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GPS 및 위성통신용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양산화 기술개발 / 과학기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2001
청구기호
621.383 ㄱ373g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43 p. : 삽도,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0210550
주기사항
선도기술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명: (주)모든텔레콤
주관연구책임자: 박태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1,3,4

요약문=5,7,5

목차=10,12,7

제1장 서론=17,19,1

제1절 연구의 배경=17,19,1

1. 무선통신 산업의 발전방향=17,19,1

2. 위성통신 및 위성안테나 개요=17,19,5

3. 마이크로파 유전체 개요=21,23,10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목적 및 내용=31,33,1

1. 연구의 필요성=31,33,3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33,35,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35,37,1

제1절 평면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기술개발 동향=35,37,1

1. 해외 동향=35,37,1

2. 국내 동향=35,37,2

제2절 마이크로파 세라믹스 소재 기술 개발동향=37,39,1

1. 개요=37,39,2

2. 국외 개발 고유전율 마이크로파 유전체 조성 예=38,40,2

3. 국내 연구개발 동향=39,41,2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41,43,1

제1절 마이크로파용 세라믹스 소재 기술 개발=41,43,1

1. MgTiO₃-CaTiO₃계 마이크로파 세라믹스의 저온소성=41,43,10

2. Borosilicate계 유리에 의한 MgTiO₃-CaTiO₃계의 저온소성=51,53,16

3. ZnO-TiO₂계=67,69,32

4. (Bao.5Pbo.5)O-Nd₂O₃.5TiO₂계 고유전율 조성(이미지참조)=99,101,13

제2절 유전체 하부 기판을 이용한 평면형 위성안테나 설계 기술개발=112,114,1

1. 기본적인 설계 접근 방법=112,114,6

2. 안테나 설계 방법=117,119,5

3. 안테나 개발 목표 및 과정=122,124,2

4. 최종 개발제품의 특성=123,125,8

제3절 유전체 상부 기판을 이용한 평면형 위성안테나 설계 기술개발=131,133,1

1. 유전체 특성 측정기술 개발=131,133,8

2. 자료수집 및 기술적 접근=139,141,6

3. 수치해석 (Mumerical Analysis:MOM) 및 접근가능성 확인=145,147,6

4. 단일 안테나 설계접근 방법 확립=151,153,11

5. 단일 안테나 설계 및 제작=162,164,10

6. 2x2 배열 안테나 설계 (simulation) 및 제작=172,174,12

7. 2x2 원형편파 배열 안테나=184,186,4

8. Cavity-backed antenna=188,190,7

9. 4x4 배열 안테나 실계 (Simulation) 및 제작=195,197,10

10. 전체 시스템 링크에 따른 배열 갯수에 관한 연구=205,207,5

11. 배열 갯수에 따른 급전선의 배치와 연구=210,212,7

12. 최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안테나 검증 및 평가=217,219,11

제4장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파급효과=228,230,1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228,230,1

1. 과제목표 달성=228,230,2

2. 파급효과=229,231,2

제2절 연구실적=231,233,1

1. 특허=231,233,2

2. 논문=232,234,2

3. 학술발표=233,235,2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35,237,1

제5장 참고문헌=236,238,8

Fig.1.1.1 Frequency response of a microwave dielectrics=25,27,1

Fig.1.1.2 Resonant modes of dielectric resonators=26,28,1

Fig.1.1.3 TEo11 mode in disk-type dielectric resonator:(a) Side view, (b) top view and (c)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diameter(이미지참조)=27,29,1

Fig.1.1.4 Dielectric materials and microwave systems=30,32,1

Fig.3.1.1 Powder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Mg0.93Ca0.07)TiO₃ calcined at (a) 1200℃, (b) 1150℃, and (c) 1100℃(이미지참조)=45,47,1

Fig.3.1.2 Shrinkage of the (Mg0.93Ca0.07) TiO₃ with ×B₂O₃ sintered for 2 hours (X=wt%)(이미지참조)=46,48,1

Fig.3.1.3 Dielectric constant of the (Mg0.93Ca0.07) TiO₃ with B₂O₃ sintered at 1200℃ and 1350℃(이미지참조)=47,49,1

Fig.3.1.4 Quality factor (Q×f) of the (Mg0.93Ca0.07) TiO with B₂O₃ sintered at different temperatures(이미지참조)=48,50,1

Fig.3.1.5 FF-R glass가 첨가된 MCT의 소성 수축율=56,58,1

Fig.3.1.6 L3 glass가 첨가된 MCT의 소성 수축율=57,59,1

Fig.3.1.7 FF-R과 L3 glass를 10wt% 첨가한 MCT 시편의 SEM 분석결과:(a) 950℃ 소결 (FF-R), (b) 1000℃ 소결 (FF-R), (c) 950℃ 소결 (L3), (d) 1000℃ 소결(L3)=59,61,1

Fig.3.1.8 PS-1' glass를 첨가한 MCT 시편에서의 소성수축율의 온도의존성=60,62,1

Fig.3.1.9 PS-1' glass의 첨가량에 따른 MCT 시편의 소결 밀도=61,63,1

Fig.3.1.10 PS-1" glass를 첨가한 MCT 시편에서의 소성수축율의 온도의존성=62,64,1

Fig.3.1.11 PS-1" glass의 첨가량에 따른 MCT 시편의 소결 밀도=63,65,1

Fig.3.1.12 PS-1" glass 첨가량에 따른 MCT 시편의 유전상수 (εr)(이미지참조)=64,66,1

Fig.3.1.13 PS-1" glass 첨가량에 따른 MCT 시편의 품질계수 (Q×f)=65,67,1

Fig.3.1.14 PS-1" glass 첨가하여 950℃에서 소결한 MCT 시편의 SEM 분석결과.(a) 5wt%, (b) 10wt%, (c) 15wt%, (d) 20wt%, (e) 25wt%, (f) 30wt% glass 첨가=66,68,1

Fig.3.1.15 Flow chart of the experiment=69,71,1

Fig.3.1.16 SEM photographs of ZnTiO₃ powders;(a) as-dried,(b) crushed in mortar for 5 min, and (c) milled by HEM for 5 min after denitration at 400℃ ("A":anatase, "ZN":Zn(NO₃)₂ㆍ6H₂O)=74,76,1

Fig.3.1.17 XRD patterns of ZnTiO₃ powders with various temperatures for 2h. Powders were (a) crushed in mortar and (b) milled by HEM;H:ZnTiO₃(hex), C:ZnJiO₄ (cub), A:TiO₂ (anatase), R:TiO₂ (rutile), Z:ZnO, and c:Zn₂Ti₃O8(cub)(이미지참조)=75,77,1

Fig.3.1.18 TG/DSC (a) and dilatometly (b) curves of ZnTiO₃ precursor powders prepared by MAS method=76,78,1

Fig.3.1.19 XRD patterns of Zn₂TiO₄-χTiO₂ prepared by CMO method. Specimens were sintered at 1150℃-4h. (C:Zn₂TiO₄(cub), Z:ZnO, R:TiO₂(rutile))=80,82,1

Fig.3.1.20 SEM photographs of Zn₂TiO₄+χTiO₂:(a) χ=0,(b) χ=0.14,(c) χ=0.33,(d) χ=0.5,(e) χ=1, and (f) χ=2=81,83,1

Fig.3.1.21 XRD pattarns of Zn₂TiO₄+χTiO₂ powders calcined at (a) 850℃, (b)900℃, and (c) 1100℃ for 4h.(C:Zn₂TiO₄ (cub), H:ZnTiO₃(hex), Z:ZnO,and R:rutile)=82,84,1

Fig.3.1.22 Microstructure of Zn₂TiO₄+χTiO₂ sintered at 1100℃ for 4h:(a) χ=O, (b) χ=0.05, (c) χ=0.11, (d) χ=0.18, (e) χ=0.25, (f) χ=0.33=83,85,1

Fig.3.1.23 Low-angle XRD patterns of Zn₂TiO₄+χTiO₂ sintered at 1100 ℃ for 4h=84,86,1

Fig.3.1.24 Lattice parameter of Zn₂TiO₄+χTiO₂ sintered at 1100℃ for 4h. Symbol "*" designates the known value of a-Zn₂TiO₄ and "□" from Bartram et al=85,87,1

Fig.3.1.25 XRD patterns of ZnTiO₃.yTiO₂ sintered at 925℃ for 4h=87,89,1

Fig.3.1.26 Modified phase diagram of ZnO-TiO₂ system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work:"ss":solid solution of Zn₂TiO₄ㆍχTiO₂ (0≤χ<0.33) "SS":solid solution of Zn₂TiO₄ㆍχTiO (χ=0.33)(이미지참조)=90,92,1

Fig.3.1.27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Zn₂TiO₄+χTiO₂ sintered at 1150℃ for 4h=93,95,1

Fig.3.1.28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Zn₂TiO₄+χTiO₂ sintered at 1150℃ for 4h=94,96,1

Fig.3.1.29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ZnTiO₃.yTiO₂=97,99,1

Fig.3.1.30 XRD patten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sintered at 1350℃. (a) 0 wt%,(b) 1 wt% and (c) 3 wt%=104,106,1

Fig.3.1.31 SEM photograph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sintered at 1350℃:(a) 0 wt%,(b) 1 wt% and (c) 3 wt%=105,107,1

Fig.3.1.32 SEM photograph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sintered at 1350℃:(a) 0 wt%,(b) 1 wt% and (c) 3 wt%=106,108,1

Fig.3.1.33 Densitie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at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s=107,109,1

Fig.3.1.34 SEM photopaph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sintered at 950℃:(a) 0 wt%, (b) 1 wt% and (c) 3 wt%=108,110,1

Fig.3.1.35 Dielectric constants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at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s=109,111,1

Fig.3.1.36 Quality factor (Qxf) of BPNT with different glass content at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s(이미지참조)=110,112,1

Fig.3.2.1 (a) Microstrip patch array layout and (b) antenna set layout=124,126,1

Fig.3.2.2 Smith chart for the antenna=126,128,1

Fig.3.2.3 Return loss for the antenna=127,129,1

Fig.3.2.4 VSWR for the antenna=128,130,1

Fig.3.2.5 Directivity for the antenna=129,131,1

Fig.3.2.6 Gain for the antenna=130,132,1

Fig.3.3.1 Fabry-Perot open resonator를 이용한 유전체 측정방법=134,136,1

Fig.3.3.2 HFSS code 시뮬레이션 결과=135,137,1

Fig.3.3.3 Fabry-Perot Open Resonator 내에서의 모드변화=136,138,1

Fig.3.3.4 TEM0019에서 주파수와 Q값의 변화(이미지참조)=137,139,1

Fig.3.3.5 유전체 공진기 배열 안테나=140,142,1

Fig.3.3.6 유전체 반사판을 이용한 안테나=142,144,1

Fig.3.3.7 유전체 평판을 이용한 배열 안테나=144,146,1

Fig.3.3.8 Substrate-superstrate geometry=148,150,1

Fig.3.3.9 Transmission line analysis=149,151,1

Fig.3.3.10 유전율 값에 대한 이득과 대역폭=150,152,1

Fig.3.3.11 Coaxial probe 급전형태의 모양과 치수=152,154,1

Fig.3.3.12 Coaxial probe 급전형태의 주파수변화와 이득=153,155,2

Fig.3.3.13 Proximity 급전형태의 모양과 치수=155,157,1

Fig.3.3.14 Proximity 급전형태의 주파수변화와 이득=156,158,2

Fig.3.3.15 개구면 (aperture) 급전형태의 모양과 치수=158,160,1

Fig.3.3.16 개구면 (aperture) 급전형태의 주파수변화와 이득=159,161,2

Fig.3.3.17 급전형태에 따른 임피던스 대역폭 (VSWR 1:1.5)의 변화=161,163,1

Fig.3.3.18 Superstrate로 인한 반사손실 값과 주파수의 변화=164,166,1

Fig.3.3.19 Superstrate 효과로 인한 방사패턴의 변화=165,167,1

Fig.3.3.20 개구 결합 안테나와 근접 결합 안테나의 반사손실=168,170,1

Fig.3.3.21 개구 결합 안테나와 근접 결합 안테나의 방사패턴=169,171,1

Fig.3.3.22 제작된 단일 안테나의 실물 사진=171,173,1

Fig.3.3.23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174,176,1

Fig.3.3.2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175,177,2

Fig.3.3.25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제작 결과=177,179,1

Fig.3.3.26 2×2 수직편파 배일 안테나의 실제 제작 사진=178,180,1

Fig.3.3.27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aperture 급전)=179,181,1

Fig.3.3.28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aperture 급전)의 시뮬레이션 결과=180,182,2

Fig.3.3.29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제작 결과값=182,184,1

Fig.3.3.30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 (aperture 급전)의 실제제작 사진=183,185,1

Fig.3.3.31 2×2 원힝편파 배열 안테나=185,187,1

Fig.3.3.32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186,188,2

Fig.3.3.33 단일 cavity-backed antenna의 구조=189,191,1

Fig.3.3.34 단일 cavity-backed antenna의 시뮬레이션 결과값=190,192,2

Fig.3.3.35 2×2 cavity-backed 배열 안테나=192,194,1

Fig.3.3.36 2×2 원형편파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193,195,2

Fig.3.3.37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197,199,1

Fig.3.3.38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198,200,2

Fig.3.3.39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제작 결과 값=200,202,1

Fig.3.3.40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실제제작 사진=201,203,1

Fig.3.3.41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 (aperture 급전)=202,204,1

Fig.3.3.42 4×4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의 제작 결과 값=203,205,1

Fig.3.3.43 2×2 수직편파 배열 안테나 (aperture 급전)의 실제 제작 사진=204,206,1

Fig.3.3.44 위성 시스템=208,210,1

Fig.3.3.45 8×8 위성방송용 배열 안테나의 급전선=211,213,1

Fig.3.3.46 T-junction=213,215,1

Fig.3.3.47 T-juntion simulation 결과=213,215,1

Fig.3.3.48 Waveguide-to-strip line transition=215,217,1

Fig.3.3.49 EM simulator인 HFSS로 시뮬레이션한 결과=216,218,1

Fig.3.3.50 8×8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218,220,1

Fig.3.3.51 8×8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측정 결과 값=219,221,1

Fig.3.3.52 상부 기판을 이용한 8×8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실제모습=220,222,1

Fig.3.3.53 16×16 수직 편파 배열 안테나의 급전선=223,225,1

Fig.3.3.54 16×16 수직 편파 배열 안테나의 반사손실=224,226,1

Fig.3.3.55 16×16 수직 편파 배열 안테나의 방사패턴과 이득=225,227,1

Fig.3.3.56 패치와 superstrate 사이의 높이에 따른 이득과 주파수의 변화=226,228,1

Fig.3.3.57 실제 제작된 16×16 수직 편파 배열 안테나의 실물 사진=227,229,1

Fig.3.3.58 16×16 수직 편파 배열 안테나로 수신된 위성방송=227,229,1

Table3.1.1 Nicrowave properties of (Mg0.93Ca0.07)TiO₃ with xB₂O₃=49,51,1

Table3.1.2 본 연구에 사용된 유리 첨가제 조성=52,54,1

Table3.1.3 FF-R과 L3 glass 특성=55,57,1

Table3.1.4 Glass가 첨가된 MCT 시편의 유전 특성=58,60,1

Table3.1.5 Phase composition d Zn₂TiO₄ㆍχTiO₂system=89,91,1

Table3.1.6 Calculated and observed intensity data for Zn₂TiO₄+χTiO₂=95,97,1

Table3.1.7 EPMA results of BPNT with 0 wt% glass sintered at 1350℃=103,105,1

Table3.2.1 기판특성에 따른 안테나 규격.(주파수:2.45㎓, 단위:mm)=115,117,1

Table3.2.2 유전체 기판을 사용한 안테나 개발 사양=122,124,1

Table3.2.3 개발 안테나 사양=125,127,1

Table3.3.1 기판 종류별 전기적 특성=138,140,1

Table3.3.2 주파수에 따른 안테나의 이득의 변화와 이득향상=166,168,1

Table3.3.3 개구면 급전형태와 근접 급전형태의 단일 안테나의 이득 향상=170,172,1

Table3.3.4 무궁화 위성 수신용 안테나의 규격=209,211,1

Table3.3.5 배열갯수에 따른 안테나의 이득=209,21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918899 621.383 ㄱ373g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0918900 621.383 ㄱ373g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