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2001, 1-3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해양수산부, 2001
청구기호
333.917 ㅎ174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 : 삽도, 도표, 사진 ; 30 cm + 지도1장
제어번호
MONO120020681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해양연구원
협동연구기관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외
딸림자료는 도암만 갯벌 생태지도임
v.2-3은 부록1-2임
주관연구책임자: 제종길
내용: v.2(부록1), 전라남도 동부해안과 전라북도 갯벌의 일반조사 : 갯벌목록. - v.3(부록2), 갯벌 생태 관광 시범운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요약문=3,5,48

목차=51,53,12

표목차=63,65,7

그림목차=70,72,14

부록목차=84,86,3

제1장 서론=87,89,8

참고문헌=95,97,2

제2장 갯벌의 퇴적환경=97,99,2

제1절 서론=99,101,2

제2절 현장 조사 및 분석방법=101,103,1

1. 시료 채취=101,103,1

가. 표층퇴적물 채취 및 위치측정=101,103,1

나. 주상퇴적물시료 채취=101,103,4

다. 측선관측=104,106,1

라. 부유 퇴적물 유출입 관측=104,106,2

2. 분석방법=105,107,1

가. 주상퇴적물시료 분석=105,107,1

나. 입도분석=105,107,2

다. 함수율=160,108,1

라. 유공충 분석=106,108,1

마. 부유퇴적물 분석=107,109,2

제3절 조사 결과=109,111,1

1. 여자만 갯벌=109,111,1

가. 지역개관=109,111,2

나. 퇴적물 유형 분포=110,112,12

다.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121,123,13

라. 주상시료의 특성=133,135,32

마. 부유퇴적물의 유ㆍ출입=164,166,21

2. 새만금 갯벌=184,186,1

가. 지역개관=184,186,2

나. 퇴적물유형 분포=185,187,13

다. 유공충 분포=197,199,1

라.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197,199,16

마. 주상퇴적물 특성=212,214,29

바. 부유물질 유ㆍ출입=240,242,11

제4절 토의 및 결론=251,253,6

참고문헌=257,259,6

제3장 갯벌의 생태계 조사=263,265,2

3-1장 미생물의 분포 (새만금 갯벌)=265,267,1

제1절 연구개요=265,267,1

제2절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265,267,1

1. 조사 정점 및 일정=265,267,3

2. 종속영양세균 수(배양가능 세균 수)=267,269,1

3. 세균 효소활성=267,269,2

4. 미생물군집의 단일 탄소원 이용능(기질이용도)=268,270,1

제3절 조사결과=268,270,1

1. 종속영양세균 수=268,270,3

2. 세포의 효소활성=270,272,5

3. 미생물군집의 단일 탄소원 이용능(기질이용도)=274,276,9

제4절 결론=282,284,1

참고문헌=283,285,1

3-2장 갯벌의 돌말류(규조류) 및 엽록소-a 분포=284,286,1

제1절 연구개요=284,286,1

제2절 재료 및 방법=284,286,1

1. 엽록소-a=284,286,4

2. 돌말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287,289,1

제3절 결과 및 고찰=287,289,1

1. 엽록소-a=287,289,4

2. 돌말류의 종조성 및 분포=290,292,3

3. 돌말류의 개체수 분포=292,294,3

제4절 결론=295,297,9

참고문헌=304,306,1

3-3장 중형저서동물=305,307,1

제1절 연구개요=305,307,1

제2절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305,307,4

제3절 조사결과=308,310,1

1. 여자만 갯벌=308,310,1

가. 출현 중형저서동물군=308,310,8

나. 동물군별 출현 개체수=315,317,3

2. 새만금 갯벌=318,320,1

가. 출현 중형저서동물군=318,320,1

나. 동물군별 출현 개체수=318,320,13

3-4장 대형 및 초대형 저서동물=331,333,1

제1절 조사개요=331,333,2

제2절 현장 조사 및 분석 방법=333,335,1

1. 여자만 갯벌=333,335,1

가. 여자만 전체 조사=333,335,1

나. 갯벌 조간대 조사=333,335,3

다. 초대형 무척추동물 조사=335,337,1

2. 새만금 갯벌=336,338,1

가. 새만금 전체 조사=336,338,1

나. 갯벌 조간대 조사=336,338,3

다. 만경강과 동진강 조사=339,341,1

제3절 조사결과=339,341,1

1. 여자만 갯벌=339,341,1

가. 조하대 조사=339,341,27

나. 갯벌 조간대 조사=366,368,28

다. 여자만에서 출현하는 초대형 저서동물=394,396,4

2. 새만금 조사=398,400,1

가. 전체조사=398,400,23

나. 새만금 조간대 갯벌 조사=421,423,45

다.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역 조사=466,468,12

제4절 고찰=478,480,1

1. 생태계에서의 저서동물의 역할=478,480,1

2. 주요 유기오염 지표종의 출현에 근거한 여자만의 환경=478,480,4

3. 새만금 갯벌에서 우점종의 과거자료와 비교=482,484,4

4. 새만금 하구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종수-개체수-생물량 변동=486,488,1

참고문헌=487,489,3

3-5장 어류 다양성(새만금)=490,492,1

제1절 연구개요=490,492,1

제2절 재료 및 방법=491,493,1

1. 조사방법=491,493,2

제3절 조사결과=492,494,22

제4절 결론과 고찰=514,516,1

1. 어류의 출현현황=514,516,7

2. 어류 서식지로서의 새만금의 중요성=520,522,4

참고문헌=524,526,19

제4장 갯벌의 오염현황 조사=543,545,2

4-1장 전남 연안갯벌의 오염현황=545,547,1

제1절 조사개요=545,547,2

제2절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546,548,1

1. 재료 및 방법=546,548,1

가. 수질조사=546,548,11

나. 퇴적물 조사=556,558,2

제3절 수질조사 결과=558,560,1

1. 중점조사지역(여자만)=558,560,4

2. 일반조사지역=562,564,1

가. 표층 수질 분포=562,564,6

나. 수질의 장기 변동=567,569,4

제4절 퇴적물 조사결과=571,573,1

1. 중점조사지역(여자만)=571,573,1

가. 표층퇴적물내 유기물함량=571,573,5

나. 주상퇴적물내 유기물함량=575,577,4

다.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의 함량=578,580,5

라. 주상퇴적물내 중금속원소=582,584,5

2. 일반조사지역=586,588,1

가. 표층퇴적물내 유기물함량의 지리적 변동=586,588,5

나.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의 분포=590,592,5

다. 중금속원소 함량의 다른 지역과 비교=594,596,3

참고문헌=596,598,2

4-2장 전북연안 갯벌의 오염현황=598,600,1

제1절 조사개요=598,600,1

제2절 갯벌의 오염현황=598,600,1

1. 재료 및 방법=598,600,1

가. 수질조사=598,600,4

나. 퇴적물조사=601,603,2

2. 결과 및 고찰=602,604,1

가. 수질조사 결과=602,604,16

나. 퇴적물조사 결과=617,619,23

참고문헌=640,642,5

제5장 갯벌의 어업방법 조사=645,647,2

5-1장 전라남도 동부지역=647,649,1

제1절 조사개요=647,649,1

제2절 조사방법=647,649,2

제3절 결과=648,650,1

1. 전통어장=648,650,2

2. 어업방법=649,651,1

가. 갯벌에서 행해지는 어업방법=649,651,6

나. 갯벌인접지역에서 행해지는 어업방법=655,657,1

3. 주요 만별 양식 실태=655,657,11

참고문헌=666,668,1

5-2장 전라북도 지역=667,669,1

제1절 조사개요=667,669,1

제2절 조사방법=668,670,1

제3절 결과=668,670,2

1. 패류가 주 어획대상인 어구어법=607,672,1

가. 맨손어구어법=670,672,2

나. 형망=672,674,2

다. 패류 저인망=674,676,1

2. 어류 및 갑각류가 주 어획대상인 어구어법=674,676,1

가. 볼락ㆍ쥐놀래미 외줄낚시=674,676,2

나. 젓새우 낭장망=675,677,2

다. 안강망=676,678,5

라. 숭어 2각망=680,682,1

마. 주꾸미 소호=680,682,4

바. 갑오징어 통발=684,686,2

사. 자망=685,687,6

아. 새우류ㆍ망둥어 후릿그물=690,692,3

자. 전어 양조망=693,695,1

차. 중하ㆍ꽃게 빔트롤(조망)=693,695,3

참고문헌=696,698,1

제6장 갯벌 주변지역의 사회ㆍ경제적 이용현황 조사=697,699,2

제1절 연구개요=699,701,2

제2절 갯벌 주변지역의 인문적 특성 및 변화 추세=701,703,1

1. 행정구역 현황 및 변화=701,703,3

2. 인구현황 및 변화추세=704,706,6

3. 고용 및 지역경제 현황=709,711,1

가. 고용현황=709,711,4

나. 지역경제 현황=712,714,3

제3절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 및 개발계획=715,717,1

1. 갯벌에 설정된 광업권, 골재채취권 현황=715,717,3

2. 지목별 토지 이용현황 및 변화=717,719,1

가. 지목별 토지 이용현황=717,719,10

나. 토지이용 변화=726,728,8

3. 용도지역 지정 현황=733,735,1

가. 국토이용계획 고시 현황=733,735,3

나. 도시계획 고시 현황=735,737,3

4. 산업현황 및 개발계획 현황=737,739,1

가. 임해산업단지 현황=737,739,2

나. 산업단지 개발계획 현황=738,740,3

5. 관광자원 및 개발계획 현황=740,742,1

가. 관광지 지정 현황=740,742,3

나. 관광개발계획 현황=742,744,3

6. 간척 매립 현황 및 계획=745,747,1

가. 고시 및 시행 현황=745,747,3

나. 계획현황=748,750,2

7. 수산자원 및 어촌계 현황=750,752,1

가. 수산자원 현황=750,752,2

나. 어업권 현황=752,754,4

다. 어촌계 현황=755,757,7

제4절 갯벌 주민의식 조사=762,764,1

1. 조사 배경 및 목적=762,764,1

2. 조사 범위 및 방법=762,764,1

가. 조사방법 및 범위=762,764,2

나. 분석방법=763,765,1

3.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763,765,1

가. 어업인의 사회ㆍ경제적 특성=763,765,2

나. 일반주민의 사회ㆍ경제적 특성=765,767,1

4. 어업인의 갯벌에 관한 의식 분석=766,768,1

가. 갯벌노동 및 소득 특성 분석=766,768,9

나. 갯벌환경에 대한 인식=774,776,6

5. 일반주민의 갯벌 의식 조사=779,781,1

가. 갯벌방문 정도 및 목적=779,781,3

나. 일반주민의 갯벌환경 의식 정도=782,784,4

6. 고찰=786,788,2

제5절 갯벌관리 기본방안=787,789,1

1. 연구의 목적=787,789,2

2. 연구 범위 및 방법=788,790,1

가. 연구의 범위=788,790,3

나. 연구의 방법=790,792,2

3. PSR 지표의 적용기준 설정=791,793,3

4. 유형분류=794,796,1

가. PSR 구조에 의한 지표평가 결과=794,796,8

나. 유형 분류=802,804,2

다. 유형별 관리기본방안=803,805,4

라. 단위갯벌별 관리방안=807,809,3

5. 제언=809,811,3

참고문헌=812,814,5

제7장 갯벌생태계의 기능조사(II)=817,819,2

7-1장 갯벌생태계의 수질정화기능=819,821,1

제1절 조사개요=819,821,1

1. 조사배경=819,821,1

가. 정화라는 개념의 이해=819,821,2

나. 갯벌생태계에 있어서 물질의 외부 유출=820,822,1

다. 정화기능 평가의 시ㆍ공간적 규모=820,822,2

라. 물질순환=821,823,1

마. 정화기능의 평가방법=821,823,2

2. 조사목표=823,825,1

3. 조사내용=823,825,1

가. 여과식성 이매패류의 수중 입자유기물 제거=823,825,2

제2절 조사방법=824,826,1

1. 현장실험장치=824,826,4

2. 현장실험방법=828,830,2

3.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829,831,1

가. 측정항목=829,831,1

나. 분석방법=830,832,2

다. 수중 입자유기물 제거속도 측정 논리=831,833,1

제3절 조사결과=832,834,1

1. 바지락 챔버실험=832,834,1

가. 조사장소=832,834,1

나. 조사시기별 실험조건=832,834,1

다. 수중 엽록소 농도의 변화=832,834,2

라. 수중 입자유기탄소(POC)의 농도 변화=834,836,2

마. 수중 입자유기질소(PON)의 농도 변화=835,837,2

바. 바지락의 해수 여과속도=837,839,1

사. 바지락의 수중 입자유기탄소 및 입자유기질소 제거량=837,839,2

아. COD 변화율로부터 계산한 입자유기물의 제거량=838,840,3

2. 동죽 챔버실험=841,843,1

가. 조사장소=841,843,1

나. 조사시기별 실험조건=841,843,1

다. 수중 엽록소 농도의 변화=841,843,2

라. 수중 입자유기탄소(POC)의 농도 변화=843,845,2

마. 수중 입자유기질소(PON)의 농도 변화=844,846,2

바. 동죽의 해수 여과속도=846,848,1

사. 동죽의 수중 입자유기탄소 및 입자유기질소 제거량=846,848,2

아. COD 변화율로부터 계산한 입자유기물의 제거량=847,849,3

제4절 고찰=850,852,1

1. 바지락 갯벌과 동죽 갯벌의 수질정화기능의 경제적 가치=850,852,3

2. 환경영향 평가에서 갯벌의 정화능력 평가가 적용된 사례 고찰=852,854,3

참고문헌=855,857,4

7-2 장 갯벌생태계의 산란장 및 보육장 기능=859,861,1

제1절 갯벌을 이용하는 주요 수산자원 생물의 개체군 조사=859,861,1

1. 연구목적=859,861,1

2. 재료 및 방법=859,861,1

가. 현장조사 및 실험실 분석=859,861,1

나. 자료분석=860,862,1

다. 결과 및 고찰=860,862,40

제2절 유용 수산자원 생물의 먹이자원으로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900,902,1

1. 조사지 개황=900,902,1

2. 재료 및 방법=900,902,1

가. 현장조사=900,902,3

나. 환경요인 분석=902,904,1

다. 군집구조 분석=902,904,2

3. 결과=903,905,1

가. 환경요인 분석=903,905,3

나.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물량=905,907,4

다. 정선별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물량=908,910,14

라. 생태학적 제지수의 변화=921,923,4

마. 우점종의 변화=924,926,5

바. 군집구조=928,930,4

4. 고찰=932,934,3

제3절 갯골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 저서동물의 군집구조=935,937,1

1. 조사지 개황=935,937,1

2. 재료 및 방법=935,937,1

가. 현장조사 및 시험어구=935,937,3

나. 자료의 처리 및 분석방법=937,939,2

3. 결과=938,940,1

가. 종수, 개체수 및 생물량의 변화=938,940,3

나. 생태학적 제지수의 변화=940,942,4

다. 우점종의 변화=944,946,5

라. 어류와 갑각류의 군집구조=948,950,4

4. 고찰=951,953,2

참고문헌=953,955,4

제8장 갯벌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의 특성 조사=957,959,2

제1절 조사개요=959,961,2

제2절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961,963,1

1. 현장조사=961,963,4

2. 분석방법=964,966,1

가. 퇴적물 입도 분석=964,966,1

나. 퇴적상 분석=965,967,1

다. 생교란(생물교란)등급 분석=965,967,3

라. 산성도 및 산화환원전위 분석=967,969,1

마. 유기물 함량 분석=967,969,2

바. 퇴적물 측정=968,970,1

제3절 조사결과=968,970,1

1. 표층 퇴적물 입도분석 결과=968,970,2

2. 퇴적상 분석 결과=970,972,1

가. 퇴적상 Sb: 생교란 모래(bioturbated sand)=970,972,3

나. 퇴적상 Sg: 점이층리 모래(graded sand)=973,975,1

다. 퇴적상 Shx: 언덕사엽층리 모래(hummocky cross-laminated sand)=973,975,2

라. 퇴적상 Stx: 골사엽층리 모래(trough cross-laminated sand)=974,976,2

마. 퇴적상 Spx: 판상 사엽층리 모래(planar cross-laminated sand)=975,977,2

바. 퇴적상 Sl: 엽리 모래(laminated sand)=976,978,2

사. 퇴적상 SZf: 우상층리 모래/실트(flaser laminated sand/silt)=977,979,1

아. 퇴적상 SZl: 엽리 모래/실트(laminated sand/silt)=977,979,2

자. 퇴적상 Zb: 생교란 실트(bioturbated silt)=978,980,1

차. 퇴적상 Zl: 엽리 실트(laminated silt)=978,980,2

카. 퇴적상 Mb: 생교란 펄(bioturbatred mud)=979,981,2

타. 퇴적상 Ml: 엽리 펄(laminated mud)=980,982,1

3. 산성도, 산화환원전위, 유기물함량 분석 결과=981,983,1

가. 강화도 여차리 갯벌=981,983,2

나. 아산만 방조제 갯벌=983,985,3

다. 금강 하구언둑 외곽 갯벌=985,987,2

라. 새만금 방조제(부안군 대항리) 갯벌=986,988,4

마. 곰소만 갯벌=989,991,3

4. 퇴적률 측정 결과=992,994,1

5. 퇴적학적 갯벌 건강도 분석=993,995,1

가. 자연 갯벌=993,995,2

나. 변형 갯벌=995,997,3

6. 갯벌의 분류, 신규생성 조건 및 진화모델=997,999,1

가. 연안 퇴적환경의 분류=997,999,6

나. 갯벌의 진화모델과 신규갯벌의 생성=1003,1005,3

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전면부 갯벌의 변화=1006,1008,6

라. 서남해 갯벌 퇴적물의 구성과 기원=1011,1013,5

참고문헌=1016,1018,71

제9장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1087,1089,2

제1절 연구개요=1089,1091,1

1.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개설의 배경=1089,1091,2

2. 해양환경교육자 양성 훈련과정 준비=1090,1092,1

가.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 기획=1090,1092,1

나.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참가자 모집=1090,1092,1

다.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진행=1091,1093,7

제2절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진행과 평가=1097,1099,1

1. 훈련생 현황=1097,1099,2

2. 해양환경교육 과목과 교육내용=1098,1100,2

가. 이론교육=1099,1101,3

나. 현장 체험교육과 실습교육=1102,1104,1

3.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평가=1103,1105,1

가. 훈련 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1103,1105,5

나. 훈련과정 중에 훈련생에 대한 평가=1107,1109,3

다. 강사에 대한 평가=1110,1112,3

라. 훈련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1113,1115,1

마. 훈련과정 내용 중에서 보다 권장해야 할 사항=1113,1115,1

4. "해양환경교육 훈련 과정" 이후, 교육생의 활동 현황=1114,1116,1

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수료=1114,1116,1

제3절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개발과 실행에 대한 고찰=1115,1117,1

1. 건의=1115,1117,1

2. 개선방향=1115,1117,2

참고문헌=1117,1119,22

제10장 갯벌 생태지도 작성(도암만)=1139,1141,2

제1절 연구 개요=1141,1143,2

제2절 생태지도 작성=1142,1144,1

1. 수치지도와 주제도 작성=1142,1144,2

2. GIS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1143,1145,2

가.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주제도 작성=1144,1146,2

3. 생태지도 제작=1145,1147,2

가. 위성영상의 처리=1146,1148,6

나. DEM 제작=1152,1154,5

참고문헌=1157,1159,2

제11장 갯벌심사단 운영 및 국제 갯벌심포지엄 개최=1159,1161,2

제1절 갯벌 심사단 운영=1161,1163,1

1. 갯벌 심사단의 구성=1161,1163,1

2. 갯벌 심사단 운영=1161,1163,1

가. 제 1차 갯벌 심사단 회의=1161,1163,1

나. 제 2차 갯벌 심사단 회의=1162,1164,1

3. 연안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공청회 개최=1162,1164,2

제2절 갯벌 국제 심포지엄 개최=1164,1166,1

1. 갯벌 국제 심포지엄 개최 목적=1164,1166,1

2. 심포지엄 내용=1164,1166,1

가. 참여 전문가=1164,1166,1

나. 심포지엄 진행=1164,1166,3

참고문헌=1167,1169,2

제12장 전라남도 서부지역 갯벌 출현종 동정=1169,1171,2

제1절 연구개요=1171,1173,1

제2절 재료 및 방법=1172,1174,1

제3절 결과 및 고찰=1173,1175,1

1. 동물 다양성=1173,1175,4

2. 우점종의 구성=1177,1179,3

3. 조사된 동물의 분류 목록=1179,1181,1

가. 증도의 환형동물=1179,1181,5

나. 압해도의 갑각류=1183,1185,4

4. 조사정점별 동물의 분포 및 개체수=1186,1188,12

제4절 데이터베이스 설계=1198,1200,1

1. 자료 테이블 작성=1198,1200,2

2. 데이터베이스 구조=1199,1201,4

참고문헌=1203,1205,6

제13장 종합고찰=1209,1211,7

표2-1.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111,113,2

표2-2. 여자만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8월~11월) 퇴적물 입도 특성 변화=126,128,4

표2-3. 여자만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8월~11월) 퇴적물 변화=131,133,1

표2-4. 여자만 갯벌과 주변 조하대 주상 퇴적물시료의 입도 특성 및 함수율=134,136,3

표2-5. 여자만 입구(서수로)의 1 조석주기간 해수특성 및 부유퇴적물 양=166,168,5

표2-6. 여자만 입구(동수로)의 1 조석주기간 해수특성 및 부유퇴적물 양=174,176,3

표2-7. 여자만 입구에서의 1 조석주기간의 잔여유속 및 부유퇴적물 유출입량(flux)=180,182,1

표2-8.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186,188,2

표2-9. 새만금 표층퇴적물20ml중 저서성 유공충 개체수=198,200,1

표2-10. 새만금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7월~10월) 퇴적물 입도 특성 변화=201,203,1

표2-11. 새만금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7월~10월) 퇴적율 변화=208,210,1

표2-12. 새만금 갯벌과 주변 조하대 주상 퇴적물시료의 입도 특성=213,215,2

표2-13. 새만금 미체절 방조제에서의 1 조석주기간 해수특성 및 부유퇴적물 양=241,243,4

표2-14. 새만금 미체절 방조제에서의 1 조석주기간 잔여유속 및 부유퇴적물 유출입량(flux)=249,251,1

표3-1-1. 조사일정별 조사수행 현황=267,269,1

표3-1-2. 조사정점의 종족영양세균 수=269,271,1

표3-1-3. 세균의 세포외 효소활성 분포=271,273,1

표3-1-4. 각 정점별 미생물군집의 단일 탄소원 이용도=276,278,6

표3-3-1. 여자만 갯벌의 각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군집=309,311,1

표3-3-2. 새만금 갯벌의 각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군집=319,321,1

표3-4-1. 여자만 갯벌을 포함한 조하대에서 그랩으로 채진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42,344,1

표3-4-2. 여자만 갯벗을 포함한 조하대에서 그랩으로 채진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48,350,1

표3-4-3. 여자만 갯벌과 조하대에서 그랩으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 정점군 특성=365,367,1

표3-4-4. 여자만 Yj 1조사선 (봉화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66,368,1

표3-4-5. 여자만 YJ 1조사선 (봉화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71,373,1

표3-4-6. 여자만 YJ 2조사선 (마산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73,375,1

표3-4-7. 여자만 YJ 2조사선 (마산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75,377,1

표3-4-8. 여자만 YJ 3조사선 (신흥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77,379,1

표3-4-9. 여자만 YJ 3조사선 (신흥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79,381,1

표3-4-10. 여자만 YJ 4조사선 (달천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81,383,1

표3-4-11. 여자만 YJ 4 line (달천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83,385,1

표3-4-12. 여자만 YJ 5조사선 (이천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385,387,1

표3-4-13. 여자만 YJ 5조사선 (이천 갯벌)에서 2001년 7월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386,388,1

표3-4-14. 여자만에서 저인망으로 조사된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394,396,1

표3-4-15. 여자만에서 저인망으로 조사된 초대형저서동물의 종 목록=396,398,2

표3-4-16. 새만금 갯벌을 포함한 전체 조사에서 저서생물 채집기로 채집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밀도 및 생물량=398,400,1

표3-4-17. 새만금 갯벌을 포함한 조하대에서 채집기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04,406,1

표3-4-18. 새만금 갯벌을 포함한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각 정점군의 생태지수 및 우점종=416,418,1

표3-4-19. 새만금 전체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밀도 및 생물량=421,423,1

표3-4-20. 새만금 대항 갯벌 조간대 (L1)에서 채집기로 채집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22,424,1

표3-4-21. 새만금 대항 갯벌 조간대 (L1)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24,426,1

표3-4-22. 새만금 해창 갯벌 조간대 (L2)에서 채집기로 채집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서식밀도 및 생물량=426,428,1

표3-4-23. 새만금 해창 갯벌 조간대 (L2)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28,430,1

표3-4-24. 새만금 계화 갯벌 조간대 (L3)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서식밀도 및 생물량=430,432,1

표3-4-25. 새만금 계화 갯벌 조간대 (L3)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32,434,1

표3-4-26. 새만금 우마 갯벌 조간대 (L4)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서식밀도 및 생물량=434,436,1

표3-4-27. 새만금 우마 갯벌 조간대 (L4)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37,439,1

표3-4-28. 새만금 광활 갯벌 조간대 (L5)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38,440,1

표3-4-29. 새만금 광활 갯벌 조간대 (L5)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40,442,1

표3-4-30. 거전 갯벌 조간대 (L6)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42,444,1

표3-4-31. 거전 갯벌 조간대 (L6)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43,445,1

표3-4-32. 경창 갯벌 조간대 (L7)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46,448,1

표3-4-33. 새만금 경창 갯벌 조간대 (L7)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48,450,1

표3-4-34. 어은 갯벌 조간대 (L8)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 서식밀도 및 생물량=450,452,1

표3-4-35. 어은 갯벌 조간대 (L8)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52,454,1

표3-4-36. 수라 갯벌 조간대 (L9)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54,456,1

표3-4-37. 수라 갯벌 조간대 (L9)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56,458,1

표3-4-38. 새만금 주변 각 조사선 (갯벌)에서의 생태지수=461,463,1

표3-4-39. 새만금 전체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각 정점군의 생태지수 및 우점종=465,467,1

표3-4-40. 만경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69,471,1

표3-4-41. 만경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72,474,1

표3-4-42. 동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474,476,1

표3-4-43. 동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76,478,1

표3-4-44.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480,482,2

표3-4-45. 새만금 갯벌에서 1988년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과 2001년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우점종=484,486,2

표3-5-1. 새만금 유역의 어류 목록(2001년 여름)=493,495,4

표3-5-2. 새만금 유역의 어류상(고군산열도 포함)=515,517,5

표3-5-3. 황해유역과 새만금 유역의 어류상 비교=522,524,1

표4-1-1. 단위 갯벌별 해수 퇴적물 시료채취 정점수=556,558,1

표4-1-2. 단위 갯벌별 표층수 중 성분의 변동폭과 평균값(2001.7~9)=563,565,1

표4-1-3. 여자만내 소해역별 정점과 정점수=571,573,1

표4-1-4. 여자만내 소해역별 유기물의 변동폭과 평균값=574,576,1

표4-1-5. 여자만내 주상퇴적물 중 유기물의 변동폭과 평균값=578,580,1

표4-1-6. 여자만내 소해역별 중금속원소의 변동폭과 평균값=582,584,1

표4-1-7. 여자만 주상퇴적물내 중금속 원소의 변동폭과 평균값=586,588,1

표4-1-8. 단위갯벌별 표층퇴적물내 유기물의 변동폭과 평균값=587,589,1

표4-1-9. 단위 갯벌별 중금속원소의 변동폭과 평균값=591,593,1

표4-1-10. 퇴적물내 중금속원소 함량에 대한 다른 지역과의 비교=595,597,1

표4-2-1. 전북 연안 수역의 수질 항목별 기술 통계량=603,605,1

표4-2-2. 전북 연안 소해역별 수질 항목의 기술 통계량=604,606,3

표4-2-3. 정점별 수질 항목의 농도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612,614,2

표4-2-4. 수질 요소간의 상관분석표(Person's Correlation, 윗숫자는 상관계수, 아래는 확률값임)=615,617,1

표4-2-5. 전북 연안 퇴적물의 저질 항목별 기술 통계량=618,620,1

표4-2-6. 전북 연안 소해역별 저질 항목별 기술 통계량=619,621,5

표4-2-7. 정점별 퇴적물의 지화학적 농도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631,633,2

표4-2-8. 저질 요소간의 상관분석표(Person's Correlation, 윗숫자는 상관계수, 아래는 확률값임)=634,636,1

표4-2-9. 전북 연안 및 세계 유사 해양에서의 해양퇴적물내 중금속 농도=639,641,1

표5-1-1.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수산자원보전지역 및 환경관리해역 지정현황=648,650,1

표6-1. 연구지역의 해당 행정구역=699,701,1

표6-2. 연구지역의 갯벌 배후 읍ㆍ면 현황=701,703,1

표6-3. 행정구역 현황=703,705,1

표6-4. 가구 및 인구 현황=707,709,1

표6-5. 연평균 인구증가율=708,710,1

표6-6. 산업별 종사자수=710,712,1

표6-7. 전라도 입지계수=711,713,1

표6-8. 시군별 입지계수=712,714,1

표6-9. 사업현황=713,715,1

표6-10. 연구지역 지역내 총생산=714,716,1

표6-11. 연구지역의 등록 광산수=715,717,1

표6-12. 연구지역의 소재지별 광물 매장량 현황=716,718,1

표6-13. 광양시의 토지이용 현황=718,720,1

표6-14. 여수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19,721,1

표6-15. 순천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0,722,1

표6-16. 보성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0,722,1

표6-17. 고흥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1,723,1

표6-18. 고창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2,724,1

표6-19. 부안군(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3,725,1

표6-20. 김제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3,725,1

표6-21. 군산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724,726,1

표6-22. 전남 동부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1999)=725,727,1

표6-23. 전북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1999)=726,728,1

표6-24. 광양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27,729,1

표6-25. 여수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27,729,1

표6-26. 순천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28,730,1

표6-27. 보성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29,731,1

표6-28. 고흥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29,731,1

표6-29. 고창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30,732,1

표6-30. 부안군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30,732,1

표6-31. 김제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31,733,1

표6-32. 군산시 갯벌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732,734,1

표6-33. 연구지역 갯벌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733,735,1

표6-34. 전남 동부 갯벌 주변지역의 시ㆍ군별 국토이용계획 고시 현황=734,736,1

표6-35. 전라북도 시ㆍ군별 국토이용계획 고시 현황=735,737,1

표6-36. 전라남도 도시계획용도 구역=736,738,1

표6-37. 전라북도 도시계획 용도구역=737,739,1

표6-38. 산업단지 현황=739,741,1

표6-39. 관광단지 및 관광지 지정 현황=740,742,1

표6-40. 자연공원지정 현황=741,743,1

표6-41. 관광객 현황=742,744,1

표6-42. 남해안 관광벨트계획의 시ㆍ군별 사업=743,745,1

표6-43. 전라북도 지역별 관광기능=744,746,1

표6-44. 지역별 관광개발 단위사업 현황=744,746,1

표6-45. 매립고시 및 시행현황=745,747,2

표6-46. 공유수면매립 수요 및 계획현황=748,750,1

표6-47. 시ㆍ군별 수산물 어획고(수량)=751,753,1

표6-48. 시ㆍ군별 어가 및 어업인구=752,754,1

표6-49. 시군별 양식어업 현황(2000)=754,756,1

표6-50. 연구지역의 어촌계 일반현황=757,759,1

표6-51. 전국ㆍ전라남도ㆍ전라북도 어촌계 수산업 현황=758,760,1

표6-52. 연구지역 어촌계 수산업 변화=759,761,1

표6-53. 어촌계 수산업 현황=761,763,1

표6-54. 갯벌 주민의식 설문지 배포수 및 회수율=763,765,1

표6-55. 어업인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764,766,1

표6-56. 일반주민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765,767,1

표6-57. 연구지역의 갯벌에서의 하루평균 노동시간=767,769,1

표6-58. 전북지역 갯벌에서의 노동기간=769,771,1

표6-59. 전남동부지역 갯벌에서의 노동기간=769,771,1

표6-60. 지역별 월평균소득 중 갯벌에서 생산되는 어업소득 비율=771,773,1

표6-61. 갯벌에서 얻어지는 어업소득과 노동시간과의 상관관계=771,773,1

표6-62. 갯벌에서의 계절별 생산종=772,774,1

표6-63. 일반주민의 갯벌 방문 빈도=781,783,1

표6-64. 일반주민이 보전을 원하는 이유=785,787,1

표6-65. 갯벌유형분류를 위한 PSR 지표(안)=792,794,1

표6-66. 갯벌의 PSR 지표 적용기준=793,795,1

표6-67. 전남 남서해안 갯벌의 PSR 지표산정 결과=802,804,1

표6-68. PSR 지표평가를 통한 전남 서남해안 갯벌 유형분류=803,805,1

표6-69. 제2차년도 갯벌유형별 관리 기본방안=806,808,1

표6-70. 갯벌 유형분류에 따른 단위갯벌 관리지침=807,809,1

표7-1-1. 갯벌의 정화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방법=822,824,1

표7-1-2. 클로로필 색소 농도, PON, POC 농도 변화율로부터 계산된 바지락의 여과속도(l/hr/g DFW.)=837,839,1

표7-1-3. 선재도 갯벌의 입자성 유기물 제거 능력=838,840,1

표7-1-4. 조사시기별 선재도 갯벌에서의 유기물 제거량(COD 기준)=840,842,1

표7-1-5. 클로로필 색소 농도, PON, POC 농도 변화율로부터 계산된 동죽의 여과속도(l/hr/g DFW)=846,848,1

표7-1-6. 송도 갯벌의 입자성 유기물 제거 능력=847,849,1

표7-1-7. 조사시기별 송도 갯벌에서의 유기물 제거량(COD기준)=849,851,1

표7-1-8. 인천광역시 주요 하수처리장의 COD기준 하수처리비용=850,852,1

표7-1-9. 바지락 갯벌과 동죽갯벌의 유기물 처리량 비교=851,853,1

표7-2-1. 조사해역에서의 출현한 대형 및 초대형 저서동물의 갯벌이용 정도=862,864,1

표7-2-2.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5위 우점종=925,927,1

표7-2-3.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5위 우점종=925,927,1

표7-2-4.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5위 우점종(A정선)=927,929,1

표7-2-5.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5위 우점종(A정선)=927,929,1

표7-2-6.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5위 우점종(B정선)=929,931,1

표7-2-7.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5위 우점종(B정선)=929,931,1

표7-2-8.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5위 우점종(C정선)=930,932,1

표7-2-9.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5위 우점종(C정선)=930,932,1

표7-2-10.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개체수 상위 15위 우점종=945,947,1

표7-2-11. LeBris index (1988)를 기초로 한 생물량 상위 15위 우점종=945,947,1

표8-1. 퇴적물 시료채취 정점의 위치=961,963,1

표8-2. 퇴적물 주상시료 처리 내용=966,968,1

표8-3. 생교란 등급 분류표(Reineck, 1963)=967,969,1

표8-4. 조사지역 갯벌 정점별 입도분석 수치자료=969,971,1

표8-5. 퇴적상 특징, 산출지역 및 해석=971,973,2

표8-6. 강화도 여차리 갯벌의 정점별 산화도(pH), 산화환원전위(Eh,mV), 강열감량(I.L., wt. %) 수치 자료=981,983,1

표8-7. 아산방조제 남단 갯벌의 정점별 산화도(pH), 산화환원전위(Eh,mV), 강열감량(I.L., wt. %) 수치 자료=983,985,1

표8-8. 금강하구언둑 북단 갯벌의 정점별 산화도(pH), 산화환원전위(Eh,mV), 강열감량(I.L., wt. %) 수치 자료=986,988,1

표8-9. 새만금 1호 방조제 남단 갯벌의 정점별 산화도(pH), 산화환원전위(Eh,mV), 강열감량(I.L., wt. %) 수치 자료=988,990,1

표8-10. 곰소만 갯벌의 정점별 산화도(pH), 산화환원전위(Eh,mV), 강열감량(I.L., wt. %) 수치 자료=990,992,1

표8-11. 조사지역 갯벌의 퇴적률=992,994,1

표9-1. 제 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강의 일정표=1094,1096,1

표9-2. 훈련과정 후 교육생들이 실시한 평가표=1096,1098,1

표9-3.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참가자=1098,1100,1

표9-4. 이론교육 강의 주제별 내용 요약=1101,1103,1

표9-5. 현장 체험교육과 실습 교육 주요 내용=1102,1104,1

표12-1. 조사한 환형동물과 절지동물의 분류군별 다양성=1174,1176,1

표12-2. 압해도산 옆새우류 속(genus)의 생태형 및 분포형 구분=1175,1177,1

표12-3. 증도의 조사정점별 갯지렁이류의 종 수 및 개체수(유생 제외)=1176,1178,1

표12-4. 압해도의 조사정점별 갑각류의 종 수 및 개체수=1176,1178,1

표12-5. 증도의 조사정점별 갯지렁이의 분포 및 개체수=1187,1189,4

표12-6. 압해도의 조사정점별 갑각류의 분포 및 개체수=1191,1193,5

표12-7. 현장조사 자료가 있는 조사 테이블(sample table)=1200,1202,5

표12-8. 조사지의 환경자료가 있는 환경 테이블(ambient table)=1201,1203,1

표12-9. 생물종의 특성이 있는 동물상 테이블(fauna table)=1201,1203,1

표12-10. 생물종의 분류상 위치 정도가 있는 분류 테이블(taxonomic table)=1202,1204,1

그림1-1. 1910년대 여자만 지도 (1918년 측량)=91,93,1

그림1-2. 1910년대의 만경, 동진강 지도(1918~1925년 측량)=93,95,1

그림2-1. 여자만에서의 grab 및 gravity core 퇴적물, 갯벌관측 측선 및 부유물질 이동 관측지점=102,104,1

그림2-2. 새만금 지역에서의 grab, gravity core 퇴적물 및 유공충 시료, 갯벌관측 측선 및 부유물질 이동관측 지점=103,105,1

그림2-3.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유형(sediment type)의 분포=113,115,1

그림2-4.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중 모래(-1~4ø, 0.0625~2 mm)함량의 분포=114,116,1

그림2-6.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ø)의 분포=116,118,1

그림2-7.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분급도(sorting,ø)의 분포=117,119,1

그림2-8.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왜도(skewness)의 분포=118,120,1

그림2-9.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분급도와 왜도와의 관계=119,121,1

그림2-10. 여자만 갯벌과 주변 퇴적물 첨도(kurtosis)의 분포=120,122,1

그림2-11. 여자만 갯벌 측선=123,125,1

그림2-12. 여자만 갯벌 측선의 특징(a, 측선 YJ-1; b, 측선 YJ-2; c, 측선 YJ-3; d, 측선 YJ-4; e, 측선 YJ-5)=124,126,5

그림2-13. 여자만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8월~11월) 퇴적물 변화(a, 측선 1; b, 측선 2; c, 측선 3; d, 측선 4)=132,134,1

그림2-14. 여자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사진(a, YJGC-04 Core; b, YJGC-24 Core; c, YJGC-49 Core; d, YJGC-77 Core; e, YJGC-2-100 Core; f, YJGC-2-500 Core; g, YJGC-2-900 Core; h, YJGC-5-100 Core; i, YJGC-5-300 Core; j, YJGC-5-500 Core)=137,139,3

그림2-15. 여자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a, YJGC-04 Core; b, YJGC-24 Core; c, YJGC-49 Core; d, YJGC-77 Core; e, YJGC-2-100 Core; f, YJGC-2-500 Core; g, YJGC-2-900 Core; h, YJGC-5-100 Core; i, YJGC-5-300 Core; j, YJGC-5-500 Core)=140,142,10

그림2-16. 여자만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입도 특성(a, YJGC-04 Core; b, YJGC-24 Core; c, YJGC-49 Core; d, YJGC-77 Core; e, YJGC-2-100 Core; f, YJGC-2-500 Core; g, YJGC-2-900 Core; h, YJGC-5-100 Core; i, YJGC-5-300 Core; j, YJGC-5-500 Core)=150,152,10

그림2-17. 여자만 입구 동수로의 1 조석주기 동안 조위 및 유속/유향=171,173,1

그림2-18. 여자만 입구 동수로의 1조석주기 동안 수온(a), 염분도(b) 및 부유퇴적물 농도변화(c)=172,174,1

그림2-19. 여자만 입구 서수로의 1조석주기 동안 조위 및 유속/유향=177,179,1

그림2-20. 여자만 입구 서수로의 1조석주기 동안 수온(a), 염분도(b) 및 부유퇴적물 농도변화(c)=178,180,1

그림2-21. 여자만 입구 서수로(a)와 동수로에서 1조석주기 동안 수심에 따른 잔여유속량의 분포(b)=181,183,1

그림2-22. 여자만 입구 동수로의 1조석주기 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음의 값은 유출, 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182,184,1

그림2-23. 여자만 입구 서수로의 1조석주기 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음의 값은 유출, 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183,185,1

그림2-24.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유형(sediment type)의 분포=188,190,1

그림2-25.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중 모래(-1~4ø, 0.0625~2 mm)함량의 분포=189,191,1

그림2-27.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ø)의 분포=191,193,1

그림2-28.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 분급도(sorting,ø)의 분포=192,194,1

그림2-29.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 왜도(skewness)의 분포=193,195,1

그림2-30.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의 분급도와 왜도와의 관계=194,196,1

그림2-31. 새만금 갯벌과 주변 퇴적물 첨도(kurtosis)의 분포=195,197,1

그림2-32. 새만금 갯벌측선의 지형단면(a, 측선 1; b, 측선 2; c, 측선 3; d, 측선 4)=199,201,1

그림2-33. 새만금 갯벌측선의 월별 평균입도 변화(a, 측선 1; b, 측선 2; c, 측선 3; d, 측선 4)=202,204,1

그림2-34. 새만금 갯벌측선별 각 정점의 월별 평균입도 변화(a, 측선 1; b, 측선 2; c, 측선 3; d, 측선 4)=203,205,4

그림2-35. 새만금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2001년 7월~10월) 퇴적율 변화(a, 측선 1; b, 측선 2; c, 측선 3; d, 측선 4)=209,211,3

그림2-36. 새만금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사진(a, SMGC-58 Core; b, SMGC-D5 Core; c, SMGC-75 Core; d, SMGC-2-100 Core; e, SMGC-2-300 Core; f, SMGC-2-700 Core; g, SMGC-3-200 Core; h, SMGC-3-800 Core; i, SMGC-3-1500 Core)=215,217,3

그림2-37. 새만금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a, SMGC-58 Core; b, SMGC-D5 Core; c, SMGC-75 Core; d, SMGC-2-100 Core; e, SMGC-2-300 Core; f, SMGC-2-700 Core; g, SMGC-3-200 Core; h, SMGC-3-800 Core; i, SMGC-3-1500 Core)=219,220,9

그림2-38. 새만금 갯벌과 주변 주상퇴적물 시료의 입도 특성(a, SMGC-58 Core; b, SMGC-D5 Core; c, SMGC-75 Core; d, SMGC-2-100 Core; e, SMGC-2-300 Core; f, SMGC-2-700 Core; g, SMGC-3-200 Core; h, SMGC-3-800 Core; i, SMGC-3-1500 Core)=227,229,9

그림2-39. 새만금 지역(신시도 남부 미체절 방조제)에서 1 조석주기 동안 조위 및 유속/유향=245,247,1

그림2-40. 새만금 지역의 1조석주기 동안 수온(a), 염분도(b) 및 부유퇴적물 농도변화(c)=246,248,1

그림2-41. 새만금 지역의 1조석주기 동안의 수심에 따른 잔여유속량의 분포=247,249,1

그림2-42. 새만금 지역의 1조석주기 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음의 값은 유출, 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250,252,1

그림2-43. 새만금 지역의 갯벌의 변화(최, 1999)=254,256,1

그림3-1-1. 미생물 조사 정점도=266,268,1

그림3-1-2. 종속영양세균 수의 분포=269,271,1

그림3-1-3. β-D-Glucosidase 활성(분해력)=272,274,1

그림3-1-4. β-D-Glucosidase 활성(가수분해율)=272,274,1

그림3-1-5. Aminopeptidase 활성(분해력)=273,275,1

그림3-1-6. Aminopeptidase 활성(가수분해율)=273,275,1

그림3-1-7. 세균군집의 단일 탄소원 이용에 근거한 새만금 지역 미생물 조사정점의 집괴분석 결과로 얻은 수지도=275,277,1

그림3-2-1. 새만금 수역의 조사 정점도=285,287,1

그림3-2-2. 여자만의 조사 정점도=286,288,1

그림3-2-3. 새만금 및 여자만의 엽록소-a농도 분포=288,290,1

그림3-2-4. 새만금 및 여자만에서의 돌말류 출현종 수=291,293,1

그림3-2-5. 새만금 및 여자만의 돌말류 개체수 분포=294,296,1

그림3-3-1. 중형저서동물조사정점도(A:여자만)=306,308,1

그림3-3-2. 중형저서동물조사정점도(B:새만금)=307,309,1

그림3-3-3. 여자만 갯벌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서식비율=310,312,5

그림3-3-4. 여자만 갯벌 각 조사정점별 중형저서생물의 서식밀도=317,319,1

그림3-3-5. 새만금 갯벌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서식비율=320,322,8

그림3-3-6. 새만금 갯벌 각 조사정점별 중형저서생물의 서식밀도=330,332,8

그림3-4-1. 여자만에서의 전체 조사정점 및 갯벌 조간대 조사선 조사 위치=334,336,1

그림3-4-2. 새만금에서의 전체 조사정점=337,339,1

그림3-4-3. 새만금에서의 갯벌(조간대)조사를 위한 조사선=338,340,1

그림3-4-4. 만경강 조사 정점도=340,342,1

그림3-4-5. 동진강 조사 정점도=341,343,1

그림3-4-6. 여자만 전체 조사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종 수의 공간 분포=343,345,1

그림3-4-7. 여자만 전체 조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의 공간 분포=344,346,1

그림3-4-8. 여자만 전체 조사에서 나타난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의 공간 분포=345,347,1

그림3-4-9. Minuspio japonica의 공간 분포=349,351,1

그림3-4-10. Eriopisella sechellensis의 공간분포=350,352,1

그림3-4-11. 오뚜기갯지렁이(Sternaspis scutata)의 공간분포=351,353,1

그림3-4-12. 재첩류(Corbiculina sp.)의 공간분포=352,354,1

그림3-4-13. Corophium sinense의 공간분포=353,355,1

그림3-4-14. Idunella chilkensis의 공간분포=354,356,1

그림3-4-15. Sigambra tentaculata의 공간분포=355,357,1

그림3-4-16. Theora fragilis의 공간분포=356,358,1

그림3-4-17. Heteromastus filiformis의 공간분포=357,359,1

그림3-4-18.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의 공간분포=358,360,1

그림3-4-19. 여자만 전체 조사에서 나타난 대형저서동물의 다양도 공간분포=361,363,1

그림3-4-20. 여자만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작성된 수지도=362,364,1

그림3-4-21. 여자만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의 공간분포=363,365,1

그림3-4-22. 여자만 갯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공간분포=368,370,1

그림3-4-23. 여자만 갯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의 공간분포=369,371,1

그림3-4-24. 여자만 갯벌 각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의 공간분포=370,372,1

그림3-4-25.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1 조사선에서의 우점종 분포=372,374,1

그림3-4-26.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2 조사선에서의 우점종 분포=376,378,1

그림3-4-27.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3 조사선에서의 우점종 분포=380,382,1

그림3-4-28.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4 조사선에서의 우점종 분포=384,386,1

그림3-4-29. 여자만 갯벌 YJ 5 조사선에서의 우점종 분포=387,389,1

그림3-4-30. 여자만 갯벌 조간대의 각 조사선에서 다양도 수직 분포=389,391,1

그림3-4-31.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1 및 YJ 2 조사선에서 집괴분석 결과 작성된 수지도=390,392,1

그림3-4-32.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3 및 YJ 4 조사선에서 집괴분석 결과 작성된 수지도=391,393,1

그림3-4-33. 여자만 갯벌 조간대 YJ 5 조사선에서 집괴분석 결과 작성된 수지도=392,394,1

그림3-4-34. 새만금 전체조사에서 나타난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의 공간분포=400,402,1

그림3-4-35. 새만금 전체조사에서 나타난 대형저서동물 출현 개체수의 공간분포=401,403,1

그림3-4-36. 새만금 전체조사에서 나타난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의 공간분포=402,404,1

그림3-4-37. 우점종인 서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의 분포=405,407,1

그림3-4-38. 우점종인 Minuspio japonica의 분포=405,407,1

그림3-4-39. 우점종인 Mediomastus californiensis의 분포=406,408,1

그림3-4-40. 우점종인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분포=406,408,1

그림3-4-41. 우점종인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분포=407,409,1

그림3-4-42. 우점종인 Potamocorbula laevis의 분포=407,409,1

그림3-4-43. 우점종인 Glycinde gurijanovae의 분포=408,410,1

그림3-4-44. 우점종인 Gammaropsis utinomi의 분포=408,410,1

그림3-4-45. 우점종인 쇄개량조개 (Ratrllops puchella)의 분포=409,411,1

그림3-4-46. 새만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도 지수 (H')의 분포도=411,413,1

그림3-4-47. 새만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균등도 지수 (J)의 분포도=411,413,1

그림3-4-48. 새만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우점도 지수 (Do)의 분포도=412,414,1

그림3-4-49. 새만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풍부도 지수 (R)의 분포도=412,414,1

그림3-4-50. 새만금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의 공간 분포=415,417,1

그림3-4-51. 새만금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자료 활용 정점 위치도=417,419,1

그림3-4-52. 새만금 만경강에서 연결된 환경조사정점에서 조사연도별 종수와 생물량 비교=419,421,1

그림3-4-53. 새만금 동진강에서 연결된 환경조사정점에서 조사연도별 종수와 생물량 비교=420,422,1

그림3-4-54. 새만금 대항 갯벌 조간대 (L1)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23,425,1

그림3-4-55. 새만금 대항 갯벌 조간대 (L1)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25,427,1

그림3-4-56. 새만금 해창 갯벌 조간대 (L2)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27,429,1

그림3-4-57. 새만금 해창 갯벌 조간대 (L2)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29,431,1

그림3-4-58. 새만금 계화 갯벌 조간대 (L3)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31,433,1

그림3-4-59. 새만금 계화 갯벌 조간대 (L3)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33,435,1

그림3-4-60. 새만금 우마 갯벌 조간대 (L4)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종,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35,437,1

그림3-4-61. 새만금 우마 갯벌 조간대 (L4)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37,439,1

그림3-4-62. 광활 갯벌 조간대 (L5)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39,441,1

그림3-4-63. 새만금 광활 갯벌 조간대 (L5)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41,443,1

그림3-4-64. 거전 갯벌 조간대 (L6)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44,446,1

그림3-4-65. 거전 갯벌 조간대 (L6)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45,447,1

그림3-4-66. 새만금 경창 갯벌 조간대 (L7)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47,449,1

그림3-4-67. 경창 갯벌 조간대 (L7)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49,451,1

그림3-4-68. 어은 갯벌 조간대 (L8)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51,453,1

그림3-4-69. 새만금 대항 갯벌 조간대 (L8)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52,454,1

그림3-4-70. 수라 갯벌 조간대 (L9)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지점별 출현 종수, 서식밀도 및 생물량 분포=455,457,1

그림3-4-71. 수라 갯벌 조간대 (L9) 조사선에서 지점별 주요 우점종의 분포=456,458,1

그림3-4-72. 새만금 각 조사선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수 분포=458,460,1

그림3-4-73. 새만금 각 조사선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 분포=459,461,1

그림3-4-74. 새만금 각 조사선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460,462,1

그림3-4-75. 새만금 갯벌에서 각 지점간의 집괴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수지도=463,465,1

그림3-4-76. 새만금 갯벌에서 설정된 각 조사선 (갯벌)에서 정점군의 분포=464,466,1

그림3-4-77. 2001년 7월에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의 표층수온의 분포=466,468,1

그림3-4-78. 2001년 7월에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의 표층 염분의 분포=467,469,1

그림3-4-79. 2001년 7월에 새만금 동진강 하구역에서 수온의 분포=468,470,1

그림3-4-80. 2001년 7월에 새만금 동진강 하구역에서 염분의 분포=468,470,1

그림3-4-81.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공간적인 분포=471,473,1

그림3-4-82. 2001년 7월 만경강 하수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 분포 범위=473,475,1

그림3-4-83.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공간적인 분포=475,477,1

그림3-4-84. 2001년 7월 동진강 하수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 분포 범위=477,479,1

그림3-5-1. 어류조사 지점도 (전라북도 새만금 지역) 검은색 선은 어류 채집을 위한 그물을 예인한 위치와 거리를 나타냄=492,494,1

그림3-5-2. 황해유역의 고유종 (3종). A, Sebastes Koreanus; B, Repomucenus Koreanus; C, R. leucopoecils.=521,523,1

그림4-1-1. 2001년도 전라남도 동부지역 갯벌조사 색인도=547,549,1

그림4-1-2. 여자만 중점조사지역 조사정점=548,550,1

그림4-1-3. 금당도, 평일도, 노력도 인근 갯벌조사정점=549,551,1

그림4-1-4. 거금도 인근 갯벌조사정점=550,552,1

그림4-1-5. 득량만 인근 갯벌조사정점=551,553,1

그림4-1-6. 해창만 인근 갯벌조사정점=552,554,1

그림4-1-7. 광양만 인근 갯벌조사정점=553,555,1

그림4-1-8. 가막만 인근 갯벌조사정점=554,556,1

그림4-1-9. 해양환경측전망 조사정점=555,557,1

그림4-1-10. 여자만 표층수 중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DO)의 지점별 변화=559,561,1

그림4-1-11. 여자만 표층수 중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클로로필 a의 지점별 변화=560,562,1

그림4-1-12. 여자만 표층수 중 용존무기인(DIP),용존무기질소(DIN)규산규소의 지점별 변화=561,563,1

그림4-1-13. 2001년 하계 갯벌 인근해역 표층수 중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의 소해역별 변동폭과 평균값=564,566,1

그림4-1-14. 2001년 하계 갯벌 인근해역 표층수 중 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및 클로로필 a의 소해역별 변동폭과 평균값=565,567,1

그림4-1-15. 2001년 하계 갯벌 인근해역 표층수 중 용존무기인, 용존무기질소 및 규산 규소의 소해역별 변동폭과 평균값=566,568,1

그림4-1-16. 8월 4개 소해역의 표층수 중 수온, 염분, 용존산소 평균값의 장기변동=568,570,1

그림4-1-17. 8월 4개 소해역의 표층수 중 COD, DIN및 DIP 평균값의 장기변동=569,571,1

그림4-1-18. 여자만내 조간대 및 조하대에서 소해역별 표층퇴적물내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강열감량(IL)및 산휘발성황화물(AVS)의 변동폭과 평균값=572,574,1

그림4-1-19. 여자만내 조간대 및 조하대에서 소해역별 표층퇴적물내 총유기탄소(TOC),총유기질소(TON)및 C/N비값의 변동폭과 평균값=573,575,1

그림4-1-20. 여자만 주상퇴적물 중 강열감량(IL)과 산휘발성황화물(AVS)의 수직분포=576,578,1

그림4-1-21. 여자만 주상퇴적물 중 총유기물(TOC), 총유기질소(TON)및 C/N비값의 수직분포=577,579,1

그림4-1-22. 여자만내 갯벌 및 조하대에서 소해역별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변동폭과 평균값=579,581,1

그림4-1-23. 여자만내 갯벌 및 조하대에서 소해역별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변동폭과 평균값=580,582,1

그림4-1-24. 여자만 주상퇴적물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수직분포=583,585,1

그림4-1-25. 여자만 주상퇴적물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수직분포=584,586,1

그림4-1-26. 단위갯벌별 표층퇴적물 강열감량(TI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산휘발성황화물(AVS)의 변동폭과 평균값=588,590,1

그림4-1-27. 단위갯벌별 표층퇴적물 총유기탄소(TOC), 총유기질소(TON) 및 C/N비값의 변동폭과 평균값=589,591,1

그림4-1-28. 단위갯벌별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Fe, Mn, Cu)의 변동폭과 평균값=592,594,1

그림4-1-29. 단위갯벌별 표층퇴적물내 중금속원소(Zn, Pb, Cd)의 변동폭과 평균값=593,595,1

그림4-2-1. 전북 연안 갯벌의 오염도 조사 정점=599,601,1

그림4-2-2. 정점별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의 분포=607,609,1

그림4-2-3. 정점별 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질소 및 질산질소의 분포=608,610,1

그림4-2-4. 정점별 용존무기질소, 인산인 및 NP비의 분포=609,611,1

그림4-2-5.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정점별 수질 분포 양상=614,616,1

그림4-2-6. 염분과 수질 요소와의 상관관계=616,618,1

그림4-2-7. 정점별 함수율, 강열감량 및 저질 COD의 분포=624,626,1

그림4-2-8. 정점별 AVS, 총질소 및 총탄소의 분포=625,627,1

그림4-2-9. 저질 퇴적물내의 알루미늄, 카드뮴 및 구리의 정점별 분포=626,628,1

그림4-2-10. 저질 퇴적물내의 철, 망간 및 니켈의 정점별 분포=627,629,1

그림4-2-11. 저질 퇴적물내의 납 및 아연의 정점별 분포=628,630,1

그림4-2-12.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정점별 저질 분포 양상=633,635,1

그림4-2-13. 퇴적물내의 함수율(%)과 저질 요소와의 상관관계=635,637,1

그림4-2-14. 퇴적물내의 함수율(%)과 저질 중금속과의 상관관계=636,638,1

그림4-2-15. 유기물 함량과 중금속 농축비=638,640,1

그림5-1-1. 갯벌에서의 낙지잡이=650,652,1

그림5-1-2. 갯벌에서의 조개류 채취=650,652,1

그림5-1-3. 갯벌에서 꼬막 채취 전경=651,653,1

그림5-1-4. 건간망 전경=652,654,1

그림5-1-5. 갯벌에서 타이어를 이용한 굴 양식=652,654,1

그림5-1-6. 맨손 어구류(호미)=653,655,1

그림5-1-7. 맨손 어구류(조개채취기)=653,655,1

그림5-1-8. 맨손 어구류(갯지렁이 채취기)=654,656,1

그림5-1-9. 맨손 어구류(잠수기)=654,656,1

그림5-1-10. 은신함정류(문어단지)=656,658,1

그림5-1-11. 은신함정류(쭈꾸미 소호)=657,659,1

그림5-1-12. 쭈꾸미 소호를 쌓아 놓은 전경=658,660,1

그림5-1-13. 끌어구류(바지락 형망)=659,661,1

그림5-1-14. 끌어구류(피조개형망)=660,662,1

그림5-1-15. 개량조개 형망(새조개 형망)=661,663,1

그림5-1-16. 낭장망류(멸치낭장망)=662,664,1

그림5-1-17. 가두리 그물류(숭어3각망)=663,665,1

그림5-1-18. 저층 끌그물류(중하 빔트롤)=664,666,1

그림 5-1-19. 저층 끌그물류(자주새우 빔트롤)=665,667,1

그림5-2-1. 갯벌에서 조업하고 썰물 때에 귀향하는어선들=669,671,1

그림5-2-2. 조개채취용 갈퀴(좌)및 써래(우)=671,673,1

그림5-2-3. 조개채취 하는 여성(좌)및 귀향하는 여성(우)=671,673,1

그림5-2-4. 형망어선 및 형망으로 채취한 패류=672,674,1

그림5-2-5. 형망어구 및 조업모식도=673,675,1

그림5-2-6. 패류저인망의 발줄에 붙이는 체인(좌) 및 납추(우)=674,676,1

그림5-2-7. 볼락ㆍ쥐노래미 뇌줄낚시=675,677,1

그림5-2-8. 젖새우낭장망 어구부설도=676,678,1

그림5-2-9. 갯벌에 정박중인 안강망어선=678,680,1

그림5-2-10. 실뱀장어안강망 어구설계도 및 어구부설도=679,681,1

그림5-2-11. 중하ㆍ대하ㆍ꽃게ㆍ백새우ㆍ숭어안강망 어구설계도 및 어구부설도=681,683,1

그림5-2-12. 숭어 2각망 어구부설도=682,684,1

그림5-2-13. 주쭈미소호 어구부설도=683,685,1

그림5-2-14. 육상에 올려진 주쭈미소호어구=683,685,1

그림5-2-15. 갑오징어 통발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84,686,1

그림5-2-16. 숭어유자망 어구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88,691,1

그림5-2-17. 꽃게유자망(삼중자망) 어구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89,691,1

그림5-2-18. 꽃게고정자망(삼중자망) 어구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91,693,1

그림5-2-19. 새우류ㆍ망둥어후릿그물 조업모식도=692,694,1

그림5-2-20. 전어양조망 어구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94,696,1

그림5-2-21. 중하ㆍ꽃게유자망 빔트롤 어구설계도 및 조업모식도=695,697,1

그림6-1. 연구지역 범위=700,702,1

그림6-2. 연구지역 갯벌 배후 읍면=702,704,1

그림6-3. 해안선의 길이=703,705,1

그림6-4. 연구지역의 인구수=704,706,1

그림6-5. 해당 읍면별 인구밀도(전북)=705,707,1

그림6-6. 해당 읍면별 인구밀도(전남동부)=706,708,1

그림6-7. 시군별 인구추이=707,709,1

그림6-8. 1995~1999의 년평균 인구증가율=709,711,1

그림6-9. 1차 산업종사자 비율=710,712,1

그림6-10. 산업단지 유형별 조성면적=739,741,1

그림6-11. 각 시군별 관광객수=743,745,1

그림6-12. 시군별 매립 현황=747,749,1

그림6-13. 용도별 매립 현황=747,749,1

그림6-14. 지역별 매립계획 현황=749,751,1

그림6-15. 용도별 매립계획 현황=749,751,1

그림6-16. 시군별 수산물 어획고(수량)=751,753,1

그림6-17. 도ㆍ별ㆍ어업별 어업권 현황=753,755,1

그림6-18. 시ㆍ군별ㆍ어업별 어업권 현황=753,755,1

그림6-19. 어촌계별 유형=756,758,1

그림6-20. 갯벌에서의 하루 평균 노동시간=766,768,1

그림6-21. 갯벌에서의 노동기간=768,770,1

그림6-22. 월평균소득 중 갯벌에서 생산되는 어업소득=770,772,1

그림6-23. 갯벌 수확량의 변화정도=773,775,1

그림6-24. 갯벌 판매수익의 변화 정도=773,775,1

그림6-25. 갯벌 수확량 감소원인=773,775,1

그림6-26.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갯벌 환경의 정도=774,776,1

그림6-27.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갯벌환경악화 원인=775,777,1

그림6-28.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향후 갯벌이용 방향=775,777,1

그림6-29.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갯벌보전의 이유=776,778,1

그림6-30.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갯벌개발 이유=777,779,1

그림6-31. 어업인들이 생각하는 갯벌의 개발 용도=777,779,1

그림6-32. 갯벌관리계획에 대한 참여의사 정도=788,780,1

그림6-33. 갯벌계획수립의 주체구조=779,781,1

그림6-34. 일반주민의 최근 2년간 갯벌 방문경험 정도=779,781,1

그림6-35. 일반주민의 갯벌방문 빈도=780,782,1

그림6-36. 일반주민의 갯벌방문 목적=781,783,1

그림6-37. 일반주민이 생각하는 갯벌환경 정도=782,784,1

그림6-38. 일반주민이 생각하는 갯벌환경 악화 요인=782,784,1

그림6-39. 일반주민이 생각하는 갯벌이용 방향=783,785,1

그림6-40. 일반주민들이 생각하는 갯벌보전 이유=784,786,1

그림6-41. 개발을 원하는 이유=785,787,1

그림6-42. 개발이용의 용도=785,787,1

그림6-43. 연구지역의 단위 갯벌=789,791,1

그림6-44. 압력-상태-대응 구조(Pressure- State-Response framework)=791,793,1

그림6-45. 갯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PSR 구조 응용체계=792,794,1

그림6-46. 갯벌영향 압력지표(Pressure) 평가결과=795,797,1

그림6-47. 압력평가=795,797,1

그림6-48. 갯벌 상태지표(State) 평가결과=796,798,1

그림6-49. 상태평가=797,799,1

그림6-50. 갯벌 대응지표(Response) 평가결과=798,800,1

그림6-51. 대응평가=799,801,1

그림6-52. PSR(Pressure-State-Response) 지표 종합평가=800,802,1

그림6-53. 종합평가=801,803,1

그림7-1-1. 챔버 규격=825,827,1

그림7-1-2. 챔버 실물 사진=825,827,1

그림7-1-3. 챔버 조절장치(상) 및 센서(하)=826,828,1

그림7-1-4. 해수시료 여과장비=826,828,1

그림7-1-5. (a) 갯벌위에 설치된 챔버 (b) 상부지지틀 (c) 하부지지틀과 고정핀 (d)지지봉=827,829,1

그림7-1-6. (a) 바지락 및 동죽챔버 (b) 대조구(무생물 챔버)=828,830,1

그림7-1-7. 챔버실험 장면=829,831,1

그림7-1-8. 바지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엽록소-a 농도의 변화양상=833,835,1

그림7-1-9. 바지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입자유기탄소 농도의 변화양상=834,836,1

그림7-1-10. 바지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입자유기질소 농도의 변화양상=836,838,1

그림7-1-11. 바지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COD의 변화양상=839,841,1

그림7-1-12. 동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엽록소-a 농도의 변화양상=842,844,1

그림7-1-13. 동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입자유기탄소 농도의 변화양상=843,845,1

그림7-1-14. 동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입자유기질소 농도의 변화양상=845,847,1

그림7-1-15. 동죽 유ㆍ무에 따른 각 계절별 COD의 변화양상=848,850,1

그림7-2-1. 회유성 종과 정주성 종의 갯벌 이용 정도=861,863,1

그림7-2-2. 풀망둑의 크기-빈도 그래프=864,866,1

그림7-2-3. 풀망둑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65,867,1

그림7-2-4. 쉬쉬망둑의 크기-빈도 그래프=866,868,1

그림7-2-5. 쉬쉬망둑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67,869,1

그림7-2-6.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풀망둑(상)과 쉬쉬망둑(하)의 계절변화=868,870,1

그림7-2-7. 참서대의 크기-빈도 그래프=870,872,1

그림7-2-8. 참서대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71,873,1

그림7-2-9. 쥐노래미의 크기-빈도 그래프=872,874,1

그림7-2-10. 쥐노래미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73,875,1

그림7-2-11.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참서대(상)과 쥐노래미(하)의 계절변화=874,876,1

그림7-2-12. 조피볼락의 크기-빈도 그래프=876,878,1

그림7-2-13. 조피볼락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77,879,1

그림7-2-14. 민태의 크기-빈도 그래프=878,880,1

그림7-2-15. 민태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79,881,1

그림7-2-16.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조피볼락(상)과 민태(하)의 계절변화=880,882,1

그림7-2-17. 꽃게의 크기-빈도 그래프=882,884,1

그림7-2-18. 꽃게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83,885,1

그림7-2-19. 민꽃게의 크기-빈도 그래프=884,886,1

그림7-2-20. 민꽃게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85,887,1

그림7-2-21.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꽃게(상)과 민꽃게(하)의 계절변화=886,888,1

그림7-2-22. 중하의 크기-빈도 그래프=887,889,1

그림7-2-23. 중하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88,890,1

그림7-2-24.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중하의 계절변화=889,891,1

그림7-2-25. 참꼴뚜기의 크기-빈도 그래프=890,892,1

그림7-2-26. 참꼴뚜기의 계절에 따른 갯벌 이용 정도=891,893,1

그림7-2-27. 주성분 분석과 집괴분석을 통한 참꼴뚜기의 계절변화=892,894,1

그림7-2-28. 풀망둑, 쉬쉬망둑, 참서대의 크기-생물량 관계=894,896,1

그림7-2-29. 쥐노래미, 조피볼락, 민태의 크기-생물량 관계=895,897,1

그림7-2-30. 꽃게, 민꽃게의 크기-생물량 관계=897,899,1

그림7-2-31. 참꼴뚜기, 쭈꾸미의 크기-생물량 관계=899,901,1

그림7-2-32. 조사해역의 정점도=901,903,1

그림7-2-33. 조사 정점 퇴적물의 평균입도의 계절변화=904,906,1

그림7-2-34. 조사 정점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의 계절변화=906,908,1

그림7-2-35. 조사 정점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출현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907,909,1

그림7-2-36. 조사 정점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출현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909,911,1

그림7-2-37.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출현 종 수(백분율)=910,912,1

그림7-2-38.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출현 종 수의 계절 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1,913,1

그림7-2-39.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개체수(백분율)=912,914,1

그림7-2-40.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개체수의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3,915,1

그림7-2-41.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생물량(백분율)=914,916,1

그림7-2-42.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생물량의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5,917,1

그림7-2-43.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 출현 종 수의 정점별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6,918,1

그림7-2-44.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 개체수의 정점별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7,919,1

그림7-2-45. 각 정선에서 출현한 저서동물 생물량의 정점별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18,920,1

그림7-2-46. 각 정선에서 생태학적 제지수(다양도)의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22,924,1

그림7-2-47. 각 정선에서 생태학적 제지수(균등도)의 계절변화(상; 정선 A, 중; 정선 B, 하; 정선 C)=923,925,1

그림7-2-48. 집괴분석을 이용한 저서동물의 군집구조=931,933,1

그림7-2-49. 김양식장이 조성되기 이전과 이후의 각 정선 하부정점의 입도 변화=934,936,1

그림7-2-50. 채집지역과 건간망이 설치된 모습=936,938,1

그림7-2-51. 건강망에서 채집된 동물군별 출현 종 수=939,941,1

그림7-2-52. 건강망에서 채집된 동물군별 개체수=941,943,1

그림7-2-53. 건강망에서 채집된 동물군별 생물량=942,944,1

그림7-2-54. 건강망에서의 다양도 및 균등도 지수의 계절변화=943,945,1

그림7-2-55. 개체수에 근거한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946,948,1

그림7-2-56. 생물량에 근거한 상위 10위 우점종의 계절변화=947,949,1

그림7-2-57. 건강망에서 채집된 유영생물(어류)의 군집구조=949,951,1

그림7-2-58. 건강망에서 채집된 유영생물(갑각류)의 군집구조=950,952,1

그림8-1. 서해안의 갯벌 분포도=960,962,1

그림8-2. 강화도 갯벌 분포도. 조사정점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였다=962,964,1

그림8-3. 아산만 방조제 부근 갯벌 분포도 및 조사정점=962,964,1

그림8-4. 금강 하구언둑 부근의 갯벌 분포도 및 조사정점=963,965,1

그림8-5. 새만금 방조제 주변의 갯벌 분포도 및 조사정점=963,965,1

그림8-6. 곰소만 갯벌 분포도 및 조사정점.갯벌 분포대는 Kim et al.(1999)를 따름=964,966,1

그림8-7. 조사지역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를 Folk(1968)의 삼각다이아그램에 투영한 그림=969,971,1

그림8-8. 강화도 갯벌 퇴적물의 산성도-산화환원전위의 상다이아그램=982,984,1

그림8-9. 아산만방조제 남단 갯벌 퇴적물의 산성도-산화환원전위의 상다이아그램=984,986,1

그림8-10. 금강하구언둑 북단 갯벌 퇴적물의 산성도-산화환원전위의 상다이아그램=987,989,1

그림8-11. 새만금 1호 방조제 남단 갯벌 퇴적물의 산성도-산화환원전위의 상다이아그램=989,991,1

그림8-12. 곰소만 갯벌 퇴적물의 산성도-산화환원전위의 상다이아그램=991,993,1

그림8-13. 파랑, 조류 및 퇴적물의 유입량에 따른 연안환경의 분류를 보여주는 삼각다이아그램=998,1000,1

그림8-14. 연안퇴적환경의 진화적 분류=999,1001,1

그림8-15. 이 연구에서 제안한 연안퇴적환경의 새로운 분류표에 연구지역 갯벌 분류하여 표시하였다.SM,새만금 내부 갯벌; KH, 강화도 여차리; AS,아산만; KR, 금강; SMK, 새만금 1호 방조제 외곽; GS, 곰소만 중부; GS1, 곰소만 내부=1000,1002,1

그림8-16. 대표적 만입형 갯벌(북해 야데만) 및 하구형 갯벌(펀디만)의 수직퇴적상 모델(Modified after Klein (1977) & Dalrymple et al. (1990)=1005,1007,1

그림8-17. 곰소만 중부 갯벌의 수직퇴적상 모델(Modified after Kim et al., 1999)=1005,1007,1

그림8-18. 해수면 상승에 따르는 갯벌 퇴적층 형성모델=1005,1007,1

그림8-19. 새만금 해역 갯벌의 면적 변화(조와 조,1997)=1008,1010,1

그림8-20. 새만금 1호 방조제 외곡부의 갯벌 면적변화. 1990, 1992, 2000년 최저조시의 위성영상자료를 분석한 것이며 1992년 자료 위에 표기하였다=1010,1012,1

그림8-21. 황해및 한반도 연근해의 해저표층퇴적물의 분포=1014,1016,1

그림8-22. 흑산니질대의 분포 및 이동양상에 대한 모식=1015,1017,1

그림9-1.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진행장소 위치도=1091,1093,1

그림9-2.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학습시간 비율=1099,1101,1

그림9-3.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학습시간 상세내용=1099,1101,1

그림9-4. 훈련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종합=1104,1106,1

그림9-5. 훈련 및 강의준비상태에 대한 만족도=1105,1107,1

그림9-6. 식사준비에 대한 만족도=1105,1107,1

그림9-7. 숙소에 대한 만족도=1106,1108,1

그림9-8. 준비와 운영팀의 성실성 및 기타 지원사항 등에 대한 만족도=1107,1109,1

그림9-9. 훈련과정 중 훈련생에 대한 평가 종합=1107,1109,1

그림9-10. 훈련생의 훈련 참가율에 대한 의견=1108,1110,1

그림9-11. 훈련 및 수업태도에 대한 의견=1109,1111,1

그림9-12. 훈련생의 적극성에 대한 의견=1109,1111,1

그림9-13. 강사에 대한 평가 종합=1110,1112,1

그림10-1. 갯벌 퇴적물상의 분포=1144,1146,1

그림10-2. 양식장의 분포=1145,1147,1

그림10-3. 영상의 처리과정=1146,1148,1

그림10-4. 1997년 Landsat TM영상=1147,1149,1

그림10-5. 1998년 Landsat TM영상=1147,1149,1

그림10-6. 지상기준점의 선정=1148,1150,1

그림10-7. 보정된 좌표값 계산=1148,1150,1

그림10-8. 영상의 리샘플링(resampling)=1149,1151,1

그림10-9. 감독분류 과정=1149,1151,1

그림10-10. 분류될 클래스의 선정=1150,1152,1

그림10-11. 트레이닝 영역의 설정=1150,1152,1

그림10-12. 영상의 감독분류=1151,1153,1

그림10-13. DEM의 제작과정=1152,1154,1

그림10-14. 수치지도=1153,1155,1

그림10-15. 등고선, 표고점 레이어 추출=1153,1155,1

그림10-16. TIN의 생성=1154,1156,1

그림10-17. GRID의 생성=1154,1156,1

그림10-18. 강진만 Landsat TM 영상과 DEM=1155,1157,1

그림10-19. 도암만 갯벌생태지도=1156,1158,1

그림11-1. 무안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도면=1163,1165,1

그림12-1. 증도의 갯지렁이류의 구성=1178,1180,1

그림12-2. 압해도의 갑각류의 구성=1178,1180,1

그림12-3. 증도의 갯지렁이류의 조사정점별 종 수의 분포=1196,1198,1

그림12-4. 증도의 갯지렁이류의 조사정점별 개체수 분포=1196,1198,1

그림12-5. 압해도의 갑각류의 조사정점별 종 수의 분포=1197,1199,1

그림12-6. 압해도의 갑각류의 조사정점별 개체수의 분포=1197,1199,1

부록3-1. 새만금과 여자만 퇴적물에서 출현한 저서성 돌말류의 목록 및 분류표=528,530,6

부록3-2. 여자만 갯벌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체크기별 분포=534,536,4

부록3-3. 새만금 갯벌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체크기별 분포=538,540,5

부록4-1. 2001년 전북연안 갯벌 오염도 조사 현황 자료=642,644,3

부록8-1-1. 강화도 여차리 갯벌의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1023,1025,1

부록8-1-2. 아산만 방조제 앞 갯벌의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1024,1026,1

부록8-1-3. 금강 하구언둑 앞 갯벌의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1025,1027,1

부록8-1-4. 새만금 방조제 앞 갯벌의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1026,1028,1

부록8-1-5. 곰소만 갯벌의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1027,1029,1

부록8-2-1. 강화도 KH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Peel) 사진=1028,1030,1

부록8-2-2. 강화도 KH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29,1031,1

부록8-2-3. 강화도 KH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Peel) 사진=1030,1032,1

부록8-2-4. 강화도 KH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31,1033,1

부록8-2-5. 강화도 KH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32,1034,1

부록8-2-6. 강화도 KH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33,1035,1

부록8-2-7. 강화도 KH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34,1036,1

부록8-2-8. 강화도 KH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35,1037,1

부록8-2-9. 아산만 AS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36,1038,1

부록8-2-10. 아산만 AS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37,1039,1

부록8-2-11. 아산만 AS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38,1040,1

부록8-2-12. 아산만 AS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39,1041,1

부록8-2-13. 아산만 AS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40,1042,1

부록8-2-14. 아산만 AS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41,1043,1

부록8-2-15. 아산만 AS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42,1044,1

부록8-2-16. 아산만 AS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43,1045,1

부록8-2-17. 아산만 AS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44,1046,1

부록8-2-18. 아산만 AS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45,1047,1

부록8-2-19. 아산만 AS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46,1048,1

부록8-2-20. 아산만 AS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47,1049,1

부록8-2-21. 금강 KR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48,1050,1

부록8-2-22. 금강 KR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49,1051,1

부록8-2-23. 금강 KR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50,1052,1

부록8-2-24. 금강 KR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51,1053,1

부록8-2-25. 금강 KR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52,1054,1

부록8-2-26. 금강 KR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53,1055,1

부록8-2-27. 금강 KR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54,1056,1

부록8-2-28. 금강 KR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55,1057,1

부록8-2-29. 금강 KR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연 X선 사진=1056,1058,1

부록8-2-30. 새만금 SMK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57,1059,1

부록8-2-31. 새만금 SMK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58,1060,1

부록8-2-32. 새만금 SMK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59,1061,1

부록8-2-33. 새만금 SMK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60,1062,1

부록8-2-34. 새만금 SMK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61,1063,1

부록8-2-35. 새만금 SMK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퇴적물 시료의 필 사진=1062,1064,1

부록8-2-36. 곰소만 갯벌 GS1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63,1065,1

부록8-2-37. 곰소만 갯벌 GS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필 사진=1064,1066,1

부록8-2-38. 곰소만 갯벌 GS1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65,1067,1

부록8-2-39. 곰소만 갯벌 GS2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66,1068,1

부록8-2-40. 곰소만 갯벌 GS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필 사진=1067,1069,1

부록8-2-41. 곰소만 갯벌 GS2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68,1070,1

부록8-2-42. 곰소만 갯벌 GS3 정점에서 획득된 핸드해머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69,1071,1

부록8-2-43. 곰소만 갯벌 GS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필 사진=1070,1072,1

부록8-2-44. 곰소만 갯벌 GS3 정점에서 획득된 캔코아 시료의 연 X선 사진=1071,1073,1

부록8-3-1. 정점 KH1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2,1074,1

부록8-3-2. 정점 KH2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3,1075,1

부록8-3-3. 정점 KH3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4,1076,1

부록8-3-4. 정점 AS1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5,1077,1

부록8-3-5. 정점 AS2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6,1078,1

부록8-3-6. 정점 AS3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7,1079,1

부록8-3-7. 정점 KR1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8,1080,1

부록8-3-8. 정점 KR2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79,1081,1

부록8-3-9. 정점 KR3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0,1082,1

부록8-3-10. 정점 SMK1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1,1083,1

부록8-3-11. 정점 SMK2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2,1084,1

부록8-3-12. 정점 SMK3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3,1085,1

부록8-3-13. 정점 GS1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4,1086,1

부록8-3-14. 정점 GS2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5,1087,1

부록8-3-15. 정점 GS3의 수직 주상도 및 생란 등급(B.G), 산성도(pH), 산화환원전위(Eh), 강열감량(I.L.)의 수직분포=1086,1088,1

부록9-1. 해양환경교육 실습 보고서=1119,1121,16

부록9-2. 해양환경 교육자 양성 훈련과정의 교육 사진=1135,1137,4

부록12-1. 압해도 갯벌의 단각류 I=1205,1207,1

부록12-2. 압해도 갯벌의 단각류 II=1206,1208,1

부록12-3. 압해도 갯벌의 단각류 III=1207,1209,1

도암만 갯벌 생태지도=1215,1217,1

도암만 갯벌 생태지도=1215,1217,1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0,3,1

1. 조사개요=1,4,2

2. 조사방법=3,6,4

3. 전라남도 동부해안 갯벌 목록 결과=7,10,2

청산도 갯벌 (CN-16)=9,12,33

평일도-금당도 갯벌 (CN-17)=42,45,88

거금도 갯벌 (CN-18)=130,133,59

득량만 갯벌 (CN-19)=189,192,171

나로도 갯벌 (CN-20)=360,363,89

광양만 갯벌 (CN-21)=449,452,51

가막만 갯벌 (CN-22)=500,503,41

4. 전라북도 갯벌 목록 결과=541,544,2

군산 갯벌 (CB-1)=543,546,11

변산 갯벌 (CB-2)=554,557,38

위도 갯벌 (CB-3)=592,595,21

곰소만 갯벌 (CB-4)=613,616,100

5. 일반조사 지역 갯벌 DB 구조=713,716,13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2

요약문=3,5,4

목차=7,9,3

표목차=10,12,2

그림목차=12,14,3

갯벌 생태관광 시범운영=15,17,2

제1절 연구개요=17,19,1

1. 연구배경 및 목적=17,19,2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18,20,1

제2절 갯벌생태관광의 개념과 원칙=19,21,1

1. 갯벌생태관광의 개념=19,21,2

2. 갯벌생태관광의 원칙=20,22,2

가. 생태관광의 평가원칙 (Wallace & Pierce, 1996)=21,23,1

나. 생태관광의 기본원칙 (김성일 역,1999)=21,23,1

다. 녹색관광의 기본원칙 (산림청, 1999)=21,23,2

라. 갯벌생태관광의 종합원칙=22,24,2

3. 갯벌생태관광의 성공요인=23,25,3

제3절 갯벌생태관광의 수요분석=25,27,1

1. 조사개요=25,27,2

2. 갯벌방문 실태와 향후 방문의도=26,28,2

가. 서해안 갯벌 방문경험률=27,29,2

나. 당일방문경험자의 방문 횟수=28,30,2

다. 숙박방문경험자의 방문 횟수=29,31,2

라. 숙박방문경험자의 숙박일수=30,32,2

마. 서해안 갯벌 방문 의도=31,33,2

3. 고객시장세분화에 따른 표적집단 설정=32,34,4

제4절 지역주민 참여 방안=35,37,1

1. 지역주민참여의 체계와 수단=35,37,1

가. 지역주민참여의 의미와 체계=35,37,19

나. 지역주민 참여방법=54,56,8

다. 지역주민의 관광사업참여 수단=61,63,3

2. 소득창출 방안 및 보전과의 연계방안=63,65,1

가. 농어촌 주민소득증대방안과 관련된 이전 연구=63,65,4

나. 갯벌생태관광 지역주민 소득증대방안=66,68,9

다. 이익과 보전과의 연계방안=74,76,3

제5절 갯벌생태관광의 시범모델=76,78,2

1. 갯벌생태관광 적지선정=77,79,3

가. 생태관광 지표개발=79,81,3

나. 갯벌 생태관광 적지분석=81,83,4

2. 갯벌생태관광개발계획 수립 및 시행=84,86,1

가. 협의체 구성=84,86,9

나. 생태관광 목표설정=92,94,2

다. 생태관광 개발계획의 수립 및 추진=93,95,12

라. 관련 조례 제정 및 정비=104,106,3

마. 생태관광 기금조성=106,108,3

3. 관광객 유치 방안=108,110,1

가. 마케팅/홍보방안=108,110,10

나. 생태관광 코스 및 프로그램 개발=117,119,5

다. 갯벌생태관광 상품 개발=121,123,6

4. 운영 및 관리=127,129,1

가. 갯벌생태관광의 운영방안=127,129,6

나. 갯벌생태관광의 관리방안=133,135,7

5. 갯벌생태관광 모니터링=139,141,3

가. 모니터링 체계=141,143,3

나. 갯벌 생태관광 모니터링=143,145,5

제6절 갯벌생태관광 시범운영=147,149,1

1. 대상지 개관=147,149,1

가. 적지선정기준=147,149,4

나. 지리적 위치 및 자연ㆍ인문 환경=150,152,3

다. 관광현황=152,154,1

라. 갯벌생태관광 도입의 기회요소 및 제한요소 규명=153,155,2

2. 프로그램 진행=154,156,1

가. 프로그램 기획단계=155,157,4

나. 프로그램 개발 단계=158,160,3

다. 프로그램 마케팅 단계=160,162,3

라. 프로그램 시연단계=162,164,6

마. 프로그램 평가단계=168,170,10

3. 성과와 문제점 규명=177,179,1

가. 성과=177,179,2

나. 문제점=178,180,4

4. 대안제시=182,184,1

참고문헌=183,185,3

표1-1 생태관광의 종합적 원칙=23,25,1

표1-2 갯벌생태관광의 성공요인과 내용=24,26,2

표1-3 지역별, 성별, 연령별 표본수 (단위:인)=26,28,1

표1-4 전국연령별 인구(2000년 기준)=27,29,1

표1-5 서해안 갯벌 방문경험률=27,29,1

표1-6 당일방문경험 총량 추정=28,30,1

표1-7 숙박방문경험 총량 추정=29,31,1

표1-8 숙박방문일수 총량 추정=30,32,1

표1-9 갯벌방문의도에 의한 방문객수 총량 추정=31,33,1

표1-10 각 군집의 응답자수=33,35,1

표1-11 군집별 대표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성=34,36,1

표1-12 표적집단 설정=34,36,1

표1-13 Pretty의 주민참여범위에 따른 형태구분=39,41,1

표1-14 Davis, Allen and Cosenza의 지역주민 태도 분류=42,44,1

표1-15 정보교환의 형태와 특징=55,57,1

표1-16 주민의 대표의사 투입 방법=58,60,1

표1-17 체험형 민박의 예=67,69,1

표1-18 펜션의 종류=70,72,1

표1-19 생태관광 지표=80,82,2

표1-20 갯벌생태관광 적지분석기준표=83,85,1

표1-21 갯벌 생태관광 적지 분석 평가표 (130점 만점)=84,86,1

표1-22 이해당사자별 역할분담=89,91,1

표1-23 야쿠시마 환경문화재단의 역할=90,92,1

표1-24 조류생태공원 시설물의 예=100,102,1

표1-25 순창군 그린투어리즘 육성 지원 조례(안)=106,108,1

표1-26 장소마케팅의 수단=111,113,1

표1-27 갯벌생태관광 코스=120,122,1

표1-28 갯벌생태관광상품=125,127,1

표1-29 자원관리의 관련 이론=135,137,1

표1-30 자원관리 이론의 갯벌생태관광 적용=136,138,1

표1-31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설물 관리=137,139,1

표1-32 해안상태의 산호 영향성의 예=144,146,1

표1-33 갯벌생태관광 시범운영 적지로서의 돌머리해수욕장 평가=149,151,1

표1-34 함평군의 지속가능관광 개발 계획=150,152,1

표1-35 함평갯벌 배후지역의 토지이용 현황=151,153,1

표1-36 함평읍 석성리의 인구통계자료=152,154,1

표1-37 함평 갯벌 프로그램=152,154,1

표1-38 갯벌생태관광도입 기회요소=153,155,1

표1-39 함평갯벌생태관광 도입 제한요소=154,156,1

표1-40 지역주민과의 협의과정=157,159,1

표1-41 함평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160,162,1

표1-42 참여 관광객의 사회경제적 특성=163,165,1

표1-43 관광객의 함평갯벌생태관광 만족 및 불만족 사항=169,171,1

표1-44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 만족도=170,172,1

표1-45 세부 프로그램별 만족도=172,174,1

표1-46 숙박 및 음식 만족도=175,177,1

표1-47 여행 서비스 만족도=176,178,1

표1-48 주민참여 미흡의 일차적 원인=179,181,1

표1-49 기반시설의 문제점=181,183,1

그림 1-1 갯벌생태관광의 개념도=20,22,1

그림 1-2 서해안 갯벌방문경험률=28,30,1

그림 1-3 당일방문횟수=29,31,1

그림 1-4 숙박방문횟수=30,32,1

그림 1-5 방문경험자의 숙박일수=31,33,1

그림 1-6 서해안 갯벌방문의도=32,34,1

그림 1-7 집단별 방문의도=33,35,1

그림 1-8 전통적 관강과 지속가능한 관광 (한국관광공사, 1997)=36,38,1

그림 1-9 Doxey의 주민태도변화 모델=41,43,1

그림 1-10 장화리 전경=45,47,1

그림 1-11 성공회 교회=46,48,1

그림 1-12 온천으로 유명한 유후인정=48,50,1

그림 1-13 유후인 지역주민과의 면담=48,50,1

그림 1-14 주민참여체계(Mitchell & Reid,2001, p.116을 수정)=53,55,1

그림 1-15 주민소득증대를 위한 개념도=66,68,1

그림 1-16 어촌관광개발과 지역주민의 위치(송미령, 2001, p.38을 수정)=74,76,1

그림 1-17 갯벌생태관광 시행의 개념도=77,79,1

그림 1-18 갯벌생태관광의 적지선정 흐름도=78,80,1

그림 1-19 생태관광 적지분석의 과정=82,84,1

그림 1-20 생태관광 협의체의 개념도=86,88,1

그림 1-21 야쿠시마 환경문화재단의 구성=91,93,1

그림 1-22 야쿠시마 환경문화재단의 개념도=92,94,1

그림 1-23 관찰오두막 모음=96,98,1

그림 1-24 관찰오두막 내부=96,98,1

그림 1-25 관찰벽 전경=97,99,1

그림 1-26 관찰벽의 모음=97,99,1

그림 1-27 유럽의 관찰벽 시설 조립도=97,99,1

그림 1-28 유럽의 관찰벽 내부 설계도=97,99,1

그림 1-29 관찰움막=98,100,1

그림 1-30 습지내에 설치한 관찰용 목도=98,100,1

그림 1-31 조류의 분류군 전시=98,100,1

그림 1-32 조류의 특징 전시=98,100,1

그림 1-33 쥬롱조류공원의 안내판1=99,101,1

그림 1-34 쥬롱조류공원의 안내판 2=99,101,1

그림 1-35 쥬롱조류공원의 안내판 3=99,101,1

그림 1-36 쥬롱조류공원의 안내판 4=99,101,1

그림 1-37 일본 야쿠시마 환경문화기금 개념도=108,110,1

그림 1-38 마케팅의 단계=109,111,1

그림 1-39 함평군 나비축제=113,115,1

그림 1-40 생태관광 홈페이지의 역할=114,116,1

그림 1-41 산림청 자연휴양림 홈페이지=15,117,1

그림 1-42 Conservation International의 생태관광 홈페이지=115,117,1

그림 1-43 미국 NPS의 국립공원 Passport=116,118,1

그림 1-44 국제두루미재단 해설가=119,121,1

그림 1-45 해설판 설치=120,122,1

그림 1-46 동경만 야조공원의 탐조시설=121,123,1

그림 1-47 방문객 센터의 예=121,123,1

그림 1-48 Cobscook Bay의 습지생태관광, 미국 Maine주=122,124,1

그림 1-49 구시로 습지 생태관광, 일본 훗카이도=123,125,1

그림 1-50 변산반도 갯벌체험학습 웹페이지=124,126,1

그림 1-51 코스가이드의 용유도 갯벌체험 웹페이지=124,126,1

그림 1-52 관광상품 개발 과정=126,128,1

그림 1-53 생태관광 운영 및 관리 개념도=127,129,1

그림 1-54 생태관광 프로그램 운영의 개념도=131,133,1

그림 1-55 지역주민 교육/훈련프로그램 운영의 개념도=133,135,1

그림 1-56 갯벌생태관광 관리과정 출처:Brown(1997;p.194)에서 수정=134,136,1

그림 1-57 관광객 행동체계관리 출처:Peterson and Lime, 1979=137,139,1

그림 1-58 생태관광 관리구조=139,141,1

그림 1-59 모니터링 체계의 구조=141,143,1

그림 1-60 갯벌 생태관광 모니터링 정착 단계=145,147,1

그림 1-61 GPS를 활용한 모니터링의 예=146,148,1

그림 1-62 GPS를 활용한 모니터링 결과의 컴퓨터 입력 예=146,148,1

그림 1-63 함평갯벌생태관광 시연 대상지=151,153,1

그림 1-64 함평갯벌생태관광 진행 단계=154,156,1

그림 1-65 준비단계 작업=155,157,1

그림 1-66 함평갯벌생태관광 주민참여 부문=158,160,1

그림 1-67 함평갯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목표와 전략=158,160,1

그림 1-68 네이쳐조선의 함평갯벌생태관광 홍보기사=161,163,1

그림 1-69 함평갯벌생태관광 홍보웹페이지=162,164,2

그림 1-70 관광객의 과거 갯벌방문 경험=164,166,1

그림 1-71 관광객의 과거 함평방문 경험=164,166,1

그림 1-72 관광객의 함평 인지도=164,166,1

그림 1-73 함평갯벌생태관광 종합 만족도=168,170,1

그림 1-74 항평재방문 의도=170,172,1

그림 1-75 프로그램 구성 만족도=171,173,1

그림 1-76 프로그램 진행 만족도=171,173,1

그림 1-77 갯벌생태이야기ㆍ환경놀이마당 만족도=172,174,1

그림 1-78 해수찜 만족도=173,175,1

그림 1-79 도자기 만들기 만족도=173,175,1

그림 1-80 한국민물고기생태과 만족도=173,175,1

그림 1-81 나비곤충표본전시관 만족도=174,176,1

그림 1-82 갯벌 껴안기 만족도=174,176,1

그림 1-83 숙박 만족도=175,177,1

그림 1-84 음식 만족도=175,177,1

그림 1-85 해설 및 안내 만족도=176,178,1

그림 1-86 여행비용 만족도=176,178,1

그림 1-87 이동차량 만족도=177,179,1

그림 1-88 고객서비스 만족도=177,179,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914471 333.917 ㅎ174ㄱ 2001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914472 333.917 ㅎ174ㄱ 2001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914473 333.917 ㅎ174ㄱ 2001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