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 1 / 최경수 [외]편 ; 한국개발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2003
청구기호
330.951 ㅎ155ㅇ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63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3-06
표준번호/부호
ISBN: 8980631782
제어번호
MONO1200406017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집필진=0,3,1

발간사=0,4,3

목차=0,7,4

표목차=0,11,4

그림목차=0,15,4

요약=1,19,4

제1장 고령화, 무엇이 쟁점인가?=5,23,20

참고문헌=25,43,3

제2장 인구구조 고령화의 전망과 분석/최경수=28,46,1

1. 연구의 필요성=28,46,3

2.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추이=30,48,11

3. 우리나라 인구변화의 전망=40,58,8

4. 우리나라 출산율 하락추이에 대한 분석=47,65,26

5. 출산지원정책의 효과 및 정책적 시사점=72,90,7

참고문헌=79,97,3

제3장 고령화와 거시경제=82,100,1

제1절 인구구조 고령화와 거시경제적 파급효과/홍기석=82,100,1

1. 서론=82,100,4

2. 인구구조 고령화의 추세=85,103,6

3. 모형=90,108,8

4. 일반균형 모형을 이용한 인구구조 고령화의 파급효과 추계=97,115,24

5. 결론=120,138,3

(부록) 생산성 증가가 없는 경우의 인구구조 고령화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123,141,3

제2절 고령화는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가?/한진희=126,144,1

1. 서론=126,144,8

2.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추이=133,151,6

3. 인구구조, 인구구조 변화, 경제성장=138,156,18

4. 요약 및 결론=155,173,3

참고문헌=158,176,2

제4장 고령화와 재정=160,178,1

제1절 고령화가 조세부담류에 미치는 영향/안종범=160,178,1

1. 서론=160,178,4

2. 조세부담률 결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164,182,6

3. 조세부담률 결정요인 추정=169,187,7

4. 고령화가 조세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176,194,4

5. 결론=179,197,4

제2절 고령화에 따른 사회보장지출의 정부재정에 대한 효과 분석/김용하=183,201,1

1. 서언=183,201,2

2. 인구구조 고령화에 따른 소득보장비용과 재정=184,202,20

3. 인구구조 고령화에 따른 건강보장비용과 재정=204,222,13

4. 결론 및 정책제언=217,235,6

참고문헌=223,241,4

제5장 고령화와 금융시장=227,245,1

제1절 공적연금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임경묵;문형표=227,245,1

1. 서론=227,245,5

2. 기존 연구=231,249,5

3. 우리나라의 공적연금제도=235,253,7

4. 실증분석=241,259,21

5. 결론 및 시사점=262,280,3

(부록 1) 공적연금 기대연금자산의 계산=265,283,7

(부록 2) 결합표본 회귀분석결과=272,290,1

(부록 3) 표본 구축과정=273,291,4

제2절 고령화의 진전과 자산수요의 변화/박창균=277,295,1

1. 서론=277,295,3

2. 인구구조와 자산시장: 선행연구 및 논점=279,297,7

3. 실증분석=286,304,30

4. 결론=315,333,3

(부록 1) 인구구조 변화와 자산시장=318,336,5

(부록 2) 대우패널의 개요 및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구축=323,341,5

(부록 3) 표본의 기초통계량=327,345,1

(부록 4) 예측자산수요=328,346,4

(부록 5) 개별 자산에 대한 분석=332,350,3

제3절 연기금의 자본시장 발전촉진론 검토/신인석=335,353,1

1. 머리말=335,353,4

2. 연기금의 금융시장 발전촉진론 검토=338,356,12

3. 우리나라의 전제조건 검토: 자산운용산업의 경쟁원리=349,367,17

4. 맺음말=365,383,2

참고문헌=367,385,8

제6장 고령화와 노동시장=375,393,1

제1절 고령층 노동시장에 대한 기초적 분석/최경수=375,393,1

1. 서론=375,393,6

2. 노동력의 고령화=380,398,8

3. 고령층의 은퇴양상=387,405,17

4. 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404,422,2

제2절 우리나라 고령남성의 경제활동 변화: 추세와 전망/이철희=406,424,1

1. 머리말=406,424,3

2. 고령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의 장기적 추이=408,426,13

3. 고령남성 경제활동참가율 결정의 분석=420,438,14

4. 농촌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요인=433,451,4

5. 고령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의 장래전망=436,454,5

6. 맺음말=440,458,3

참고문헌=443,461,4

제7장 요약 및 정책시사점=447,465,17

[연구보고서 안내 등]=464,482,13

[판권지]=477,495,1

(표 2-1) 인구증가율의 국제비교=34,52,1

(표 2-2) 우리나라의 1925~55년 인구증가율=35,53,1

(표 2-3) 총인구 및 인구증가율 추이=41,59,1

(표 2-4)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 추이 및 전망=42,60,1

(표 2-5) 평균수명과 사망자수 추이 및 전망=42,60,1

(표 2-6) 합계출산율, 가정별 출생아 및 인구증가율 추이=44,62,1

(표 2-7) 부양비 및 중위연령 추이=44,62,1

(표 2-8) UN의 한국 장래인구 전망=45,63,1

(표 2-9) 한국의 합계출산율 추이=48,66,1

(표 2-10) 완결출산율 추이의 국제비교=53,71,1

(표 2-11) 우리나라의 완결출산율 추이 및 추계=53,71,1

(표 2-12) 우리나라의 연령계층별 및 지역ㆍ학력별 평균 총출생아수=61,79,1

(표 2-13) 가계소비지출 중 교육비의 비중(전 가구)=62,80,1

(표 3-1) 세계 인구연령구조=86,104,1

(표 3-2) 인구구조 고령화 국제비교=87,105,1

(표 3-3) 한국의 인구 관련 지표=134,152,1

(표 3-4) 인구지표 수준의 상관관계=140,158,1

(표 3-5) 인구지표 변화변수 간의 상관관계=141,159,1

(표 3-6) 인구지표의 수준과 1인당 소득증가율 간의 상관관계=142,160,1

(표 3-7) 인구지표의 변화와 1인당 소득증가율 변화 간의 상관관계=144,162,1

(표 3-8) 인구지표의 변화와 1인당 소득증가율 간의 상관관계=145,163,1

(표 3-9) 1인당 GDP 성장률과 생산가능인구비율의 수준 및 변화=152,170,1

(표 3-10) 1인당 GDP 성장률과 출산율의 수준 및 변화=153,171,1

(표 3-11) 1인당 GDP 성장률과 인구증가율의 수준 및 변화=154,172,1

(표 4-1) 표본국가와 표본연도=171,189,1

(표 4-2) 기초통계량=172,190,1

(표 4-3) 조세부담률 방정식 추정결과(LSDV)=174,192,1

(표 4-4) 축차방정식체계 추정결과=177,195,1

(표 4-5) 거시경제변수 전망=185,203,1

(표 4-6) 국민연금 장기재정전망=186,204,1

(표 4-7) 국민연금의 수익비=187,205,1

(표 4-8) 공적연금제도의 책임준비금(2002년 말 기준, 가상치)=188,206,1

(표 4-9) 부담수준 조정에 따른 국민연금 재정전망=189,207,1

(표 4-10) 부담수준 조정에 따른 재정전망, 보험료부담, 수익비=190,208,1

(표 4-11) 급여수준 조정에 따른 국민여금 재정전망=192,210,1

(표 4-12) 급여수준 조정에 따른 재정전망, 보험료부담, 수익비=192,210,1

(표 4-13) 국민연금의 경제규모에 대한 비중 전망=194,212,1

(표 4-14) 공무원연금 가입자 및 수급자 현황=195,213,1

(표 4-15) 공무원연금재정 추이=196,214,1

(표 4-16) 공무원연금재정 장기전망=197,215,1

(표 4-17) 군인연금의 재정수지 실태와 전망=198,216,1

(표 4-18) 사학연금 재정수지 추이=200,218,1

(표 4-19) 사학연금의 재정수지 및 적립기금 전망=201,219,1

(표 4-20) 사각지대 해결을 위한 노인부양비용=203,221,1

(표 4-21) 연도별 보험료율 현황=204,222,1

(표 4-22) 연도별 지역재정 징수율=205,223,1

(표 4-23) 연도별 국고지원 현황=206,224,1

(표 4-24) 현물급여비 현황=207,225,1

(표 4-25) 현금급여비 추이=208,226,1

(표 4-26) 관리운영비 현황=208,226,1

(표 4-27) 진료비의 증가요인=209,227,1

(표 4-28) 연령계층별 진료량 및 진료비 변화추이=212,230,1

(표 4-29) 건강보험재정 지출추이=213,231,1

(표 4-30) 건강보험 관련 지출의 전망=214,232,1

(표 4-31) 건강보험 관련 재정의 GDP비율=215,233,1

(표 4-32) 건강보험 관련 정부재정 부담내역=216,234,1

(표 5-1) 우리나라의 공적연금제도=236,254,1

(표 5-2) 우리나라의 부문별 저축률 추이=242,260,1

(표 5-3) 가계저축률의 결정요인 분석: 거시자료(1980~2000)=246,264,1

(표 5-4) 분석자료의 기초통계량=248,266,1

(표 5-5) 그룹별 소득, 소비, 자산, 저축의 비교=249,267,1

(표 5-6) 그룹별 평균연금자산의 추정치=254,272,1

(표 5-7) 금융자산/소득에 대한 회귀분석=255,273,1

(표 5-8) 각 그룹별 연금과 금융자산 간의 관계 분석=258,276,1

(표 5-9) 연금자산과 소비의 관계 분석=260,278,1

(표 5-10) 그룹별 연금자산과 소비의 관계 분석=261,279,1

(표 5-11) 개인의 연령별 평균 자산보유=288,306,1

(표 5-12) 각종 변수의 계산=291,309,1

(표 5-13) 인구구조의 변화=294,312,1

(표 5-14) 자산 및 부채의 연령별 평균 보유액: 1997년 대우패널=296,314,1

(표 5-15) 연령효과에 의한 자산 및 부채의 보유액=302,320,1

(표 5-16) 출생연도집단효과에 의한 자산 및 부채의 보유액=303,321,1

(표 5-17) 자산 및 부채의 1인당 예측자산수요=313,331,1

(표 5-18) 주요국 연기금의 자산구성(1999년 기준)=342,360,1

(표 5-19) 펀드의 설립과 폐쇄 추이=350,368,1

(표 5-20) 펀드의 존속기간별 분포=351,369,1

(표 5-21) 평균 초과수익률=353,371,1

(표 5-22) 펀드 성과의 지속성 평과=355,373,1

(표 5-23) 과거 성과(CAPM α 기준)의 신규자금유입에 대한 영향 평가: 절대금액=357,375,1

(표 5-24) 과거 성과(CAPM α 기준)의 신규자금유입에 대한 영향 평가: 상대금액=358,376,1

(표 5-25) 과거 성과(지수 대비 초과수익률 기준)의 신규자금유입에 대한 영향 평가: 절대금액=359,377,1

(표 5-26) 과거 성과(지수 대비 초과수익률 기준)의 신규자금유입에 대한 영향 평가: 상대금액=360,378,1

(표 6-1) 55~64세 인구 중 농가인구비율 추이 및 전망=382,400,1

(표 6-2) 15세 이상 민간인구 중 대졸이상(초ㆍ전문대 포함) 비중=383,401,1

(표 6-3) 취업자수 장기전망=386,404,1

(표 6-4) 55~64세 중 대졸이상(전문대 포함) 학력자 구성=387,405,1

(표 6-5) 고령층의 취업과 임금근로취업에 대한 로짓 추정치=387,405,1

(표 6-6) 출생연도 및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394,412,1

(표 6-7) 50세 이상 남성의 연령별 인구비중과 경제활동참가율=411,429,1

(표 6-8) 60세 이상 남성의 도시거주 인구비중과 도시-농촌별 경제활동참가율=416,434,1

(표 6-9)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표본평균=422,440,1

(표 6-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50~59세 남성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425,443,1

(표 6-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60~74세 남성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426,444,1

(표 6-12) 로짓 회귀분석결과: 농촌 및 도시 거주 50~59세 남성 경제활동참가의 결정요인=430,448,1

(표 6-13) 로짓 회귀분석결과: 농촌 및 도시 거주 60~74세 남성 경제활동참가의 결정요인=431,449,1

(표 6-14) 2000~13년 60~74세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예측=438,456,1

[그림 2-1] 우리나라의 연령대별 인구구조: 1960~2000=31,49,1

[그림 2-2] 조출생률, 조사망률, 자연증가율 추이: 1970~2002=32,50,1

[그림 2-3] 평균수명과 합계출산율의 추이: 1971~2001=33,51,1

[그림 2-4]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과 소득 변화: 1953~2002=35,53,1

[그림 2-5] 세계 각 지역의 인구증가율과 소득 변화: 1800~1990=36,54,1

[그림 2-6] 5세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전망: 2000~50=43,61,1

[그림 2-7] 연령대별 합계출산율 추이 및 가정(통계청 중위전망)=47,65,1

[그림 2-8] 우리나라와 일본의 합계출산율 추이=48,66,1

[그림 2-9] 외국의 합계출산율 추이=50,68,1

[그림 2-10] OECD 국가의 1970년대 이후 합계출산율 변화추이=51,69,1

[그림 2-11] 우리나라의 평균혼인연령(초혼)과 최초출산연령 추이=55,73,1

[그림 2-12] 출산여성의 연령대별 분포=56,74,1

[그림 2-13] 연령대별 출산율의 변화추이=57,75,1

[그림 2-14] 여성 출산연령별 출산아수 분포=63,81,1

[그림 2-15] 대졸 이상 여성의 출산연령별 출산아수 분포=65,83,1

[그림 2-16] 중ㆍ고교졸 여성의 출산연령별 출산아수 분포=65,83,1

[그림 2-17] 고졸 여성의 출산연령별 출산아수 분포=66,84,1

[그림 2-18] 학력수준별 출산연령별 출산아수 분포비교(1965년생)=66,84,1

[그림 2-19] 여성의 연령별 학력수준 분포(2000년)=67,85,1

[그림 2-20] 합계출산율에 대한 모의실험(Simulation)결과=69,87,1

[그림 2-21] 학력별 및 취업상태별 평균 최초출산연령=71,89,1

[그림 2-22] 고졸이하 여성의 출생연도별 연령-로그 시간당 임금곡선=72,90,1

[그림 3-1] 총인구 증가율: 통계청 전망=87,105,1

[그림 3-2] 연령별 인구비율: 통계청 전망=88,106,1

[그림 3-3] 인구의 연령별 분포=99,117,1

[그림 3-4] 개인의 일생동안의 선택(Benchmark 경우의 제1세대)=100,118,2

[그림 3-5] 시나리오별 저축률=103,121,1

[그림 3-6] 시나리오별 이자율=104,122,1

[그림 3-7] 시나리오별 1인당 GDP(Benchmark 대비 비율)=105,123,1

[그림 3-8] 시나리오별 1인당 GDP 성장률=107,125,1

[그림 3-9] 각 시점에서의 제1세대(1세)의 평생 후생수준(Benchmark 대비 비율)=109,127,1

[그림 3-10] 현 시점에서의 각 세대의 평생 후생수준(Benchmark 대비 비율)=109,127,1

[그림 3-11] 시나리오별 저축률=113,131,1

[그림 3-12] 시나리오별 연금기금의 변화=114,132,1

[그림 3-13] 시나리오별 이자율=115,133,1

[그림 3-14] 시나리오별 1인당 GDP(Benchmark 대비 비율)=116,134,1

[그림 3-15] 시나리오별 1인당 GDP 성장률=116,134,1

[그림 3-16] 각 시점에서의 제1세대(1세)의 평생 후생수준(Benchmark 대비 비율)=117,135,1

[그림 3-17] 현 시점에서의 각 세대의 평생 후생수준(Benchmark의 경우 대비 비율)=118,136,1

[그림 3-18] 각 시점에서의 제1세대(1세)의 평생 후생수준(연금제도가 없는 경우 대비 비율)=119,137,1

[그림 3-19] 현 시점에서의 각 세대의 평생 후생수준(연금제도가 없는 경우 대비 비율)=119,137,1

[그림 3-20]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인구증가율 추이=135,153,1

[그림 3-21]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출산율 추이=135,154,1

[그림 3-22]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사망률 추이=137,155,1

[그림 3-23]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비율 추이=138,156,1

[그림 3-24] 생산가능인구비율의 변화와 1인당 GDP 성장률 수준의 상관관계=142,160,1

[그림 3-25] 생산가능인구비율의 변화와 1인당 GDP 성장률 변화 간의 상관관계=144,162,1

[그림 3-26] 인구지표의 변화와 1인당 GDP 성장률 간의 관계=146,164,1

[그림 3-27] 산업화와 인구증가율: 1750~1990=149,167,1

[그림 3-28] 세계 주요 지역별 1인당 GDP 추이: 1750~1990=149,167,1

[그림 4-1] 고령화를 고려한 조세부담률 결정요인=169,187,1

[그림 4-2] 고령화와 조세부담률=175,193,1

[그림 4-3] 고령화의 공적연금 및 재정에의 파급구조=185,203,1

[그림 4-4] 공무원연금 재정균형 보험료율=197,215,1

[그림 4-5] 고령화의 건강보험 및 재정에 대한 파급구조=210,228,1

[그림 5-1] 연금가입자비율과 가계저축률 추이=244,262,1

[그림 5-2] 미국의 연령별 평균 순자산보유=283,301,1

[그림 5-3]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293,311,1

[그림 5-4] 연령별 평균 순자산보유액=297,315,1

[그림 5-5] 연령별 평균 순금융자산보유액=299,317,1

[그림 5-6] 연령별 순금융자산비중=300,318,1

[그림 5-7] 총자산의 연령별 보유액=304,322,1

[그림 5-8] 금융자산의 연령별 보유액=304,322,1

[그림 5-9] 순자산의 연령별 보유액=305,323,1

[그림 5-10] 순금융자산의 연령별 보유액=305,323,1

[그림 5-11] 총자산과 순자산에 대한 예측자산수요=309,327,1

[그림 5-12] 금융자산과 순금융자산에 대한 예측자산수요=309,327,1

[그림 5-13] 금융자산 중 주식과 위험자산비중=314,332,1

[그림 6-1] 남성의 은퇴연령 추이: 1960~99년=377,395,1

[그림 6-2] 고령자의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남자)=390,408,1

[그림 6-3] 고령자의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비농가, 남자)=390,408,1

[그림 6-4] 고령자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비농가, 남자)=391,409,1

[그림 6-5] 고령자의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여자)=392,410,1

[그림 6-6] 고령자의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비농가, 여자)=392,410,1

[그림 6-7] 출생연도집단별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남자, 비농가)=393,411,1

[그림 6-8] 55~64세 취업자의 학력구성 추이(남자, 비농가)=395,413,1

[그림 6-9] 학력별ㆍ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비교(남자, 비농가)=396,414,1

[그림 6-10] 출생연도별ㆍ연령별 취업률(남자, 비농가)=397,415,1

[그림 6-11] 출생연도별ㆍ연령별 임금/비임금근로취업률(남자, 비농가)=398,416,1

[그림 6-12] 출생연도 및 연령별 임금근로취업률(임금근로자/민간인구 비율)=398,416,1

[그림 6-13] 출생연도 및 연령별 비임금근로취업률(비임금근로자/민간인구 비율)=399,417,1

[그림 6-14] 55~59세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구성(남자, 비농가)=401,419,1

[그림 6-15] 60~64세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구성(남자, 비농가)=401,419,1

[그림 6-16] 연령별 시간당 임금수준(남자)=403,421,1

[그림 6-17] 출생연도 및 연령별 로그 시간당 실질임금=403,421,1

[그림 6-18] 60세 이상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411,429,1

[그림 6-19] 연령-경제활동참가율 궤적=414,432,1

[그림 6-20] 비사용 생산능력=415,433,1

[그림 6-21] 도시-농촌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416,434,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14436 330.951 ㅎ155ㅇ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14437 330.951 ㅎ155ㅇ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