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1-2 / 해양수산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해양수산부, 2000
청구기호
333.917 ㅎ174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도,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108599
주기사항
협동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외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제종길
v.2는 부록임
내용: 1. 전라남도 서부해안 갯벌을 중심으로 -- 2. 전라남도 서부해안 갯벌의 일반조사 : 갯벌목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3,4,36

목차=39,40,11

표목차=50,51,6

그림목차=56,57,15

제1장 서론=71,72,10

참고문헌=81,82,2

제2장 갯벌의 퇴적환경 조사=83,84,2

제1절 조사개요=85,86,2

제2절 현장 조사 및 분석방법=86,87,1

1. 시료 채취=86,87,1

가. 표층퇴적물 채취 및 위치측정=86,87,5

나. 주상 퇴적물시료 채취=91,92,1

다. 측선관측=91,92,1

라. 부유 퇴적물 유출입 관측=91,92,2

2. 분석방법=92,93,1

가. 주상 퇴적물시료 분석=92,93,1

나. 입도분석=92,93,2

다. 함수율 및 유기물 분석=93,94,1

라. 유공충 분석=93,94,2

마. 부유퇴적물 분석=94,95,3

바. 중금속원소 분석=96,97,2

제3절 조사 결과=97,98,1

1. 강진만 갯벌=97,98,1

가. 지역개관=97,98,3

나. 퇴적물 유형 분포=99,100,15

다. 유공충 분포=113,114,25

라.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137,138,10

마. 주상시료의 특성=147,148,19

바. 부유퇴적물의 유ㆍ출입=165,166,12

사. 부유퇴적물을 통한 중금속원소의 유출입=176,177,5

2. 압해도 갯벌=180,181,1

가. 지역개관=180,181,3

나. 퇴적물유형 분포=182,183,13

다.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195,196,7

라. 주상 퇴적물 특성=201,202,21

마. 부유물질 유ㆍ출입=221,222,11

3. 증도 갯벌=231,232,1

가. 지역개관=231,232,3

나. 퇴적물유형 분포=233,234,14

다.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246,247,7

라. 주상 퇴적물 특성=252,253,17

제4절 토의 및 결론=268,269,1

1. 강진만 갯벌=268,269,6

2. 압해도와 증도 갯벌=274,275,2

참고문헌=276,277,5

제3장 갯벌의 생태계 조사=281,282,2

제1절 조사개요=283,284,2

제2절 갯벌의 돌말류(규조류) 및 엽록소-a 분포=285,286,1

1. 재료 및 방법=285,286,1

가. 엽록소-a=285,286,1

나. 돌말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285,286,2

2. 결과 및 고찰=286,287,1

가. 엽록소-a=286,287,7

나. 돌말류의 종조성 및 분포=292,293,9

다. 돌말류의 개체수 분포=301,302,4

3. 결론=304,305,2

제3절 중형저서동물=305,306,1

1. 재료 및 방법=305,306,2

2. 결과 및 고찰=306,307,1

가. 군집 분석 및 개체 수=306,307,7

나. 개체크기별 변화=312,313,12

다. 조사지역의 정점별 수평분포=323,324,7

라. 분류군 수 및 군집 조성=329,330,15

제4절 대형 저서동물=344,345,1

1. 조사지선 조사=344,345,1

가. 재료 및 방법=344,345,6

나. 결과=349,350,31

2. 대형 저서동물 전체 조사=380,381,1

가. 재료 및 방법=380,381,2

나. 결과=381,382,50

제5절 초대형 저서동물=431,432,1

1. 조사방법=431,432,1

2. 분석 내용=431,432,4

3. 조사결과=435,436,11

참고문헌=446,447,3

제4장 갯벌의 오염현황 조사=449,450,2

제1절 조사개요=451,452,1

제2절 갯벌의 오염현황=452,453,1

1. 재료 및 방법=452,453,1

가. 수질조사=452,453,21

나. 퇴적물조사=473,474,3

2. 결과 및 고찰=475,476,1

가. 수질조사 결과=475,476,33

나. 퇴적물조사 결과=507,508,58

참고문헌=565,566,2

제5장 갯벌의 어업방법 조사=567,568,2

제1절 조사개요=569,570,1

제2절 갯벌에서 행해지는 어업방법=569,570,1

1. 조사방법=569,570,2

2. 결과=570,571,1

가. 전통어장=570,571,2

나. 어업방법=571,572,46

참고문헌=617,618,2

제6장 갯벌 주변지역의 사회ㆍ경제적 이용현황 조사=619,620,2

제1절 갯벌주변지역의 인문적 특성 및 변화추세=621,622,1

1. 인구현황 및 변화추세=621,622,1

가. 행정구역 현황 및 변화=621,622,3

나. 인구현황 및 변화추세=624,625,4

2. 고용 및 지역경제 현황=628,629,1

가. 고용현황=628,629,2

나. 지역경제현황=629,630,2

제2절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 및 개발계휙=631,632,1

1. 갯벌에 설정된 광업권, 골재채취권 현황=631,632,2

가. 연안광물자원 현황=632,633,5

나. 골재자원 현황=636,637,6

2.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및 변화=641,642,1

가.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641,642,9

나. 토지이용 변화=650,651,7

3. 용도지역 지정현황=657,658,1

가. 국토이용계획 고시 현황=657,658,2

나. 도시계획 고시현황=658,659,2

4. 산업단지 및 개발계획 현황=660,661,1

가. 임해산업단지 현황=660,661,2

나. 산업단지 개발계획 현황=661,662,2

5. 관광자원 및 개발계획 현황=662,663,1

가. 관광자원 현황=662,663,2

나. 관광지 지정 현황=663,664,3

다. 관광개발계획 현황=665,666,5

6. 간척매립 현황 및 계획=670,671,1

가. 고시 및 시행 현황=670,671,3

나. 계획현황=673,674,1

7. 수산자원 및 어촌계 현황=673,674,1

가. 수산자원 현황=673,674,5

나. 어업권 현황=677,678,4

다. 어촌계 현황=680,681,7

제3절 갯벌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687,688,1

1. 설문조사 범위 및 조사방법=687,688,1

2. 어업인의 갯벌에 대한 의식=688,689,1

가.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688,689,1

나. 갯벌에서의 노동 및 소득=689,690,3

다. 갯벌 환경에 대한 의식=691,692,3

3. 일반주민의 갯벌에 대한 의식조사=693,694,1

가.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693,694,2

나. 갯벌 방문=694,695,3

다. 갯벌 환경=696,697,4

제4절 갯벌관리 기본방안=700,701,1

1. 제1차 년도 연구결과 요약=700,701,2

2. 연구범위 및 방법=701,702,1

가. 연구의 범위=701,702,3

나. 연구의 방법=704,705,3

3. 유형분류=706,707,1

가. 유형의 구분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시사점=706,707,3

나. PSR 구조에 의한 지표평가 결과=708,709,4

다. 유형의 분류=711,712,4

라. 유형별 관리기본방안=714,715,5

4. 제언=718,719,4

참고문헌=722,723,3

제7장 갯벌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방안(생태관광) 연구=725,726,2

제1절 연구 개요=727,728,1

1. 연구의 목적=727,728,1

2. 연구 방법=727,728,1

3. 연구 내용=728,729,1

제2절 갯벌생태관광 개념정의=729,730,1

1. 생태관광=729,730,1

가. 지속 가능한 개발과 생태관광=729,730,1

나. 생태관광의 접근시각=729,730,7

다. 생태관광의 구성요소 및 특성=735,736,4

2. 갯벌생태관광의 개념정립=739,740,1

가. 갯벌생태관광의 정의=739,740,2

나. 갯벌생태관광 활동=740,741,2

제3절 사례연구 및 전문가 설문조사=742,743,1

1. 사례연구=742,743,1

가. 강화도 갯벌생태관광=742,743,6

나. 함평군의 갯벌생태관광=748,749,4

다. 사례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751,752,3

2. 갯벌생태관광의 관리모델 설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753,754,1

가. 조사개요=753,754,2

나. 갯벌생태관광 현황 및 기대효과=754,755,3

다. 갯벌생태관광의 관리방향=756,757,8

라. 갯벌생태관광 관련 주체별 역할=763,764,4

마. 조사결과의 종합평가=766,767,2

제4절 생태관광계획수립 및 과정=767,768,1

1. 생태관광의 목표설정=767,768,2

2. 생태관광의 요건=768,769,2

3. 생태관광의 관련주체 및 그 역할=769,770,2

4. 생태관광계획의 추진과정=771,772,1

가. 생태관광계획의 추진단계=771,772,3

나. 생태관광계획의 단계별 활동내용=773,774,1

다. 생태관광계획수립을 위한 사전준비 내용=773,774,6

제5절 생태관광의 관리 및 운영방안=779,780,1

1. 생태관광 관리방안=779,780,1

가. 자원관리방안=779,780,8

나. 시설 관리방안=786,787,2

다. 이용자 및 관광객 관리방안=787,788,4

2. 생태관광 운영방안=791,792,1

가. 운영주체 조직화 방안=791,792,5

나. 사업운영방안=795,796,10

제6절 갯벌 생태관광 지침서=805,806,1

1. 지침서란=805,806,1

2. 지침서의 목적=805,806,1

가. 자원 및 지역사회에 대한 배려=805,806,1

나. 안전하고 사고 없는 생태관광 실시를 위한 배려=805,806,2

다. 관광객의 충실한 체험을 위한 배려=806,807,1

3. 지침서의 대상자=806,807,1

4. 지침서 책정 과정=806,807,1

가. 현황조사ㆍ수요예측=807,808,1

나. 과제도출=807,808,1

다. 바람직한 유도방침ㆍ방법=807,808,1

라. 지침서의 원안작성=807,808,1

마. 지침서의 책정=807,808,1

바. 공표ㆍ보급=808,809,1

5. 갯벌생태관광 가이드라인=808,809,1

가. 갯벌생태관광객에 대한 가이드라인=808,809,3

나. 여행기획자(여행회사ㆍ기획단체 등) 및 여행인솔자의 가이드라인=810,811,4

다. 숙박 등 시설의 가이드라인=813,814,3

라. 자원관리주체에 대한 지침서=815,816,4

마. 행정당국에 대한 가이드라인=818,819,3

제7절 갯벌생태관광관리모델 및 지침서(안)=820,821,1

1. 갯벌생태관광관리모델=820,821,1

가. 갯벌 생태관광관리모델이란=820,821,1

나. 갯벌생태관광모델의 구성요소=820,821,1

다. 갯벌생태관광관리모델=821,822,1

2. 갯벌생태관광추진계획수립과정=821,822,1

가. 갯벌생태관광의 목표설정=821,822,2

나. 갯벌생태관광 관련주체 및 그 역할의 명확화=822,823,1

다. (○○지역 갯벌생태관광 추진계획)의 수립=822,823,2

3. 생태관광의 관리방안=823,824,1

가. 자원관리방안=823,824,3

나. 시설관리방안=825,826,1

다. 이용자 및 관광객 관리방안=825,826,2

4. 생태관광의 운영방안=826,827,1

가. 운영주체 조직화 방안=826,827,2

나. 사업운영방안=827,828,1

5. 갯벌 생태관광 지침=827,828,3

제8절 갯벌생태관광모델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법제도적 검토=830,831,1

1. 갯벌생태관광사업을 위한 제도적 검토=830,831,1

가. 갯벌생태관광 관련 습지보전법 검토=830,831,2

나. 갯벌생태관광구역의 지정제도 도입=831,832,3

2. 갯벌생태관광의 육성 및 관리모델도입 검토=833,834,1

가. 갯벌생태관광의 육성 관련법=833,834,1

나. 갯벌생태관광관리모델의 활용=834,835,1

참고문헌 및 자료=835,836,4

제8장 갯벌생태계의 기능조사=839,840,2

제1절 갯벌의 산란장 및 서식장 기능연구=841,842,1

1.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 저서동물의 계절변화=841,842,1

가. 연구개요=841,842,1

나. 조사지 개황=841,842,1

다. 재료 및 방법=842,843,3

라. 결과=844,845,31

2. 대형 및 초대형 유영성 저서동물의 조석주기에 따른 변화=874,875,1

가. 재료 및 방법=874,875,2

나. 결과=875,876,26

3. 장봉도 남단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900,901,1

가. 재료 및 방법=900,901,2

나. 결과=902,903,7

4. 종합고찰=908,909,1

가.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 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계절변화=908,909,6

나. 대형 및 초대형 유영성 저서동물의 조석주기에 따른 변화=913,914,3

제2절 갯벌생태계의 수질정화기능 연구=915,916,1

1. 연구개요=915,916,1

가. 연구 배경=915,916,4

나. 연구 목표=918,919,1

다. 연구내용=918,919,2

2. 연구방법=919,920,1

가. 현장실험장치=919,920,5

나. 현장실험방법=924,925,4

다.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927,928,3

라. 현장실험의 수행=929,930,3

마. 현탁 유기물 제거속도 측정논리=931,932,2

3. 연구결과=932,933,1

가. 저서생물 군집구조=932,933,1

나. 수중 클로로필 색소 농도의 변화=932,933,3

다. 챔버 내의 수중 PON, POC 농도의 변화=934,935,2

라. 표층 및 저층 해수내의 PON, POC 농도의 변화=935,936,1

마. 해수 여과속도 산출=936,937,1

바. 수중 현탁 유기물의 제거속도=937,938,1

4. 고찰=938,939,1

가. 선재도 갯벌 수질정화기능의 가치=938,939,2

나. 선재도 갯벌 수질정화능력의 과소평가=939,940,2

참고문헌=941,942,4

제9장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945,946,2

제1절 연구개요=947,948,1

1.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개요=947,948,3

2. 연구방법=950,951,1

가. "제2차 해양환경교육 훈련과정" 프로그램 작성=950,951,1

나. "제2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진행 방법=950,951,6

제2절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실행 및 평가=955,956,1

1. 참가인원 및 단체현황=955,956,1

2. 해양환경교육 교과과목과 교육내용=956,957,1

가. 이론 교육=956,957,1

나. 현장 실습과 능력 개발 교육=956,957,2

다. 강사 위측=957,958,1

3. 해양환경교육 훈련 과정 종합 평가=957,958,1

가. 훈련 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957,958,3

나. 훈련 과정 중에 교육생에 대한 평가=959,960,2

다. 강사에 대한 평가=960,961,4

라. 훈련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964,965,1

마. 훈련과정 내용 중에서 보다 권장해야 할 사항=964,965,2

바. 기타 사항=965,966,1

4.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수료증 수여=965,966,2

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 과정" 이후, 교육생의 활동 현황=966,967,3

제3절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 실천(안)=968,969,1

1. 해양환경교육자 프로그램 개발 전략(안)=968,969,1

가.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의 보완점=968,969,4

2.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의 나아갈 방향=971,972,2

참고문헌=973,974,2

제10장 갯벌 생태지도 작성(함평만 중심으로)=975,976,2

제1절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갯벌의 서식지 구분=977,978,1

1. 연구개발목표 및 연구내용=977,978,1

가. 연구개발목표=977,978,2

나. 연구내용=978,979,1

다. 연구방법=978,979,2

2.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갯벌의 서식지 구분=979,980,1

가. 함평만 연구지역 개관=979,980,4

나. 갯벌 서식지 분포 파악을 위한 연구방법 비교=982,983,2

다. 갯벌 서식지 지도 작성을 위한 위성자료 전처리=984,985,12

라. 갯벌 표충퇴적물 입자조성에 따른 공간분석=995,996,11

마. 위성영상의 분광해상력과 공간해상력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1006,1007,17

바. 위성영상 중합처리에 의한 서식지 분석=1022,1023,4

사. Landsat TM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안의 갯벌분포=1025,1026,6

3. 향후 연구과제=1030,1031,9

제2절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 제작=1039,1040,1

1. GIS를 이용한 주제도 작성=1039,1040,1

가. 데이터베이스 설계=1039,1040,1

나. 데이터베이스 구축=1039,1040,3

2. 주제도 작성=1041,1042,2

3. 생태지도 제작=1042,1043,7

참고문헌=1049,1050,2

제11장 함평만 갯벌 출현종 목록=1051,1052,2

제1절 동정 방법 및 결과=1053,1054,1

1. 동정 방법=1053,1054,1

2. 동정 결과=1053,1054,2

제2절 분류 목록=1055,1056,5

제3절 조사지점별 종 구성 및 개체수=1060,1061,1

1. 함평만=1060,1061,7

2. 함평=1066,1067,17

제4절 종별 분포=1083,1084,25

참고 문헌=1108,1109,3

부록=1111,1112,94

표2-1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및 유기물 함량=101,102,2

표2-2 강진만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물의 입도 특성=114,115,1

표2-3 강진만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율 변화=115,116,1

표2-4 강진만 갯벌과 주변 주상 퇴적물시료의 입도 특성, 함수율 및 유기물 함량=116,117,3

표2-5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유형과 유공충 군집의 특성 및 각 종의 상대적 풍부성(%)=119,120,10

표2-6 집괴분석을 위한 전체군집에서 1% 이상 출현하는 72종의 유공충 목록 및 생물상=132,133,3

표2-7 6개의 생물상에 대한 유공충 특성. 종수(S), 20㎖당 개체수(N), 종다양도(H(S)), 균등도(E) 그리고 사질 유공충의 비율(%)이며, 생물상 1,2,3은 각 생물상 정점들의 평균값을 나타낸다=135,136,1

표2-8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한 조석주기간의 해수특성, 부유퇴적물 양 및 입도 특성=172,173,3

표2-9 강진만 조석주기간 동안 잔여유속 및 부유퇴적물 유출입량(flux)=175,176,1

표2-10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1 조석주기간의 중금속 원소 함량변화=184,185,1

표2-11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및 유기물 함량=199,200,2

표2-12 압해도 갯벌과 주변 주상 퇴적물 시료의 입도특성, 함수율 및 유기물 함량=203,204,2

표2-13 압해도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물의 입도 특성=205,206,1

표2-14 압해도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율 변화=206,207,1

표2-15 압해도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1조석주기간의 해수특성, 부유퇴적물 양 및 입도 특성=223,224,2

표2-16 압해도 조석주기간 잔여유속 및 부유퇴적물의 유출입량(flux)=225,226,1

표2-17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및 유기물 함량=234,235,2

표2-18 증도 갯벌과 주변 주상 퇴적물시료의 입도 특성, 함수율 및 유기물 함량=253,254,2

표2-19 증도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물의 입도 특성=255,256,1

표2-20 증도 갯벌 관측 측선 지점에서의 퇴적율 변화=256,257,1

표2-21 부유퇴적물 중 중요 중금속원소의 함량 비교(단위,㎍/g)=273,274,1

표3-1 조사지역 표층 퇴적물의 엽록소 농도=288,289,1

표3-2 증도와 압해도 및 강진만에서 출현한 저서성 돌말류의 목록 및 분류표=292,293,6

표3-3 강진만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군집=307,308,1

표3-4 압해도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군집=308,309,1

표3-5 증도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군집=309,310,1

표3-6 강진만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별 출현 분류군의 체 크기에 따른 서식밀도=313,314,3

표3-7 압해도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별 출현 분류군의 체 크기에 따른 서식밀도=317,318,4

표3-8 증도 각 조사지선의 각 정점별 출현 분류군의 체 크기에 따른 서식밀도=321,322,2

표3-9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의 집괴분석 결과 나타난 각 정점군별 생태변수의 특징=357,358,1

표3-10 압해도 주변 갯벌에 설정된 조사지선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밀도 및 생물량=361,362,1

표3-11 압해도 주변 갯벌에 설정된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66,367,1

표3-12 압해도 갯벌 조사지선 A1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각 정점군의 특성=373,374,1

표3-13 압해도 갯벌 조사지선 A2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각 정점군의 특성=374,375,1

표3-14 강진만 갯벌에 설정된 조사지선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및 서식밀도=375,376,1

표3-15 강진만 중점조사해역의 2개 조사지선의 정점별 생태지수=378,379,1

표3-16 정점조사의 집괴분석 결과 나타난 각 정점군별 생태변수 특징 및 우점종 분포=394,395,1

표3-17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종수, 밀도 및 생물량=396,397,1

표3-18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주요 우점종의 밀도 및 점유율=411,412,1

표3-19 강진만 중점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종수 및 서식밀도=414,415,1

표3-20 강진만에서 출현한 주요 우점종의 밀도 및 점유율=425,426,1

표3-21 정점별 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428,429,1

표3-22 강진만 중점조사해역의 정점군별 생태학적 특성=429,430,1

표3-23 출현 동물군의 약어(code)와 해당 동물분류군의 학명과 국명=436,437,1

표3-24 강진만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개체수 분포=437,438,1

표3-25 강진만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생물량 분포=437,438,1

표3-26 압해도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개체수 분포=438,439,1

표3-27 압해도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생물량 분포=438,439,1

표3-28 중도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개체수 분포=439,440,1

표3-29 중도 초대형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정점별 생물량 분포=439,440,1

표3-30 강진만에 채집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종 목록과 정선별 개체수 분포=441,442,3

표3-31 압해도에 채집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종 목록과 정선별 개체수 분포=444,445,1

표3-32 중도에 채집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종 목록과 정선별 개체수 분포=445,446,1

표4-1 전남 서부지역 갯벌의 소해역별 조사정점수=472,473,1

표4-2 하계 소해역별 수질의 변동범위와 평균값(2000.7~8)=483,484,1

표4-3 동계 소해역별 표층수내 수질의 연변동폭과 평균값(`89~2000)=497,498,1

표4-4 하계 소해역별 표층수내 수질의 연변동폭과 평균값(`89~2000)=504,505,1

표4-5 소해역별 갯벌내 유기물 함량의 범위와 평균값=522,523,1

표4-6 중점조사지역의 주상퇴적물내 일반성분의 농도범위와 평균값=527,528,1

표4-7 중점조사지역의 주상퇴적물내 TOC와 TON의 농도범위와 평균값=528,529,1

표4-8 갯벌내 중금속원소의 소해역별 변동범위와 평균값(2000.7~8)=545,546,1

표4-9 중점조사지역의 주상퇴적물 중 중금속원소의 농도범위와 평균값=546,547,1

표4-10 중점조사지역 주상퇴적물의 210Pb 총 방사능 및 퇴적속도(이미지참조)=556,557,1

표4-11 증도 갯벌내 입자성 중금속 유입량의 정점별 변화=562,563,1

표4-12 압해도 갯벌내 입자성 중금속 유입량의 정점별 변화=563,564,1

표4-13 강진만 갯벌내 입자성 중금속 유입량의 정점별 변화=564,565,1

표5-1 완도지구 수산자원보전지역 지정현황=570,571,1

표6-1 연구지역의 갯벌 배후 읍ㆍ면 현황=621,622,1

표6-2 행정구역 현황=623,624,1

표6-3 가구 및 인구 현황=625,626,1

표6-4 년평균 인구증가율=627,628,1

표6-5 시군별 산업별 종사자수=628,629,1

표6-6 시군별 지역총생산=630,631,1

표6-7 등록 광산수 및 생산 광산수=633,634,1

표6-8 소재지 별 광물 매장량 및 생산량 현황=635,636,1

표6-9 골재 부존량 추정=637,638,1

표6-10 전국 골제품종별 허가공급 추이=638,639,1

표6-11 연도별 바다모래 허가공급 현황=639,640,1

표6-12 1999년 바다골재 채취 허가현황=640,641,1

표6-13 2001년 바다골재 채취 예정량=641,642,1

표6-14 목포시의 토지 이용현황=641,642,1

표6-15 신안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2,643,1

표6-16 영암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3,644,1

표6-17 진도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4,645,1

표6-18 해남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4,645,1

표6-19 완도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5,646,1

표6-20 강진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6,647,1

표6-21 장흥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6,647,1

표6-22 영광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7,648,1

표6-23 함평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647,648,1

표6-24 무안군(갯별 주변지억)의 토지이용현황=648,649,1

표6-25 전남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1998)=649,650,1

표6-26 목포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0,651,1

표6-27 영암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1,652,1

표6-28 신안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1,652,1

표6-29 진도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2,653,1

표6-30 해남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2,653,1

표6-31 완도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3,654,1

표6-32 강진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3,654,1

표6-33 장흥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4,655,1

표6-34 영광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5,656,1

표6-35 함평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5,656,1

표6-36 무안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 이용변화=656,657,1

표6-37 11개 시군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변화=656,657,1

표6-38 시ㆍ군별 국토이용계획 고시현황=658,659,1

표6-39 도시계획용도 구역=659,660,1

표6-40 산업단지 현황=661,662,1

표6-41 관광단지 및 관광지 지정 현황=664,665,1

표6-42 자연공원지정 현황=664,665,1

표6-43 관광시설 현황=666,667,1

표6-44 관광객 현황=667,668,1

표6-45 관광개발계획=668,669,2

표6-46 매립고시 및 시행 현황(지정항만)=670,671,1

표6-47 매립고시 및 시행 현황(일반해면)=671,672,1

표6-48 공유수면매립 수요 현황=674,675,1

표6-49 시군별 수산물 어획고=677,678,1

표6-50 시군별 어가 및 어업인구=678,679,1

표6-51 시군별 양식어업 현황(1999)=679,680,1

표6-52 연구지역의 어촌계 일반현황=681,682,1

표6-53 어촌계의 수산업 현황 및 변화=684,685,1

표6-54 시군별 어촌계의 수산업 현황=686,687,1

표6-55 설문 응답자수 현황=687,688,1

표6-56 어업인 응답자의 월평균 소득=688,689,1

표6-57 갯벌에서의 하루평균 노동시간=689,690,1

표6-58 갯벌에서의 계절별 생산 종=691,692,1

표6-59 어업인의 선호 개발용도=693,694,1

표6-60 일반주민 응답자의 직업=694,695,1

표6-61 갯벌 방문 횟수=695,696,1

표6-62 일반주민의 선호 개발용도=699,700,1

표6-63 PSR 지표 적용방안=706,707,1

표6-64 전남 남서해안 갯벌의 PSR 지표산정 결과=712,713,1

표6-65 PSR 지표 평가를 통한 전라남도 남서해안 갯벌 유형분류=713,714,1

표6-66 갯벌유형분류를 위한 PSR 지표(안)=720,721,1

표7-1 개발접근시각에 의한 생태관광 정의=731,732,1

표7-2 환경접근시각을 통한 생태관광의 정의=732,733,2

표7-3 개발 및 환경접근시각의 생태관광 정의=734,735,1

표7-4 생태관광의 구성요소와 세부내용=736,737,1

표7-5 생태관광의 특성=737,738,1

표7-6 갯벌 생태관광자원의 특성=740,741,1

표7-7 갯벌생태관광의 활동내용=741,742,1

표7-8 해양환경탐구수련원 이용실적(2000.5.1-2000,8,31 현재)=743,744,1

표7-9 설문조사 내용=754,755,1

표7-10 습지지역의 지정내용=762,763,1

표7-11 지역추진조직의 역할=763,764,1

표7-12 지역주민의 역할=764,765,1

표7-13 여행업자의 역할=764,765,1

표7-14 연구기관의 역할=765,766,1

표7-15 지방자치단체의 역할=765,766,1

표7-16 중앙정부의 역할=766,767,1

표7-17 여행자의 역할=766,767,1

표7-18 생태관광 주체별 역할=770,771,1

표7-19 생태관광 실시를 위한 활동항목=774,775,2

표7-20 생태관광 시설 설계의 원칙=787,788,1

표7-21 가이드의 연수항목=800,801,1

표7-22 정보발신의 대상과 내용=802,803,1

표7-23 정보발신의 방법과 특성=803,804,1

표7-24 모니터링 지표=804,805,1

표8-1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0위 우점종 (계절변화)=863,864,1

표8-2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0위 우점종 (계절변화)=863,864,1

표8-3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0위 우점종 (주야 및 조석변화)=893,894,1

표8-4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0위 우점종 (주야 및 조석변화)=893,894,1

표8-5 챔버 구분에 따른 조건=931,932,1

표8-6 2000년 11월 27에 수행한 현장챔버 실험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종별 개체수(inds/㎡) 및 생체량=933,934,1

표8-7 클로로필 색소 농도, PON, POC 농도 변화율로부터 산출된 갯벌생물군집과 바지락 개체군의 여과속도 (ℓ/hr/g meat DW)=936,937,1

표8-8 선재도 갯벌의 유기 현탁물 제거 능력 (수온 9.2℃경우)=937,938,1

표8-9 인천광역시 주요 하수처리장의 COD기준 하수처리비용=938,939,1

표8-10 본 연구와 일본의 이시키 갯벌에서 측정한 Aoyama의 결과 비교=939,940,1

표8-11 실험식으로 추산한 이매패의 여과율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940,941,1

표9-1 "제2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훈련내용 및 일정=953,954,1

표9-2 "제2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에 대한 훈련참가자의 교육평가=954,955,1

표9-3 "제2차 해양환경교육 훈련과정" 참가자 현황=955,956,1

표9-4 해양환경교육 참가 교육생 수료자 현황=967,968,1

표9-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을 수료한 교육생들의 활동 현황=968,969,1

표11-1 조사된 갯지렁이류와 갑각류의 구성=1054,1055,1

그림1-1 2000년도 전라남도 서부지역의 갯벌조사 지점=74,75,1

그림1-2 1910년대의 증도 지도(1917년 측량)=75,76,1

그림1-3 1910년대의 압해도 지도(1917년, 1918년, 1923년 측량)=76,77,1

그림1-4 1910년대의 도암만 지도(1916년~1917년 측량)=77,78,1

그림1-5 전라남도 지역의 조선시대 후기 고지도=78,79,1

그림2-1 강진만에서의 채니기 및 중력코어러의 퇴적물 시료 채취와 갯벌관측 측선 위치=87,88,1

그림2-2 강진만에서의 유공충 분석용 퇴적물시료 채취와 부유물질 이동 관측지점=88,89,1

그림2-3 압해도 주변에서의 채니기 및 중력코어러의 퇴적물시료 채취와 부유물질 이동관측 지점 및 갯벌관측 측선 위치=89,90,1

그림2-4 증도 주변에서의 채니기 및 중력코어러의 퇴적물시료 채취와 갯벌관측측선 위치=90,91,1

그림2-5 강진만과 주변의 지형(인공위성 사진)=98,99,1

그림2-6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유형(sediment type)의 분포=100,101,1

그림2-7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상(sediment facies)의 분포=104,105,1

그림2-8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φ)의 분포=105,106,1

그림2-9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분급도(sorting,φ)의 분포=106,107,1

그림2-10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왜도(skewness)의 분포=107,108,1

그림2-11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첨도(kurtosis)의 분포=108,109,1

그림2-12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자갈(<-1φ,>2mm) 함량의 분포=109,110,1

그림2-13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모래(-1~4φ, 0.0625~2mm) 함량의 분포=110,111,1

그림2-14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펄(>4φ,<0.0625mm) 함량의 분포=111,112,1

그림2-15 강진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유기물 함량(%) 분포=112,113,1

그림2-16 강진만 퇴적물 중 유공충 군집자료의 집괴분석에 의한 수치도=131,132,1

그림2-17 강진만 퇴적물 중 전체 유공충 군집에 의하여 구분된 6개의 미고생물상=136,137,1

그림2-18 강진만 퇴적물 중 각 미고생물상의 살아있는 개체의 비, 종수, 종다양도, 균등도, 사질유공층의 비=138,139,1

그림2-19 강진만 갯벌 관측선의 지형단면=140,141,1

그림2-20 강진만 갯벌 관측선 1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141,142,1

그림2-21 강진만 갯벌 관측선 2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142,143,1

그림2-22 강진만 갯벌 관측선 3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143,144,1

그림2-23 강진만 갯벌 관측선 1,2,3에서의 퇴적/침식율의 변화=146,147,1

그림2-24 강진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사진=148,149,2

그림2-25 강진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151,152,7

그림2-26 강진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입도 특성=159,160,4

그림2-27 강진만 입구에서 7월 1일 대조기중 한 조석주기(13시간) 정선 관측시의 해수의 특성=166,167,1

그림2-28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한 조석주기 동안의 유속/유항=167,168,1

그림2-29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의 수심에 따른 잔여유속량의 분포=169,170,1

그림2-30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한 조석주기 동안의 전수층을 통해 이동한 부유퇴적물의 양(음의 값은 강진만으로부터 유출, 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170,171,1

그림2-31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의 수심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유출입량(flux)=171,172,1

그림2-32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의 표층, 중층, 저층에서의 쇄설성 입자의 크기등급별 분포와 부유퇴적물 함량=177,178,1

그림2-33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의 표층, 중층, 저층에서의 중금속 원소함량 분포=178,179,1

그림2-34 강진만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 관측된 중금속 원소들의 상관관계=179,180,1

그림2-35 압해도와 주변의 지형(인공위성 사진)=181,182,1

그림2-36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유형(sediment type)의 분포=183,184,1

그림2-37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상(sediment facies)의 분포=185,186,1

그림2-38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φ)의 분포=187,188,1

그림2-39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분급도(sorting, φ)의 분포=188,189,1

그림2-40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왜도(skewness)의 분포=189,190,1

그림2-41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첨도(kurtosis)의 분포=190,191,1

그림2-42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자갈(<-1φ,>2mm) 함량의 분포=191,192,1

그림2-43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모래(-1~4φ, 0.0625~2mm) 함량의 분포=192,193,1

그림2-44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mud(>4φ,<0.0625mm) 함량의 분포=193,194,1

그림2-45 압해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유기물 함량(%) 분포=194,195,1

그림2-46 압해도 갯벌 관측선의 지형단면=196,197,1

그림2-47 압해도 갯벌 관측선 1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197,198,1

그림2-48 압해도 갯벌 관측선 3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198,199,1

그림2-49 압해도 갯벌 관측선 1,2,3에서의 퇴적/침식율의 변화=202,203,1

그림2-50 압해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사진=208,209,2

그림2-51 압해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210,211,6

그림2-52 압해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입도 특성=216,217,3

그림2-53 압해도 입구에서 7월1일 대조기중 한 조석주기(13시간) 정선관측시의 해수의 특성=226,227,1

그림2-54 압해도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한 조석주기 동안의 유속/유항 및 부유 퇴적물 함량 변화=227,228,1

그림2-55 압해도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의 수심에 따른 잔여 유속량의 분포 및 부유퇴적물의 유출입량(flux)=228,229,1

그림2-56 압해도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의 한 조석주기 동안의 전수층을 통해 이동한 부유퇴적물의 양(음의 값은 압해도로부터의 유출, 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229,230,1

그림2-57 압해도 입구 정선관측지점에서 한 조석주기 동안 표층, 중층, 저층에서의 쇄설성 입자의 크기등급별 분포와 부유퇴적물 함량=230,231,1

그림2-58 증도와 주변의 지형(인공위성 사진)=232,233,1

그림2-59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유형(sediment type)의 분포=236,237,1

그림2-60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상(sediment facies)의 분포=237,238,1

그림2-61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φ)의 분포=238,239,1

그림2-62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분급도(sorting, φ)의 분포=239,240,1

그림2-63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왜도(skewness)의 분포=240,241,1

그림2-64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첨도(kurtosis)의 분포=241,242,1

그림2-65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자갈(<-1φ,>2mm) 함량의 분포=242,243,1

그림2-66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모래(-1~4φ, 0.0625~2mm) 함량의 분포=243,244,1

그림2-67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mud(>4φ,<0.0625mm) 함량의 분포=244,245,1

그림2-68 증도 갯벌과 주변 퇴적물 중 유기물 함량(%) 분포=245,246,1

그림2-69 증도 갯벌 관측선의 지형단면=248,249,1

그림2-70 증도 갯벌 관측선 1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249,250,1

그림2-71 증도 갯벌 관측선 2에서의 퇴적상 및 퇴적물 특성=250,251,1

그림2-72 증도 갯벌 관측선 1,2에서의 퇴적/침식율의 변화=251,252,1

그림2-73 증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사진=258,259,1

그림2-74 증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259,260,5

그림2-75 증도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입도 특성=264,265,3

그림3-1 엽록소 a, 규조류 및 중형저서동물 조사정점도(A:강진만, B:압해도, C:증도)=284,285,1

그림3-2 증도 표층 퇴적물의 엽록소(mg/㎡) 분포=289,290,1

그림3-3 압해도 표층 퇴적물의 엽록소(mg/㎡) 분포=290,291,1

그림3-4 강진만 표층 퇴적물의 엽록소(mg/㎡) 분포=291,292,1

그림3-5 증도 갯벌의 정점별 돌말류 개체수 분포=299,300,1

그림3-6 압해도 갯벌의 정점별 출현 종수 분포=299,300,1

그림3-7 강진만 갯벌의 정점별 출현 종수 분포=300,301,1

그림3-8 증도 갯벌의 정점별 돌말류 개체수 분포=302,303,1

그림3-9 압해도 갯벌의 정점별 돌말류 개체수 분포=302,303,1

그림3-10 강진만 갯벌의 정점별 돌말류 개체수 분포=303,304,1

그림3-11 강진만 각 조사지선 각 정점별 중형저서생물의 서식밀도=324,325,1

그림3-12 압해도 각 조사지선 각 정점별 중형저서생물의 서식밀도=325,326,1

그림3-13 증도 각 조사지선 각 정점별 중형저서생물의 서식밀도=326,327,1

그림3-14 전 조사해역의 전 정점에서의 중형저서생물의 수평분포=327,328,1

그림3-15 강진만 각 조사지선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분류군의 서식비율=330,331,4

그림3-16 압해도 각 조사지선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분류군의 서식비율=334,335,4

그림3-17 증도 각 조사지선에서 출현한 중형저서생물 분류군의 서식비율=338,339,4

그림3-18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조사정점 및 조사지선=345,346,1

그림3-19 압해도 주변 갯벌의 중점조사 정점 및 조사지선=346,347,1

그림3-20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의 중점조사 정점 및 조사지선=347,348,1

그림3-21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 출현개체수 및 생물량 조성=351,352,1

그림3-22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의 정점별 출현개체수, 종수 및 생물량의 분포=352,353,1

그림3-23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에서 출현한 주요 우점종의 정점별 분포=353,354,1

그림3-24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의 정점별 종다양도지수(H')와 균등도지수(J) 분포=355,356,1

그림3-25 덕정리 갯벌(조사지선 C1)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356,357,1

그림3-26 증동리 갯벌(조사지선 C2)에서 출현한 연체동물 우점종의 정점별분포=359,360,1

그림3-27 압해도 갯벌의 조사지선 A1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 분포=362,363,1

그림3-28 압해도 갯별의 조사지선 A2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 분포=363,364,1

그림3-29 압해도 갯벌의 조사지선 A1에서 2000년 8월에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주요우점종의 공간 분포=367,368,1

그림3-30 압해도 갯벌의 조사지선 A2에서 2000년 8월에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주요우점종의 공간 분포=368,369,1

그림3-31 압해도 갯벌의 A1 및 A2 조사지선에서 2000년 8월에 조사한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다양도의 공간 분포=369,370,1

그림3-32 압해도 갯벌의 조사지선 A1에서 2000년 8월에 조사한 대형 저서동물 자료를 사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한 수지도=371,372,1

그림3-33 압해도 갯벌의 조사지선 A2에서 2000년 8월에 조사한 대형 저서동물 자료를 사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한 수지도=372,373,1

그림3-34 강진만 갯벌에 설정된 조사지선 K1, K2의 정점별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376,377,1

그림3-35 강진만 갯벌에 설정된 조사지선의 집괴분석 결과 수지도=379,380,1

그림3-36 증도 갯벌에서 채집된 대형 저서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 출현개체수 및 생물량 조성=382,383,1

그림3-37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분포=383,384,1

그림3-38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서식밀도 분포=384,385,1

그림3-39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385,386,1

그림3-40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우점종(Latemulla flexuosa)의 서식밀도=388,389,1

그림3-41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우점종(Heteromastus filiformiss)의 서식밀도=389,390,1

그림3-42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우점종(Ventricoloidea sp.)의 서식밀도=390,391,1

그림3-43 2000년 7월 증도 주변 갯벌의 정점별 종다양도지수(H') 분포=391,392,1

그림3-44 증도 주변 갯벌 정점조사의 대형 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치도=392,393,1

그림3-45 대형 저서동물 출현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결과 구분된 정점군 배열=393,394,1

그림3-46 압해도 갯벌에서 2000년 8월에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공간분포=397,398,1

그림3-47 압해도 갯벌에서 2000년 8월에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서식밀도의 공간분포=398,399,1

그림3-48 압해도 갯벌에서 2000년 8월에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생물량의 공간분포=399,400,1

그림3-49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Heteromastus Filiformis의 공간분포=402,403,1

그림3-50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부리운모조개(L. navicula)의 공간분포=403,404,1

그림3-51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의 공간분포=404,405,1

그림3-52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갓모갯지렁이(Haploscoloplos elongatus)의 공간분포=405,406,1

그림3-53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털콩게(Ilyoplax fragililis)의 공간분포=406,407,1

그림3-54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애기반투명조개(Theora deschampi)의 공간분포=407,408,1

그림3-55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흑색반점기수우렁이(Stenothyra edogawaensis)의 공간분포=408,409,1

그림3-56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Tharyx sp.의 공간분포=409,410,1

그림3-57 압해도 갯벌에서 출현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공간분포=410,411,1

그림3-58 압해도 갯벌 저서동물 군집 종 다양도의 공간분포=412,413,1

그림3-59 압해도 갯벌 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 분포=413,414,1

그림3-60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공간분포=416,417,1

그림3-61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의 공간분포=417,418,1

그림3-62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Corophium sinense의 공간분포=419,420,1

그림3-63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애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의 공간분포=420,421,1

그림3-64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Tharyx sp의 공간분포=421,422,1

그림3-65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의 공간분포=422,423,1

그림3-66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종밋(Musculista senhousis)의 공간분포=423,424,1

그림3-67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에 출현한 Erioipisella sechellensis의 공간분포=424,425,1

그림3-68 강진만 중점조사 해역 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 분포=427,428,1

그림3-69 증도 갯벌에서 초대형 저서동물 채집장소=432,433,1

그림3-70 압해도 갯벌에서 초대형 저서동물 채집장소=433,434,1

그림3-71 강진만 초대형 저서동물 채집장소=434,435,1

그림4-1 전라남도 서부지역 갯벌조사(2000년도) 지역=453,454,1

그림4-2 영광연안 조사정점=454,455,1

그림4-3 임자도, 증도, 사옥도 인근 조사정점(⊙주상시료 채집 정점)=455,456,1

그림4-4 지도, 임수반도 인근 조사정점=456,457,1

그림4-5 압해도, 무안연안 인근 조사정점(⊙주상시료 채집 정점)=457,458,1

그림4-6 자은도, 암태도 인근 조사정점=458,459,1

그림4-7 팔금도, 안좌도 인근 조사정점=459,460,1

그림4-8 비금도, 도초도 인근 조사정점=460,461,1

그림4-9 하의도, 상태도,장산도 인근 조사정점=461,462,1

그림4-10 진도 인근 조사정점=462,463,1

그림4-11 상조도, 하조도 인근 조사정점=463,464,1

그림4-12 해남연안 조사정점=464,465,1

그림4-13 해남연안 조사정점=465,466,1

그림4-14 노화도, 보길도 인근 조사정점=466,467,1

그림4-15 완도 인근 조사정점=467,468,1

그림4-16 고금도, 신지도 인근 조사정점=468,469,1

그림4-17 도암만 인근 조사정점(⊙주상시료 채집 정점)=469,470,1

그림4-18 연안어장 환경 오염조사('89~'94)=470,471,1

그림4-19 해양환경 측정망 조사('97~계속)=471,472,1

그림4-20 갯벌인근 표층수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지역별 변화=476,477,1

그림4-21 갯벌인근 표층수의 COD, SS, Chl, a의 지역별 변화=477,478,1

그림4-22 갯벌인근 표층수의 DIP, DIN, 규산규소의 지역별 변화=481,482,1

그림4-23 갯벌인근 표층수의 DIN/DIP와 Si/DIP비의 지역별 변화=482,483,1

그림4-24 증도 인근 표층수 중 수온, 염분, DO, COD의 정점별 변화=485,486,1

그림4-25 증도인근 표층수 중 SS, 클로로필-a, DIP, DIN의 정점별 변화=486,487,1

그림4-26 증도인근 표층수내 규산규소, DIN/DIP, Si/DIP비값의 정점별 변화=487,488,1

그림4-27 압해도인근 표층수 중 수온, 염분, DO, COD의 정점별 변화=488,489,2

그림4-28 압해도인근 표충수내 SS, 클로로필-a, DIP, DIN의 정점별 변화=490,491,1

그림4-29 압해도 인근 표층수 중 규산규소, DlN/DlP, Si/DIP의 정점별 변화=491,492,1

그림4-30 도암만 표층수 중 수온, 염분, DO, COD의 정점별 변화=492,493,1

그림4-31 도암만 인근 표층수 중 SS, 클로로필 a, DIP, DIN의 정점별 변화=494,495,1

그림4-32 도암만 인근 표층수 중 규산규소, DIN/DIP, Si/DIP의 정점별 변화=495,496,1

그림4-33 동계 소해역별 수온과 염분 평균값의 경년변화=496,497,1

그림4-34 동계 소해역별 DO와 COD 평균값의 경년변화=498,499,1

그림4-35 동계 소해역별 DIP와 DIN 평균값의 경년변화=500,501,1

그림4-36 동계 소해역별 SS와 DIN/DIP비값의 경년변화=501,502,1

그림4-37 하계 소해역별 수온과 염분 평균값의 경년변화=502,503,1

그림4-38 하계 소해역별 DO과 COD 평균값의 경년변화=503,504,1

그림4-39 하계 소해역별 DIP와 DIN 평균값의 경년변화=505,506,1

그림4-40 하계 소해역별 SS와 DlN/DlP비값의 경년변화=506,507,1

그림4-41 소해역별 수온, 염분, DO, COD의 계절변동양상=508,509,1

그림4-42 소해역별 SS, DIP, DlN, DIN/DIP비의 계절변동양상=509,510,2

그림4-43 갯벌 중 TIL, COD, AVS의 지역별 농도 변화=511,512,1

그림4-44 증도 갯벌내 일반성분의 정점별 변화=512,513,1

그림4-45 증도, 사옥도 표층퇴적물 COD 분포=513,514,1

그림4-46 증도, 사옥도 표층퇴적물 AVS의 분포=514,515,1

그림4-47 압해도 갯벌내 일반성분의 정점별 변화=516,517,1

그림4-48 압해도와 무안연안 표층퇴적물에서 COD 분포=517,518,1

그림4-49 압해도, 무안연안 표층퇴적물에서 AVS 분포=518,519,1

그림4-50 도암만 갯벌내 일반성분의 정점별 변화=519,520,1

그림4-51 도암만 표층퇴적물에서 COD 분포=520,521,1

그림4-52 도암만 표층퇴적물에서 AVS 분포=521,522,1

그림4-53 소해역별 갯벌내 TOC, TON, TOC/TON의 변화=524,525,1

그림4-54 증도, 압해도, 도암만 갯벌내 TOC와 TON의 정점별 변화=525,526,1

그림4-55 증도와 압해도 주상퇴적물내 TIL과 AVS의 수직분포(J1:증도 남쪽, J2:증도 동쪽, A1:압해도 북쪽, A2:압해도 남쪽)=529,530,1

그림4-56 도암만 주상퇴적물 중 TIL과 AVS의 수직분포(D1:도암만 북쪽 내만, D2:도암만 중앙부)=530,531,1

그림4-57 증도 갯벌내 TOC와 TON의 수직농도분포=532,533,1

그림4-58 압해도 갯벌내 TOC와 TON의 수직농도분포=533,534,1

그림4-59 도암만 갯벌내 TOC와 TON의 수직농도분포=534,535,1

그림4-60 갯벌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소해역별 변동양상=535,536,1

그림4-61 갯벌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소해역별 변동양상=536,537,1

그림4-62 증도 갯벌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정점별 변화=538,539,1

그림4-63 증도 갯벌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정점별 변화=539,540,1

그림4-64 압해도 갯벌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정점별 변화=541,542,1

그림4-65 압해도 갯벌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정점별 변화=542,543,1

그림4-66 도암만 갯벌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정점별 변화=543,544,1

그림4-67 강진만 갯벌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정점별 변화=547,548,1

그림4-68 증도 북동쪽 정점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도분포=548,549,1

그림4-69 증도 남쪽 정점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분포=549,550,1

그림4-70 압해도 북쪽 정점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도분포=550,551,1

그림4-71 압해도 남쪽 정점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도분포=551,552,1

그림4-72 도암만 북쪽 정점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도분포=552,553,1

그림4-73 도암 중앙부의 주상시료내 중금속원소의 수직농도분포=553,554,1

그림4-74 증도 주상퇴적물내 Pb-210 총 방사능의 수직분포=559,560,1

그림4-75 압해도 주상퇴적물내 Pb-210 총 방사능의 수직분포=560,561,1

그림4-76 강진만 주상퇴적물내 Pb-210 총방사능의 수직분포=561,562,1

그림5-1 갯벌에서의 바지락 채취 전경=572,573,1

그림5-2 갯벌에서 조개류 채취 전경=572,573,1

그림5-3 갯벌에서의 낙지잡이 전경=573,574,1

그림5-4 갯벌에서의 조개류 채취 전경=573,574,1

그림5-5 갯벌 바지락 양식장에서의 바지락 채취 전경=574,575,1

그림5-6 투석식 굴양식장 전경=574,575,1

그림5-7 투석식 굴양식의 대체방법인 타이어식 굴 양식시설 전경=575,576,1

그림5-8 갯벌에서 행해지는 김양식 전경=575,576,1

그림5-9 손잡이 어구류(호미)=578,579,1

그림5-10 손잡이 어구류(조개채취기)=578,579,1

그림5-11 손잡이 어구류(갯지렁이 채취기)=579,580,1

그림5-12 손잡이 어구류(창류)=579,580,1

그림5-13 틀방 그물류(바지락 채취기)=580,581,1

그림5-14 갯벌에 설치한 어각망 전경=582,583,1

그림5-15 갯벌에 설치한 건각망 전경=582,583,1

그림5-16 울타리류(어전)=583,584,1

그림5-17 함정어구류(개량형 개막이 그물)=584,585,1

그림5-18 함정어구류(개량형 개막이 그물)=585,586,1

그림5-19 채포어구류(잠수기)=587,588,1

그림5-20 은신함정류(쭈꾸미 소호)=588,589,1

그림5-21 은신함정류 (문어단지)=589,590,1

그림5-22 쭈꾸미 소호를 쌓아 놓은 전경=590,591,1

그림5-23 가두리 그물류(숭어 2각망)=593,594,1

그림5-24 가두리 그물류(숭어 3각망)=594,595,1

그림5-25 끌어구류(피조개형망)=595,596,1

그림5-26 끌어구류(소라형망)=596,597,1

그림5-27 끌 어구류(가리비 형망)=597,598,1

그림5-28 끌어구류(바지락 형망)=598,599,1

그림5-29 저층 끌그물류(중하 빔트롤)=599,600,1

그림5-30 저층 끌그물류(자주새우 빔트롤)=600,601,1

그림5-31 들 그물류(멸치 채들망)=601,602,1

그림5-32 덮 그물류(투망)=602,603,1

그림5-33 얽애 그물류(민어 이중자망)=604,605,1

그림5-34 얽애 그물류(젓새우 주머니 얽애그물)=605,606,1

그림5-35 갯벌인근에서 행해지는 새우잡이 닻자망의 전경=606,607,1

그림5-36 얽애 그물류(망둥어 삼중자망)=607,608,1

그림5-37 낭장망류(멸치낭장망)=610,611,1

그림5-38 입구일정 어구류(젓새우 주목망)=611,612,1

그림5-39 입구일정 어구류(멸치주목망)=612,613,1

그림5-40 입구일정 어구류(망둥어 쪽대)=613,614,1

그림5-41 입구일정 어구류(새우 밀대)=614,615,1

그림5-42 주낙류(농어주낙)=615,616,1

그림5-43 주낙류(갯장어 주낙)=616,617,1

그림6-1 연구지역의 범위(해당 읍면)=622,623,1

그림6-2 해당 읍면별 인구밀도=626,627,1

그림6-3 시군별 인구추이=627,628,1

그림6-4 시군별 1차 산업 종사자 비율=629,630,1

그림6-5 채취원별 골재공급량 추이=639,640,1

그림6-6 산업단지 유형별 조성면적=660,661,1

그림6-7 각 시군별 관광객수=667,668,1

그림6-8 시군별 매립고시 현황=672,673,1

그림6-9 용도별 매립고시 현황=672,673,1

그림6-10 지역별 매립수요 현황=675,676,1

그림6-11 용도별 매립수요 현황=675,676,1

그림6-12 수산물 어획고 현황=676,677,1

그림6-13 강진군의 어촌계 현황=683,684,1

그림6-14 갯벌 수확량=690,691,1

그림6-15 갯벌 수확량 감소원인=690,691,1

그림6-16 보전 이유=692,693,1

그림6-17 개발 이유=692,693,1

그림6-18 갯벌 방문경험=695,696,1

그림6-19 갯벌 방문목적=696,697,1

그림6-20 갯벌 환경=697,698,1

그림6-21 갯벌환경 악화원인=697,698,1

그림6-22 갯벌의 보전 이유=698,699,1

그림6-23 갯벌의 개발 이유=698,699,1

그림6-24 제1차년도 연구개요=700,701,2

그림6-25 연구지역의 갯벌 단위지역=702,703,1

그림6-26 갯벌관리 기본방안 도출 연구 체계도=703,704,1

그림6-27 갯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PSR 구조 응용체계=705,706,1

그림6-28 갯벌영향 압력지표(Pressure) 평가결과=708,709,1

그림6-29 갯벌 상태지표(State) 평가결과=709,710,1

그림6-30 갯벌 대응지표(Response) 평가결과=710,711,1

그림6-31 PSR(Pressure-State-response) 지표종합평가=711,712,1

그림6-32 갯벌유형 분류 및 관리체제 발전 모식도=721,722,1

그림7-1 생태관광 틀=735,736,1

그림7-2 생태관광의 구성요소 및 목표달성=738,739,1

그림7-3 생태관광프로그램의 운영현황=755,756,1

그림7-4 과도한 이용에 따른 문제점=755,756,1

그림7-5 갯벌생태관광 도입을 통한 효과=756,757,1

그림7-6 갯벌생태관광의 추진 목표=757,758,1

그림7-7 갯벌생태관광의 관련주체별 역할=758,759,1

그림7-8 갯벌생태관광의 도입활동=758,759,1

그림7-9 이용량(관광객 수 및 관광활동) 규제방안=759,760,1

그림7-10 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760,761,1

그림7-11 이용자 가이드라인의 내용=760,761,1

그림7-12 시설설계의 원칙=761,762,1

그림7-13 지역의 소득화 방안=762,763,1

그림7-14 갯벌생태관광의 운영지역=763,764,1

그림7-15 생태관광의 관련 주체=769,770,1

그림7-16 생태관광 추진절차=771,772,1

그림7-17 LAC 모델의 적용과정=785,786,1

그림8-1 조사해역의 정점도=843,844,1

그림8-2 오토 트롤 모식도=843,844,1

그림8-3 조사해역 퇴적물의 조성과 평균입도 (mean phi)=846,847,1

그림8-4 조사해역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 (sediment ignition loss)=847,848,1

그림8-5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A), 개체수 (B) 및 생물량 (C)=848,849,1

그림8-6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계절변화=849,850,1

그림8-7 A 지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계절변화=851,852,1

그림8-8 B 지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계절변화=853,854,1

그림8-9 C 지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계절변화=855,856,1

그림8-10 조사 해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다양도, 균등도)=857,858,1

그림8-11-1 조사 해역에서의 개체수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58,859,1

그림8-11-2 조사 해역에서의 개체수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 (log 변환)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59,860,1

그림8-12-1 조사 해역에서의 생물량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60,861,1

그림8-12-2 조사 해역에서의 생물량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 (log 변환)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61,862,1

그림8-13 조사 해역의 집괴분석 결과=868,869,1

그림8-14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계절 변화=869,870,1

그림8-15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게류의 계절 변화=870,871,1

그림8-16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새우류의 계절 변화=872,873,1

그림8-17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두 새우류 군집 (징거미새우과, 보리새우과)의 계절 변화=873,874,1

그림8-18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계절 변화=874,875,1

그림8-19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A), 개체수 (B) 및 생물량 (C)=877,878,1

그림8-20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878,879,1

그림8-21-1 A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880,881,1

그림8-21-2 A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 (logX+1 변환)=881,882,1

그림8-22-1 B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883,884,1

그림8-22-2 B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logX+1 변환)=884,885,1

그림8-23-1 C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886,887,1

그림8-23-2 C정선 해역에서 출현하는 대형 및 초대형 생물의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 (logX+1 변환)=887,888,1

그림8-24 조사 해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다양도, 균등도)=889,890,1

그림8-25 조사 해역에서의 개체수 상위 10위 우점종의 변화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91,892,1

그림8-26 조사 해역에서의 생물량 상위 10위 우점종의 변화 (상;A 지역, 중;B지역, 하;C지역)=892,893,1

그림8-27 조사 해역의 집괴분석 결과=897,898,1

그림8-28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변화=898,899,1

그림8-29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변화 (상, 중;게류, 하;새우류)=899,900,1

그림8-30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변화=901,902,1

그림8-31 1999년 7월 갯벌 퇴적물의 조성과 평균 입도=903,904,1

그림8-32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a) 및 생물량 (b)=904,905,1

그림8-33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상;A 정선, 중;B정선, 하;C정선)=906,907,1

그림8-34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량 (상;A 정선, 중;B정선, 하;C정선 & (a);law data,(b);log transformed))=907,908,1

그림8-35 주요 유용어류 자원의 계절 분포=911,912,1

그림8-36 주요 유용 수산자원의 계절 분포 (갑각류 및 두족류)=912,913,1

그림8-38 챔버 규격=920,921,1

그림8-39 챔버 실물 사진=920,921,1

그림8-40 챔버실험 모식도=921,922,1

그림8-41 챔버 조절장치(상) 및 센서(하)=922,923,1

그림8-42 해수시료 여과장비=922,923,1

그림8-43 (a) 갯벌위에 설치된 챔버 (b)상부지지틀 (c)하부 지지틀과 고정핀 (d)지지봉=923,924,1

그림8-44 조사지역의 간만조시 전경=924,925,1

그림8-45 설치 이전의 챔버=925,926,1

그림8-46 설치 완료된 챔버=925,926,1

그림8-47 (a) 실험구 (c) 대조구(무생물) (b) 대조구(바지락)=925,926,1

그림8-48 챔버에 해수가 가득차면 마개를 막아 해수를 가둔다=926,927,1

그림8-49 썰물이 되어 챔버가 다시 드러나면 현장실험을 종결한다=926,927,1

그림8-50 갯벌생물의 섭식활동에 의한 수중 클로로필 색소의 농도변화=934,935,1

그림8-51 갯벌 생물의 섭식활동에 의한 수중 입자성 유기질소의 농도변화=935,936,1

그림8-52 갯벌생물의 섭식활동에 의한 수중 입자성 유기탄소의 농도변화=935,936,1

그림9-1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교과과목의 배당시간 비율=956,957,1

그림9-2 훈련 과정 중에 주관과 운영팀에 대한 평가=958,959,1

그림9-3 훈련 과정 중에 훈련생에 대한 평가=960,961,1

그림9-4 훈련 과정 중에 강사에 대한 평가=961,962,1

그림9-5 가장 좋았던 과목=962,963,1

그림9-6 가장 준비가 잘 되었던 과목=963,964,1

그림9-7 가장 인상이 깊었던 강사=963,964,1

그림9-8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흐름도=969,970,1

그림10-1 전라남도 갯벌의 분포(인천광역시 자연 생태 정보시스템 http://www.wetland.or.kr에서 재인용)=980,981,1

그림10-2 해양수산부 해양조사원에서 제시한 연구지역의 갯벌분포도=981,982,1

그림10-3 갯벌 서식지 지도 작성을 위한 함평만 연구지역=982,983,1

그림10-4 Landsat TM의 기하보정 후 연구지역 추출을 위한 좌표계 구성=986,987,1

그림1Q-5 Landsat TM의 기하보정 후 전라남도 행정구역 추출=986,987,1

그림10-6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서 검색 후 갯벌분석을 위해 선정된 아리랑 EOC 6.6m 해상도의 전라남도 갯벌영상=987,988,1

그림10-7 함평만 연구지역을 포함한 전라남도 서남해안의 SPOT 다중영상=988,989,1

그림10-8 함평만 연구지역의 SPOT 다중영상=989,990,1

그림10-9 함평만 연구지역을 포함한 전라남도 서남해안의 SPOT 전정색 영상=990,991,1

그림10-10 함평만 연구지역의 SPOT 전정색 영상=991,992,1

그림10-11 함평만 연구지역의 Landsat TM 영상(1997년 6월)=992,993,1

그림10-12 함평만 연구지역의 Landsat TM 영상(1999년 2월)=993,994,1

그림10-13 함평만 연구지역의 Landsat TM(1999년 5월)=994,995,1

그림10-14 함평만 연구지역의 Landsat TM 영상(2000년 3월)=995,996,1

그림10-15 모래갯벌, 펄갯벌, 하구역 갯벌에 의한 저서동물의 분포(홍재상, 1998)=1001,1002,1

그림10-16 무감독분류법(K-means)에 의한 표층 퇴적물의 분포(1999년 5월 Landsat TM data)=1002,1003,1

그림10-17 무감독분류법(lSODATA)에 의한 표층 퇴적물의 분포(1999년 5월 Landsat TM data)=1003,1004,1

그림10-18 마스킹한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1999년 5월 Landsat TM data)=1004,1005,1

그림10-19 마스킹한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를 연두색의 식생분포지역과 갯벌 분포지역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1999년 2월 Landsat TM data)=1005,1006,1

그림10-20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아리랑 EOC 영상=1007,1008,1

그림10-21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아리랑 EOC 영상의 부분 상세지도=1008,1009,1

그림10-22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아리랑 EOC 영상의 부분 상세지도=1009,1010,1

그림10-23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아리랑 EOC 영상의 부분 상세지도=1010,1011,1

그림10-24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아리랑 EOC 영상의 부분 상세지도=1011,1012,1

그림10-25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SPOT 전정색(10m)영상=1012,1013,1

그림10-26 함평만의 갯벌 식생분포 파악을 위한 SPOT 다중영상(20m) 붉은색 폴리곤에 의해 갯벌 서식지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1015,1016,1

그림10-27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만조시 영상으로 갯벌의 구분이 불명확하다. 흰선은 간조시 갯벌지역의 벡터자료 (Landsat TM-1997년 6월 영상)=1016,1017,1

그림10-28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산림을 나타내는 녹색과 임수반도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의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1999년 2월 영상)=1017,1018,1

그림10-29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산림을 나타내는 녹색과 임수반도와 지도의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의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1999년 5월 영상)=1018,1019,1

그림10-30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산림을 나타내는 녹색과 임수반도 아래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의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2000년 3월 영상)=1019,1020,1

그림10-31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산림을 나타내는 녹색과 임수반도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의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2000년 5월 영상)=1020,1021,1

그림10-32 근적외선 밴드를 이용한 함평만의 갯벌분포도. 산림을 나타내는 녹색과 임수반도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의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2000년 10월 영상)=1021,1022,1

그림10-33 가시영역 밴드의 Radiance 분석을 통한 함평만 갯벌 서식지 구분도 임수반도 갯벌에 분포하는 녹색지역에 의한 서식지 구분이 명확하다. (Landsat TM 1999년 5월 영상)=1023,1024,1

그림10-34 근적외선과 중적외선 영역의 Radiance 값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도 임수반도 갯벌에 분포하는 적색지역에 의해 서식지를 구분할 수 있다 (Landsat TM 1999년 5월 영상)=1024,1025,1

그림10-35 SPOT 1999년 5월 전정색 영상과 1999년 5월 Landsat TM 영상을 HSV(Hue, Saturation, and Value) 변환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도=1026,1027,1

그림10-36 SPOT 1999년 5월 전정색 영상과 1999년 5월 Landsat TM 영상을 Color Normalized(Brovey) 변환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도=1027,1028,1

그림10-37 SPOT 1999년 5월 전정색 영상과 1999년 2월 Landsat TM 영상을 HSV(Hue, Saturation, and Value) 변환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도=1028,1029,1

그림10-38 SPOT 1999년 5월 전정색 영상과 1999년 2월 Landsat TM 영상을 Color Normalized(Brovey) 변환에 의한 갯벌 서식지 구분도=1029,1030,1

그림10-39 SeaWIFS의 가시영역 밴드에 의한 전라남도 연안의 부유물질 분포 그림좌하단의 부유물질은 양자강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모습이다 (1999년 4월 영상)=1031,1032,1

그림10-40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 갯벌과 서식지 분포도 (1999년 2월 Landsat TM 영상)=1032,1033,1

그림10-41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 갯벌과 서식지 분포도 (1999년 5월 Landsat TM 영상)=1033,1034,1

그림10-42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 갯벌과 서식지 분포도 (2000년 3월 Landsat TM 영상)=1034,1035,1

그림10-43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 갯벌과 서식지 분포도 (2000년 5월 Landsat TM 영상)=1035,1036,1

그림10-44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 의한 전라남도 서남해 갯벌과 서식지 분포도 (2000년 10월 Landsat TM 영상)=1036,1037,1

그림10-45 함평만 수치지도=1044,1045,1

그림10-46 함평만의 갯벌변천사(1910년대와 2000년대)=1045,1046,1

그림10-47 함평만 해안유형(암석, 모래, 침식, 석축)=1046,1047,1

그림10-48 정점별 저서무척추동물 개체수 밀도(해당정점의 종별 개체수 검색)=1047,1048,1

그림10-49 지역별 동식물상의 분포 및 관찰장소=1048,1049,1

함평만갯벌생태지도=1204,1205,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71832 333.917 ㅎ174ㄱ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871833 333.917 ㅎ174ㄱ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