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jpg
[표제지 등]=1,1,2
발간사=3,3,1
서문=4,4,2
일러두기=6,6,1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구성=7,7,1
총목차=8,8,3
제1권 건조물=11,11,2
I. 궁궐·관아=13,13,1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14,14,4
경복궁 경회루(景福宮 慶會樓)=18,18,4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22,22,4
창경궁 명정전(昌慶宮 明政殿)=26,26,4
돈화문(敦化門)=30,30,3
홍화문(弘化門)=33,33,3
명정전 동회랑 및 명정문(明政殿 同廻廊 및 明政門)=36,36,2
옥천교(玉川橋)=38,38,3
경복궁 자경전(景福宮 慈慶殿)=41,41,3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景福宮 慈慶殿 十長生굴뚝)=44,44,2
경복궁 아미산 굴뚝(景福宮 峨嵋山 굴뚝)=46,46,2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48,48,2
창덕궁 인정문(昌德宮 仁政門)=50,50,2
창덕궁 선정전(昌德宮 宣政殿)=52,52,2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54,54,2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56,56,4
창덕궁 구선원전(昌德宮 舊璿源殿)=60,60,2
창경궁 통명전(昌慶宮 通明殿)=62,62,2
덕수궁(경운궁)의 중화전 및 중화문(德壽宮(慶運宮)의 中和殿 및 中和門)=64,64,3
덕수궁(경운궁) 함녕전(德壽宮(慶運宮) 咸寧殿)=67,67,3
경복궁(景福宮)=70,70,8
창덕궁(후원 포함)(昌德宮(後苑包含))=78,78,6
창경궁(昌慶宮)=84,84,4
덕수궁(경운궁)(德壽宮(慶運宮))=88,88,4
우정총국(郵征總局)=92,92,2
경희궁지(慶熙宮址)=94,94,4
종친부(宗親府)=98,98,2
동십자각(東十字閣)=100,100,2
삼군부 청헌당(三軍府 淸憲堂)=102,102,2
흥화문(興化門)=104,104,2
숭정전(崇政殿)=106,106,2
삼군부 총무당(三軍府 總武堂)=108,108,3
구 미국공사관(舊美國公使館)=111,111,2
양천향교지(陽川鄕校址)=113,113,4
II. 단·묘·사=117,117,1
종묘 정전(宗廟 正殿)=118,118,4
서울 문묘(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文廟(大成殿·明倫堂·東무·西무·三門))=122,122,3
서울 동묘(東廟)=125,125,3
서울 사직단 정문(社稷壇 正門)=128,128,2
종묘 영녕전(宗廟 永寧殿)=130,130,4
선잠단지(先蠶壇址)=134,134,2
서울 사직단(社稷壇)=136,136,2
종묘(宗廟)=138,138,3
서울 문묘 일원(보물과 현대건축물을 제외한 지상건축물)(文廟 一圓)=141,141,3
육상궁(지상건물 일체 포함)(毓祥宮(地上建物 一切包含))=144,144,3
원구단(園丘壇)=147,147,3
선농단(先農壇)=150,150,2
지덕사 부 묘소(至德祠 附 墓所)=152,152,3
청권사 부 묘소(淸權祠 附 墓所)=155,155,3
선희궁지(宣禧宮址)=158,158,3
III. 성곽=161,161,1
서울 숭례문(崇禮門)=162,162,4
서울 흥인지문(興仁之門)=166,166,3
서울 성곽(서울城郭)=169,169,3
광주 풍납리토성(廣州風納里土城)=172,172,3
북한산성(北漢山城)=175,175,3
아차산성(阿且山城)=178,178,2
몽촌토성(夢村土城)=180,180,3
한우물 및 주변 산성지(한우물 및 周邊山城址)=183,183,3
양천고성지(陽川古城址)=186,186,2
홍지문 및 탕춘대성(弘智門 및 蕩春臺城)=188,188,3
IV. 주거·누정=191,191,1
운현궁(雲峴宮)=192,192,4
봉황각(鳳凰閣)=196,196,2
용양봉저정(龍양鳳저亭)=198,198,2
무계정사(武溪精舍)=200,200,2
대원군별장(大院君別莊)=202,202,2
황학정(黃鶴亭)=204,204,2
석파정(石坡亭)=206,206,2
탑골공원 팔각정(塔골公園 八角亭)=208,208,2
오운정(五雲亭)=210,210,2
침류각(枕流閣)=212,212,2
세검정(洗劍亭)=214,214,2
이화장(梨花莊)=216,216,2
만해 한용운 심우장(萬海 韓龍雲 尋牛莊)=218,218,2
망원정지(望遠亭址)=220,220,2
보신각지(普信閣址)=222,222,2
낙천정지(樂天亭址)=224,224,2
장교동 한규설대감가(長橋洞 韓圭卨大監家)=226,226,2
오위장 김춘영 가옥(五衛將 金春永 家屋)=228,228,2
사직동 정재문가(社稷洞 鄭在文家)=230,230,2
성북동 이재준가(城北洞 李載濬家)=232,232,2
상허 이태준 고택(尙虛 李泰俊古宅)=234,234,2
부암동 윤응렬가(付岩洞 尹應烈家)=236,236,2
원서동 백홍범가(苑西洞 白鴻範家)=238,238,2
가회동 산업은행관리가(嘉會洞 産業銀行管理家)=240,240,2
경운동 민익두가(慶雲洞 민익두家)=242,242,3
월계동 각심재(月溪洞 恪心齋)=245,245,2
용강동 정구중가(龍江洞 鄭求中家)=247,247,2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駙馬都尉 朴泳孝家屋)=249,249,3
운니동 김승현가(雲泥洞 金承鉉家)=252,252,2
도편수 이승업 가옥(都片手 李承業家屋)=254,254,3
명륜동 김종국가(明倫洞 金鐘國家)=257,257,2
가회동 백인제가(嘉會洞 白麟濟家)=259,259,2
해풍부원군윤택영택 재실(海豊府院君 尹澤榮宅齋室)=261,261,3
장위동 김진흥가(長位洞 金鎭興家)=264,264,2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266,266,2
혜화동 김상협가(惠化洞 金相浹家)=268,268,2
체부동 홍종문가(體府洞 洪鐘文家)=270,270,2
김형태 가옥(金炯泰家屋)=272,272,2
박노수 가옥(朴魯壽家屋)=274,274,2
이준구 가옥(李俊九家屋)=276,276,3
V. 선사유적=279,279,1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石村洞 百濟初期積石塚)=280,280,4
암사동 선사주거지(岩寺洞 先史住居址)=284,284,4
방이동 백제고분군(芳荑洞 百濟古墳群)=288,288,5
VI. 능·원·묘=293,293,1
헌릉·인릉(獻陵·仁陵)=294,294,4
선릉·정릉(宣陵·靖陵)=298,298,4
태릉·강릉(泰陵·康陵)=302,302,4
의릉(懿陵)=306,306,2
정릉(貞陵)=308,308,2
영휘원(숭인원 포함)(永徽園(崇仁園包含))=310,310,2
연산군묘(燕山君墓)=312,312,2
사육신묘(死六臣墓)=314,314,3
광평대군묘역 일원(廣平大君墓域一圓)=317,317,3
순흥안씨 양도공파묘군(順興安氏 良度公派墓群)=320,320,4
풍산심씨묘역(豊山沈氏墓域)=324,324,2
거창신씨묘역(居昌愼氏墓域)=326,326,2
문화류씨묘역(文化柳氏墓域)=328,328,2
함양여씨묘역(咸陽呂氏墓域)=330,330,2
광주이씨 광릉부원군파묘역(廣州李氏 廣陵府院君派墓域)=332,332,2
이정영의 묘(李正英의 墓)=334,334,2
유강원 문화유적(裕康園 文化遺蹟)=336,336,2
완성군 이귀정묘역(莞城君 李貴丁墓域)=338,338,3
VII. 유적지·명승=341,341,1
북한산 신라진흥왕순수비 유지(北漢山 新羅眞興王巡수碑遺址)=342,342,2
함춘원지(含春苑址)=344,344,2
사당동 백제요지(舍堂洞 百濟窯址)=346,346,2
구서울구치소(舊서울拘置所)=348,348,2
효창공원(孝昌公園)=350,350,2
탑골공원(塔골公園)=352,352,2
성락원(城樂園)=354,354,2
양화나루·잠두봉유적(楊花나루·蠶頭峰遺蹟)=356,356,2
낙성대(落星垈)=358,358,2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360,360,2
어정(御井)=362,362,2
낙성대유지(落星垈遺址)=364,364,2
무악 동봉수대지(毋岳 東烽燧臺址)=366,366,2
남산봉수대지(南山烽燧臺址)=368,368,2
아차산봉수대지(峨嵯山烽燧臺址)=370,370,3
VIII. 석물=373,373,1
수표(水標)=374,374,2
독립문(獨立門)=376,376,2
영은문 주초(迎恩門 柱礎)=378,378,2
전관교(살곶이다리)(箭串橋)=380,380,2
수표교(水標橋)=382,382,3
IX. 근대건축=385,385,1
구 대한의원 본관(舊大韓醫院本館)=386,386,2
약현성당(藥峴聖堂)=388,388,4
구 러시아공사관(舊러시아公使館)=392,392,2
구 벨기에영사관(舊벨기에領使館)=394,394,2
용산신학교와 원효로성당(龍山神學校·元瞭路聖堂)=396,396,2
정동교회(貞洞敎會)=398,398,3
명동성당(明洞聖堂)=401,401,3
연세대학교 스팀슨관(延世大學校 Stimson館)=404,404,2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延世大學校 Underwood館)=406,406,2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延世大學校 Appengeller館)=408,408,2
구 서울대학교 본관(舊서울大學校本館)=410,410,2
구 공업전습소 본관(舊工業傳習所本館)=412,412,2
한국은행 본관(韓國銀行本館)=414,414,2
중앙고등학교 본관(中央高等學校本館)=416,416,2
중앙고등학교 서관(中央高等學校西館)=418,418,2
중앙고등학교 동관(中央高等學校東館)=420,420,2
서울역사(서울驛舍)=422,422,2
고려대학교 본관(高麗大學校本館)=424,424,2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高麗大學校中央圖書館)=426,426,2
서울성공회성당(서울聖公會聖堂)=428,428,2
천도교 중앙대교당(天道敎中央大敎堂)=430,430,2
번사창(飜沙廠)=432,432,2
중명전(重明殿)=434,434,2
구 제일은행 본점(舊第一銀行本店)=436,436,2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뚝島水源地 第一淨水場)=438,438,2
경교장(京橋莊)=440,440,2
승동교회(勝洞敎會)=442,442,2
동아일보사옥(東亞日報社屋)=444,444,2
구 배재학당 동관(舊培材學堂東館)=446,446,7
부록=453,453,35
판권지=488,488,1
목차
jpg
[표제지 등]=1,1,2
발간사=3,3,1
서문=4,4,2
일러두기=6,6,1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구성=7,7,1
총목차=8,8,3
제2권 전적·회화·서예·도자기·금석문=11,11,2
I. 전적=13,13,1
훈민정음(訓民正音)=14,14,2
동국정운(권1·6)(東國正韻(卷一·六))=16,16,2
이태조 호적원본(李太祖戶籍原本)=18,18,2
동국정운 1질(東國正韻 一帙)=20,20,2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22,22,2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24,24,2
동래선생교정 북사상절(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26,26,2
동래선생교정 북사상절(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28,28,2
송조표전총류(宋朝表전總類)=30,30,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32,32,4
비변사등록 부 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36,36,2
일성록(日省錄)=38,38,2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40,40,2
태종11년 이형원종공신녹권 부 함(太宗11年李衡原從功臣錄券附函)=42,42,2
용감수경(龍龕手鏡)=44,44,2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46,46,2
금보(琴譜)=48,48,2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50,50,2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52,52,2
율곡선생남매분재기(栗谷先生男妹分財記)=54,54,2
숙신옹주가대사급성문(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56,56,2
석보상절(권6·9·13·19)(釋譜詳節 卷六·九·十三·十九)=58,58,2
석보상절 권23·24(釋譜詳節 卷23·24)=60,60,2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62,62,2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64,64,2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66,66,2
윤봉길의사 유품(선서문·이력서·유서)(尹奉吉義士遺品(宣誓文·履歷書·遺書))=68,68,2
월진회통장(月進會通帳)=70,70,2
시천견록권·서천견록(詩淺見錄권·書淺見錄)=72,72,2
해서암행일기(海西暗行日記)=74,74,2
중용주자혹문(中庸朱子或問)=76,76,2
중용주자혹문(中庸朱子或問)=78,78,2
급암선생시집(及菴先生詩集)=80,80,2
설곡시고(雪谷詩藁)=82,82,2
동인지문사륙(권1~6, 10~15)(東人之文四六 卷一~六·十~十五)=84,84,2
동인지문사륙(권1~6)(東人之文四六 卷一~六)=86,86,2
동인지문사륙(권10~12)(東人之文四六 卷十~十二)=88,88,2
동인지문사륙(권13~15)(東人之文四六 卷十三~十五)=90,90,2
동인지문사륙(권7~9)(東人之文四六 卷七~九)=92,92,2
삼국사기(권44~50)(三國史記 卷四十四~五十)=94,94,2
삼국사기(권1~50)(三國史記 卷一~五十)=96,96,2
월인석보(권1·2)(月印釋譜 卷一·二)=98,98,3
월인석보(권7·8)(月印釋譜 卷七·八)=101,101,3
월인석보(권9·10)(月印釋譜 卷九·十)=104,104,2
월인석보(권13·14)(月印釋譜 卷十三·十四)=106,106,2
월인석보(권22)(月印釋譜 卷二十二)=108,108,2
월인석보(권23)(月印釋譜 卷二十三)=110,110,2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112,112,2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14,114,2
수선전도 목판(首善全圖木板)=116,116,2
민간활자 및 인쇄용구(民間活字 및 印刷用具)=118,118,2
재령이씨 영해파종가소장 고문서(載寧李氏寧海派宗家所藏古文書)=120,120,2
곤여전도 목판(坤輿全圖木板)=122,122,2
제왕운기(帝王韻紀)=124,124,2
상설고문진보대전 전집(권7~8)(詳說古文眞寶大全 前集 卷七~八)=126,126,2
나암수록 외 전적(羅巖隨錄外典籍)=128,128,2
분류두공부시언해(권13)(分類杜工部詩諺解 卷十三)=130,130,2
김천리개국원종공신녹권(金天理開國原從功臣錄券)=132,132,2
근사록(近思錄)=134,134,2
홍무예제(洪武禮制)=136,136,2
동의보감(東醫寶鑑)=138,138,2
벽역신방(벽易神方)=140,140,2
신찬벽온방(新纂벽溫方)=142,142,2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144,144,2
동인지문오칠(東人之文五七)=146,146,2
양촌응제시(陽村應制詩)=148,148,2
제왕운기(帝王韻紀)=150,150,2
성리대전서절요(권제1~4)(性理大全書節要 卷第一~四)=152,152,2
고금운회거요(권제27~30)(古今韻會擧要 卷第二十七~三十)=154,154,2
음주전문춘추괄례시말좌전구두직해 권제62~70(音注全文春秋括例始末左傳句讀直解 卷第六十二~七十)=156,156,2
진충귀개국원종공신녹권(陳忠貴開國原從功臣錄券)=158,158,2
신편 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160,160,2
둔촌잡영(遁村雜詠)=162,162,2
백범일지(白凡逸志)=164,164,2
자치통감(資治通鑑)=166,166,2
최유련개국원종공신녹권(崔有漣開國原從功臣錄券)=168,168,2
천순원년 이윤손유서(天順元年李允孫論書)=170,170,2
진산세고(晉山世稿)=172,172,2
대악후보(大樂後譜)=174,174,2
성시헌익사공신록(成時憲翼社功臣錄)=176,176,2
열조통기(列朝通記)=178,178,2
김양보호성공신록(金良輔扈聖功臣錄)=180,180,2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182,182,2
오공신회맹축(五功臣會盟軸)=184,184,2
국기복색소선·사절복색자장요람(國忌服色小選·四節服色資粧要覽)=186,186,2
조아통상조약(한문·아문)(朝俄通商條約(漢文·俄文))=188,188,2
조영통상조약(영문)(朝英通商條約(英文))=190,190,2
대조선국대덕국통상조약(한문·영문·독문)(大朝鮮國大德國通商條約(漢文·英文·獨文))=192,192,4
대한국대청국통상조약(한문)(大韓國大淸國通商條約(漢文))=196,196,2
대조선국대법민주국통상조약(한문)(大朝鮮國大法民主國通商條約(漢文))=198,198,4
양정편(養正篇)=202,202,2
용비어천가(권제3·4)(龍飛御天歌 卷第三·四)=204,204,3
II. 회화=207,207,1
익재 영정(益齋影幀)=208,208,2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210,210,2
완당세한도(阮堂歲寒圖)=212,212,2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214,214,2
고산구곡시화병(高山九曲詩畵屛)=216,216,2
송시열상(宋時烈像)=218,218,2
동궐도(東闕圖)=220,220,2
부산진순절도(釜山鎭殉節圖)=222,222,2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224,224,2
도산서원도(陶山書院圖)=226,226,2
단원풍속도첩(檀園風俗圖帖)=228,228,2
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蹟)=230,230,2
강민첨 영정(姜民瞻影幀)=232,232,2
강현 영정(姜현影幀)=234,234,2
강세황 영정(姜世晃影幀)=236,236,2
기사계첩(耆社契帖)=238,238,2
정조대왕필 파초도(正祖大王筆芭蕉圖)=240,240,2
정조대왕필 국화도(正祖大王筆菊花圖)=242,242,2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李起龍筆南池耆老會圖)=244,244,2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246,246,2
성세창제시 미원계회도(成世昌題詩薇垣契會圖)=248,248,2
성세창제시 하관계회도(成世昌題詩夏官契會圖)=250,250,2
호조낭관계회도(戶曺郎官契會圖)=252,252,2
연정계회도(蓮亭契會圖)=254,254,2
정선필 육상묘도(鄭敾筆毓祥廟圖)=256,256,2
기해기사계첩(己亥耆社契帖)=258,258,2
조선영조왕 이금상(朝鮮英祖王李昑像)=260,260,2
신해생 갑회지도(辛亥生甲會之圖)=262,262,2
화개현 구장도(花開縣舊莊圖)=264,264,2
이색 영정(李穡影幀)=266,266,2
충숙이공 영정(忠肅李公影幀)=268,268,2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270,270,2
목장지도(牧場地圖)=272,272,2
십장생도(十長生圖)=274,274,2
친림광화문내근정전 정시시도(親臨光化門內勤政殿庭試時圖)=276,276,2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278,278,2
흥선대원군 이하응 영정(興宣大院君李昰應影幀)=280,280,3
III. 서예=283,283,1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284,284,2
김정희유묵 예서대련(金正喜遺墨隸書對聯)=286,286,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百忍堂中有泰和(백인당중유태화)=287,287,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288,288,2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연년세세화상사 세세년년인부동)=290,290,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恥惡衣惡食者不足與議(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291,291,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東洋大勢思杳玄(동양대세사묘현) 有志男兒豈安眠(유지남아기안면) 和局未成猶慷慨(화국미성유강개) 政略佛改眞可憐(정략불개진가련)=292,292,2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庸工難用連抱奇材(용공난용연포기재)=294,294,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人無遠慮難成大業(인무원려난성대업)=295,295,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五老峯爲筆(오로봉위필) 靑天一丈紙(청천일장지) 三湘作硯池(삼상작연지) 寫我腹中詩(사아복중시)=296,296,2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298,298,2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丈夫雖死心如鐵(장부수사심여철) 義士臨危氣似雲(의사임위기사운)=300,300,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博學於文約之以禮(박학어문약지이례)=301,301,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第一江山(제일강산)=302,302,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靑草塘(청초당)=303,303,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孤莫孤於自恃(고막고어자시)=304,304,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仁智堂(인지당)=305,305,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忍耐(인내)=306,306,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極樂(극락)=307,307,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雲齋(운재)=308,308,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欲保東洋 先改政略(욕보동양 선개정략) 時過失機 追悔何及(시과실기 추회하급)=309,309,1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國家安危勞心焦思(국가안위노심초사) 爲國獻身軍人本分(위국헌신군인본분)=310,310,2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312,312,2
조흡우군도총제부총제왕지(曺恰右軍都摠制府摠制王旨)=314,314,2
조흡중군도총제부총제왕지(曺恰中軍都摠制府摠制王旨)=316,316,2
중훈대부지안산군사조흡사패왕지(中訓大夫知安山郡事曺恰賜牌王旨)=318,318,2
이종주종손가소장왕지(李從周宗孫家所藏王旨)=320,320,2
능성쌍봉사면역사패교지(綾城雙峰寺免役賜牌敎旨)=322,322,2
한석봉증류여장서첩(韓石峯贈柳汝章書帖)=324,324,2
이태조삼년왕지(李太祖三年王旨)=326,326,2
조흡도총제부동지총제왕지(曺恰都摠制府同知摠制王旨)=328,328,2
봉은사 김정희서 판전현판(奉恩寺金正喜書板殿懸板)=330,330,2
태종왕지 윤림분(太宗王旨尹臨分)=332,332,3
IV. 도자기=334,334,2
청자 사자유개 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336,336,1
청자 비룡형 주자(靑磁飛龍形注子)=337,337,1
청자 기린유개 향로(靑磁麒麟유蓋香爐)=338,338,1
청자 상감유죽연로원앙문 정병(靑磁象嵌柳竹蓮蘆鴛鴦紋淨甁)=339,339,1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靑磁象嵌雲鶴紋梅甁)=340,340,1
청자 압형 수적(靑磁鴨形水滴)=341,341,1
도제 기마인물상(陶製騎馬人物像)=342,342,2
청동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紋淨甁)=344,344,2
백자 철화포도문 호(白磁鐵畵葡萄紋壺)=346,346,2
청자 소문과형 병(靑磁素紋瓜形甁)=348,348,1
청자 칠보투각 향로(靑磁七寶透刻香爐)=349,349,1
청자 귀형 수병(靑磁龜形水甁)=350,350,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靑磁陰刻蓮花唐草紋梅甁)=351,351,1
청자 상감모란문 항(靑磁象嵌牡丹紋缸)=352,352,1
백자 철사포도문 호(白磁鐵砂葡萄紋壺)=353,353,1
화청자 양류문통형 병(畵靑磁楊柳紋筒形甁)=354,354,1
청자 상감모란국화문과형 병(靑磁象嵌牡丹菊花紋瓜形甁)=355,355,1
청자 상감당초문 완(靑磁象嵌唐草紋완)=356,356,2
청자 상감모란문표형 병(靑磁象嵌牡丹紋瓢形甁)=358,358,2
녹유골호 부 석제외함(綠釉骨壺附石製外函)=360,360,2
백자 철화매죽문 대호(白磁鐵畵梅竹紋大壺)=362,362,2
청자 인형 주자(靑磁人形注子)=364,364,2
백자 진사매국문 병(白磁辰砂梅菊紋甁)=366,366,1
청화백자 매조죽문 호(靑華白磁梅鳥竹紋壺)=367,367,1
청자 철채퇴화점문 나한좌상(靑磁鐵彩堆花點紋羅漢坐像)=368,368,2
백자 상감연당초문 대접(白磁象嵌蓮唐草紋大접)=370,370,2
청화백자 홍치2년명송죽문 호(靑華白磁弘治二年銘松竹紋壺)=372,372,2
분청사기 인화문 태호(粉靑沙器印花紋胎壺)=374,374,2
분청사기 조화어문 편병(粉靑沙器彫花魚紋扁甁)=376,376,1
분청사기 박지연어문 편병(粉靑沙器剝地蓮魚紋扁甁)=377,377,1
청화백자 매죽문 호(靑華白磁梅竹紋壺)=378,378,2
청자 양인각연당초상감모란문 은구대접(靑磁陽印却蓮唐草象嵌牧丹紋銀구大접)=380,380,2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靑磁陰却蓮花折枝紋梅甁)=382,382,2
분청사기 상감용문 호(粉靑沙器象嵌龍紋壺)=384,384,2
분청사기 박지모란문철채 자라병(粉靑沙器剝地牡丹紋鐵彩자라병)=386,386,1
백자대호(白磁大壺)=387,387,1
청화백자 산수화조문 대호(靑華白磁山水花鳥紋大壺)=388,388,2
청자 모자원형 연적(靑磁母子猿形硯滴)=390,390,2
백자주자(白磁注子)=392,392,2
청화백자 철사진사국화문 병(靑華白磁鐵砂辰砂菊花紋甁)=394,394,2
청자 순화4년명 호(靑磁淳化四年銘壺)=396,396,2
백자 박산향로(白磁博山香爐)=398,398,1
백자 투조모란문 호(白磁透彫牡丹紋壺)=399,399,1
청자 상감포도동자문 매병(靑磁象嵌葡萄童子紋梅甁)=400,400,1
분청 박지화문 병(粉靑剝地花紋甁)=401,401,1
철채백화삼엽문 매병(鐵彩白畵蔘葉紋梅甁)=402,402,1
청자 상감복사문 매병(靑磁象嵌복紗紋梅甁)=403,403,1
문양전(紋樣塼)=404,404,2
청자 양각위로수금문 정병(靑磁陽刻葦蘆水禽紋淨甁)=406,406,2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白磁象嵌牡丹紋梅甁)=408,408,2
청자 상감진사모란문 매병(靑磁象嵌辰砂牡丹紋梅甁)=410,410,2
청자 상감유어문 매병(靑磁象嵌遊魚紋梅甁)=412,412,1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粉靑沙器象嵌牡丹紋飯盒)=413,413,1
청자 상감 모자합(靑磁象嵌母子盒)=414,414,2
청자 투각돈(靑磁透刻墩)=416,416,2
청자 귀형 수주(靑磁龜形水注)=418,418,1
녹유탁잔(綠釉托盞)=419,419,1
청화백자 송죽인물문 호(靑華白磁松竹人物紋壺)=420,420,2
백자 철회운룡문 호(白磁鐵繪雲龍紋壺)=422,422,2
백자 청화매죽조문 병(白磁靑畵梅竹鳥紋甁)=424,424,2
백자 상감모란엽문 편병(白磁象嵌牡丹葉紋扁甁)=426,426,2
백자 반합(白磁飯盒)=428,428,1
백자 상감모란문 병(白磁象嵌牡丹紋甁)=429,429,1
청자 상감매조죽문 매병(靑磁象嵌梅鳥竹紋梅甁)=430,430,2
청자 상감동채연당초용문 병(靑磁象嵌銅彩蓮唐草龍紋甁)=432,432,2
청자 음각운룡문상약국명 합(靑磁陰却雲龍紋尙藥局銘盒)=434,434,2
청자 상감운학국문 표형주자와 승반(靑磁象嵌雲鶴菊紋瓢形注子承盤)=436,436,2
청자 상감연판문 매병(靑磁象嵌蓮瓣紋梅甁)=438,438,1
백자 병(白磁 甁)=439,439,1
백자 태항 내·외호(白磁胎缸內外壺)=440,440,2
청화백자 초화문표형 병(靑華白磁草花紋瓢形 甁)=442,442,2
백자 철화승문 병(白磁鐵畵繩紋甁)=444,444,2
백자 철채 각배(白磁鐵彩角杯)=446,446,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粉靑沙器鐵畵唐草紋 장군)=447,447,1
청화백자 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靑華白磁梅月十長生紋八角접시)=448,448,2
청화백자 운룡문 호(靑華白磁雲龍紋壺)=450,450,2
백자태호 내·외호와 태지석(白磁胎壺內外壺와 胎誌石)=452,452,2
분청사기 상감연당초문 병(粉靑沙器象嵌蓮唐草紋甁)=454,454,2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호(粉靑沙器象嵌牡丹唐草紋壺)=456,456,2
조선청자 호(朝鮮靑磁壺)=458,458,2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靑磁象嵌梅竹鶴紋梅甁)=460,460,2
백자태항·태지석(白磁胎缸·胎誌石)=462,462,3
V. 금석문=465,465,1
북한산 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466,466,2
성석편(城石片)=468,468,2
삼전도비(三田渡碑)=470,470,2
고종즉위사십년 칭경기념비(高宗卽位四十年稱慶紀念碑)=472,472,2
장충단비(奬忠壇碑)=474,474,2
인조별서유기비(仁祖別墅遺基碑)=476,476,2
한글고비=478,478,2
금암기적비(금巖紀蹟碑)=480,480,2
화산군신도비(花山君神道碑)=482,482,2
세종대왕신도비(世宗大王神道碑)=484,484,2
연령군신도비(延齡君神道碑)=486,486,2
양효안공신도비 부 묘소(良孝安公神道碑附墓所)=488,488,2
창빈안씨신도비 부 묘소(昌嬪安氏神道碑附墓所)=490,490,2
이명신도비(李蓂神道碑)=492,492,2
우암구기각자 증주벽립(尤菴舊基刻字曾朱壁立)=494,494,2
충헌김공신도비(忠憲金公神道碑)=496,496,2
성안상공신도비(成安尙公神道碑)=498,498,2
임당정공신도비(林塘鄭公神道碑)=500,500,2
수죽정공신도비(水竹鄭公神道碑)=502,502,2
제곡정공신도비(濟谷鄭公神道碑)=504,504,2
충숙이공신도비(忠肅李公神道碑)=506,506,2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508,508,2
신경진신도비(申景진神道碑)=510,510,2
유창신도비(劉敞神道碑)=512,512,2
강사상신도비(姜士尙神道碑)=514,514,2
이경직신도비(李景稷神道碑)=516,516,2
이인신도비(李仁神道碑)=518,518,2
조선국 이흠례지석(광기)(朝鮮國李欽禮誌石(壙記))=520,520,2
필운대(弼雲臺)=522,522,3
부록=525,525,35
판권지=560,560,1
목차
jpg
[표제지 등]=1,1,2
발간사=3,3,1
서문=4,4,2
일러두기=6,6,1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구성=7,7,1
총목차=8,8,3
제3권 불교문화재(1)=11,11,2
I. 사찰건물=13,13,1
봉은사 선불당(奉恩寺 選佛堂)=14,14,2
화계사 대웅전(華溪寺 大雄殿)=16,16,2
흥천사 극락보전(興天寺 極樂寶殿)=18,18,2
흥천사 명부전(興天寺 冥府殿)=20,20,2
조계사 대웅전(曺溪寺 大雄殿)=22,22,3
II. 불상=25,25,1
금동계미명삼존불상(金銅癸未銘三尊佛像)=26,26,2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28,28,2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30,30,2
경주 구황리 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32,32,2
경주 구황리 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34,34,2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36,36,3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甘山寺石造阿彌타如來立像)=39,39,3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42,42,2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44,44,2
한송사 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46,46,2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三陽洞金銅觀音菩薩立像)=48,48,2
양평 금동여래입상(楊平金銅如來立像)=50,50,2
금동관세음보살입상(金銅觀世音菩薩立像)=52,52,3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北漢山舊基里磨崖釋迦如來坐像)=55,55,3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58,58,2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60,60,2
금동약사 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62,62,2
방형대좌 금동미륵보살반가상(方形臺座金銅彌勒菩薩半跏像)=64,64,2
춘궁리 철조여래좌상(春宮里鐵造如來坐像)=66,66,3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69,69,2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三川寺址磨崖如來立像)=71,71,3
납석삼존불비상(蠟石三尊佛碑像)=74,74,2
금동탄생불(金銅誕生佛)=76,76,2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상(僧伽寺石造僧伽大師像)=78,78,2
금동대세지보살좌상(金銅大勢至菩薩坐像)=80,80,2
보도각백불(普渡閣白佛)=82,82,2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84,84,2
석조미륵불입상(石造彌勒佛立像)=86,86,2
석조비로자나불좌상(石造毘盧자那佛坐像)=88,88,2
도선사 석불(道詵寺石佛)=90,90,2
약사사 석불(藥師寺石佛)=92,92,2
봉천동 마애미륵불(奉天洞磨崖彌勒佛)=94,94,2
지장사 철불좌상(地藏寺鐵佛坐像)=96,96,2
보타사 마애불(普陀寺磨崖佛)=98,98,2
대성사 목불좌상(大成寺木佛坐像)=100,100,2
원지동 석조여래입상·석탑(院趾洞石造如來立像·石塔)=102,102,2
만월암 석불좌상(滿月庵石佛坐像)=104,104,2
안양암 석감마애관음보살상(安養庵石龕磨崖觀音菩薩像)=106,106,2
학도암 마애관음보살좌상(鶴到庵磨崖觀音菩薩坐像)=108,108,2
조계사 목석가불좌상(曺溪寺木釋迦佛坐像)=110,110,2
사현사 석조여래좌상(沙峴寺石造如來坐像)=112,112,2
본원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本願精寺木造地藏菩薩坐像)=114,114,2
석약사불좌상(石藥師佛坐像)=116,116,3
III. 불화=119,119,1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120,120,2
의겸등필 수월관음도(義謙等筆水月觀音圖)=122,122,2
청량산 괘불탱(淸凉山掛佛幀)=124,124,2
아미타여래도(阿彌陀如來圖)=126,126,2
감로탱화(甘露幀畵)=128,128,2
보문사 대웅전 영산회상도(普門寺大雄殿靈山會上圖)=130,130,2
보문사 대웅전 신중도(普門寺大雄殿神衆圖)=132,132,2
보문사 지장보살도(普門寺地藏菩薩圖)=134,134,2
지장사 괘불(地藏寺掛佛)=136,136,2
지장사 대웅전 아미타회상도(地藏寺大雄殿阿彌陀會上圖)=138,138,2
지장사 대웅전 극락구품도(地藏寺大雄殿極樂九品圖)=140,140,2
지장사 대웅전 감로왕도(地藏寺大雄殿甘露王圖)=142,142,2
지장사 대웅전 지장시왕도(地藏寺大雄殿地藏十王圖)=144,144,2
지장사 대웅전 신중도(地藏寺大雄殿神衆圖)=146,146,2
지장사 대웅전 현왕도(地藏寺大雄殿現王圖)=148,148,2
지장사 대웅전 팔상도(地藏寺大雄殿八相圖)=150,150,2
아미타삼존괘불탱화(阿彌陀三尊掛佛幀畵)=152,152,2
조계사 대웅전 후불탱화(曺溪寺大雄殿後佛幀畵)=154,154,2
지장사 능인보전 후불탱화(地藏寺能仁寶殿後佛幀畵)=156,156,2
지장사 능인보전 신중도(地藏寺能仁寶殿神衆圖)=158,158,2
지장사 삼성각 칠성도(地藏寺三聖閣七星圖)=160,160,2
지장사 삼성각 독성도(地藏寺三聖閣獨聖圖)=162,162,2
지장사 삼성각 산신도(地藏寺三聖閣山神圖)=164,164,3
IV. 불탑=167,167,1
원각사지 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168,168,2
경천사 십층석탑(敬天寺十層石塔)=170,170,3
갈항사 삼층석탑(葛項寺三層石塔)=173,173,3
남계원 칠층석탑(南溪院七層石塔)=176,176,2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山淸泛鶴里三層石塔)=178,178,2
보협인석탑(寶협印石塔)=180,180,2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서울弘濟洞五層石塔)=182,182,2
정도사지 오층석탑(淨도寺址五層石塔)=184,184,2
전 문경 오층석탑(傳聞慶五層石塔)=186,186,2
창경궁내 팔각칠층석탑(昌慶宮內八角七層石塔)=188,188,2
삼층석탑(三層石塔)=190,190,2
약사사 삼층석탑(藥師寺三層石塔)=192,192,3
V. 부도=195,195,1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196,196,2
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淨土寺弘法國師實相塔)=198,198,2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傳興法寺廉居和尙塔)=200,200,2
거돈사 원공국사승묘탑(居頓寺圓空國師勝妙塔)=202,202,2
석조부도(石造浮屠)=204,204,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令傳寺址普濟尊者舍利塔)=206,206,2
봉림사 진경대사보월능공탑(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208,208,2
흥법사 진공대사탑 부 석관(興法寺眞空大師塔附石棺)=210,210,2
괴산 외사리 석조부도(槐山外沙里石造浮屠)=212,212,2
봉인사 부도암 사리탑과 사리장엄구(奉印寺浮屠庵舍利塔·舍利莊嚴具)=214,214,2
석조팔각부도(石造八角浮屠)=216,216,2
VI. 탑비=218,218,1
대원각사비(大圓覺寺碑)=218,218,2
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비(淨土寺弘法國師實相塔碑)=220,220,2
월광사 원랑선사탑비(月光寺圓朗禪師塔碑)=222,222,2
보리사 대경대사탑비(菩提寺大鏡大師塔碑)=224,224,2
봉림사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226,226,2
VII. 석등=228,228,1
고달사지 쌍사자석등(高達寺址雙獅子石燈)=228,228,2
나주 서문석등(羅州西門石燈)=230,230,2
VIII. 당간지주=232,232,1
장의사지 당간지주(莊義寺址幢竿支柱)=232,232,3
IX. 동종=235,235,1
성거산 천흥사동종(聖居山天興寺銅鐘)=236,236,2
서울 보신각종(普信閣鍾)=238,238,2
서울 화계사동종(華溪寺銅鍾)=240,240,2
여주 출토 청녕4년명동종(驪州出土淸寧四年銘銅鍾)=242,242,2
홍무25년장흥사명동종(洪武二十五年長興寺銘銅鍾)=244,244,2
X. 사리유물=246,246,1
수종사 부도내 유물(水鍾寺浮屠內遺物)=246,246,2
감은사지 서삼층석탑내 유물(感恩寺址西三層石塔內遺物)=248,248,2
민애대왕 석탑사리호(閔哀大王石塔舍利壺)=250,250,2
XI. 금고=252,252,1
죽주 봉업사 정우5년명판자(竹州奉業寺貞祐五年銘鈑子)=252,252,2
금고(金鼓)=254,254,2
XII. 향로=256,256,1
귀면청동로(鬼面靑銅爐)=256,256,2
지정4년명 고려청동누은향로(至正四年銘高麗靑銅누銀香爐)=258,258,2
XIII. 목각탱=260,260,1
경국사 목각탱(慶國寺木刻幀)=260,260,5
부록=265,265,31
판권지=296,296,1
목차
jpg
[표제지 등]=1,1,2
발간사=3,3,1
서문=4,4,2
일러두기=6,6,1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구성=7,7,1
총목차=8,8,3
제4권 불교문화재(2)=11,11,2
불경=13,13,1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권제1~7(橡紙銀泥妙法蓮華經 卷第一~七)=14,14,2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37(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三十七)=16,16,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6(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六)=18,18,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6(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三十六)=20,20,2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제1~7(白紙墨書妙法蓮華經 卷第一~七)=22,22,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1~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능嚴經 卷第一~十)=24,24,2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제20(初雕本 新撰一切經源品次錄 卷第二十)=26,26,2
초조본 대보적경 권제59(初雕本 大寶積經 卷第五十九)=28,28,2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제14(初雕本 大乘阿毘達磨雜集論 卷第十四)=30,30,2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9(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二十九)=32,32,2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13(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十三)=34,34,2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75(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二·七十五)=36,36,2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제12(初雕本 阿毘達磨識身足論 卷第十二)=38,38,2
초조본 아비담비바사론 권제11·17(初雕本 阿毘曇毘婆沙論 卷第十一·十七)=40,40,2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제6(初雕本 佛說最上根本大樂金剛不空三昧大敎王經 卷第六)=42,42,2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제12(初雕本 顯揚聖敎論 卷第十二)=44,44,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제32(初雕本 瑜伽師地論 卷第三十二)=46,46,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제15(初雕本 瑜伽師地論 卷第十五)=48,48,2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74(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七十四)=50,50,2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제162·170·463(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一百六十二·一百七十·四百六十三)=52,52,2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제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第七)=54,54,2
인천안목(人天眼目)=56,56,2
선종영가집 권상·하(禪宗永嘉集 卷上·下)=58,58,2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4(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四)=60,60,2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28(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二十八)=62,62,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6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六十六)=64,64,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17·52(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十七·五十二)=66,66,2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7(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第七)=68,68,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六)=70,70,2
소자본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 합각타경(小字本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合刻他經)=72,72,2
묘법연화경 권제7(복본)(妙法蓮華經 卷第七(複本))=74,74,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76,76,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6~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六~十)=78,78,2
호법론(護法論)=80,80,2
장승법수(藏乘法數)=82,82,2
원각류해 권제3(圓覺類解 卷第三)=84,84,2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권상·하(金剛般若經疎論贊要助顯錄 卷上·下)=86,86,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88,88,2
정명경집해관중소 권제3·4(淨名經集解關中疎 卷第三·四)=90,90,2
감지은니보살선계경 권제8(紺紙銀泥菩薩善戒經 卷第八)=92,92,2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34(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第三十四)=94,94,2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권제34(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卷第三十四)=96,96,2
상지금니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하(외2종)(橡紙金泥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下(外二種))=98,98,2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7(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三十七)=100,100,2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5·6(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五·六)=102,102,2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7(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七)=104,104,2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106,106,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1~10(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一~十)=108,108,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1(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一)=110,110,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2·5(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二·五)=112,112,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7·8(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七·八)=114,114,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7~10(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七~十)=116,116,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4·6~10(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二~四·六~十)=118,118,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1~3·4(복본)·5~10(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一~三·四(複本)·五~十)=120,120,2
묘법연화경 권제4~7(妙法蓮華經 卷第四~七)=122,122,2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124,124,2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126,126,2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128,128,2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130,130,2
금강반야바라밀경 권제1·5(金剛般若波羅密經 卷第一·五)=132,132,2
금강반야바라밀경 권제2~5(金剛般若波羅密經 卷第二~五)=134,134,2
선종영가집 권상·하(禪宗永嘉集 卷上·下)=136,136,2
세소자 금강반야바라밀경(細小字金剛般若波羅蜜經)=138,138,2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제7-10(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第七~十)=140,140,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142,142,2
종문원상집(宗門圓相集)=144,144,2
영가진각대사증도가(永嘉眞覺大師證道歌)=146,146,2
주인왕호국반야경 권제1~4(注仁王護國般若經 卷第一~四)=148,148,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42(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四十二)=150,150,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28-30·100-102(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二十八~三十·壹百~壹百二)=152,152,2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지1(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上之一)=154,154,2
주범망경(注梵網經)=156,156,2
묘법연화경 권제7(妙法蓮華經 卷第七)=158,158,2
범망경·금강반야바라밀경 합본(梵網經·金剛般若波羅蜜經 合本)=160,160,2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162,162,2
진실주집(眞實珠集)=164,164,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3(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三)=166,166,2
예념미타도량참법 권제1~10(禮念彌陀道場懺法 卷第一~十)=168,168,2
묘법연화경 권제5~7(妙法蓮華經 卷第五~七)=170,170,2
묘법연화경 권제1~3·4~7(妙法蓮華經 卷第一~三·四~七)=172,172,2
묘법연화경 권제4~7(妙法蓮華經 卷第四~七)=174,174,2
묘법연화경 권제6·7(妙法蓮華經 卷第六·七)=176,176,2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하지1(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下一)=178,178,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41(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四十一)=180,180,2
육경합부(六經合部)=182,182,2
지장보살본원경 권상·중·하(地藏菩薩本願經 卷上·中·下)=184,184,2
유가사지론 권제64(瑜伽師地論 卷第六十四)=186,186,2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서·권상1지1·권상2지1~3·권하1지1~2·권하2지1~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序·卷上一之一·卷上二之一~三·卷下一之一~二·卷下二之一~二)=188,188,2
묘법연화경 권제5~7(妙法蓮華經 卷第五~七)=190,190,2
유가사지론 권제55(瑜伽師地論 卷第五十五)=192,192,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4·7·8(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四·七·八)=194,194,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196,196,2
삼십분공덕소경(三十分功德疏經)=198,198,2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권제5·6(橡紙銀泥妙法蓮華經 卷第五·六)=200,200,2
묘법연화경 권제7(妙法蓮華經 卷第七)=202,202,2
백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9(白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第二十九)=204,204,2
묘법연화경 권제1·3~6(妙法蓮華經 卷第一·三~六)=206,206,2
지장보살본원경 권상·중·하(地藏菩薩本願經 卷上·中·下)=208,208,2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210,210,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68(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六十八)=212,212,2
진실주집(眞實珠集)=214,214,2
인천안목(人天眼目)=216,216,2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지2(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上之二)=218,218,2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220,220,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제6(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六)=222,222,2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224,224,2
초조본 불설우바새오계상경(初雕本 佛說優婆塞五戒相經)=226,226,2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제24(初雕本 阿毘曇八健度論 卷第二十四)=228,228,2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제13(初雕本 阿毘達磨識身足論 卷第十三)=230,230,2
초조본 아비담비바사론 권제16(初雕本 阿毘曇毘婆沙論 卷第十六)=232,232,2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지1(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上之一)=234,234,2
묘법연화경 권1~3·4~7(妙法蓮華經 卷第一~三·四~七)=236,236,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238,238,2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20(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第二十)=240,240,2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242,242,2
불과환오선사벽암록 권제1~10(佛果환悟禪師碧巖錄 卷第一~十)=244,244,2
인천안목(人天眼目)=246,246,2
감지은니미륵삼부경(紺紙銀泥彌勒三部經)=248,248,2
감지금니미륵하생경(紺紙金泥彌勒下生經)=250,250,2
상지은니불설보우경 권제2(橡紙銀泥佛說寶雨經 卷第二)=252,252,2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권제305(橡紙銀泥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三百五)=254,254,2
상지은니대지도론 권제28(橡紙銀泥大智度論 卷第二十八)=256,256,2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13(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晉本 卷第十三)=258,258,2
지장보살본원경 권상·중·하(地藏菩薩本願經 卷上·中·下)=260,260,2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262,262,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84·100·117(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八十四·壹百·壹百十七)=264,264,2
묘법연화경 권제5-7(妙法蓮華經 卷第五~七)=266,266,2
불정심다라니경 권상·중·하(佛頂心陀羅尼經 卷上·中·下)=268,268,2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30(大方廣佛華嚴經疏 卷第三十)=270,270,2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272,272,2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274,274,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276,276,2
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4(橡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第四)=278,278,2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제7(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第七)=280,280,2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제7(白紙墨書妙法蓮華經 卷第七)=282,282,2
묘법연화경 권제3(妙法蓮華經 卷第三)=284,284,2
선문삼가염송집 권제1(禪門三家捻頌集 卷第一)=286,286,2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제4~6(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第四~六)=288,288,2
묘법연화경 권제3~4·5~7(妙法蓮華經 卷第三~四·五~七)=290,290,2
경률이상 권제8(經律異相 卷第八)=292,292,2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하(妙法蓮華經三昧懺法 卷下)=294,294,2
선종영가집 권하(禪宗永嘉集 卷下)=296,296,2
묘법연화경 권제3·4(妙法蓮華經 卷第三·四)=298,298,2
예념미타도량참법 권제3~4·7~8(禮念彌陀道場懺法 卷第三~四·七~八)=300,300,2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제1~3(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第一~三)=302,302,2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하지2(大方廣圓覺略疏注經 卷下之二)=304,304,2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306,306,2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지2·권하1지1~2지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一之二·卷下一之一~二之二)=308,308,2
묘법연화경 권제7, 분할 후반분(妙法蓮華經 卷第七(分割後半分))=310,310,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제1~4(大佛頂如來密因首證了義諸菩薩萬行修능嚴經 卷第一~四)=312,312,2
선종영가집 권상·하(禪宗永嘉集 卷上·下)=314,314,2
대방광불화엄경(소초)경판(大方廣佛華嚴經(疏초)經板)=316,316,3
부록=319,319,33
판권지=352,352,1
목차
jpg
[표제지 등]=1,1,2
발간사=3,3,1
서문=4,4,2
일러두기=6,6,1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구성=7,7,1
총목차=8,8,3
제5권 의복·무기·과학기기·민속 무형문화재·천연기념물=11,11,2
I. 의복=13,13,1
금관총 과대 및 요패(金冠塚과帶 및 腰佩)=14,14,2
금제 교구(金製교具)=16,16,2
금제 태환이식(金製太환耳飾)=18,18,2
나주 신촌리고분 출토 금동관(羅州新村里古墳出土金銅冠)=20,20,2
금령총 금관(金鈴塚金冠)=22,22,2
금제천(金製釧)=24,24,2
태환이식(太환耳飾)=26,26,2
금제 경식(金製頸飾)=28,28,2
자수가사(刺繡袈娑)=30,30,2
김덕원묘 출토 의복(金德遠墓出土衣服)=32,32,4
덕온공주 당의(德溫公主唐衣)=36,36,2
심동신 금관조복(沈東臣金冠朝服)=38,38,2
사영 김병기일가 옷(思潁金炳冀一家 옷)=40,40,4
경산 정원용 의대(經山鄭元容衣帶)=44,44,4
운봉수향낭(雲鳳繡香囊)=48,48,2
일월수다라니주머니(日月繡陀羅尼주머니)=50,50,2
오조룡 왕비보(五爪龍王妃補)=52,52,2
전 고종 익선관(傳高宗翼善冠)=54,54,2
전 고종 갓(傳高宗갓)=56,56,2
전 고종 패옥(傳高宗佩玉)=58,58,2
별전괴불(別錢괴불)=60,60,2
왕비 원삼(王妃圓衫)=62,62,2
전 황후 황원삼(傳皇后黃圓衫)=64,64,2
옥색명주 장옷(玉色明紬長衣)=66,66,2
희운문단 장옷(囍雲紋緞長衣)=68,68,2
광화당 원삼(光華堂圓衫)=70,70,2
토황색명주 저고리(土黃色明紬저고리)=72,72,2
황후 적의(皇后翟衣)=74,74,2
황후 청석(皇后靑석)=76,76,2
수복칠보석류문 황갈단 당의(壽福七寶石榴紋黃褐緞唐衣)=78,78,2
수복칠보석류보상화문 황갈단 당의(壽福七寶石榴寶相花紋黃褐緞唐衣)=80,80,2
황룡포 부 용문보(黃龍袍付龍紋補)=82,82,2
청초의(靑초衣)=84,84,2
고종사제복(백관조복 홍초의)(高宗紗祭服(百官朝服紅초衣))=86,86,2
왕비 녹원삼(王妃綠圓衫)=88,88,2
흥선대원군 기린흉배(興宣大院君麒麟胸背)=90,90,2
구장복(九章服)=92,92,2
적의본 및 폐슬본(翟衣本 및 蔽膝本)=94,94,2
전 왕비 당의(傳王妃唐衣)=96,96,2
고대박물관 소장 홍진종 의복(高大博物館所藏洪鎭宗衣服)=98,98,4
과천 출토 광주이씨 의복(果川出土廣州李氏衣服)=102,102,3
흥완군 의복(興完君衣服)=105,105,6
고종의 누비저고리=111,111,1
덕온공주 의복(德溫公主衣服)=112,112,2
덕온공주 유물(德溫公主遺物)=114,114,4
항아 당의(姮娥唐衣)=118,118,2
흥선대원군 자적단령(興宣大院君紫赤團領)=120,120,2
광해군비 단배자(光海君妃短褙子)=122,122,2
윤용구 유물(尹用求遺物)=124,124,2
우암 송시열 초구 1령(尤菴宋時烈貂구一領)=126,126,3
II. 무기=129,129,1
용범(鎔范)=130,130,2
가정을묘명 천자총통(嘉靖乙卯銘天字銃筒)=132,132,2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曆己卯銘勝字銃筒)=134,134,2
세총통(細銃筒)=136,136,2
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138,138,2
소총통(小銃筒)=140,140,2
대완구(大碗口)=142,142,2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144,144,2
불랑기 자포(佛狼機子砲)=146,146,2
지자총통(地字銃筒)=148,148,2
황자총통(黃字銃筒)=150,150,2
그리스 고대 청동투구=152,152,2
각궁(角弓)=154,154,3
III. 과학기기=157,157,1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158,158,2
보루각 자격루(報漏閣自擊漏)=160,160,2
혼천시계(渾天時計)=162,162,2
금영 측우기(錦營測雨器)=164,164,2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複刻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166,166,2
숭정9년명 신법지평일구(崇禎九年銘新法地平日구)=168,168,2
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구)=170,170,2
간평일구·혼개일구(簡平日구·渾蓋日구)=172,172,2
대구 선화당 측우대(大邱宣化堂測雨臺)=174,174,2
관상감 측우대(觀象監測雨臺)=176,176,2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178,178,2
앙부일구(仰釜日구)=180,180,2
창경궁 풍기대(昌慶宮風旗臺)=182,182,2
경복궁 풍기대(慶福宮風旗臺)=184,184,2
창경궁 관천대(昌慶宮觀天臺)=186,186,2
휴대용 앙부일구(携帶用仰釜日구)=188,188,2
놋쇠 지구의((靑銅)地球儀)=190,190,2
관상감 관천대(觀象監觀天臺)=192,192,3
IV. 민속=195,195,1
다뉴세문경(多紐細紋鏡)=196,196,2
화순 대곡리 출토 청동유물(和順大谷里出土靑銅遺物)=198,198,2
자수사계분경도(刺繡四季盆景圖)=200,200,2
방상시탈(方相氏탈)=202,202,2
국사당의 무신도(國師堂의 巫神圖)=204,204,2
인왕산 국사당(仁王山國師堂)=206,206,2
십장생수 이층롱(十長生繡二層籠)=208,208,2
초충수병 4폭(草蟲繡屛四幅)=210,210,2
산청 전주최씨고령댁 상여(山淸全州崔氏高靈宅喪輿)=212,212,2
성제묘(聖帝廟)=214,214,2
허가바위=216,216,2
서빙고동 부군당(西氷庫洞府君堂)=218,218,2
평창동 보현산신각(平倉洞普賢山神閣)=220,220,2
선바위(禪岩)=222,222,2
와룡묘(臥龍廟)=224,224,2
관성묘(關聖廟)=226,226,3
5. 무형문화재=229,229,1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230,230,2
남사당놀이(男社黨놀이)=232,232,2
갓일(笠子匠)=234,234,2
북청사자놀음(北靑獅子놀음)=236,236,2
거문고산조(거문고散調)=238,238,2
봉산탈춤(鳳山탈춤)=240,240,2
선소리산타령(선소리山打令)=242,242,2
대금정악(大금正樂)=244,244,2
매듭장(매듭匠)=246,246,2
가야금산조 및 병창(伽倻琴散調 및 倂唱)=248,248,2
승무(僧舞)=250,250,2
서도소리(西道소리)=252,252,2
가곡(歌曲)=254,254,2
강령탈춤(康翎탈춤)=256,256,2
조각장(彫刻匠)=258,258,2
조선왕조 궁중음식(朝鮮王朝宮中飮食)=260,260,2
처용무(處容舞)=262,262,2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264,264,2
가사(歌詞)=266,266,2
악기장(樂器匠)=268,268,2
대금산조(大금散調)=270,270,2
피리정악 및 대취타(피리正樂 및 大吹打)=272,272,2
궁시장(弓矢匠)=274,274,2
단청장(丹靑匠)=276,276,2
송파산대놀이(松坡山臺놀이)=278,278,2
영산재(靈山齋)=280,280,2
소목장(小木匠)=282,282,2
종묘제례(宗廟祭禮)=284,284,2
경기민요(京畿民謠)=286,286,2
대목장(大木匠)=288,288,2
입사장(入絲匠)=290,290,2
자수장(刺繡匠)=292,292,2
석전대제(釋奠大祭)=294,294,2
향토술담그기=296,296,2
태평무(太平舞)=298,298,2
살풀이춤=300,300,2
소반장(小盤匠)=302,302,2
서울 새남굿=304,304,2
각자장(刻字匠)=306,306,2
사직대제(社稷大祭)=308,308,2
칠장(漆匠)=310,310,2
서울 송절주(松節酒)=312,312,2
송파다리밟기(松坡踏橋)=314,314,2
연날리기=316,316,2
붓장(筆匠)=318,318,2
조선장(造船匠)=320,320,2
장안편사놀이(長安便射놀이)=322,322,2
삼해주(三亥酒)=324,324,2
향온주(香온酒)=326,326,2
바위절마을 호상놀이=328,328,2
침선장(針線匠)=330,330,2
자수장(刺繡匠)=332,332,2
매듭장=334,334,2
나전칠기장(螺鈿漆器匠)=336,336,2
오죽장(烏竹匠)=338,338,2
초고장(草藁匠)=340,340,2
은공장(銀工匠)=342,342,2
민화장(民畵匠)=344,344,2
체메우기=346,346,2
남이장군사당제(南怡將軍祠堂祭)=348,348,2
휘몰이잡가=350,350,2
마들농요(마들農謠)=352,352,2
궁장(弓匠)=354,354,2
초적(草笛)=356,356,2
판소리 고법(鼓法)=358,358,2
소목장(小木匠)=360,360,2
궁중다례의식(宮中茶禮儀式)=362,362,3
VI. 천연기념물=365,365,1
서울 원효로의 백송=366,366,2
서울 재동의 백송=368,368,2
서울 수송동의 백송=370,370,2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372,372,2
한강의 황쏘가리=374,374,2
창덕궁의 향나무=376,376,2
서울 용두동 선농단의 향나무=378,378,2
창덕궁의 다래나무=380,380,2
삼청동의 등나무=382,382,2
삼청동의 측백나무=384,384,2
서울 신림동의 굴참나무=386,386,2
잠실리 뽕나무=388,388,2
화양동 느티나무=390,390,2
손기정 월계관수=392,392,3
부록=395,395,33
판권지=428,42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981681 | 951.09 ㅅ219ㅅ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불가 |
0000981682 | 951.09 ㅅ219ㅅ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불가 |
0000981683 | 951.09 ㅅ219ㅅ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불가 |
0000981684 | 951.09 ㅅ219ㅅ | v.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불가 |
0000981685 | 951.09 ㅅ219ㅅ | v.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