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의 위기관리를 위한 국가전략 개발 연구 / 보건복지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보건복지부, 2000
청구기호
614.4 ㅂ425ㅅ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 638 p. :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015110
주기사항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주관연구책임자: 김정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3

제출문=0,4,1

목차=0,5,1

I. 제목차례=0,5,17

II. 표차례=0,22,3

III. 그림차례=0,25,3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1,28,4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4,32,1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 최종 연구개발 목표=5,33,1

제1절 연구의 배경=5,33,5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9,37,1

1.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9,37,1

2. 구체적인 목표=9,37,2

제3절 연구 개발 추진체계=10,38,1

1. 신종 및 재만연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염병관리전략 개발을 위해 기초적으로 다음 업무들을 수행하여야 한다=10,38,2

2. 세부과제별 연구 추진체계=12,40,1

1) 제1세부과제=12,40,1

2) 제2세부과제=12,40,1

3) 제3세부과제=13,41,1

4) 제4세부과제=13,41,1

5) 제5세부과제=13,41,1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4,42,1

제1절 1 세부과제 연구결과의 요약=14,42,3

제2절 2 세부과제 연구결과의 요약=17,45,1

제3절 3 세부과제 연구결과의 요약=17,45,2

제4절 4 세부과제 연구결과의 요약=18,46,1

제5절 5 세부과제 연구결과의 요약=18,46,2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0,48,1

제1절 1 세부과제연구결과의 고찰 및 결론=20,48,3

제2절 2 세부과제연구결과의 고찰 및 결론=22,50,2

제3절 3 세부과제연구결과의 고찰 및 결론=23,51,3

제4절 4 세부과제연구결과의 고찰 및 결론=25,53,2

제5절 5 세부과제연구결과의 고찰 및 결론=27,55,2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9,57,1

제1절 학술지 게재=29,57,2

제2절 학회발표=30,58,1

제3절 학위논문=30,58,2

제4절 산업재산권=31,59,1

제5절 기타 연구성과=31,59,1

제6절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31,59,2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33,61,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33,61,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33,61,2

제1세부과제=34,63,1

제1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5,64,1

제1절 연구배경=35,64,2

제2절 연구목적=37,66,1

1. 궁극적 목적=37,66,1

2. 구체적 목적=37,66,1

제3절 연구범위=38,67,1

1. 각 국의 관리 대책 수립 현황에 대한 기초 조사=38,67,1

2. 국내외 최신 관련 정보의 수집과 분석=38,67,1

3. 우리 나라 생태학적ㆍ인구사회학적 여건을 고려, 전문가 연찬회와 설문을 통한 관리 대상 질환의 선정 및 우선 순위의 결정=38,67,2

4. 선정된 관리대상 전염병을 위한 관리목적을 설정, 관리전략 개발이 시급한 연구수행을 총괄조정하고 결과를 종합=40,69,1

제2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1,70,1

제1절 관련 분야의 문헌고찰=42,71,1

제2절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43,72,1

제3절 전문가 연찬회=44,73,1

제3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45,74,1

제1절 우리나라에서 문제되는 관리대상 질환의 선정=45,74,1

1. 자료의 수집 방법=45,74,2

2. 관리 대상질환의 선정 및 우선 순위 결정=46,75,2

1) 관리 대상 질환의 선정=47,76,1

2) 선정된 관리대상 전염병의 우선 순위=47,76,5

3. 선정된 관리대상 전염병의 향후 연구 목표 및 연구 방향=51,80,1

제2절 국내 신종 및 재만연 전염병의 발생 현황, 관리실태 및 문제점=51,80,2

1. 최근 재만연 되고 있는 전염병의 발생양상=52,81,1

1) 백신으로 예방가능한 질환:홍역, 볼거리, 풍진=52,81,3

2) A형 간염의 유행=54,83,2

3) 식중독 및 세균성 이질=55,84,3

4) 말라리아=58,87,2

2. 우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주요 전염병=60,89,1

1) AIDS=60,89,2

2) 결핵=61,90,1

3) 장티푸스=62,91,1

4) B형간염=62,91,3

5) 가을철 농촌지역에서 유행하는 급성ㆍ열성 질환=64,93,3

6) 최근에 분리되는 병원성세균 중 다항생제 내성(多抗生劑耐性)균의 높은 발현률=66,95,2

7) 기후온난화에 따른 선종재출현 전염병의 유행 가능성=67,96,2

8) 기타 신종 및 재출현 진염병의 유행=68,97,2

제3절 외국의 신종 및 재만연 전염성 질환의 관리 전략=69,98,1

1. WHO=69,98,1

1) WHO의 신종 및 재만연 전염성 질환에 대응하는 관리전략 도출의 배경=69,98,2

2) WHO의 신종 및 재만연 전염성 질환의 관리 대책=70,99,2

2. 미국(CDC의 Prcvent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의 21세기 전략을 중심으로)=72,101,1

1) 서론=72,101,2

2) 신종질환 관리 전략의 필요성=73,102,1

3) 신종질환의 관리 목표=74,103,1

4) 관리 대상 범위=75,104,1

3. 일본(감염종 신법의 제정을 중심으로)=75,104,1

1) 감염증 신법제정의 배경=75,104,2

2) 감염증 신법의 주요 내용=76,105,3

제4절 전염병 관리의 목표 설정=79,108,1

1. 벡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79,108,1

2. 재만인 가능성을 가진 기존 전염병=79,108,1

3. 곤충 매개 전염병=79,108,1

4. 결핵, B형 간염 등 만성 전염병과 AIDS=80,109,1

5. 외래 유입 전염병=80,109,1

6. 새로운 병윈체의 출현으로 발생 가능한 신종질환 및 전쟁(생물무기), 테러에 사용가능 병원처=80,109,1

제5절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신종 및 전염성 질환의 효과적 관리 대책=81,110,1

1. 국가차원의 법적, 구조적 전염병관리체계의 재정비=81,110,2

2. 전염병 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감시체계의 구축=83,112,1

1)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83,112,2

2)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감시체계 운영 방안=84,113,4

3) 전염병 감시체계의 향후 발전 방향=87,116,2

3.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정보 네트워크의 구축=88,117,1

1)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정보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88,117,2

2)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정보 네트워크 구축 방안=89,118,3

3) 전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정보 네트워크의 향후 발전 방향=91,120,1

4. 효과적인 전염성 질환의 관리를 위한 국가 기관의 역할과 기능 및 전문인력 양성대책=91,120,1

1) 효과적인 전염성 질환의 관리를 위한 국가기관의 역할=91,120,4

2) 효과적인 전염성 질환의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대책=94,123,4

5. 우리나라 전염병 관리 대책의 제안=98,127,3

제4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01,130,3

1. 전염병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재난에 대한 국가적, 범 국민적 인식의 제고=104,133,1

2. 정부 전염병관리 관련기구의 재편성=104,133,2

제5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06,135,1

제6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07,136,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107,136,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107,136,1

제7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참고문헌=108,137,2

제2세부과제=109,139,1

제1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연구 개발목표=110,140,1

1. 배경=110,140,2

2. 연구 목적=111,141,2

제2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대상 및 방법=113,143,1

1. 주요 개발 연구 내용=113,143,2

2. 자료 수집 방법에 따른 감시체계 개발=114,144,2

3. 연구 방법=115,145,2

제3장 제2세부연구 개발과제의 최종연구 개발결과=117,147,1

제1절 국내 전염병 감시체계 헌황=117,147,1

1. 전염병 신고와 보고=117,147,1

1) 1954년의 전염병 예방법 제정=118,148,1

2) 제1차 개정(63.2.9 공포)=118,148,1

3) 제2차 개정(76.12.31 공포)=118,148,1

4) 제3차 개정(83.12.20 공포)=118,148,2

5) 제4차 개정(86.5.10 공포)=119,149,1

6) 제5차 개정(93.12.27 공포)=119,149,1

7) 제6차 개정(94.8.3 공포)=119,149,1

8) 제7차 개정(95.1.5 공포)=119,149,2

9) 제8차 개정(99.2.8 공포)=120,150,1

2. 국립보건원에서 실시하는 주요 전염병 표본 감시체계=120,150,2

3. 폴리오 AFP 감시체계=121,151,1

4. 인플루엔자 감시체계=121,151,1

5. 결핵 감시체계=122,152,1

6. 학교전염병 감시체계=122,152,2

7. 말라리아 감시체계=123,153,1

8. HIV/STI 감시체계=123,153,2

제2절 외국의 전염병 감시체계=124,154,1

1. 세계보건기구의 전염병 감시와 관리 활동=124,154,2

1) 전세계적인 모니터망=125,155,1

2) 국제보건규칙=125,155,2

3) 특정 질병에 대한 세계적인 감시체계 네트워크=126,156,2

4) 전세계적 혹은 지역적 역학 감시체계=127,157,1

5) 전염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국가와 국제사회의 대응 준비=127,157,1

2. 미국의 전염병 감시체계=128,158,1

1) 역사적 배경=128,158,1

2) NNDSS(Nationally notifi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128,158,2

3) National Electronic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Surveillance (NETSS)=130,160,1

4) 기타 전염병 감시체계=130,160,1

3. 영국의 신임병 감시체계=131,161,1

1) 배경=131,161,1

2) 감시체계의 구조=131,161,3

3) 보고 대상 전염병=133,163,2

4) 감시체계 운영=134,164,1

5) 표본 감시체계=134,164,1

4. 일본의 전염병 감시체계=135,165,1

1) 신고와 보고=135,165,2

2) 표본 감시체계=136,166,2

3) 병원체 발견을 위한 실험실 감시체계=137,167,1

4) 유행 조사 (epidemic investigation)=137,167,1

5. 프랑스 전염병 감시체계=138,168,1

1) 법정전염병 신고와 보고(Mandatory notification)=139,169,1

2) 국가 기준 실험실 (National Reference Center)=139,169,1

3) 실험실 네트워크 (Laboratory Network)=139,169,1

4) 표본 감시체계 (Sentinel Network)=139,169,2

제3절 감시체계의 이해=140,170,1

1. 감시와 모니터링의 차이점=140,170,1

2. 감시체계의 문제점=141,171,1

3. 감시체계의 자료원=141,171,1

4. 감시체계의 분류=141,171,2

5. 수동적 감시체계와 능동적 감시체계=142,172,1

1) 수동적 감시체계=142,172,1

2) 적극적 감시체계=143,173,1

6. 질병 감시체계 구축 시 고려 사항=143,173,1

1) 공중보건상 질병의 중요성=143,173,2

2) 감시체계 구축의 목표=144,174,1

3) 신고체계의 단순성, 신고기준의 명확성과 표준화=144,174,1

4) 신고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144,174,2

제4절 자료 수집별 감시체계=145,175,1

1. 우리나라 전염병 감시체계 구성=145,175,1

1) 배경=145,175,2

2) 전염병예방법 개정;제9차 개정(99.12.18. 공포)=146,176,3

3) 우리 나라 전염병 감시체계 개발의 틀=148,178,2

2. 신고 및 보고=150,180,1

1) 우리나라 전염병 신고체계의 문제점=150,180,2

2) 진단 및 신고 기준 개발=151,181,3

3) 사례 조사 개념의 도입=154,184,1

4) 신고 및 보고 내용과 방법=155,185,4

5) 유행조사 감시체계와 표준 역학조사서의 개발=158,188,6

6) 보건소와 시도 보건(위생)과의 감시체계 업무=164,194,4

3. 표본 감시체계=168,198,1

1) 표본의사 감시체계=168,198,10

2) 표본 병원 감시체계=177,207,10

3) 표본학교 감시체계=186,216,15

4. 실험실 감시체계=200,230,1

1) 실험실 감시체계의 의의=200,230,2

2) 외국의 실험실 기반 감시체계 사례=201,231,2

3) 우리나라에서의 실험실 기반 감시체계=202,232,2

4) 실험실 기반 감시체계를 위한 시료 채취 및 전달 체계=204,234,2

5) 대상 질환군별 실험실 감시체계 활용=205,235,3

6) 실험실 감시체계 개발을 위한 선결과제=207,237,1

7) 표본 의사, 표본 병원, 실험실에 대한 인센티브=208,238,1

제5절 질병별 감시체계=208,238,1

1. 수인성 및 식품매개 전염병 감시체계=208,238,1

1) 국내의 질병 발생 실태=208,238,3

2) 외국의 질병 감시 사례=211,241,2

3) 우리 나라의 질병 감시 체계 제안=213,243,1

2. 예방접종 대상 전염병 감시체계=213,243,1

1) 국내 질병 발생 양상=213,243,4

2) 외국의 질병 감시 사례=216,246,2

3) 우리 나라의 질병 감시 체계 제안=217,247,2

3. 바이러스성 간염 감시체계=218,248,1

1) 국내의 질병 발생 특성=218,248,2

2) 우리 나라의 질병 감시체계 제안=219,249,2

4. 급성 열성 질환 감시체계=220,250,1

1) 국내의 질병 발생 실태=220,250,2

2) 우리나라 질병 감시체계 구성=221,251,3

5. 결핵감시체계=223,253,1

1) 배경=223,253,2

2) 결핵감시의 정의=224,254,1

3) 결핵감시의 목적=224,254,2

4) 결핵 환자의 진단 기준 (Case Definition)=225,255,1

5) 결핵감시에 필수적인 자료=225,255,3

6) 항결핵약제 약자=227,257,1

7) 신고 요령 및 시기=227,257,2

8) 보고 체계 및 자료 입력=228,258,1

9) 자료 분석 및 환류(feedback)=228,258,1

10) 향후 과제와 제언=228,258,5

6. 병원감염 감시(중환자실 감시)=233,263,1

1) 국내 감시체계 현황=233,263,1

2) 감시체계의 구성=233,263,2

7. 항생제 내성 균주 감시체계=235,265,1

1) 우리나라의 질병통계=235,265,1

2) 외국의 질병 감시 사례=235,265,2

3) 우리나라의 질병 감시 체계 제안=236,266,1

8. 신종전염병증후군=237,267,1

1) 배경과 목적=237,267,1

2) 외국의 감시체계=237,267,3

3) 국내 감시체계의 설계=239,269,3

제6절 기타 Issue=241,271,1

1.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한 감시체계 효율화 및 강화방안=241,271,1

1) 컴퓨터 통신망 이용에 따른 우리 나라 감시체계의 문제점=241,271,3

2)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한 감시체계의 개선방안=243,273,3

3) 결론=245,275,1

2. 사망자료와 보험자료의 활용성 문제=245,275,1

1) 필요성=245,275,2

2) 사망신고 자료의 활용=246,276,5

3) 의료보험 자료의 활용=251,281,3

4) 제언 및 항후 연구 과제=253,283,1

3. 각 감시체계에서 산출할 수 있는 통계 양식 및 자료 분석 방법 제안=254,284,1

1) 전염병 관련 정보의 환류 주기=254,284,2

2) 기술 역학적 분석=255,285,2

3) ARIMA 모형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256,286,3

4) Capture-recapture 방법=258,288,3

5) Time-space analysis=260,290,3

제4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결론과 제언=263,293,1

제1절 연구결과 및 결론=263,293,1

1. 신고 및 보고체계의 정비=263,293,1

1) 진단 및 신고기준 개발=263,293,1

2) 사례조사 개념의 개입=264,294,1

3) 신고 및 보고 내용과 방법의 정비=264,294,1

4) 유행조사 감시체계와 표준역학조사서 개발=264,294,1

5) 신고 및 보고 체계의 각 수준별 역할을 정비=265,295,1

2. 표본 감시체계=265,295,1

1) 필요성=265,295,1

2) 개발 결과=265,295,2

3. 질병별 감시체계의 개발=267,297,1

1) 수인성 및 식품매개 전염병 감시체계=267,297,1

2) 예방접종 대상 전염병 감시체계=267,297,1

3) 바이러스성 간염 감시체계=267,297,1

4) 급성 열성질환 감시체계=268,298,1

5) 결핵감시체계=268,298,1

6) 병원감염 감시체계=268,298,1

7) 항생제내성 균주 감시체계=268,298,1

8) 신종 전염병 증후군=268,298,2

4. 기타 Issues=269,299,1

1)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한 감시체계 효율화 및 강화방안=269,299,1

2) 사망자료와 보험자료의 활용성 문제=269,299,1

3) 각 감시체계에서 산출할 수 있는 통계 양식 및 자료분석방법의 제안=269,299,1

제2절 정책 제안=270,300,4

제5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74,304,1

제6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275,305,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275,305,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275,305,2

제7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참고문헌=277,307,8

제3세부과제=284,315,1

제1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285,316,1

제1절 연구 배경=285,316,2

제2절 연구 목적=286,317,1

제3절 연구 내용=287,318,1

1. 민간분야 전문가 현황 파악=287,318,2

2. 전염병 관리 인력 개발=288,319,2

제2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대상 및 방법=290,321,1

1. 민간부문 전염병 관련 인력현황 조사=290,321,1

1) 조사대상=290,321,1

2) 조사내용:전염병에 대한 대처 및 관리능력, 기초연구현황에 대한 파악=290,321,1

3) 조사방법=290,321,1

4) 자료분석=290,321,1

5) 민간부문 전문가 양성방안 도출=290,321,1

2. 전염병 역학조사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291,322,1

제3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 개발 결과=292,323,1

제1절 민간분야 전문가 현황 파악=292,323,1

1. 의과대학 전염성 질환 관련 교수인력 현황=292,323,2

2. 감염학회 회원 현황=293,324,1

3. 재약회사 연구소 현황=293,324,2

4. 개정 법정 전염병 관련 문헌 현황=294,325,2

제2절 전염병 관리 인럭 개발=296,327,1

1. 외국의 선임병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296,327,1

1) 미국 CDC EIS(Epidemic Intelligence Service)=296,327,6

2) 일본 FETP=301,332,4

3) 주요국가 FETP개요 및 활동=304,335,3

2. 우리나라 전염병 역학조사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306,337,1

1) 전염병 역학조사 전문가(역학조사관) 양성 프로그램의 필요성=306,337,2

2) 전염병 역학소사 전문가(역학조사관) 양성 제도의 목적=308,339,1

3) 역학조사관 양성 계획 개요=308,339,17

제4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325,356,1

제1절 민간분야 전문가 현황 파악=325,356,1

1. 의과대학 전염성 질환 관련 교수인력 현황=326,357,1

2. 감염학회 회원 현황=326,357,2

3. 제약회사 연구소 현황=327,358,1

4. 개정 법정 전염병 관련 문헌 현황=327,358,2

제2절 전염병 관리 인력 개발=328,359,4

제5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332,363,1

제6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333,364,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333,364,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333,364,1

1. 민간분야 전문가 현황 파악=333,364,1

1) 전염성 질환 관련 민간분야 전문가 파악 및 자문단 구성=333,364,2

2) 전염성질환 관련 연구의 지원=334,365,1

2. 전염병 관리 인력 개발=334,365,1

1) FETP제도의 정착 및 발전을 위한 제안=334,365,2

2) 공공조직 전염병 관련 인력개발=335,366,1

제7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참고문헌=336,367,1

부록3-1=337,368,2

부록3-2=339,370,2

부록3-3=341,372,3

부록3-4=344,375,43

부록3-5=387,418,1

제4세부과제=387,419,1

제1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88,420,1

제1절 연구배경=388,420,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390,422,1

제2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391,423,1

제3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392,424,1

제1절 우리 나라 전염병 관련 현황과 문제점=392,424,1

1. 전염병관리 개요=392,424,1

1) 전염병관리 업무의 정의=392,424,1

2) 전염병관리 업무의 내용=392,424,2

3) 국가전염병관리체계=394,426,2

2. 전염병 관련 조직 현황=396,428,1

1) 중앙=396,428,25

제2절 미국의 전염병관리 관련 조직 및 업무 현황=421,453,1

1. 미국의 공중보건 조직과 보건활동 원리=421,453,1

1) 연방정부 수준의 공중보건 조직과 활동=421,453,2

2) 주정부 수준의 공중보건 조직과 활동=422,454,2

3) 지역보건 단위 수준의 공중보건 조직과 활동=423,455,2

4) 미국의 공중보건 조직과 활동 요약=424,456,2

2. 미국의 전염병 관련 조직과 업무=425,457,2

1) 연방정부 수준에서의 전염병관련 조직과 수행업무=426,458,2

2) 주정부 수준의 전염병 관련 조직 및 수행업무=427,459,2

3) 지역단위 수준에서의 전염병 관련 조직 및 수행업무=428,460,1

4) 미국의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예방 및 관리계획=428,460,2

제3절 전염병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국적인 조직 및 활동 모델=429,461,1

1.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전염병 관리 조직 및 업무 모델=429,461,1

1) 업무 내용=430,462,1

2) 조직=430,462,3

3) 주요 내용=432,464,4

4)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전염병 관리에 요구되는 역할=435,467,6

2. 시ㆍ도 수준에서의 전염병 관리 조직 및 업무=441,473,1

1) 모형구축의 원칙=441,473,1

2) 시ㆍ도 수준 전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모형=442,474,1

3) 효과적인 시ㆍ도수준 전염병 관리 체계 구축 전략=442,474,3

4) 결론=444,476,2

3. 보건소 수준에서의 전염병 관리 조직 및 업무=445,477,1

1) 보건소 수준의 전염병 관리 조직=445,477,2

2) 보건소 전염병 관리업무 개선 방안=446,478,2

제4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48,480,1

1. 보건복지부 기능의 조정=448,480,1

2. 전염병 관리 전담 전문부서의 확보=449,481,1

3. 국가표준실험실 확립=449,481,1

4. 전염병 관리 요원 훈련 및 전염병 예방ㆍ홍보=449,481,1

5. 전문 보건직 공무원제도 수립=450,482,1

6. 전염병 관리의 연계체계 확립=450,482,1

7. 전염병 정보망의 일원화=450,482,1

8. 시ㆍ도 수군의 전염병 관리 활성화=451,483,1

9. 시ㆍ도와 보건소의 연계체계 형성=451,483,1

10. 보건소 수준의 전염병 관리의사의 역할 확립=451,483,1

11. 보건소 서비스 제공 형태의 변화=452,484,1

제5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453,485,1

제6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454,486,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454,486,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454,486,1

제7장 제4세부연구개발과재의 참고문헌=455,487,2

별첨4-1=457,489,2

별첨4-2=459,491,4

별첨4-3=463,495,8

별첨4-4=471,503,4

제5세부과제=471,507,1

제1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471,508,1

제1절 연구배경=471,508,1

제2절 연구의 목적, 내용=472,509,1

1. 연구개발 목표=472,509,1

2. 연구개발 범위=472,509,1

1) 실험실 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현황과 전망 및 대책=472,509,1

2) 실험실 생물안전 지침 개발=472,509,2

3) 생물재난으로 인한 국가 비상시 행정 조치 및 법적 대책=473,510,1

4)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대처를 위한 병원체 탐지 및 검출 방법의 확보=473,510,1

5)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미생물학적 위험에 의한 대량 피해자 발생 사고에 대비한 현장 대응 지침 개발=473,510,1

6)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의 유행에 대비한 국립보건원의 역할=473,510,2

7) 천연두 재출현 유행 시나리오 개발=474,511,1

8) 탄저병 유행 시나리오 개발=474,511,1

제2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75,512,1

제3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76,513,1

제1절 실험실 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현황과 전망 및 대책=476,513,1

1. 서론=476,513,2

2. 실험실 생물안전 확보를 위한 필수 사항=477,514,1

1) 물리적 밀폐(physical containment)의 확보=477,514,5

2) 실험실 위해도 평가=481,518,3

3) 안전관리의 운영=483,520,3

3. 생물안전 및 실험실 생물안전에 대한 국내 현황 및 대책=485,522,1

1) 생물안전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현황=485,522,2

2) 생물안전 확보를 위한 국내 대책=486,523,4

제2절 실험실 생물안전 지침(Biosafety Manual)=489,526,1

1. 서론=489,526,2

2. 생물학적 안전성과 생물안전 수준(Biological Safety and Biosafety Levels)=490,527,1

1) 1차 차단(Primary Containment)=490,527,2

2) 2차 차단(Secondary Containment)=491,528,1

3) 생물안전 수준 요약 BL-1-BL-3(Biosafety Levels)=491,528,2

4) 생물재해의 정의(Biohazard Definition)=492,529,1

3. 생물재해에 근거한 감염원의 분류(고 위험군)=492,529,2

1) 생물재해 위험에 따른 감염물질의 분류 근거=493,530,1

2) 생물재해 위험군과 생물안전 수준(Risk Groups and Biosafety level)=493,530,1

4. 실험실 안전을 위한 수칙=494,531,1

1) 감염 경로=494,531,1

2) 관리 통제(Administrative Controls)=494,531,2

3) 기술 통제(Engineering Controls)=495,532,3

4) 개인 보호 장구(Personal Protective Equipment)=497,534,2

5) 권장 작업 요령=498,535,8

5. 일반적 지침과 정책=505,542,1

1) 생물학적 위험의 평가(Biological Risk Assessment)=505,542,2

2) 조직 배양과 세포 주 배양 지침=506,543,1

3) 결핵 전파 방지에 관한 지침=506,543,2

4) 임상 병리 실험실 관리 지침=507,544,1

5) 야생 설치류 실험 지침=507,544,3

6. 구내, 외부로의 생물학적 재료의 수송=509,546,1

1) 건물 간, 구역 내외의 도로를 이용한 운송=509,546,2

2) 외부용 포장 및 수송=510,547,1

7. 오염원의 제거=510,547,1

1) 제거 방법=510,547,1

2) 열=510,547,2

3) 소독제등의 화학 약품=511,548,2

4) Vapors and Gases=513,550,1

5) 방사선=513,550,1

8. 생물재해성 폐기물(Biohazardous Waste)=513,550,1

1) 의료 폐기물의 정의=513,550,2

2) 통제 폐기물=514,551,1

3) 일반적인 표식, 포장 및 처리 절차=514,551,2

제3절 생물재난으로 인한 국가 비상시 행정 조치 및 법적 대책=516,553,1

1. 서론=516,553,1

2.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517,554,1

1) 법적 근거=517,554,1

2) 국가재난관리체계 현황=517,554,4

3) 재난관리법의 주요 내용=520,557,3

3. 외국의 재난관리체계=522,559,1

1) 외국 방재체계의 특징=522,559,2

2) 일본의 재해관리와 행정체계=524,561,2

3) 미국=525,562,2

4.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527,564,1

1) 서론=527,564,1

2)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527,564,6

3) 위기관리능력의 제고방안=532,569,7

제4절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대처를 위한 병원체 탐지 및 검출 방법 확보=538,575,1

1. 신속한 탐지기술의 중요성=538,575,2

2. 병원체의 진단과 확인 방법의 확보 및 이용에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539,576,2

3. 연구 개발 방향=540,577,2

1) 병원체를 자연 오염물질로부터 특이적으로 분별 채취하는 장치=541,578,1

2) 가검물의 이송=541,578,2

3) 가검물의 정밀 종합분석을 위한 중앙기구의 상시운영=542,579,1

4. 결론=542,579,2

제5절 신송 및 재출현 전염병 발생에 의한 대량환자 발생사고에 대비한 현장 대응 지침(현장 응급의료소 운영 방안 중심)=543,580,1

1. 현장응급의료소=544,581,1

1) 조직의 구성=544,581,4

2) 조직단위별 임무=547,584,3

3) 사전대비 업무=549,586,2

2. 현상응급의료소 운영 훈련=550,587,1

1) 개요=550,587,3

2) 훈련실시계획=552,589,4

3) 기관별 역할분담 및 협조사항=555,592,5

4) 타기관 주관 훈련요령=559,596,1

3. 재난훈련시 조치사항=559,596,2

1) 재난신고 접수 및 전화=560,597,6

2) 현상응급의료소의 설치=565,602,3

3) 현장응급의료소의 운영=567,604,21

4) 조정ㆍ지원 및 평가=587,624,2

4. 훈련평가=588,625,1

1) 자체평가=588,625,2

2) 합동평가=589,626,1

3) 중앙평가=589,626,2

제6절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유행시 국립보건원의 역할과 기능향상=590,627,1

1. 서론=590,627,3

2. 원인불명 전염병 발병 시 국립보건원의 역할=592,629,1

1) 역할=592,629,2

2) 원인 불명의 전염병 발생에 대한 준비사항=593,630,4

3. 원인 불명의 전염병 발생에 대한 대응책=596,633,1

1) 중앙역학조사반 파견=596,633,1

2) 신속한 실험실 확인=597,634,1

3) 백신 및 치료제의 공급=597,634,1

4) 발생지역의 철저한 방역조치시행=597,634,2

5) 생물학전에 대비한 국립보건원의 기능향상=598,635,3

제7절 천연두(Smallpox) 발생 시나리오=600,637,1

1. 서론=600,637,1

1) 역사적 사실=600,637,2

2) 바이러스 특성=601,638,1

3) 역학=601,638,2

4) 임상양상=602,639,1

5) 병인론=602,639,2

6) 진단=603,640,1

7) 예방조치=603,640,3

8) 치료=605,642,3

9) 환자 접촉 후 조치(Post exposure management)=607,644,1

10) 대량환자 발생시 치료 우선순위 결정=608,645,1

11) Patient, Visitor, and Public information=608,645,1

12) 향후 연구=608,645,1

2. 천연두 발생 시나리오=608,645,8

제8절 탄저병(Anthrax) 발생 시나리오=615,652,1

1. 서론=615,652,1

1) 역사적 배경=615,652,2

2) 세균의 특성=616,653,1

3) 역학=616,653,2

4) 전파양식=617,654,1

5) 병인론=617,654,1

6) 임상양상=618,655,1

7) 진단=618,655,2

8) 예방 조치(Pre-exposure prophylaxis)=619,656,2

9) 치료=620,657,2

10) 사후 조치(Post exposure management)=621,658,2

11) 환자, 방문객, 공공 보건 정보=622,659,1

12) 향후 연구과제=622,659,1

2. 탄저병 소요 시나리오(Biohazard version)=623,660,6

제4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629,666,1

제1절 실험실 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현황과 전망 및 대책=629,666,1

제2절 실험실 생물안전 지침 개발=630,667,1

제3절 생물재난으로 인한 국가 비상시 행정 조치 및 법적 대책=630,667,1

제4절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대처를 위한 병원체 탐지 및 검출 방법의 확보=630,667,2

제5절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미생물학적 위험에 의한 대량 피해자 발생사고에 대비한 현장 대응 지침 개발=631,668,2

제6절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의 유행에 대비한 국립보건원의 역할=632,669,1

제7절 천연두 재출현 유행 시나리오=632,669,1

제8설 턴저병 유행 시나리오=633,670,1

제5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및 목표 달성도=634,671,1

제6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635,672,1

제1절 연구종료 2년후 예상 연구성과=635,672,1

제2절 연구성과의 활용계획=635,672,1

제7장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참고문헌=636,673,3

표1 1976년 이후 새로이 발견된 전염병=5,33,1

표2 재만연 전염병의 유행양상=7,35,1

표1-1-1 우리나라 급성전염병의 연도별 발생률(단위 인구 10만 명당)=36,65,1

표1-3-1 재만연 위험성이 있는 전염성 질환=48,77,1

표1-3-2 외국에서 수입될 수 있는 질환의 유행 가능성=48,77,1

표1-3-3 생물학적 무기나 테러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병원체=49,78,1

표1-3-4 관리대상 질환 중요도별 우선순위=50,79,1

표1-3-5 감염요인 감염경로별 감염자수=61,90,1

표1-3-6 연도별 검사대상별 검사법별 렙토스피라 양성률=65,94,1

표2-2-1 감시체계별 개발 내용=114,144,1

표2-2-2 일자별 주요 연구모임=116,146,1

표2-2-3 자료 수집별 감시체계의 연구자 구성=116,146,1

표2-2-4 세부 연구자별 연구 분야=116,146,1

표2-3-1 전염병예방법의연혁=117,147,1

표2-3-2 국립보건원의 주요전염병 표본감시체계 개발 대상 전염병=120,150,1

표2-3-3 EMC 프로그램의 목적=124,154,1

표2-3-4 EMC의 모니터망=125,155,1

표2-3-5 개정하고 있는 국제보건규칙의 보고 증후군=126,156,1

표2-3-6 EMC의 각 국가에 대한 지원 내용=127,157,1

표2-3-7 국제사회의 준비와 대응=127,157,1

표2-3-8 신고 대상 전염병=129,159,1

표2-3-9 영국 전염병 관련법의 변천 및 내용=131,161,1

표2-3-10 영국의 주요 전염병 감시 체계의 종류 (Routine infomation systems used in communicable disease sunveillance)=132,162,1

표2-3-11 법정 신고 질환(지정 연도)=133,163,1

표2-3-12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CMO(Chief Medical Officer)와 CDSC의 Director에게 즉시 보고 해야 하는 질환=134,164,1

표2-3-13 보고대상 질환=135,165,1

표2-3-14 표본 감시체계의 종류=137,167,1

표2-3-15 전염병 감시체계별 신고 대상 전염병=138,168,1

표2-3-16 감시체계의 분류=142,172,1

표2-3-17 국가 별 감시체계에서의 대상 선정 기준=143,173,1

표2-3-18 감시체계 점검 내용=145,175,1

표2-3-19 개정된 법정전염병=147,177,1

표2-3-20 개정된 법정전염병의 의사 및 한의사의 신고 관련 조항 요약=148,178,1

표2-3-21 감시체계 개발과 운영의 권장 항목=149,179,1

표2-3-22 우리나라 신고 및 보고체계의 문제점=151,181,1

표2-3-23 전염병환자 등 신고범위(제1조의4관련)=152,182,2

표2-3-24 신고 양식의 내용=155,185,1

표2-3-25 세계보건기구가 귄장하는 감시체계 수준별 기능=164,194,1

표2-3-26 인플루엔자 감시체계와 의사중심 감시체계의 비교=169,199,1

표2-3-27 전염병 예방법 개정위원회 10가지 평가기준=179,209,1

표2-3-28 표본 학교 감시체계 참여 학교=187,217,1

표2-3-29 표본 학교 감시체계 대상 질병=187,217,1

표2-3-30 표본 학교 감시체계 대상 질병의 사례 정의=188,218,1

표2-3-31 볼거리, 뇌막염, 수두, 발진 발생률=192,222,1

표2-3-32 시료 채취 및 전달시 시 고려 사항=204,234,1

표2-3-33 유행 조사 시 증상 혹은 증후군 별 전염병 종류와 병원체 (Diseases and pathogens encountered in outbreak investigations)=205,235,1

표2-3-34 지역별 풍진 발생률(Rubella cases by clinical symptom and attack rates by area in March-April, 1996, Korea)=215,245,1

표2-3-35 성별, 연령별 풍진 발생률(Rubella cases and attack rates by age and sex in March-April, 1996, Korea)=216,246,1

표2-3-36 Categories of European countries based on the level of measles elimination=217,247,1

표2-3-37 급성열성질환의 사례 정의=222,252,1

표2-3-38 표본 조사(survey)와 신고(case notification)에 의한 감시체계의 비교=224,254,1

표2-3-39 결핵질병코드=232,262,1

표2-3-40 UDPIC의 불명의 전염병 발견을 위한 질병 목록=238,268,1

표2-3-41 98년 사망신고자료와 법정 전염병 신고 및 보고자료상에 나타난 법정 전염병 분포=250,280,1

표2-3-42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진료실적에 나타난 법정 전염병 진료건수 (외래)=251,281,1

표2-3-43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진료실적에 나타난 법정 전염병 진료건수 (입원)=252,282,1

표2-3-45 각 자료의 완전성(%)=260,290,1

표3-3-1 지역에 따른 과별 교수인력 현황 (계/사립/국립)=293,324,1

표3-3-2 제악회사 연구소 인력구성 현황(1999년 6월 현재)=294,325,1

표3-3-3 지역별 제약회사 연구소 분포 현황(1999년 6월 현재)=294,325,1

표3-3-4 검색대상 국내 연구문헌 목록=295,326,1

표3-3-5 개정 법상 전염병 각 군별 국내연구문헌 현황(1985-1999년도 12월 현재까지)=295,326,1

표3-3-6 주요 국가의 FETP 현황=305,336,1

표3-3-7 국립보건원 역학조사관의 직무=308,339,1

표3-3-8 역학조사관 세부직무와 교육내용=314,345,1

표3-3-9 역학조사관의 교육 중 역학총론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317,348,1

표3-3-10 역학조사관의 교육 중 전염병 감시체계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318,349,1

표3-3-11 역학조사관의 교육 중 예방접종사업의 이해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관리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319,350,1

표3-3-12 역학조사관의 교육 중 질병관리 및 유행조사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320,351,2

표3-3-13 역학조사관의 교육 중 질병관리 및 유행조사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계속)=321,352,1

표3-3-14 시ㆍ도별 지속교육과정 교육내용=324,355,1

표4-3-1 급성전염병관리 행정단위별 역할과 기능=394,426,1

표4-3-2 교육 훈련 업무=398,430,1

표4-3-3 중앙부서의 통계 및 홍보 업무=398,430,1

표4-3-4 백신의 생산 및 배분=399,431,1

표4-3-5 전염병 관리지침의 개발=399,431,1

표4-3-6 전염병 발생 감시체계=400,432,1

표4-3-7 국립검역소 지소 명칭, 위치, 관할 검역항=403,435,1

표4-3-8 시ㆍ도별 예방 및 관리 담당인력 및 업무현황(1)=405,437,1

표4-3-9 시ㆍ도별 예방 및 관리 담당인력 및 업무현황(2)=406,438,1

표4-3-10 시ㆍ도별 전염병관리 업무현황(2)=407,439,1

표4-3-11 시ㆍ도별 예방 및 관리관련 예산 현황 (1)=407,439,1

표4-3-12 시ㆍ도별 업무수행현황 자체업무평가=408,440,1

표4-3-13 시ㆍ도별 전염병별 업무수행현황 자가점검표=409,441,1

표4-3-14 전염병 예방 및 관리의 장애 요인=410,442,1

표4-3-15 전염병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정책 우선순위=410,442,1

표4-3-16 보건환경연구원의 세부업무내용=413,445,1

표4-3-17 보건소 조직의 변화에 따른 전염병 관리 업무=414,446,1

표4-3-18 보건소의 의사와 간호사 개괄적인 수=414,446,1

표4-3-19 보건소의 개괄적인 인력구조=415,447,1

표4-3-20 1990년도 국립보건원 훈련부 교육훈련계획=416,448,1

표4-3-21 1996년도 교육훈련계획=417,449,1

표4-3-22 2000년 국립보건원 훈련부 교육과정(전염병 관리를 중심으로)=418,450,1

표4-3-23 지역사회 보건의료서비스 12개 세부영역중 우선업무(보건소장 등 공공보건의료 종사자)=419,451,1

표4-3-24 지역사회 보건의료서비스 12개 세부영역의 상대적 비중(전문가)=420,452,1

표5-3-1 생물안전 캐비넷의 규격(I)=479,516,1

표5-3-2 생물안전 캐비넷의 규격(II)=480,517,1

표5-3-3 생물안전 캐비넷의 규격(III)=481,518,1

표5-3-4 화학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에 따른 병원체 분류=511,548,1

표5-3-5 재해대책 추진체계=518,555,1

표5-3-6 재해종류별 소관부처=519,556,1

표5-3-7 일본의 재해관리개요=524,561,1

표5-3-8 미국의 재해관리개요=525,562,1

표5-3-9 기존생물 전쟁무기와 생물범죄에 이용 가능한 biological agents=539,576,1

표5-3-10 각종 병원균의 생물 무기로서의 특성 분류=540,577,1

표5-3-11 재난 대응 수준별 특성=560,597,1

표5-3-12 재난 단계별 대처 수준=560,597,1

표5-3-13 중증도 분류 방법=572,609,1

표5-3-14 응급처치 단계와 내용=575,612,1

표5-3-15 단계별 이송업무 내용=579,616,1

표5-3-16 1차 환자 분산을 위한 수용능력과 비율 계산 방법=581,618,1

표5-3-17 1973년 이후 전세계적으로 발병이 확인된 주요 병원성 미생물(연도순)=590,627,1

표5-3-18 최근 20년간 발생한 주요 재출현 전염병(원인체별)=591,628,1

표5-3-19 현재 개발중인 주요 생물학적 무기에 대한 분류=593,630,1

표5-3-20 생물학적 무기 병원체 진단에 필요한 밀폐정도=599,636,1

그림1 Infectious Disease Identified from 1976=6,34,1

그림2 최근의 우리 나라 전염병 유행 추이=8,36,1

그림3 국가 전염병 관리를 위한 모형도=11,39,1

그림1-1-1 제1세부과제연구의 범위=39,68,1

그림1-2-1 제1세부과세의 연구 대상 내용=41,70,1

그림1-3-1 국내의 홍역 발생 현황(2000, 4월까지)=52,81,1

그림1-3-2 국내의 연도별 볼거리 발생 현황(2000, 4월까지)=53,82,1

그림1-3-3 A형 간염의 연령별 발생률(인구 10만명당)=55,84,1

그럼1-3-4 세균성 이질의 연도변 발생률=56,85,1

그림1-3-5 세균성 이질의 발생 추이(2000년 4월까지)=56,85,1

그림1-3-6 식중독의 연도별 발생률 및 발생건수=57,86,1

그림1-3-7 식중독의 병원체별 상대빈도=57,86,1

그림1-3-8 연도별 말라리아환자의 발생수=58,87,1

그림1-3-9 연도별 발생 대상별 말라리아 발생수=59,88,1

그림1-3-10 말라리아 발생의 지역적 분포=59,88,1

그림1-3-11 HIV의 연도별 성별 감염자수=60,89,1

그림1-3-12 연도별 연령별 폐결핵 유소견율=61,90,1

그림1-3-13 장티푸스의 발생 추이=62,91,1

그림1-3-14 연도별 HBsAg 양성율(%)=63,92,1

그림1-3-15 성 및 연령변 B형 간염 만성 보유자 율(100 인년 당)=63,92,1

그림1-3-16 성 및 연령별 B형 간염 만성 보유사 율(100 인년 당)=64,93,1

그림1-3-17 연도별 유행성 출혈열의 발생률(인구 100만명당)=65,94,1

그림1-3-18 일본 전염성 질환 관리체계의 흐름도(법제12 및 14조에 근거한 정보의 흐름도)=78,107,1

그림1-3-19 일본의 신감염증 환자의 입원 수속의 흐름도=78,107,1

그림2-2-1 개발하고자 하는 전염병 감시체계의 모형=113,143,1

그림2-2-2 연구의 흐름=115,145,1

그림2-3-1 미국의 전염병 감시체계 구조=129,159,1

그림2-3-2 영국의 전염병 감시체계 구조=132,162,1

그림2-3-3 프랑스 전염병 감시체계=138,168,1

그림2-3-4 우리나라 전염병 감시체계 모형=149,179,1

그림2-3-5 신고 양식=157,187,1

그림2-3-6 세균성 이질 표준 역학조사서 양식=160,190,1

그림2-3-7 홍역 표군 역학조사서 양식=161,191,1

그림2-3-8 급성열성질환 표준 역학조사서 양식=163,193,1

그림2-3-9 보건소의 전염병 감시 업무 흐름도=165,195,1

그림2-3-10 시도 보건위생과의 전염병 감시 업무=167,197,1

그림2-3-11 표본 병원 감시체계 운영 체계=183,213,1

그림2-3-12 질병 감시체계 조직 구성도=189,219,1

그림2-3-13 97, 98년 감기 발생률(결석자보고 기준)=191,221,1

그림2-3-14 97, 98년 감기 발생률(보건실 방문자 기준)=191,221,1

그림2-3-15 99년 주별 감기 발생자수(결석자 기준, 초중고)=192,222,1

그림2-3-16 99년 감기 발생률(결석자 기준, 초중고)=192,222,1

그림2-3-17 볼거리, 뇌막염, 수두, 발진 발생률(%)=193,223,1

그림2-3-18 볼거리, 수두, 뇌막염, 발진의 주별 발생자수(97,98년 자료)=193,223,1

그림2-3-19 1998, 1999년의 주별 볼거리 발생률(서울, 경기 지역)=194,224,1

그림2-3-20 지역별 볼거리 발생률(%,99년)=194,224,1

그림2-3-21 1998,1999년의 주별 수두 발생률(서울, 경기 지역)=195,225,1

그림2-3-22 지역별 수두 발생률(%,99년)=195,225,1

그림2-3-23 콜레라의 발생 추이=209,239,1

그림2-3-24 세균성 이질의 발생 추이=209,239,1

그림2-3-25 장티푸스의 발생 추이=210,240,1

그림2-3-26 파라티푸스의 발생 추이=210,240,1

그림2-3-27 식중독의 발생 추이=210,240,1

그림2-3-28 질병 부담의 피라미드=211,241,1

그림2-3-29 홍역, 볼거리 발생률(2000,4월까지)=214,244,1

그림2-3-30 '94~'98 전국 급성열성 질환의 발생 추이=221,251,1

그림2-3-31 급성 열성질환 감시 체계의 모형=222,252,1

그림2-3-32 결핵 신고 양식 (앞면)=230,260,1

그림2-3-32 결핵 신고 양식 (뒷면)=231,261,1

그림2-3-33 병원 감염 감시체계의 모형=234,264,1

그림2-3-34 1990~1998년 사망자료의 의사진단율=247,277,1

그림2-3-35 1998년 지역별 의사진단율=247,277,1

그림2-3-36 1998년 성별 연령별 전염병 사망률=248,278,1

그림2-3-37 1998년 지역별 전염병 사망률=248,278,1

그림2-3-38 1990~1998년 인플루엔자에 의한 월별 사망률=248,278,1

그림2-3-39 1990~1998년 인플루엔자에 의한 사망 건수와 결핵에 의한 연령별 사망건수 및 사망률=249,279,1

그림2-3-40 1990~1998년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 사망 건수=249,279,1

그림2-3-41 1995년~1998년 호흡기 결핵의 진료건수(좌측:외래, 우측:입원)=252,282,1

그림2-3-42 1995년~1998년 만성 바이러스성 질환의 진료건수(좌측:외래, 우측:입원)=253,283,1

그림2-3-43 1989년~1995년사이 28일 주기로 보고된 캠필로박터 환자수와 1996년도 예상 발생 환자수=258,288,1

그림2-3-44 1997년 캠필로박터 예상 발생환자수와 실제발생환자수의 비교=258,288,1

그림2-3-45 각 자료의 환자수=260,290,1

그림3-1-1 인력현황 파악시 고려사항=287,318,1

그림3-3-1 역학조사 전문인력개발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307,338,1

그림3-3-2 역학조사관 교육훈련 계획의 개요=311,342,1

그림3-3-3 시도별 지속 교육의 흐름도=312,343,1

그림4-3-1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업무흐름도=395,427,1

그림4-3-2 행정주체별 기능비중 우선순위의 상대성=395,427,1

그림4-3-3 검역소 조직=402,434,1

그림4-3-4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조직표=412,444,1

그림4-3-5 보건소의 업무 수행 정도=419,451,1

그림4-3-6 국가 전염병 관리체계 모형=432,464,1

그림4-3-7 국립 보건원 전염병 관리 조직=433,465,1

그림4-3-8 전염병 관리부의 업무=433,465,1

그림4-3-9 시ㆍ도 전염병 예방 및 관리체계 모형=442,474,1

그림5-3-1 국가 재난관리 체계=520,557,1

그림5-3-2 응급의료소 기본조직=544,581,1

그림5-3-3 현장응급의료소 조직체계도=545,582,1

그림5-3-4 재난 신고 접수 및 전파과정=561,598,1

그림5-3-5 피해자 처리 흐름도=578,615,1

그림5-3-6 1차 환자분산계획에 따른 환자분산절차=582,619,1

그림5-3-7 피해자 신원확인반의 운영 예=586,623,1

그림5-3-8 원인 불명 전염병 발생시 보고 및 대응체계=594,63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40671 614.4 ㅂ425ㅅ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