABASE→GEOMETRY 155

그림 4.2.5.5. Coordinate Database 156

그림 4.2.5.6. Element Database 156

그림 4.2.5.7. Load Database 157

그림 4.2.5.8. STM Data 화면으로의 복귀 157

그림 4.2.5.9. Result Database 화면 158

그림 4.2.5.10. Reaction Database 158

그림 4.2.5.11. Stress Database 159

그림 4.2.5.12. STM Data 화면의 복귀 159

그림 4.2.5.13. Graphic 윈도우의 작업화면 160

그림 4.2.5.14. Mesh의 출력(VIEW→MESH) 161

그림 4.2.5.15. Load의 출력(VIEW→GEOMETRY→LOAD) 162

그림 4.2.5.16. 주응력선의 출력 163

그림 4.2.5.17. 스터럿-타이 모델 구성화면 164

그림 4.2.5.18. Local Zone 구성 Dialogue Box 166

그림 4.2.5.19. Local Zone의 응력쐐기의 구성 166

그림 4.2.5.20. Stress Resultant Dialogue Box 167

그림 4.2.5.21. Node Define Dialogue Box 168

그림 4.2.5.22. 절점의 선택 169

그림 4.2.5.23. 절점번호의 결정 169

그림 4.2.5.24. Element Define 대화상자 170

그림 4.2.5.25. 스트럿-타이 모델 요소의 결정 170

그림 4.2.5.26. Load Define Dialogue Box 171

그림 4.2.5.27. 스트럿-타이 모델의 하중 결정 171

그림 4.2.5.28. 스트럿-타이의 내력 결정 172

그림 4.2.5.29. 스트럿-타이 모델 구성 Report 173

그림 4.2.5.30. Strut-and-Tie Model Reference Menu 174

그림 4.2.5.31. Strut-and-Tie Model 참고예 175

그림 4.2.5.32. D1의 경우에 대한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성 대화상자 175

그림 4.2.5.33. 스트럿-타이 모델 저장 여부를 묻는 대화상자 176

그림 4.2.5.34. 스트럿-타이 모델 저장 대화상자 176

그림 4.2.6.1. 배근 상세 프로그램의 시작 177

그림 4.2.6.2. 철근량 계산 대화 상자 178

그림 4.2.6.3. 철근 정착부 상세 대화 상자 179

그림 4.4.1.1. 단층문형라멘 : 제원 및 철근 상세도 206

그림 4.4.1.2. 하중 재하 및 라멘모서리의 휨모멘트 206

그림 4.4.1.3. 해석모델 207

그림 4.4.1.4. 해석 모델의 처짐 208

그림 4.4.1.5. 해석 모델의 주응력분포 209

그림 4.4.1.6. Mohr-Coulomb 항복조건 211

그림 4.4.1.7. 선형 Softening model 212

그림 4.4.1.8a. 균열전 주응력선(P=6KN) 213

그림 4.4.1.8b. 균열 변형(P=14KN) 213

그림 4.4.1.8c. 파괴시 철근의 X방향 응력선(P=14.5KN) 214

그림 4.4.1.8d. 파괴시 철근의 Y방향 응력선(P=14.5KN) 214

그림 4.4.1.9. 하중-처짐곡선 215

그림 4.4.2.1. 코벨 단면 및 철근 상세도 216

그림 4.4.2.2. 실험 장치 217

그림 4.4.2.3. 유한요소해석 모델 218

그림 4.4.2.4. 선형탄성해석에 의한 주응력 분포 219

그림 4.4.2.5. 본드 스립 모델 220

그림 4.4.2.6a. 균열전 주응력선(부분부착의 경우) 223

그림 4.4.2.6b. 균열 변형(부분부착의 경우) 223

그림 4.4.2.6c. 파괴시 철근의 X방향 응력선(부분부착의 경우) 224

그림 4.4.2.6d. 파괴시 철근의 Y방향 응력선(부분부착의 경우) 224

그림 4.4.2.7. 하중-처짐곡선(부분부착의 경우) 225

그림 4.4.2.8a. 균열전 주응력선(완전부착의 경우) 226

그림 4.4.2.8b. 균열 변형(완전부착의 경우) 226

그림 4.4.2.8c. 파괴시 철근의 X방향 응력선(완전부착의 경우) 227

그림 4.4.2.8d. 파괴시 철근의 Y방향 응력선(완전부착의 경우) 227

그림 4.4.2.9. 하중-처짐곡선(완전부착의 경우) 228

그림 4.4.2.10. Cobel의 스트럿-타이 모델 229

그림 4.4.3.1. 실험부재제원 및 실험장치 232

그림 4.4.3.2. 파괴후 균열 양상 233

그림 4.4.3.3. 유한요소해석 모델 234

그림 4.4.3.4. 선형탄성해석에 의한 주응력 분포 235

그림 4.4.3.5a. 균열전 주응력선(P=400KN) 238

그림 4.4.3.5b. 균열 변형(P=900KN) 238

그림 4.4.3.5c. 파괴시 철근의 X방향 응력선(P=1040KN) 239

그림 4.4.3.5d. 파괴시 철근의 Y방향 응력선(P=1040KN) 239

그림 4.4.3.6. 하중-처짐곡선 240

그림 4.4.3.7. 단순지지 슬래브의 스트럿-타이 모델 241

그림 4.4.4.1. 실험부재의 제원 244

그림 4.4.4.2. 하중-처짐 곡선 245

그림 4.4.4.3. 유한요소해석 모델 246

그림 4.4.4.4. 선형탄성해석에 의한 주응력 분포 247

그림 4.4.4.5a. 균열전 주응력선(P=1300KN) 250

그림 4.4.4.5b. 균열 변형(P=2000KN) 250

그림 4.4.4.5c. 파괴시 철근의 X방향 응력선(P=2020KN) 251

그림 4.4.4.5d. 파괴시 철근의 Y방향 응력선(P=2020KN) 251

그림 4.4.4.6. 하중-처짐곡선 252

그림 4.4.5.1. P.C. Box Bridge Slab의 다중 정착부 253

그림 4.4.5.2. 실험 슬래브의 철근 배근도 254

그림 4.4.5.3. 하중 재하 장치 255

그림 4.4.5.4. 부재의 파괴시 균열 양상 256

그림 4.4.5.5. 유한요소해석 모델 257

그림 4.4.5.6. 단일 정착 슬래브 선형탄성해석에 의한 주응력 분포 258

그림 4.4.5.7. 다중 정착 슬래브 선형탄성해석에 의한 주응력 분포 259

그림 4.4.5.8. 단일 정착 슬래브의 균열전 주응력(45ton) 262

그림 4.4.5.9. 단일 정착 슬래브의 균열 변형(50ton) 262

그림 4.4.5.10. 단일 정착 슬래브의 파괴시의 철근응력(135ton) 263

그림 4.4.5.11. 다중 정착 슬래브 균열전 주응력(35ton) 263

그림 4.4.5.12. 다중 정착 슬래브 균열 변형(40ton) 264

그림 4.4.5.13. 다중 정착 슬래브 파괴시 철근응력 264

그림 4.4.5.14. 단일 정착 슬래브의 스트럿 타이 모델 266

그림 4.4.5.15. 다중 정착 슬래브의 스트럿 타이 모델 26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24698 624.183 ㅎ155ㅋ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