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1-2 / 한국수자원공사 ; 건설교통부 [공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건설교통부, 2002-2003
청구기호
627.8 ㅎ155ㅎ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도,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413799
주기사항
[연구기관]: 유신코퍼레이션
v.2는 '보완'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3

표목차=iv,7,15

그림목차=xix,22,9

사진목차=xxviii,31,1

제1장 요약문=1,32,3

1.1 사업의 내용=3,34,1

1.2 환경에 미칠 주요영향=4,35,4

1.3 환경영향저감방안=8,39,5

1.4 사후환경조사계획=12,43,1

제2장 사업의 개요=13,44,3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15,46,1

2.2 사업의 필요성=15,46,5

2.3 환경영향평가 실시근거 등=20,51,1

2.4 사업 추진경위=20,51,1

2.5 사업의 내용=21,52,10

제3장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의 설정=31,62,3

3.1 사업의 특성=33,64,1

3.2 행정구역=33,64,1

3.3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의 설정=33,64,4

3.4 환경영향의 예측ㆍ분석에 사용된 기법 및 관련자료=37,68,2

제4장 지역개황=39,70,3

4.1 사업지역의 개황=41,72,1

4.2 토지이용 현황=41,72,2

4.3 환경관련지구 지정현황=42,73,2

4.4 환경기준=43,74,4

4.5 환경피해 유발시설물=47,78,2

4.6 주요 보호대상 시설물=48,79,2

4.7 환경기초시설=49,80,4

제5장 평가항목의 설정=53,84,3

5.1 환경영향요소 추출=55,86,1

5.2 평가항목의 설정=56,87,3

5.3 환경영향요소와 평가항목간 행렬식 대조표=58,89,3

제6장 주민의견수렴=61,92,3

6.1 주민의견수렴개요=63,94,3

6.2 주민의견수렴결과=65,96,54

제7장 환경현황조사ㆍ예측ㆍ분석,저감방안=119,150,2

7.1 자연환경=121,152,3

7.1.1 기상=123,154,64

7.1.2 지형ㆍ지질=187,218,59

7.1.3 동ㆍ식물상=246,277,129

7.1.4 수리ㆍ수문=375,406,50

7.2 생활환경=425,456,3

7.2.1 토지이용=427,458,20

7.2.2 대기질=447,478,25

7.2.3 수질=472,503,124

7.2.4 토양=596,627,47

7.2.5 폐기물=643,674,21

7.2.6 소음ㆍ진동=664,695,32

7.2.7 전파장해=696,727,3

7.2.8 위락ㆍ경관=699,730,24

7.2.9 위생ㆍ공중보건=723,754,6

7.3 사회ㆍ경제환경=729,760,3

7.3.1 인구 및 주거=731,762,11

7.3.2 산업=742,773,6

7.3.3 공공 및 교육시설=748,779,2

7.3.4 교통=750,781,5

7.3.5 문화재=755,786,34

제8장 환경영향에 미치는 영향의 저감방안(총괄)=789,820,3

8.1 자연환경=791,822,2

8.2 생활환경=792,823,2

8.3 사회ㆍ경제환경=794,825,1

제9장 불가피한 환경영향=795,826,3

9.1 자연환경=797,828,1

9.2 생활환경=798,829,1

9.3 사회ㆍ경제환경=798,829,1

제10장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799,830,3

10.1 사후환경영향조사 실시주체=801,832,1

10.2 사후환경영향조사 실시기간=801,832,1

10.3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801,832,2

10.4 사후대책 및 통보=802,833,1

10.5 사후환경영향조사 내용=803,834,2

제11장 대안설정 및 평가=805,836,3

11.1 댐 개발규모 검토=807,838,5

11.2 댐 형식 선정=812,843,21

제12장 종합평가 및 결론=833,864,12

제13장 부록=845,876,3

13.1 평가대행자등의 인적사항=847,878,5

13.2 평가서작성 관련자료=851,882,2

13.3 용어해설=853,884,4

13.4 인용문헌 및 참고자료=857,888,8

13.5 기타=865,896,1

13.5.1 동ㆍ식물상=865,896,67

13.5.2 대기질=932,963,5

13.5.3 수질=937,968,39

13.5.4 토양오염=976,1007,2

13.5.5 폐기물=978,1009,4

13.5.6 소음ㆍ진동=982,1013,3

13.6 주민의견수렴 관련 자료=985,1016,2

13.6.1 주민설명회 참석자 명부=987,1018,10

13.6.2 평가서 초안 열람부=997,1028,8

13.6.3 기관별 초안 검토의견=1005,1036,44

13.6.4 공청회 개최 및 결과=1049,1080,8

13.6.5 공청회 참석자 명부=1057,1088,48

13.6.6 주민의견제출서=1105,1136,57

[표 2.2.1-1] 화북댐 용수공급 계획=16,47,1

[표 2.2.1-2] 댐 공급 농업용수량=17,48,1

[표 2.2.1-3] 월별 농업용수 공급계획=17,48,1

[표 2.2.2-1] 군위군 및 의성군의 최근 10년간 주요 홍수피해 현황=18,49,1

[표 2.3-1] 환경ㆍ교통ㆍ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시행령[별표1]=20,51,1

[표 3.3-1]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설정=34,65,2

[표 3.4-1] 환경영향의 예측ㆍ분석에 사용된 기법 및 관련자료=37,68,2

[표 4.2-1]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41,72,1

[표 4.2-2] 수몰예상지역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42,73,1

[표 4.2-3] 도시계획 현황=42,73,1

[표 4.3-1] 상수보호구역 지정현황=43,74,1

[표 4.4-1] 대기질 환경기준=43,74,1

[표 4.4-2] 수질(하천) 등급별 기준=44,75,1

[표 4.4-3] 호소 수질환경기준=45,76,1

[표 4.4-4] 소음의 환경기준=46,77,1

[표 4.5-1] 농공단지 현황=47,78,1

[표 4.5-2] 도로현황=47,78,1

[표 4.6-1] 취ㆍ정수시설현황=49,80,1

[표 4.6-2] 문화재 현황=49,80,1

[표 4.7-1] 쓰레기 매립시설 현황=50,81,1

[표 4.7-2] 쓰레기 소각시설 현황=50,81,1

[표 5.1-1] 환경영향요소의 추출=55,86,1

[표 5.2-1] 중점평가항목의 설정=56,87,2

[표 5.2-2] 현황조사 항목 및 제외항목=58,89,1

[표 5.2-3] 평가항목의 설정=58,89,1

[표 5.3-1] 행렬식 대조표 등급설정기준=59,90,1

[표 5.3-2] 환경영향요소와 평가항목간 행렬식 대조표=59,90,1

[표 7.1.1-1] 의성관측소의 위치=124,155,1

[표 7.1.1-2] 기상개황=125,156,1

[표 7.1.1-3] 최근 10년 간 월평균 기온 분포=125,156,1

[표 7.1.1-4] 최근 10년 간 월평균 상대습도 분포=126,157,1

[표 7.1.1-5] 최근 10년 간 월평균 강수량 분포=127,158,1

[표 7.1.1-6] 최근 10년간 월평균 풍속 분포=130,161,1

[표 7.1.1-7] 최근 10년 간 월평균 운량 분포=130,161,1

[표 7.1.1-8] 최근 10년 간 월평균 일조시간 분포=131,162,1

[표 7.1.1-9] 최근 10년간 연간 천기일수=132,163,1

[표 7.1.1-10] 무인자동기상관측시스템(AWS)의 구성=133,164,1

[표 7.1.1-11] AWS 장치설명=135,166,1

[표 7.1.1-12] 고로면 춘계 혼합고의 일변화=146,177,1

[표 7.1.1-13] 고로면 하계 혼합고의 일변화=147,178,1

[표 7.1.1-14] 분석 대상댐의 제원=154,185,1

[표 7.1.1-15] 분석에 사용된 기상관측자료의 기간=154,185,1

[표 7.1.1-16] 댐 건설 전후의 연평균 기후 요소 변화=156,187,1

[표 7.1.1-17] 화북댐의 유입수량과 방류수량=160,191,1

[표 7.1.1-18] 화북댐의 유입수온,방류수온=160,191,1

[표 7.1.1-19] WQRRS 모델에 의한 화북댐의 수온예측치=163,194,1

[표 7.1.1-20] 호수면의 증발량=164,195,1

[표 7.1.1-21] 호수의 표층수온과 야간 평균기온=166,197,1

[표 7.1.1-22] 댐 건설 전후 호수주변지역의 증발산량 및 습도변화와 야간상대습도 예측=166,197,1

[표 7.1.1-23] 댐 건설 전후의 안개 발생일수의 변화=168,199,1

[표 7.1.1-24] 댐 건설 전후의 일조시간의 변화=168,199,1

[표 7.1.1-25] 댐 하류 하천의 수온 예측치=171,202,1

[표 7.1.1-26] 댐 하류 하천의 증발량 예측치=172,203,1

[표 7.1.1-27] 댐 하류 하천의 현열 예측치=173,204,1

[표 7.1.1-28] 댐 건설 전후 댐 하류지역의 증발량 및 습도변화와 야간상대습도 예측=177,208,1

[표 7.1.1-29] 댐 건설 전후의 안개 발생일수 변화=179,210,1

[표 7.1.1-30] 댐 건설 전후의 일조시간의 변화=179,210,1

[표 7.1.1-31] 횡성댐 건설 전후의 농작물 수확량 조사결과=184,215,1

[표 7.1.1-32] 사후환경 영향 조사계획=185,216,1

[표 7.1.2-1] 지질 광물분야 천연기념물 지정기준=187,218,1

[표 7.1.2-2] 화북댐 문화재 유형 및 조사결과=188,219,1

[표 7.1.2-3] 표고 분석=191,222,1

[표 7.1.2-4] 경사 분석=192,223,1

[표 7.1.2-5] 향 분석=192,223,1

[표 7.1.2-6] 지질 계통표=200,231,1

[표 7.1.2-7] 탄성파 탐사 속도값 및 굴절면심=209,240,1

[표 7.1.2-8] 시추조사 성과표=214,245,1

[표 7.1.2-9] 심벽 재료원의 분포지역=216,247,1

[표 7.1.2-10] 사력재료원의 분포지역=217,248,1

[표 7.1.2-11] 석재원의 분포지점=217,248,1

[표 7.1.2-12] 등록광산 현황=222,253,1

[표 7.1.2-13] 각 댐에서의 적용 내진 계수=224,255,1

[표 7.1.2-14] 댐체의 정역학적 내진설계 결과=224,255,1

[표 7.1.2-15] 지진구역 구분=225,256,1

[표 7.1.2-16] 지진구역계수 (재현주기 500년에 해당)=225,256,1

[표 7.1.2-17] 위험도 계수=225,256,1

[표 7.1.2-18] 절ㆍ성 토량 계획=226,257,1

[표 7.1.2-19] 본 댐 비탈면 현황=233,264,1

[표 7.1.2-20] 본댐 좌안부 안정성 해석 결과=234,265,1

[표 7.1.2-21] 본댐 우안부 안정성 해석 결과=234,265,1

[표 7.1.2-22] 사면안정공법의 종류=238,269,1

[표 7.1.2-23] 법면 표준 구배=240,271,1

[표 7.1.2-24] 비탈면과 그 주목적=240,271,1

[표 7.1.2-25] 법면처리 방법=241,272,1

[표 7.1.2-26] 사토장 계획=242,273,1

[표 7.1.2-27]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245,276,1

[표 7.1.3-1] 포유류 및 조류 조사기간=246,277,1

[표 7.1.3-2] 양서ㆍ파충류 조사기간=247,278,1

[표 7.1.3-3] 곤충류 조사기간=247,278,1

[표 7.1.3-4] 육상식물상 조사기간=248,279,1

[표 7.1.3-5] 어류 조사지역 및 하천형태=249,280,1

[표 7.1.3-6] 어류 조사기간=249,280,1

[표 7.1.3-7] 동ㆍ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생물 조사정점=249,280,1

[표 7.1.3-8] 동ㆍ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생물 조사기간=249,280,1

[표 7.1.3-9] 우점도의 계급판정 기준=256,287,1

[표 7.1.3-10] 군도의 계급판정 기준=256,287,1

[표 7.1.3-11] 녹지자연도 등급의 사정기준=257,288,1

[표 7.1.3-12] 녹지자연도 등급에 따른 현존식물량과 연 순생산량 산정기준=258,289,1

[표 7.1.3-13] 현지조사 채집관찰 이용방법 및 도구=258,289,1

[표 7.1.3-14] 화북댐 예정지역의 포유류=263,294,1

[표 7.1.3-15] 1~4차 조류조사 결과=267,298,1

[표 7.1.3-16] 5차 조류조사 결과=268,299,1

[표 7.1.3-17] 6차 조류조사 결과=269,300,1

[표 7.1.3-18] 화북댐 예정지역 주변에서 발견된 양서ㆍ파충류 목록=270,301,1

[표 7.1.3-19] 화북댐 건설예정지 내 양서ㆍ파충류의 관찰빈도 및 풍부도=271,302,1

[표 7.1.3-20] 화북댐 예정지역의 곤충류 총목록(10목 63과 172종)=275,306,7

[표 7.1.3-21] 화북댐 건설 예정지역 및 유역 일대에서 조사된 환경부 지정 법정보호식물=282,313,1

[표 7.1.3-22] 화북댐 예정지역 식생의 식별표=283,314,2

[표 7.1.3-23] 화북댐의 식물현존량과 연순생산량=289,320,1

[표 7.1.3-24] 화북댐 예정지역의 어류 출현현황=297,328,1

[표 7.1.3-25] 화북댐 예정지역의 수질 환경조건=298,329,1

[표 7.1.3-26] 화북댐 예정지역 동물플랑크톤의 종목록,출현량(개체수/m3)=299,330,1

[표 7.1.3-27] 화북댐 예정지역 Forsberg와 Ryding의 영양상태 구분=300,331,1

[표 7.1.3-28] Chlorophyll a 측정치=300,331,1

[표 7.1.3-29] 1,2차조사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 조사목록=301,332,1

[표 7.1.3-30] 3,4차조사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 조사목록=301,332,1

[표 7.1.3-31] 식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우점종(1~2차)=302,333,1

[표 7.1.3-32] 식물 플랑크톤 목록 및 현존량(3~4차)=303,334,3

[표 7.1.3-33] 화북댐 예정지역의 조사정점별 종 구성비(1~2차)=306,337,1

[표 7.1.3-34] 각 조사 정점에서 출현한 우점종과 출현율(3~4차)=306,337,1

[표 7.1.3-35] 화북댐 예정지역 부착동물의 조사정점별 종목록=308,339,1

[표 7.1.3-36] 화북댐 예정지역의 부착식물 조사목록 개요=310,341,1

[표 7.1.3-37] 부착식물 조사목록=311,342,3

[표 7.1.3-38] 각 생태군별 구성비=314,345,1

[표 7.1.3-39] 화북댐 예정지역의 동물플랑크톤의 생물다양성 지수 분석=314,345,1

[표 7.1.3-40] 식물플랑크톤의 각 조사 정점별 우점도 및 종다양도 지수=315,346,1

[표 7.1.3-41] 화북댐 예정지역의 부착동물의 생물다양성 지수 분석=315,346,1

[표 7.1.3-42] 부착식물의 각 조사 정점별 우점도 및 종다양도 지수=316,347,1

[표 7.1.3-43] 화북댐 수계 출현어종의 생태적 특성=336,367,1

[표 7.1.3-44] 위천에서 채집된 어류종 및 개체수 목록(1995~1997)=339,370,2

[표 7.1.3-45] 포유류 서식현황=342,373,2

[표 7.1.3-46] 육상곤충류의 목별 채집종수=344,375,1

[표 7.1.3-47] 소양강댐 및 남강댐 지역 수저곤충 현황=345,376,1

[표 7.1.3-48] 관속식물 종조성=346,377,1

[표 7.1.3-49] 조사구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목록=347,378,2

[표 7.1.3-50] 횡성댐 건설전ㆍ후 어류상 비교=350,381,1

[표 7.1.3-51] 확인 및 서식가능한 척추동물의 환경영향 요인=355,386,1

[표 7.1.3-52] 전국지역별 형식별 어도현황=367,398,1

[표 7.1.3-53] 일본의 주요댐 어도 현황=367,398,1

[표 7.1.3-54] 외국의 형식별 주요 어도현황=368,399,1

[표 7.1.3-55] 동ㆍ식물상 사후환경조사계획=374,405,1

[표 7.1.4-1] 유역특성=376,407,1

[표 7.1.4-2] 표고별 누가면적 구성비=376,407,1

[표 7.1.4-3] 수문 관측소 현황=378,409,1

[표 7.1.4-4] 수위관측소=378,409,1

[표 7.1.4-5] 화북댐유역 평균강수량=381,412,1

[표 7.1.4-6] 관측소별 최대강우량=383,414,1

[표 7.1.4-7] 빈도별 일최대 확률강우량=384,415,1

[표 7.1.4-8] 화북댐 유역 빈도별 일최대 확률강우량=385,416,1

[표 7.1.4-9] 유역면적별 지속시간-강우량=386,417,1

[표 7.1.4-10] 지속시간별 유역면적-강우량=387,418,1

[표 7.1.4-11] 화북댐 유역의 지속시간별 PMP=388,419,1

[표 7.1.4-12] 빈도별 확률홍수량=389,420,1

[표 7.1.4-13] 화북댐 지점 빈도별 유입 수문곡선=389,420,1

[표 7.1.4-14] 산정방법별 가능최대 홍수량=390,421,1

[표 7.1.4-15] 댐지점 유출분석 결과=394,425,1

[표 7.1.4-16] 화북댐지점 평균유출량=396,427,1

[표 7.1.4-17] 유황분석 결과=397,428,1

[표 7.1.4-18] 화북댐 퇴사량 산정=398,429,1

[표 7.1.4-19] 수위별 저수면적 및 저수용량=399,430,1

[표 7.1.4-20] 화북댐 퇴사위 산정=401,432,1

[표 7.1.4-21] 댐상류 배수위 산정결과=401,432,2

[표 7.1.4-22] 인구전망 비교=404,435,1

[표 7.1.4-23] 시군별 장래 인구전망=405,436,1

[표 7.1.4-24] 단위급수량 및 보급율 전망=406,437,1

[표 7.1.4-25] 시군별 생활용수 수요전망=406,437,1

[표 7.1.4-26] 부지면적당 공업용수 원단위=407,438,1

[표 7.1.4-27] 시ㆍ군별,공단별 공업용수 수요전망=408,439,1

[표 7.1.4-28] 생ㆍ공용수 수요총괄=409,440,1

[표 7.1.4-29] 용수 공급시설 현황=410,441,1

[표 7.1.4-30] 시설확장 폐쇄계획=410,441,1

[표 7.1.4-31] 시군별 물부족 전망=411,442,1

[표 7.1.4-32] 용수공급 방안별 비교=412,443,1

[표 7.1.4-33] 화북댐 용수공급 대상지역=413,444,1

[표 7.1.4-34] 화북댐 용수공급계획=413,444,1

[표 7.1.4-35] 관개지역 및 관개면적=415,446,1

[표 7.1.4-36]/[표 7.1.4-37] 댐 공급 농업용수량=416,447,1

[표 7.1.4-37] 월별 농업용수 공급계획=417,448,1

[표 7.1.4-38] 월별 농업용수 공급계획=418,449,1

[표 7.1.4-39] 화북댐 건설로 인한 수위저하효과=420,451,1

[표 7.1.4-40] 강우관측소=421,452,1

[표 7.1.4-41] 수위관측소=423,454,1

[표 7.2.1-1] 토지이용 현황=427,458,1

[표 7.2.1-2] 도시계획 현황=427,458,1

[표 7.2.1-3] 지목별 토지 편입계획=428,459,1

[표 7.2.1-4] 행정구역별 토지 편입계획=428,459,2

[표 7.2.1-5] 수몰지역 지장물 현황=429,460,1

[표 7.2.1-6] 수몰도로=433,464,1

[표 7.2.1-7] 댐 건설계획=433,464,2

[표 7.2.1-8] 가설비 부지 계획=435,466,1

[표 7.2.1-9] 가설비 건물 계획=435,466,1

[표 7.2.1-10] 공간별 도입 시설=437,468,1

[표 7.2.1-11] 보상대책에 관한 규정(공공용지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례법)=444,475,2

[표 7.2.1-12] 이주대책에 관한 규정=446,477,1

[표 7.2.2-1] 대기환경기준=447,478,1

[표 7.2.2-2] 대기질 측정지점 위치=448,479,1

[표 7.2.2-3] 조사기간의 기상현황=448,479,1

[표 7.2.2-4] 대기질 항목별 분석방법=450,481,1

[표 7.2.2-5] 각 지점별 대기질 측정결과=451,482,1

[표 7.2.2-6] 장비별 투입현황 및 오염물질 배출계수(본댐공사중 굴착공사시)=454,485,1

[표 7.2.2-7] 장비별 투입현황 및 오염물질 배출계수(여수로공사중 굴착공사시)=454,485,1

[표 7.2.2-8] 장비별 오염물질 배출량(본댐공사중 굴착공사시)=454,485,1

[표 7.2.2-9] 장비별 오염물질 배출량(여수로공사중 굴착공사시)=454,485,1

[표 7.2.2-10] Aerodynamic Particle Size Multiplier(k)=455,486,1

[표 7.2.2-11] Typical Silt Content Values of Industrial and Rural Unpaved Roads=455,486,1

[표 7.2.2-12] 절ㆍ성토량(토사) 계획=455,486,1

[표 7.2.2-13] Aerodynamic Particle Size Multipliers=458,489,1

[표 7.2.2-14] 공사시 대기오염물질 총발생량=459,490,1

[표 7.2.2-15] 대기질 예측결과=460,491,1

[표 7.2.2-16] 작업공종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대책=465,496,1

[표 7.2.2-17] 살수차량 운행계획=466,497,1

[표 7.2.2-18] 비산먼지 감소효과=467,498,1

[표 7.2.2-19] 세륜ㆍ세차시설 설치지점=467,498,1

[표 7.2.2-20] 사후환경 영향조사계획=471,502,1

[표 7.2.2-21] 유지목표농도 설정=471,502,1

[표 7.2.3-1] 하천수 조사지점=472,503,1

[표 7.2.3-2] 오염원(폐광산) 조사지점=473,504,1

[표 7.2.3-3] 분석방법=473,504,1

[표 7.2.3-4] 조사결과(2000년)=475,506,4

[표 7.2.3-5] 조사결과(2002년-일반오염물질)=478,509,4

[표 7.2.3-6] 폐광산내 수질분석 결과(1998년,군위군청)=484,515,1

[표 7.2.3-7] 폐광산 및 제련소 주변지역 중금속 조사결과(2000년)=484,515,1

[표 7.2.3-8] 폐광산 및 제련소 주변지역 중금속 조사결과(2002년)=485,516,1

[표 7.2.3-9] 군위군 고로면의 인구변화추이=486,517,1

[표 7.2.3-10] 장래인구 예측결과=486,517,1

[표 7.2.3-11] 화북댐 유역내의 인구수=486,517,1

[표 7.2.3-12] 군위군의 가축수 변화추이=487,518,1

[표 7.2.3-13] 한우수 예측=487,518,1

[표 7.2.3-14] 돼지수 예측=488,519,1

[표 7.2.3-15] 닭수 예측=488,519,1

[표 7.2.3-16] 화북댐 유역내의 현재 및 장래 한우수=489,520,1

[표 7.2.3-17] 화북댐 유역내의 현재 및 장래 돼지수=489,520,1

[표 7.2.3-18] 화북댐 유역내의 현재 및 장래 닭수=489,520,1

[표 7.2.3-19] 고로면 및 화북댐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489,520,1

[표 7.2.3-20] 수몰에 따른 지목별 토지 이용현황=490,521,1

[표 7.2.3-21] 축산폐수처 리시설 현황=490,521,1

[표 7.2.3-22] 화북댐 유역의 배수구역 현황=491,522,1

[표 7.2.3-23] 배수구역별 오염원 현황=491,522,1

[표 7.2.3-24] 댐건설 미시행시의 오염원 변화=493,524,1

[표 7.2.3-25] 댐건설 시행시의 오염원 변화=493,524,1

[표 7.2.3-26] 인구기준 발생원단위=494,525,1

[표 7.2.3-27] 축산분뇨 발생원단위=495,526,1

[표 7.2.3-28] 토지이용별 발생원단위=495,526,1

[표 7.2.3-29] 댐건설 미시행시 발생부하량=496,527,1

[표 7.2.3-30] 댐건설 시행시 발생부하량=497,528,1

[표 7.2.3-31] 축종별 축산폐수 발생원단위=498,529,1

[표 7.2.3-32] 축산분뇨자원화시설의 축분처리방법별 처리율과 농지배출계수=498,529,2

[표 7.2.3-33] 댐건설 미시행시 배출부하량=500,531,1

[표 7.2.3-34] 댐건설 시행시 배출부하량=501,532,1

[표 7.2.3-35] 오탁수 발생공종=502,533,1

[표 7.2.3-36] 배수구역 구분=502,533,1

[표 7.2.3-37] 토사유출량 원단위=503,534,1

[표 7.2.3-38] 공사공종별 토사유출량=503,534,1

[표 7.2.3-39] 공사시행으로 인한 오수발생량 산정결과=512,543,1

[표 7.2.3-40] Batch Plant 폐수의 발생량 예측=513,544,1

[표 7.2.3-41] WASP5 모델에 적용된 수질 반응계수=517,548,2

[표 7.2.3-42] 소구간의 체적 및 형태=521,552,1

[표 7.2.3-43] 소구간의 사이의 단면적 및 특성길이(수직방향)=521,552,1

[표 7.2.3-44] 소구간의 사이의 단면적 및 특성길이(수평방향)=522,553,1

[표 7.2.3-45] 화북댐 지역의 월별 유입유량과 방류량(㎥/sec)=523,554,1

[표 7.2.3-46] 화북댐 지역의 월별 유입 및 유출 분포(m3/sec)=525,556,1

[표 7.2.3-47] 강우시 건기시에 대한 농도 증가율=528,559,1

[표 7.2.3-48] 건기시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농도 실측 자료=528,559,1

[표 7.2.3-49] 강우시 실측수질자료가 포함된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농도 자료(조건2)=529,560,1

[표 7.2.3-50] 강우를 고려한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농도 자료(조건3)=529,560,1

[표 7.2.3-51] 각 지점별 농도분율=530,561,1

[표 7.2.3-52]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부하량(실측)=530,561,1

[표 7.2.3-53]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부하량(강우고려)=531,562,1

[표 7.2.3-54] 수질 모의 조건=531,562,1

[표 7.2.3-55] 조건 1에 대한 모의 결과=535,566,1

[표 7.2.3-56] 조건 2에 대한 모의 결과=535,566,2

[표 7.2.3-57] 조건 3에 대한 모의결과=536,567,1

[표 7.2.3-58] 목표년도별 배출부하량=537,568,1

[표 7.2.3-59] 수질보전대책 미수립시 수질 예측 모의결과=538,569,1

[표 7.2.3-60] 대청호의 COD/BOD 비=539,570,1

[표 7.2.3-61] 장래 수질예측 모의결과=540,571,1

[표 7.2.3-62] 수질보전대책 수립시 연도별 배출부하량=541,572,1

[표 7.2.3-63] 화북댐의 비소농도 산정을 위한 조건=544,575,1

[표 7.2.3-64] 하천 퇴적토 입도 분석 결과=548,579,1

[표 7.2.3-65] 하천 퇴적토 시료 채취 지점=548,579,1

[표 7.2.3-66] 침사지의 수면적 산정결과=549,580,1

[표 7.2.3-67] 침사지 소요용량=549,580,1

[표 7.2.3-68] 화북댐 유역의 하수처리구역 설정 현황=555,586,1

[표 7.2.3-69] 계획 하수량=556,587,1

[표 7.2.3-70] 댐건설시행시의 오염부하량=556,587,1

[표 7.2.3-71] 화북댐 유역 하수처리 계획=557,588,1

[표 7.2.3-72] 화북댐 유역 하수처리 계획=558,589,1

[표 7.2.3-73] 화북댐 유역 하수처리 계획=559,590,1

[표 7.2.3-74] 하수처리장 위치선정(안)=561,592,1

[표 7.2.3-75] 개별처리시설(합병정화조) 용량=563,594,1

[표 7.2.3-76] 하수관거시설=564,595,1

[표 7.2.3-77] 처리구역별 공사비=567,598,1

[표 7.2.3-78] 공사비 확보방안(국고,지방양여금 및 지방비)=568,599,1

[표 7.2.3-79] 공사비 확보방안(국고,지방양여금 및 댐주변지역 정비사업비)=568,599,1

[표 7.2.3-80] 공사비 확보방안(낙동강수계관리기금,댐주변지역 정비사업비)=569,600,1

[표 7.2.3-81] 유사시설 설치현황=570,601,1

[표 7.2.3-82] 자연형 하천정화시설 설치공법 원리 및 특성=571,602,1

[표 7.2.3-83] 폐광산 침출수 저감대책=590,621,1

[표 7.2.3-84] 수질 사후환경영향조사 계획=595,626,1

[표 7.2.4-1] 토양오염도 현황=596,627,1

[표 7.2.4-2] 폐광산 주변 토양오염조사 결과('98 군위군 조사)=597,628,1

[표 7.2.4-3] 토양오염 기준치 초과 ('98 환경부 조사)=597,628,1

[표 7.2.4-4) 댐예정지 및 주변 토양측정지점=599,630,1

[표 7.2.4-5] 항목별 분석 방법의 개요=600,631,1

[표 7.2.4-6] 농수산물 재배를 제한할 수 있는 토양오염 기준=600,631,1

[표 7.2.4-7] 댐예정지 및 주변 토양오염 분석결과=601,632,1

[표 7.2.4-8] 폐광산 토양오염 분석 결과=604,635,1

[표 7.2.4-9] 고로폐광 하류 하천 퇴적토 시료채취 지점=608,639,1

[표 7.2.4-10] 화북댐 수몰 구역 내 농경지 토양 시료 채취 지점=608,639,1

[표 7.2.4-11] 하천 퇴적토 중금속 농도 결과=609,640,1

[표 7.2.4-12] 폐광산주변 농경지 토양 중금속 농도 결과=614,645,1

[표 7.2.4-13] 토양오염 조사결과(폐기물 매립장)=620,651,2

[표 7.2.4-14] 유류판매취급소 현황=622,653,1

[표 7.2.4-15] 토양오염 유발시설물 현황=623,654,1

[표 7.2.4-16] 하천 퇴적토의 오염 지수(P.I.)계산 값=625,656,1

[표 7.2.4-17] 농경지 토양의 오염 지수(P.I.)값=627,658,1

[표 7.2.4-18] 하천퇴적토 세척대상물량 산정결과=638,669,1

[표 7.2.5-19] 오염토양 객토사업 내역=641,672,1

[표 7.2.4-20] 농경지 객토 대상물량 산정 결과=642,673,1

[표 7.2.5-1] 생활폐기물 관리구역 지정현황=643,674,1

[표 7.2.5-2] 생활폐기물 발생현황=644,675,1

[표 7.2.5-3] 생활폐기물의 조성별 발생량=644,675,1

[표 7.2.5-4] 사업장 생활폐기물의 종류별 발생량=645,676,1

[표 7.2.5-5] 생활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현황=645,676,1

[표 7.2.5-6]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646,677,1

[표 7.2.5-7]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647,678,1

[표 7.2.5-8] 지방자치 단체 쓰레기 매립시설 현황=648,679,1

[표 7.2.5-9] 쓰레기 소각시설 현황=648,679,1

[표 7.2.5-10] 분뇨발생 및 수거 현황=649,680,1

[표 7.2.5-11] 분뇨처리시설 현황=649,680,1

[표 7.2.5-12] 지장물 현황=649,680,1

[표 7.2.5-13] 공사 장비 가동시 폐유 발생량=650,681,1

[표 7.2.5-14] 공사장 생활폐기물 및 분뇨배출량 예측=651,682,1

[표 7.2.5-15] 건축물의 용도 및 구조별 해체건설 부산물의 배출량원단위=652,683,1

[표 7.2.5-16] 건축폐자재 발생원단위=652,683,1

[표 7.2.5-17] 건축폐기물 발생량=652,683,1

[표 7.2.5-18] 훼손되는 수목 현황=653,684,1

[표 7.2.5-19] 임목 폐기물 발생량=654,685,1

[표 7.2.5-20] 운영시 폐기물 발생량=654,685,1

[표 7.2.5-21] 사업지역 인근 생활폐기물 수집ㆍ운반 처리업체 현황=655,686,1

[표 7.2.5-22] 화북댐 수몰지내 지방물별 처리방안=659,690,1

[표 7.2.5-23] 건설폐재 재활용 목표율=660,691,1

[표 7.2.5-24]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 처리업체 현황=660,691,1

[표 7.2.5-25]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현황=661,692,1

[표 7.2.5-26]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최종처리업체 현황=661,692,1

[표 7.2.5-27] 임목폐기물 처리계획=662,693,1

[표 7.2.6-1] 측정지점의 선정=664,695,1

[표 7.2.6-2] 소음진동의 측정방법=664,695,1

[표 7.2.6-3] 소음 측정지점별 측정시간표=666,697,1

[표 7.2.6-4] 진동 측정지점별 측정시간표=666,697,1

[표 7.2.6-5] 소음 측정결과=667,698,1

[표 7.2.6-6] 소음 환경기준=668,699,1

[표 7.2.6-7] 진동 측정 결과=669,700,1

[표 7.2.6-8] 생활진동 규제기준=670,701,1

[표 7.2.6-9] 건설 예정지 주변 현황=674,705,1

[표 7.2.6-10] 투입장비 및 장비별 소음도(본댐 및 여수로 공사)=675,706,1

[표 7.2.6-11] 투입장비 및 장비별 소음도(진입 및 공사용도로공사)=675,706,1

[표 7.2.6-12] 건설소음 규제기준=676,707,1

[표 7.2.6-13] 주요 공사장비별,거리별 진동도=676,707,1

[표 7.2.6-14] 건설ㆍ생활진동 규제 기준=677,708,1

[표 7.2.6-lS] 정온시설에서 소음예측도=677,708,1

[표 7.2.6-16] 발파진동 속도 허용치(서울지하철 공사)=682,713,1

[표 7.2.6-17] 최대 진동속도와 피해수준(Dupont사. 미국)=682,713,1

[표 7.2.6-18] 노천 굴착공법의 특성비교=683,714,1

[표 7.2.6-19] 지발당 허용장약량=688,719,1

[표 7.2.6-20] 발파 소음ㆍ진동 허용한도치=690,721,1

[표 7.2.6-21] 사후환경영향조사=694,725,1

[표 7.2.7-1] 전파장해의 종류=696,727,1

[표 7.2.7-2] 전파장해의 종류=697,728,1

[표 7.2.7-3] TV 수신장해의 종류 및 현상=697,728,1

[표 7.2.8-1] 공원지정현황=699,730,1

[표 7.2.8-2] 공간별 도입시설 계획=715,746,1

[표 7.2.8-3] 생태공원 도입시설 및 규모=716,747,1

[표 7.2.8-4] 사면 처리공과 주목적=720,751,1

[표 7.2.8-5] 법면 보호공법 검토 결과=721,752,1

[표 7.2.9-1] 의료시설 현황=723,754,1

[표 7.2.9-2] 의료요원 분포현황=723,754,1

[표 7.2.9-3] 상수도현황=724,755,1

[표 7.2.9-4] 하수도 현황=724,755,1

[표 7.2.9-5] 결핵환자 현황=725,756,1

[표 7.2.9-6] 주요전염병 예방접종 실적=725,756,1

[표 7.2.9-7] 위생 및 숙박업소=725,756,1

[표 7.2.9-8] 화북댐 급수대상지역 용수수급 전망=726,757,1

[표 7.3.1-1] 인구현황=731,762,1

[표 7.3.1-2] 인구구성 현황=732,763,1

[표 7.3.1-3] 인구추이=732,763,1

[표 7.3.1-4] 인구이동 현황=733,764,1

[표 7.3.1-5] 주택 현황=733,764,1

[표 7.3.1-6] 수몰지내 인구현황=734,765,1

[표 7.3.1-7] 수몰주민의 가구주 연령별 분포=735,766,1

[표 7.3.1-8] 가구주 직업유형=735,766,1

[표 7.3.1-9] 가구유형=735,766,1

[표 7.3.1-10] 이사비 산정 방법=737,768,1

[표 7.3.2-1] 농업 현황=742,773,1

[표 7.3.2-2] 축산업 현황=742,773,1

[표 7.3.2-3] 임산물 생산현황=743,774,1

[표 7.3.2-4] 광공업 현황=743,774,1

[표 7.3.2-5] 시장분포 현황=744,775,1

[표 7.3.2-6] 금융기관 현황=744,775,1

[표 7.3.3-1] 공공시설 현황=748,779,1

[표 7.3.3-2] 교육시설 현황=748,779,1

[표 7.3.3-3] 수몰지역 공공 및 교육시설 현황=749,780,1

[표 7.3.4-1] 도로현황=750,781,1

[표 7.3.4-2] 자동차등록 현황=751,782,1

[표 7.3.4-3] 도로교통량 현황=751,782,1

[표 7.3.4-4] 수몰도로=752,783,1

[표 7.3.5-1] 문화재 현황=755,786,1

[표 7.3.5-2] 고로면의 문화재 현황=755,786,1

[표 7.3.5-3] 문화재지표조사 조사단 구성=759,790,1

[표 7.3.5-4] 화북리 고분군 명세표=766,797,1

[표 7.3.5-5] 수몰지역 유적 일람표=781,812,1

[표 8.1-1] 자연환경 저감방안=791,822,2

[표 8.2-1] 생활환경 저감방안=792,823,2

[표 9.1-1] 불가피한 환경영향(자연환경)=797,828,1

[표 9.2-1] 불가피한 환경영향(생활환경)=798,829,1

[표 9.3-1] 불가피한 환경영향(사회ㆍ경제환경)=798,829,1

[표 11.1-1] 댐 개발 후보지별 특성 비교=809,840,1

[표 11.1-2] 댐 개발 후보지별 개발규모 및 경제성 비교=810,841,1

[표 11.2-1] 사업비 비교=818,849,1

[표 11.2-2] 이수목적 개발규모 검토결과=821,852,1

[표 11.2-3] 화북댐 홍수조절에 따른 조절효과=822,853,1

[표 11.2-4] 홍수조절 용량별 홍수피해액 및 경감기대액=823,854,1

[표 11.2-5] 홍수조절 용량별 검토결과=824,855,1

[표 11.2-6] 발전 규모 검토결과=825,856,1

[표 11.2-7] 댐 건설 사업비 총괄=827,858,1

[표 11.2-8] 화북댐 및 대체댐의 주요제원=829,860,1

[표 11.2-9] 화북댐 최적개발규모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830,861,1

[표 11.2-10] 화북댐 최적개발규모=831,862,1

[표 12.1-1]/[표 12-1] 종합평가표=836,867,8

[표 13.5.1-1] 화북댐 건설 예정지 일대 식물 조사목록=865,896,18

[표 13.5.1-2] 화북댐 건설 예정지 일대 식생조사표=883,914,49

(그림 2-1) 사업지역 위치도=25,56,1

(그림 2-2) 배치평면도=27,58,1

(그림 2-3) 진입 및 공사용도로 평면도=29,60,1

(그림 3.3-1)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설정도=36,67,1

(그림 4-1) 지역개황도=51,82,1

(그림 6.2-1) 주민설명회 사진(2002.7.5)=107,138,1

(그림 6.2-2) 주민설명회 사진(2002.7.9)=108,139,1

(그림 6.2-3) 주민설명회 사진(2002.7.10)=109,140,1

(그림 6.2-4) 주민설명회 사진(2002.7.25)=110,141,1

(그림 6.2-5) 주민설명회 사진(2002.7.27)=111,142,1

(그림 6.2-6) 공청회 사진(2002.10.4)=112,143,1

(그림 6.2-7) 공청회 사진(2002.10.4)=113,144,1

(그림 6.2-8) 공청회 사진(2002.10.4)=114,145,1

(그림 6.2-9) 초안공람 및 주민설명회 공고문(대한매일,매일신문)=115,146,1

(그림 6.2-10) 초안공람 및 주민설명회 공고문(영남일보)=116,147,1

(그림 6.2-11) 공청회 공고문=117,148,1

(그림 7.1.1-1) 화북댐 예정지 부근의 기상관측소 위치=124,155,1

(그림 7.1.1-2) 최근 10년간 월평균 기온분포=126,157,1

(그림 7.1.1-3) 최근 10년간 월평균 상대습도 분포=126,157,1

(그림 7.1.1-4) 최근 10년간 월평균 강수량 분포=127,158,1

(그림 7.1.1-5) 바람장미도=129,160,1

(그림 7.1.1-6) 최근 10년 간 월평균 풍속 분포=130,161,1

(그림 7.1.1-7) 최근 10년 간 월평균 운량 분포=131,162,1

(그림 7.1.1-8) 최근 10년 간 월평균 일조시간 분포=132,163,1

(그림 7.1.1-9) AWS에 설치 된 Sensor의 종류=134,165,1

(그림 7.1.1-10) 설치 된 AWS의 모습(고로초등학교)=135,166,1

(그림 7.1.1-11) 일평균 기온 변화(2001년 3월 31일~2001년 7월 22일)=136,167,1

(그림 7.1.1-12) 일평균 습도 변화(2001년 3월 31일~2001년 7월 22일)=137,168,1

(그림 7.1.1-13) 바람장미도 (2001년3월~7월)=138,169,1

(그림 7.1.1-14) 일사량 변화 (2001년 3월31일~2001년 7월22일)=139,170,1

(그림 7.1.1-15) 2001년 4월 1일~2001년 7월 31일의 월평균 기온=140,171,1

(그림 7.1.1-16) 2001년 4월 1일~2001년 7월 31일의 지역별 바람장미=141,172,1

(그림 7.1.1-17) 2001년 4월 1일~2001년 7월 31일의 월평균 풍속=142,173,1

(그림 7.1.1-18) 에어존데와 기구=144,175,1

(그림 7.1.1-19) 춘계온위,상당온위의 연직 분포=145,176,1

(그림 7.1.1-20) 하계온위,상당온위의 연직 분포=147,178,1

(그림 7.1.1-21) Pibal 관측을 통한 바람의 연직분포=149,180,1

(그림 7.1.1-22) Pibal 관측을 통한 바람의 연직분포=151,182,1

(그림 7.1.1-23) 각 기상대의 위치=155,186,1

(그림 7.1.1-24) 팔당댐 건설 전후의 기온=157,188,1

(그림 7.1.1-25) 팔당댐 건설 전후의 강수일=157,188,1

(그림 7.1.1-26) 양평과 이천의 안개일수=157,188,1

(그림 7.1.1-27) 양평과 이천의 일조율=157,188,1

(그림 7.1.1-28) 안동의 댐 건설 전후의 안개일수=158,189,1

(그림 7.1.1-29) 충주의 댐 건설 전후의 안개일수=158,189,1

(그림 7.1.1-30) 춘천의 댐 건설 전후의 안개일수=158,189,1

(그림 7.1.1-31) 안동의 댐 건설 전후의 일조율=158,189,1

(그림 7.1.1-32) 충주의 댐 건설 전후의 일조율=158,189,1

(그림 7.1.1-33) 춘천의 댐 건설 전후의 일조율=158,189,1

(그림 7.1.1-34) 수온 연직 분포=162,193,1

(그림 7.1.1-35) 호수면의 증발량=164,195,1

(그림 7.1.1-36) 댐 건설 후의 야간 상대습도=167,198,1

(그림 7.1.1-37) 댐 하류 하천의 수온=174,205,1

(그림 7.1.1-38) 댐 하류 하천의 증발량=175,206,1

(그림 7.1.1-39) 댐 하류 하천의 현열량=176,207,1

(그림 7.1.1-40) 사후환경영향조사위치도=186,217,1

(그림 7.1.2-1) 화북댐 유역의 산계 및 수계도=190,221,1

(그림 7.1.2-2) 화북댐의 낙동강 연계 수계도=191,222,1

(그림 7.1.2-3) 표고분석도=193,224,1

(그림 7.1.2-4) 경사분석도=195,226,1

(그림 7.1.2-5) 향분석도=197,228,1

(그림 7.1.2-6) Joint Rose Diagram(본댐 및 여수로)=202,233,1

(그림 7.1.2-7) Joint Rose Diagram(가배수터널)=203,234,1

(그림 7.1.2-8) Rose Diagram=204,235,1

(그림 7.1.2-9) 사업지구 주변 지질도=205,236,1

(그림 7.1.2-10) 댐인접지역 지질도=207,238,1

(그림 7.1.2-11) 탄성파 및 시추조사 위치도=211,242,1

(그림 7.1.2-12) 지층단면도=215,246,1

(그림 7.1.2-13) 건설재료원 위치도=219,250,1

(그림 7.1.2-14) 화북댐 예정지 및 주변 광산등록 현황도=221,252,1

(그림 7.1.2-15) 댐 평면 및 종단도=227,258,1

(그림 7.1.2-16) 여수로 평면 및 종단도=229,260,1

(그림 7.1.2-17) 공사용도로 평면 및 종단도=231,262,1

(그림 7.1.2-18) 본 댐 비탈면 현황도=233,264,1

(그림 7.1.2-19) 진입 및 공사용도로 계획평면도=235,266,1

(그림 7.1.2-20) 사토장 계획 위치도=243,274,1

(그림 7.1.3-1) 동ㆍ식물상 조사지역 위치도=251,282,1

(그림 7.1.3-2) 천연기념물 수달 서식흔적 관찰지역(●) 및공사기간중 서식지 보호지역=262,293,1

(그림 7.1.3-3) 수달의 주 서식지역 전경=264,295,1

(그림 7.1.3-4) 하천변 모래에 남은 수달 및 너구리의 족흔=264,295,1

(그림 7.1.3-5) 수달의 배설물 모습=264,295,1

(그림 7.1.3-6) 천연기념물 및 보호종의 관찰지역(●)=266,297,1

(그림 7.1.3-7) 화북댐 예정지 양서ㆍ파충류 사진=272,303,1

(그림 7.1.3-8) 곤충류와 화북댐 서식환경의 상호관계 모식도=274,305,1

(그림 7.1.3-9) 화북댐 예정지역 일대의 소나무 군락의 단면도=288,319,1

(그림 7.1.3-10) 화북댐 예정지역의 현존식생도=291,322,1

(그림 7.1.3-11) 화북댐 예정지역의 녹지자연도=293,324,1

(그림 7.1.3-12) 출현어류의 종별 분포도=296,327,1

(그림 7.1.3-1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분포도=309,340,1

(그림 7.1.3-14) 수생 및 수변식물=317,348,1

(그림 7.1.3-l5) 화북댐 건설후의 정밀식생도=325,356,1

(그림 7.1.3-16) 진입 및 공사용도로 주변의 정밀식생도=327,358,1

(그림 7.1.3-17) 화북댐 건설후의 녹지자연도=331,362,1

(그림 7.1.3-18) 화북댐 유역의 망개나무 군락지=334,365,1

(그림 7.1.3-19) 위천수계 어류상 조사 지점도=338,369,1

(그림 7.1.3-20) 하천의 건천화 모습=341,372,1

(그림 7.1.3-21) 횡성댐 건설전ㆍ후 어류변화=351,382,1

(그림 7.1.3-22) 횡성댐 건설전ㆍ후 어류변화=352,383,1

(그림 7.1.3-23) 횡성댐 건설전ㆍ후 어류변화=353,384,1

(그림 7.1.3-24) 횡성댐 건설전ㆍ후 어류변화=354,385,1

(그림 7.1.3-25) 동물이동통로 설치예=357,388,1

(그림 7.1.3-26) 어류서식 산란장소예시=358,389,1

(그림 7.1.3-27) 댐 완공후 수달 서식가능 예상지역=360,391,1

(그림 7.1.3-28) 천연기념물 및 보호종의 행동범위=361,392,1

(그림 7.1.3-29) 양서ㆍ파충류 대체서식지 예시사진=362,393,1

(그림 7.1.3-30) 까치 살모사의 서식지-반경1㎞ 범위=363,394,1

(그림 7.1.3-31) 부유식 산란시설의 개념도=372,403,1

(그림 7.1.4-1) 주변하천 유역도=377,408,1

(그림 7.1.4-2) 수문관측소 현황도=379,410,1

(그림 7.1.4-3) 화북댐유역 Thiessen망도=382,413,1

(그림 7.1.4-4) 유역면적별 지속시간-강우량 포락곡선=387,418,1

(그림 7.1.4-5) 지속시간별 유역면적-강우량 관계곡선=387,418,1

(그림 7.1.4-6) 화북댐지점 홍수수문곡선=390,421,1

(그림 7.1.4-7) 월평균 유출률 비교=395,426,1

(그림 7.1.4-8) 연도별 유출률 비교=395,426,1

(그림 7.1.4-9) 화북댐지점 평균유황곡선=397,428,1

(그림 7.1.4-10) 수위별 저수면적 및 저수용량 곡선=400,431,1

(그림 7.1.4-11) 화북댐 생ㆍ공용수 공급계획도=414,445,1

(그림 7.1.4-12) 댐건설 전ㆍ후의 유황변화=419,450,1

(그림 7.1.4-13) 경보국,수위관측소,우량관측소의 신설위치도=422,453,1

(그림 7.2.1-1) 수몰지 및 토지이용현황=431,462,1

(그림 7.2.1-2) 가설비 부지 위치=436,467,1

(그림 7.2.1-3) 진입 및 공사용 도로=439,470,1

(그림 7.2.1-4) 환경정비시설 조성계획 공간 구분=441,472,1

(그림 7.2.1-5) 생태공원 조성계획=441,472,1

(그림 7.2.1-6) 이주단지 위치도=443,474,1

(그림 7.2.1-7) 이주단지 토지이용계획=443,474,1

(그림 7.2.1-8) 보상절차=446,477,1

(그림 7.2.2-1) 대기질 측정지점 위치도=449,480,1

(그림 7.2.2-2) 주변지역 현황도=461,492,1

(그림 7.2.2-3) 공사시 대기질 등농도곡선(PM-10㎍/㎥)=463,494,1

(그림 7.2.2-4) 공사시 대기질 등농도곡선(NO₂ppm)=464,495,1

(그림 7.2.2-5) 살수량과 발진개시 한계풍속과의 관계=466,497,1

(그림 7.2.2-6) 수분함유량과 비산율과의 관계=466,497,1

(그림 7.2.2-7) 세륜 및 측면살수 시설 예시도=468,499,1

(그림 7.2.2-8) 세륜 및 측면살수 시설 상세도=469,500,1

(그림 7.2.2-9) 세륜ㆍ세차시설 위치도=470,501,1

(그림 7.2.3-1) 수질 측정지점 위치도(하천수 및 폐광산)=474,505,1

(사진 7.2.3-1) 폐광산 갱구 및 침출수 유출현황=482,513,1

(사진 7.2.3-2) 폐광산 매립 및 야적 현황=482,513,1

(그림 7.2.3-2) 폐광산 매립 및 야적 현황=483,514,1

(그림 7.2.3-3) 오염방지시설 평면도=483,514,1

(그림 7.2.3-4) 배수구역도=492,523,1

(그림 7.2.3-5) WASP5의 반응계통=515,546,1

(그림 7.2.3-6) 화북댐의 형상 및 소구간 구분=520,551,1

(그림 7.2.3-7) 호내 흐름분포 구성=524,555,1

(그림 7.2.3-8) 월평균 유입농도 계산 과정=527,558,1

(그림 7.2.3-9) 소구간별 BOB 모의 결과=533,564,1

(그림 7.2.3-10) 소구간별 TN 모의결과=533,564,1

(그림 7.2.3-11) 소구간별 TP 모의결과=534,565,1

(그림 7.2.3-12) 항목별 전체평균=534,565,1

(그림 7.2.3-13) 대청호의 BOD 농도와 COD 농도의 변화 추이=539,570,1

(그림 7.2.3-14) 퇴적물층의 영향을 고려한 저수지의 독성물질의 물질수지 개념도=542,573,1

(그림 7.2.3-15) 침사지 설치위치도=551,582,1

(그림 7.2.3-16) 중화ㆍ침전 처리시설 공정도=553,584,1

(그림 7.2.3-17) 하수처리장 평면도=560,591,1

(그림 7.2.3-18) 하수처리장 위치선정 비교도=562,593,1

(그림 7.2.3-19) 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도=565,596,1

(그림 7.2.3-20) 습지조성 위치도=573,604,1

(그림 7.2.3-21) 습지조성 계획도=574,605,1

(사진 7.2.3-3) 인공습지 설치전 전경=575,606,1

(사진 7.2.3-4) 인공습지 설치 조성후 전경(예시)=575,606,1

(그림 7.2.3-22) 산성광산배수 처리시설 모식도=579,610,1

(그림 7.2.3-23) 호기성 소택지 실례=580,611,1

(그림 7.2.3-24) 인공 혐기성 소택지 실례=583,614,1

(사진 7.2.3-5) 인회석 배수로(상부에 침식방지용 석회석은 철수산화물로 피복됨)=586,617,1

(사진 7.2.3-6) 인회석 배수로 하류부에 설치된 침전 못=586,617,1

(사진 7.2.3-7) 침전 못에 퇴적된 철 및 알루미늄 인산염=587,618,1

(그림 7.2.3-25) 산화물 또는 수화물과 공존하는 자유 금속이온 농도 (Stumm and Morgan,1981)=588,619,1

(그림 7.2.3-26) 동일지점 수질 비교=589,620,1

(그림 7.2.3-27) 2002년 7월~8월 강우량 추이=589,620,1

(그림 7.2.3-28) 실내 중금속 저감 시험결과도=591,622,1

(그림 7.2.3-29) 인회석 배수로 모식도=592,623,1

(그림 7.2.3-30) 인회석 배수로 설치위치도=593,624,1

(그림 7.2.4-1) 토양채취지점 위치도=598,629,1

(그림 7.2.4-2) 토양시료 채취 방법=599,630,1

(그림 7.2.4-3) 현장 토양시료 채취 장비=602,633,1

(그림 7.2.4-4) 폐광지역 토양오염조사 지점도=603,634,1

(그림 7.2.4-5) 고로폐광 하류 하천 퇴적토 시료채취지점=606,637,1

(그림 7.2.4-6) 화북댐 수몰구역내 농경지 토양오염 조사지점=607,638,1

(그림 7.2.4-7) 하천 퇴적토 표토의 납의 농도 분포=610,641,1

(그림 7.2.4-8) 하천 퇴적토 표토의 비소 농도 분포=611,642,1

(그림 7.2.4-9) 하천 퇴적토 표토의 모래 입자 비율 (wt%)=613,644,1

(그림 7.2.4-10) 농경지 토양 표토의 비소 농도=615,646,1

(그림 7.2.4-11) 현장조사 사진(폐기물매립장)=618,649,1

(그림 7.2.4-12) 현장조사지점 위치도(폐기물매립장)=619,650,1

(그림 7.2.4-13) 토양오염의 경로=622,653,1

(그림 7.2.4-14) 유류판매취급소 전경=623,654,1

(그림 7.2.4-15) 하천 퇴적토 표토의 총 중금속 오염 농도=624,655,1

(그림 7.2.4-16) 하천 퇴적토 심토의 총 중금속 오염 농도=624,655,1

(그림 7.2.4-17) 농경지 토양 표토의 전체 중금속 농도=626,657,1

(그림 7.2.4-18) 농경지 토양 심토의 전체 중금속 농도=627,658,1

(그림 7.2.4-19) 고로 폐광산 폐광석 야적장 평면도=631,662,1

(그림 7.2.4-20) 고로 폐광산 폐광석 야적장 단면도=633,664,1

(그림 7.2.4-21) 폐탄광에 식생한 모습=634,665,1

(그림 7.2.4-22) 폐탄광에 식생한 후 3년 후의 전경=635,666,1

(그림 7.2.4-23) 토양 세척 처리 공정도(from Anderson,1993)=637,668,1

(그림 7.2.4-24) 토양세척법을 이용한 오염토양 세척장면=637,668,1

(그림 7.2.4-25) 세척 및 객토 대상 지역 위치도=639,670,1

(그림 7.2.5-1) 수몰지내 생활폐기물매립장 위치도=657,688,1

(그림 7.2.6-1) 소음진동 측정지점 위치도=665,696,1

(그림 7.2.6-2) 댐건설지 주변 정온시설 현황도=671,702,1

(그림 7.2.6-3) 소음예측 지점도=679,710,1

(그림 7.2.6-4) 발파 예상구간 위치도=685,716,1

(그림 7.2.6-5) 저감방안 설치위치도=692,723,1

(그림 7.2.6-6) 가설 토류벽(상) 및 가설방음판넬(하) 설치 예시도=693,724,1

(그림 7.2.7-1) TV 방송구역도=698,729,1

(그림 7.2.8-1) 군위군내 주요 명승고적 및 위락시설=702,733,1

(그림 7.2.8-2) 사업지역 인근 관광자원 분포도=703,734,1

(그림 7.2.8-3) 경관자원 요소에 의한 경관유형=704,735,1

(그림 7.2.8-4) 특이한 경관요소 및 경관=705,736,1

(그림 7.2.8-5) 조망점 위치도=707,738,1

(그림 7.2.8-6) 조망점 1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08,739,1

(그림 7.2.8-7) 조망점 2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09,740,1

(그림 7.2.8-8) 조망점 3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0,741,1

(그림 7.2.8-9) 조망점 4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0,741,1

(그림 7.2.8-10) 조망점 5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1,742,1

(그림 7.2.8-11) 조망점 6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1,742,1

(그림 7.2.8-12) 조망점 7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2,743,1

(그림 7.2.8-13) 화북댐 건설후의 조감도=713,744,1

(그림 7.2.8-14) 전체 기본구상도=714,745,1

(그림 7.2.8-l5) 환경정비시설 조성계획공간=715,746,1

(그림 7.2.8-16) 댐배면 계획단면도=718,749,1

(그림 7.2.8-17) 환경정비시설 조성계획 공간=719,750,1

(그림 7.2.8-18) 절토법면 처리전후의 경관도=721,752,1

(그림 7.2.8-19) 법면예시도=722,753,1

(그림 7.3.1-1) 이주단지 위치도=741,772,1

(그림 7.3.1-2) 이주단지 토지이용계획도=741,772,1

(그림 7.3.4-1) 진입 및 공사용도로 계획평면도=753,784,1

(그림 7.3.5-1) 문화재 분포현황=756,787,1

(그림 7.3.5-2) 화북리 민묘군 전경=761,792,1

(그림 7.3.5-3) 화북리 유물산포지I 전경 및 채집유물=761,792,1

(그림 7.3.5-4) 화북리 유물산포지II 전경 및 채집유물=762,793,1

(그링 7.3.5-5) 화북리 유물산포지III 전경 및 채집유물=762,793,1

(그림 7.3.5-6) 화북리 김제연묘 전경 및 묘비=763,794,1

(그림 7.3.5-7) 화북리 비석 전경=764,795,1

(그림 7.3.5-8) 화북리 고분군 전경과 12호분 전경 및 채집유물=765,796,1

(그림 7.3.5-9) 화북리 고분군 14호분 전경 및 채집유물=765,796,1

(그림 7.3.5-10) 학성리 민요군I,II,III 전경=768,799,1

(그림 7.3.5-11) 학성리 유물산포지I 전경 및 채집유물=768,799,1

(그림 7.3.5-12) 학성리 유물산포지II 전경 및 채집유물=769,800,1

(그림 7.3.5-13) 학성리 유물산포지III 전경 및 채집유물=769,800,1

(그림 7.3.5-14) 학성리 유물산포지IV 전경 및 채집유물=770,801,1

(그림 7.3.5-15) 학성리 유물산포지V 전경 및 채집유물=770,801,1

(그림 7.3.5-16) 학성리 추정지석묘 전경 및 1호,2호=771,802,1

(그림 7.3.5-17) 괴산리 민묘 전경=772,803,1

(그림 7.3.5-18) 괴산리 유물산포지 전경 및 채집유물=772,803,1

(그림 7.3.5-19) 장곡리 추정지석묘 전경=773,804,1

(그림 7.3.5-20) 장곡리 유물산포지 전경 및 채집유물=774,805,1

(그림 7.3.5-21) 인곡리 유물산포지I 전경 및 채집유물=774,805,1

(그림 7.3.5-22) 인곡리 유물산포지II 전경 및 채집유물=775,806,1

(그림 7.3.5-23) 인곡리 유물산포지III 전경 및 채집유물=775,806,1

(그림 7.3.5-24) 인곡리 유물산포지IV 전경 및 채집유물=776,807,1

(그림 7.3.5-25) 인곡리 추정지석묘군 전경 및 추정지석묘=777,808,1

(그림 7.3.5-26) 양지리 유물산포지I 전경 및 채집유물=778,809,1

(그림 7.3.5-27) 양지리 유물산포지II 전경 및 채집유물=778,809,1

(그림 7.3.5-28) 양지리 유물산포지III 전경 및 채집유물=779,810,1

(그림 7.3.5-29) 양지리 민묘군 전경=779,810,1

(그림 7.3.5-30) 인각사 전경 및 주변 채집유물=780,811,1

(그림 7.3.5-31) 화북댐 지역 유적 분포도=783,814,1

(그림 7.3.5-32) 사업시행시 문화재 평가 및 보전절차 예=787,818,1

(그림 10-1) 사후환경 영향조사 위치도=804,835,1

(그림 11.1-1) 화북다목적댐 비교지점 위치도=811,842,1

(그림 11.2-1) 댐 형식별 표준단면도=819,850,1

(그림 2-1) 사업지역 위치도=25,56,1

(그림 4-1) 지역개황도=51,82,1

(그림 7.1.2-3) 표고분석도=193,224,1

(그림 7.1.2-4) 경사분석도=195,226,1

(그림 7.1.2-5) 향분석도=197,228,1

(그림 7.1.2-9) 사업지구 주변 지질도=205,236,1

(그림 7.1.2-10) 댐인접지역 지질도=207,238,1

(그림 7.1.3-1) 동ㆍ식물상 조사지역 위치도=251,282,1

(그림 7.1.3-3) 수달의 주 서식지역 전경=264,295,1

(그림 7.1.3-4) 하천변 모래에 남은 수달 및 너구리의 족흔=264,295,1

(그림 7.1.3-5) 수달의 배설물 모습=264,295,1

(그림 7.1.3-7) 화북댐 예정지 양서ㆍ파충류 사진=272,303,1

(그림 7.1.3-10) 화북댐 예정지역의 현존식생도=291,322,1

(그림 7.1.3-11) 화북댐 예정지역의 녹지자연도=293,324,1

(그림 7.1.3-15) 화북댐 건설후의 정밀식생도=325,356,1

(그림 7.1.3-16) 진입 및 공사용도로 주변의 정밀식생도=327,358,1

(그림 7.1.3-17) 화북댐 건설후의 녹지자연도=331,362,1

(그림 7.1.3-18) 화북댐 유역의 망개나무 군락지=334,365,1

(그림 7.1.3-20) 하천의 건천화 모습=341,372,1

(그림 7.1.3-28) 천연기념물 및 보호종의 행동범위=361,392,1

(그림 7.1.3-29) 양서ㆍ파충류 대체서식지 예시사진=362,393,1

(그림 7.1.4-11) 화북댐 생ㆍ공용수 공급계획도=414,445,1

(그림 7.2.1-1) 수몰지 및 토지이용현황=431,462,1

(그림 7.2.1-4) 환경정비시설 조성계획 공간 구분=441,472,1

(그림 7.2.1-5) 생태공원 조성계획=441,472,1

(그림 7.2.3-19) 하수처리시설 설치계획도=565,596,1

(사진 7.2.3-3) 인공습지 설치전 전경=575,606,1

(사진 7.2.3-4) 인공습지 설치 조성후 전경(예시)=575,606,1

(사진 7.2.3-5) 인회석 배수로(상부에 침식방지용 석회석은 철수산화물로 피복됨)=586,617,1

(사진 7.2.3-6) 인회석 배수로 하류부에 설치된 침전 못=586,617,1

(사진 7.2.3-7) 침전 못에 퇴적된 철 및 알루미늄 인산염=587,618,1

(그림 7.2.4-25) 세척 및 객토 대상 지역 위치도=639,670,1

(그림 7.2.8-6) 조망점 1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08,739,1

(그림 7.2.8-7) 조망점 2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09,740,1

(그림 7.2.8-8) 조망점 3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0,741,1

(그림 7.2.8-9) 조망점 4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0,741,1

(그림 7.2.8-10) 조망점 5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1,742,1

(그림 7.2.8-11) 조망점 6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1,742,1

(그림 7.2.8-12) 조망점 7의 댐건설전후 경관변화=712,743,1

(그림 7.2.8-13) 화북댐 건설후의 조감도=713,744,1

(그림 7.2.8-14) 전체 기본구상도=714,745,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1

표목차=ii,5,6

그림목차=viii,11,7

사진목차=xv,18,2

제1장 보완의견=1,20,22

제2장 항목별 보완내용=23,42,2

2.1 총괄=25,44,4

2.2 항목별 검토의견=29,48,2

2.2.1 지형ㆍ지질=31,50,24

2.2.2 동ㆍ식물상=55,74,162

2.2.3 수리ㆍ수문=217,236,10

2.2.4 수질=227,246,14

2.2.5 토양=241,260,250

2.2.6 폐기물=489,510,26

2.2.7 사회ㆍ경제환경(경제성분석)=517,536,6

제3장 부록=523,542,3

3.1 보완보고서 작성참여자=525,544,1

3.2 부록=526,545,48

[표 2.2.1-1] 진입 및 공사용도로 구간 사면안정성 검토결과=34,53,1

[표 2.2.1-2] 본댐구간 시추조사 결과=41,60,1

[표 2.2.1-3] 사토장지역에 대한 토양오염도 조사결과=45,64,1

[표 2.2.1-4] 사토 발생지역 및 발생량=46,65,1

[표 2.2.1-5] 사토발생지역에 대한 토양오염도 조사결과=46,65,1

[표 2.2.1-6] 불연속면의 방향성 및 특징=49,68,1

[표 2,2.1-7] 해석에 사용된 불연속면 및 사면 현황=50,69,1

[표 2,2.1-8] 평사투영 해석결과=51,70,1

[표 2.2.1-9] 표토 발생량=53,72,1

[표 2.2.2-1] 화북댐 수몰예정지역의 종조성표와 중요율=63,82,1

[표 2.2.2-2] 조사지별 종다양도=69,88,1

[표 2,2.2-3] 조사지역내 망개나무림의 종조성표=78,97,3

[표 2.2.2-4] 조사지역내 주요수종에 대한 중요치=84,103,1

[표 2.2.2-5] 소태나무군의 주요 수종에 대한 중요치=85,104,1

[표 2.2.2-6] 털대사초군의 주요수종에 대한 중요치=86,105,1

[표 2.2.2-7] 망개나무전형군의 주요수종에 대한 중요치=87,106,1

[표 2.2.2-8] 17개 조사구에서 측정된 주요 교목성 수종에 대한 직경급분포=91,110,1

[표 2.2.2-9] 조사지점 행정구역 현황=118,137,1

[표 2.2.2-10] 조사지역내 출현 대형무척추동물 총 목록=122,141,3

[표 2.2.2-11] 조사지점별 출현개체수(#:정성적 채집에서 확인된 종)=128,147,1

[표 2.2.2-12] 각 조사지점별 출현 어류의 개체수 및 어류상=138,157,1

[표 2.2.2-13] 댐 상류 하천의 현재 분포종,댐 건설 후 정수역(댐호) 분포 예상종,댐 건설 후 유입수 분포 예상종,갈수기 후 분포 예상종=141,160,1

[표 2.2.2-14] 영천댐의 서식지별 어류목록 및 개체수=142,161,1

[표 2.2.2-15] 화북댐 지역의 월별 유입유량과 방류량(㎥/sec)=143,162,1

[표 2.2.2-16] 출현종의 생태적 특징=147,166,1

[표 2.2.2-17] 다목적댐 건설 전후 조류 주요종(우점종) 변화=159,178,1

[표 2.2.2-18] 포유류 현지 관찰 및 흔적 조사결과=169,188,1

[표 2.2.2-19] 조류조사 결과(1,2차 총괄)=189,208,1

[표 2.2.2-20] 1차 조류조사 결과=190,209,1

[표 2.2.2-21] 2차 조류조사 결과=191,210,1

[표 2.2.2-22] 까치살모사 관찰지점 주변환경=200,219,1

[표 2.2.2-23] 인공습지 적용 정수식물 및 식종밀도=213,232,1

[표 2.2.2-24] 수생식물 수질정화능력 대비표=214,233,1

[표 2.2.3-1] 시군별 과거 인구추이=220,239,1

[표 2.2.3-2] 군위군,의성군의 급수보급율 및 단위급수량 전망=220,239,1

[표 2.2.3-3] 구간(화북댐 하류~낙동강 본류 합류점)별 수혜면적=223,242,1

[표 2.2.4-1] 허가 및 신고대상 축산폐수배출시설의 가축사육 현황=229,248,1

[표 2.2.4-2] 화북댐 유역의 가축사육 현황=230,249,1

[표 2.2.4-3] 화북댐 인근의 댐 현황=235,254,1

[표 2.2.4-4] 화북댐 인근 댐의 COD/BOD 비(1996~2002년)=235,254,1

[표 2.2.4-5] 수질항목별 삭감부하량 산정=237,256,1

[표 2.2.4-6] 수질보전대책 시행시 생활하수 배출부하량의 변화=237,256,1

[표 2.2.4-7] 수질보전대책 미시행 및 시행시의 배출부하량=239,258,1

[표 2.2.5-1] 비소 용출 분배계수 산출 배치실험 결과 (Time vs. Kdf)=249,268,3

[표 2.2.5-2] 화북댐 농경지 토양 및 하천퇴적토 용출분배계수(Kdf)=252,271,1

[표 2.2.5-3] 하천 퇴적토의 비소 농도와 용출계수 값=252,271,1

[표 2.2.5-4] 토양의 평균 용출분배계수(Kdf) 값=253,272,1

[표 2.2.5-5] 저수지 바닥 퇴적물의 비소 용출률 산정 칼럼 실험 결과=253,272,1

[표 2.2.5-6] 자연수에서 산정된 입자들의 침강속도=259,278,1

[표 2.2.5-7] Stoke's Settling Velocities(m/day at 20℃)=260,279,1

[표 2.2.5-8] 화북댐의 비소농도 산정을 위한 조건=263,282,1

[표 2.2.5-9]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 SS 농도=264,283,1

[표 2.2.5-10] 화북댐 비소농도 모의를 위한 각 소구간의 체적 및 형태=271,290,1

[표 2.2.5-11] 소구간의 사이의 단면적 및 특성길이(수직방향)=271,290,1

[표 2.2.5-12]소구간의 사이의 단면적 및 특성길이(수평방향)=272,291,1

[표 2.2.5-13]화북댐 지역의 월별 유입유량과 방류량(㎥/sec)=273,292,1

[표 2.2.5-14] 화북댐 지역의 월별 유입 및 유출 분포(㎥/sec)=275,294,1

[표 2.2.5-15] 화북댐 본류 및 지류의 유입 비소 농도=276,295,1

[표 2.2.5-16] 수질 모의 조건=276,295,1

[표 2.2.5-17] TOXI5를 이용한 화북댐 비소농도 모의 결과(조건 1)=277,296,1

[표 2.2.5-18] 호수내의 비소 농도 예측 모의 결과(조건 2,3,4)=278,297,1

[표 2.2.5-19] 호수 내의 비소 농도 예측 모의 결과(조건 5,6,7)=280,299,1

[표 2.2.5-20] 비소부하량의 변화=281,300,1

[표 2.2.5-21] U형 플륨관 및 U형 측구 설치내역=284,303,1

[표 2.2.5-22] 옹벽설치 내역=284,303,1

[표 2.2.5-23] 복토량=285,304,1

[표 2.2.5-24] 식생내역=285,304,1

[표 2.2.5-25] 폐광산 내 수질 분석 결과 (중금속,1998 군위군청)=288,307,1

[표 2.2.5-26] 폐광산 주변 수질 분석 결과 (중금속)=289,308,1

[표 2.2.5-27] 토양오염 기준=295,314,1

[표 2.2.5-28]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98 군위군 조사)=295,314,1

[표 2.2.5-29] 토양오염 기준치 초과 ('98 환경부 조사)=296,315,1

[표 2.2.5-30] 토양오염분석 결과표 (2002년 8월 12일 현장조사)=297,316,1

[표 2.2.5-31] 하천수 원수의 수질=308,327,1

[표 2.2.5-32] 화북댐 유역 토양오염정밀 조사지점수=327,346,1

[표 2.2.5-33] 토양오염우려기준(As 6mg/) 이상 오염지역 면적=328,347,1

[표 2.2.5-34] 토양오염우려기준의 40%(As 2.4mg/kg) 이상 오염지역 면적=328,347,1

[표 2.2.5-35] 배경농도(As 1.2mg/kg) 이상 오염지역 면적=329,348,1

[표 2.2.5-36] 토양복원 면적 및 물량=337,356,1

[표 2.2.5-37] 비소 세척 실험결과=339,358,5

[표 2.2.5-38] 토양세척 물량=344,363,1

[표 2.2.5-39] 하천 퇴적토 복원을 위한 토양 복원 방법 비교=345,364,1

[표 2.2.5-40] 배경농도 초과지역 세척시 부산물 발생량=345,364,1

[표 2.2.5-41] 사업지구 인근 폐수 위탁처리업체 현황=346,365,1

[표 2.2.5-42] 사업지구 인근 지정폐기물 매립장 현황=346,365,1

[표 2.2.5-43] 석회 복토 토양내 비소 용출 배치실험 분석결파(As)=350,369,1

[표 2.2.5-44] 토양 복토면적,물량,석회량=351,370,1

[표 2.2.5-45] 군위군 소재 폐기물매립장 현황=352,371,1

[표 2.2.5-46] 사업지역 인근의 위탁처리업체 현황=352,371,1

[표 2.2.5-47] 사업장 인근 폐윤활유 및 폐유처리업체=359,378,1

[표 2.2.5-48] 유류판매취 급소 현황=360,379,1

[표 2.2.5-49]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2)=360,379,1

[표 2.2.5-50] 조사시료의 최소,최대,평균농도=367,386,1

[표 2.2.5-51] 조사시료의 As 기준 오염등급별 시료수 및 비율=367,386,1

[표 2.2.5-52] 농경지 대조군 토양의 중금속 평균 농도=369,388,1

[표 2.2.5-53] 농경지 토양오염조사결과=370,389,16

[표 2.2.5-54] 하천퇴적토 토양오염조사결과=386,405,5

[표 2.2.5-55] 대조군 토양오염조사결과=391,410,2

[표 2.2.5-56] 댐 하류지역 토양오염조사결과=393,412,1

[표 2.2.5-57] 조사지역내 신고 및 허가 지하수 관정 현황표=396,415,2

[표 2.2.5-58] 지하수 관정 조사표=398,417,2

[표 2.2.5-59] 지하수위 조사표=404,423,1

[표 2.2.5-60] 지하수질 현장측정표=410,429,1

[표 2.2.5-61]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주양이온,음이온 및 COD)=411,430,2

[표 2.2.5-62] 지하수 분석 결과(중금속)=413,432,1

[표 2.2.5-63] 아연 항목의 분산분석표=415,434,1

[표 2.2.5-64] 분산분석 결과=415,434,1

[표 2.2.5-65] 관측정 설치 제원=417,436,1

[표 2.2.5-66] 순간수위 변화시험 결과표=420,439,1

[표 2.2.5-67] 양수시험 개요=422,441,1

[표 2.2.5-68] 주양수시험 해석결과=425,444,1

[표 2.2.5-69] 보완양수시험 해석결과=425,444,1

[표 2.2.5-70] 주입추적자의 배경농도=428,447,1

[표 2.2.5-71] 단공 추적자 주입 양수시험 개요=429,448,1

[표 2.2.5-72] 추적자 시험 관측결과=430,449,1

[표 2.2.5-73] 고로폐광산 부근 지하수위 및 수준 측량 결과=433,452,1

[표 2.2.5-74] 현장수질분석 결과=437,456,1

[표 2.2.5-75] 고로폐광산 광미 지하수 수질 분석(중금속)=437,456,1

[표 2.2.5-76] 광미 지하수 수질분석(주양이온,음이온 및 COD)=438,457,1

[표 2.2.5-77] 모의에 사용된 수리상수(화북댐 유역 전체 모의)=447,466,1

[표 2.2.5-78] 댐 담수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458,477,1

[표 2.2.5-79] 댐담수시 아연 및 비소의 이동 모의 결과=460,479,1

[표 2.2.5-80] 모의에 입력된 수리상수(고로폐광산 인근 상세 모의)=462,481,1

[표 2.2.5-81] 최근 10년간 월평균 강수량(의성 관측소)=463,482,1

[표 2.2.5-82] 모형에 입력된 함양률=466,485,1

[표 2.2.5-83] 시간에 따른 오염농도 변화(종분산도 0.02m)=472,491,1

[표 2.2.5-84] 시간에 따른 오염농도 변화(종분산도 1m)=472,491,1

[표 2.2.5-85] 상부토양의 pH를 6.5로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석회량=476,495,1

[표 2.2.5-86] 식생에 적합한 pH 및 식물종=476,495,1

[표 2.2.5-87] 하천퇴적토 아연(Zn) 농도 결과=483,502,1

[표 2.2.6-1] 각 쓰레기 매립장 굴착에 따른 매립쓰레기 현황조사=493,512,1

[표 2.2.6-2] 매립지의 매립면적 및 매립량=497,516,1

[표 2.2.6-3] 매립지 각 지점별 쓰레기의 물리적 성상 조사결과=498,517,1

[표 2.2.6-4] 매립지 심도별 시료 삼성분 분석결과=499,518,1

[표 2.2.6-5] 매립지 침출수 분석결과=500,519,1

[표 2.2.6-6] 폐기물의 굴착범위 및 굴착량=502,521,1

[표 2.2.6-7] 사업지역 인근의 위탁처리업체 현황=503,522,1

[표 2.2.6-8] 건축물의 용도 및 구조별 해체건설 부산물의 배출량 원단위=505,524,1

[표 2.2.6-9] 건축폐자재 발생원단위=506,525,1

[표 2.2.6-10] 건축폐기물 발생량(화북리)=506,525,1

[표 2.2.6-11] 건축폐기물 발생량(학성리)=506,525,1

[표 2.2.6-12] 건축폐기물 발생량(장곡리)=507,526,1

[표 2.2.6-13] 건축폐기물 발생량(인곡리)=507,526,1

[표 2.2.6-14] 건축폐기물 발생량(괴산리)=507,526,1

[표 2.2.6-15] 건축폐기물 발생량(총괄)=508,527,1

[표 2.2.6-16] 철거대상 교량의 폐기물 발생량=508,527,1

[표 2.2.6-17] 용수로 현황=509,528,1

[표 2.2.6-18] 고로면과 수몰지의 농수로 개거길이=509,528,1

[표 2.2.6-19] 수몰지 농수로 철거에 따른 폐기물량=509,528,1

[표 2.2.6-20] 공사시 행과정에서의 폐기물 발생량=510,529,1

[표 2.2.6-21] 건설폐기물 총발생량=510,529,1

[표 2.2.6-22] 건설폐재 재활용 목표율=511,530,1

[표 2.2.6-23] 공사시 건설폐재 재활용량=511,530,1

[표 2.2.6-24]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용도=513,532,1

[표 2.2.6-25] 위탁대상 건설폐기물량=514,533,1

[표 2.2.6-26]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 처리업체 현황=514,533,1

[표 2.2.6-27]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현황=515,534,1

[표 2.2.6-28] 사업지역 인근 건설폐기물 최종처리업체 현황=515,534,1

[표 2.2.6-29]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 제8조관련 별표4=516,535,1

[표 2.2.6-30] 건설폐기물 분리발주제도의 개요=516,535,1

[표 2.2.7-1] 화북댐 및 대체댐의 주요제원=520,539,1

[표 2.2.7-2] 경제성 분석결과=521,540,1

[표 3.2-1] Cd 용출 분배계수 산출 배치 실험 결과(Time vs. Kdf)=526,545,3

[표 3.2-2] Pb 용출 분배계수 산출 배치 실험 결과(Time vs. Kdf)=529,548,3

[표 3.2-3] XRF 분석 1(주원소 함량분석)=532,551,1

[표 3.2-4] XRF 분석 2(미량원소포함 분석)=533,552,1

[표 3.2-5] XRF 분석 3(미량원소포함 분석)(계속)=534,553,1

[표 3.2-6] XRF 분석 4(미량원소포함 분석)(계속)=535,554,1

[표 3.2-7] XRD 분석 2=537,556,1

[표 3.2-8] XRD 분석 3=538,557,1

[표 3.2-9] SEM 분석 1=540,559,1

[표 3.2-10] SEM 분석 1(계속)=541,560,1

[표 3.2-11] SEM 분석 2(큰입자)=543,562,1

[표 3.2-12] SEM 분석 2(계속)=544,563,1

[표 3.2-13] 납세척실험결과=546,565,4

[표 3.2-14] 카드뮴세척실험결과=550,569,5

(그림 2.2.1-1) 진입 및 공사용도로구간 평사투영 해석결과=34,53,1

(그림 2.2.1-2) 진입 및 공사용도로 #1 STA 0+040~0+260 구간 평면도 및 횡단면도=35,54,1

(그림 2.2.1-3) 사업지구 광역지질도=39,58,1

(그림 2.2.1-4) Basic Geotechnical Description(댐 우안)=42,61,1

(그림 2.2.1-5) Basic Geotechnical Description(댐 좌안)=43,62,1

(그림 2.2.1-6) 석산개발지점 불연속면 및 노두 조사결과=49,68,1

(그림 2.2.1-7) 석산개발계획 평면도=52,71,1

(그림 2.2.1-8) 도로연접부 녹화계획도=52,71,1

(그림 2.2.1-9) 도로연접부 사면녹화 계획도=52,71,1

(그림 2.2.1-10) 표토 적치모식도=53,72,1

(그림 2.2.2-1) 화북댐 건설예정지의 수몰예정지역 식생조사위치도=59,78,1

(사진 2.2.2-1) 매립지 현장조사 관련 사진-1=62,81,1

(사진 2.2.2-2) 매립지 현장조사 관련 사진-2=62,81,1

(사진 2.2.2-1) 조사지 1의 전경(1)=62,81,1

(사진 2.2.2-2) 조사지 2의 전경(2)=62,81,1

(사진 2.2.2-3) 조사지 2의 전경(1)=64,83,1

(사진 2.2.2-4) 조사지 2의 전경(2)=64,83,1

(사진 2.2.2-5) 조사지 2의 전경(3)=64,83,1

(사진 2.2.2-6) 조사지 3의 전경(1)=65,84,1

(사진 2.2.2-7) 조사지 3의 전경(2)=65,84,1

(사진 2.2.2-8) 조사지 4의 전경(1)=66,85,1

(사진 2.2.2-9) 조사지 4의 전경(2)=66,85,1

(사진 2.2.2-10) 조사지 4의 전경(3)=66,85,1

(사진 2.2.2-11) 조사지 5의 전경(1)=67,86,1

(사진 2.2.2-12) 조사지 5의 전경(2)=67,86,1

(사진 2.2.2-13) 조사지 5의 전경(3)=67,86,1

(사진 2.2.2-14) 조사지 5의 전경(4)=67,86,1

(사진 2.2.2-15) 조사지 6의 전경=68,87,1

(사진 2.2.2-16) 망개나무의 잎,수피,수형 사진=72,91,1

(그림 2.2.2-2) 조사구의 위치도=73,92,1

(사진 2.2.2-17) 남쪽사면에 위치한 망개나무림=74,93,1

(사진 2.2.2-18) 전석지에 분포하는 망개나무림=74,93,1

(사진 2.2.2-19) 전석지에 분포하는 망개나무림=74,93,1

(사진 2.2.2-20) 망개나무림 분포지역=74,93,1

(사진 2.2.2-21) 망개나무림 분포지역=74,93,1

(사진 2.2.2-22) 맹아로 갱신된 망개나무=74,93,1

(그림 2.2.2-3) 망개나무의 직경급분포도=89,108,1

(그림 2.2.2-4) 망개나무의 수고급 분포도=89,108,1

(그림 2.2.2-5) 망개나무의 연령별 분포도=89,108,1

(그림 2.2.2-6) 망개나무의 맹아로부터 발생한 분지수=89,108,1

(그림 2.2.2-7) 망개나무림의 개체군동태를 위한 조사지 위치=92,111,1

(그림 2.2.2-8) 조사지1에 대한 수관투영도(좌상)와 임분단면도(좌하) 그리고 각 개체목에 대한 정보(우)=95,114,1

(그림 2.2.2-9) 조사지 1에 생육하고 있는 주요 개체목의 생장곡선=96,115,1

(그림 2.2.2-10) 조사지 1의 상층을 점유하고 있는 망개나무 개체들의 생장에 대한 회귀식=96,115,1

(그림 2.2.2-11) 조사지 1의 주요 수종에 대한 직경분포도=97,116,1

(그림 2.2.2-12) 조사지 2에 대한 수관투영도(좌상)와 임분단면도(좌하) 그리고 각 개체목에 대한 정보(우)=99,118,1

(그림 2.2.2-13) 조사지 2에 생육하고 있는 주요 개체목의 생장곡선=100,119,1

(그림 2.2.2-14) 조사지 2의 상층을 점유하고 있는 망개나무 개체들의 생장에 대한 회귀식=100,119,1

(그림 2.2.2-15) 조사지2의 주요 수종에 대한 직경분포도=101,120,1

(그림 2.2.2-16) 조사지3에 대한 수관투영도(좌상)와 임분단면도(좌하) 그리고 각 개체목에 대한 정보(우)=104,123,1

(그림 2.2.2-17) 조사지3에 생육하고 있는 주요 개체목의 생장곡선=105,124,1

(그림 2.2.2-18) 조사지3의 상층을 점유하고 있는 망개나무 개체들의 생장에 대한 회귀식=105,124,1

(그림 2.2.2-19) 조사지3의 주요 수종에 대한 직경분포도=106,125,1

(그림 2.2.2-20) 육상동물상 분포도=113,132,1

(그림 2.2.2-21) 육수동물상 분포도=115,134,1

(그림 2.2.2-22) 조사지점 전경=119,138,1

(그림 2.2.2-23) 조사정점별 대형저서성무척추동물 종 조성=125,144,1

(그림 2.2.2-24) 조사정점별 풍부도(R1) 및 다양도지수(H')=127,146,1

(그림 2.2.2-25) 조사정점별 균등도(E) 및 우점도지수(DI)=129,148,1

(그림 2.2.2-26) 다단식 롤러게이트(Multi-blade roller gate) 방류설비=133,152,1

(그림 2.2.2-27) 어류조사 지점도=135,154,1

(그림 2.2.2-28)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의 개체수 구성비=137,156,1

(사진 2.2.2-23) 갈겨니(우점종)=139,158,1

(사진 2.2.2-24) 정수역에서 사리지게 되는 어종(상단 좌측:돌마자,상단 우측:쉬리,하단 좌측:자가사리,하단 우측:수수미꾸리)=148,167,1

(사진 2.2.2-25) 상류역 산간계류(지점 4:학암리)=149,168,1

(사진 2.2.2-26) 상류역 산간계류(지점 5:석산리)=149,168,1

(사진 2.2.2-27) 댐건설 예정지(지점 1:화북리)=150,169,1

(그림 2.2.2-29) 댐건설에 따른 생태계 비가역적 영향범위=153,172,1

(그림 2.2.2-30) 댐배면 계획단면도=163,182,1

(그림 2.2.2-31) 여수로 계획단면도=163,182,1

(그림 2.2.2-32) 동물이동통로 설치지점=165,184,1

(그림 2.2.2-33) 조사지역 및 경로=167,186,1

(그림 2.2.2-34) 천연기념물 수달 서식흔적 관찰지역(●)=171,190,1

(사진 2.2.2-28) 인곡교 상류 돌무더기의 수달 서식지=173,192,1

(사진 2.2.2-29) 도로변 하천과 인접한 수달의 서식지=173,192,1

(사진 2.2.2-30) 수달의 먹이 채식장소로 이용되는 수중보=174,193,1

(사진 2.2.2-31) 수달 서식지인 뿌리공원 전경(대전광역시 소재)=175,194,1

(그림 2.2.2-35) 수달 대체서식지 조성지역 및 보호지역 설정지역=179,198,1

(그림 2.2.2-36) 수달 대체서식지 개념도=181,200,1

(그림 2.2.2-37) 흰목물떼새 서식지역 및 말똥가리 관찰지역=187,206,1

(사진 2.2.2-32) 수몰지역 하천 바닥의 자갈밭에 산란한 횐목물떼새의 알(2002년)=194,213,1

(사진 2.2.2-33) 하천바닥의 흰목물떼새 서식 가능지역 전경=194,213,1

(사진 2.2.2-34) 대전광역시의 하천변에서 포란 중인 흰목물떼새=196,215,1

(그림 2.2.2-38) 흰목물떼새 보호지역=197,216,1

(그림 2.2.2-39) 까치살모사의 서식범위=201,220,1

(그림 2.2.2-40) 사후환경영향조사 지점=205,224,1

(그림 2.2.2-41) 자유흐름습지(FWS:Free Water Suface Systems)=208,227,1

(그림 2.2.2-42) 화북댐 인공습지 계획평면도=209,228,1

(그림 2.2.2-43) 화북댐 인공습지 유입유출부 세부 단면도=210,229,1

(그림 2.2.4-1) 대청호의 보정 및 검증결과=233,252,1

(그림 2.2.4-2) 주암댐의 수질모의 결과=234,253,1

(그림 2.2.4-3) 운문댐,가창댐,영천댐의 BOD,COD 변화=236,255,1

(사진 2.2.4-1) 화북댐 유역의 허가대상 축사시설 및 퇴비화 시설 전경=240,259,1

(그림 2.2.5-1) 재료원지점의 토양오염도=245,264,1

(그림 2.2.5-2) 농경지 토양(비소 농도 41.07mg/kg)에서 pH와 용출분배계수 관계(용출시간:3일)=248,267,1

(그림 2.2.5-3) 하천퇴적토(비소 농도 24.29mg/kg)에서 용출시간과 용출분배계수 관계(용출액 pH 7)=248,267,1

(그림 2.2.5-4) 저수지 바닥 용출율 산정 칼럼 실험 사진=255,274,1

(그림 2.2.5-5) 퇴적물층의 영향을 고려한 저수지의 독성물질의 물질수지 개념도=256,275,1

(그림 2.2.5-6) 퇴적물층의 영향을 고려한 저수지의 고형물질의 물질수지 개념도=258,277,1

(그림 2.2.5-7) Potential reaction products in WASP5-TOXI5=267,286,1

(그림 2.2.5-8) 화북댐의 형상 및 TOXI5 적용을 위한 소구간 구분=270,289,1

(그림 2.2.5-9) 호내 흐름분포 구성=274,293,1

(그림 2.2.5-10) 호수내의 비소(As) 농도 변화 모의 결과(조건 1)=277,296,1

(그림 2.2.5-11) 장래 호수내의 비소(As) 농도 변화 모의결과(조건 2,3,4)=279,298,1

(그림 2.2.5-12) 장래 호수내의 비소(As) 농도 변화 모의결과(조건 5,6,7)=280,299,1

(그림 2.2.5-13) 우수배제 유역도=286,305,1

(그림 2.2.5-14) 우수배제시설 평면도=287,306,1

(그림 2.2.5-15) 광미장 복원 전후 침출수 수질비교=288,307,1

(그림 2.2.5-16) 복토구간 중 잔디가 훼손된 부분=292,311,1

(그림 2.2.5-17) 옹벽 단면도=293,312,1

(그림 2.2.5-18) 오염방지시설 평면도=293,312,1

(그림 2.2.5-19) 폐광석이 야적된 구간=294,313,1

(그림 2.2.5-20) 고로폐광산 상하류 수질변화 (2002년 7월 10일)=301,320,1

(그림 2.2.5-21) 갱입구 하부 200m 동일지점 수질 비교=301,320,1

(그림 2.2.5-22) 2002년 7월~8월 강우량 추이=302,321,1

(그림 2.2.5-23) 옹벽하부 침출수에 대한 동일지점 수질 비교=302,321,1

(그림 2.2.5-24) 2003년 1월~2월 강우량 추이=302,321,1

(그림 2.2.5-25) 절리밀도 분포도=304,323,1

(그림 2.2.5-26) 고로폐광산 수질분석결과=305,324,1

(그림 2.2.5-27) 석회석을 이용한 갱내수 처리 실내실험 결과=306,325,1

(근림 2.2.5-28) 고로폐광산 갱입구 현황=306,325,1

(그림 2.2.5-29) 실내실험에 의한 pH 변화 및 중금속 제거효율=309,328,1

(그림 2.2.5-30) 옹벽 직하부 광미장 침출수 채수=309,328,1

(그림 2.2.5-31) 석회석 및 인회석 정화효율 실내실험 장치=310,329,1

(그림 2.2.5-32) 유속에 따른 pH의 변화=310,329,1

(그림 2.2.5-33) 유속에 따른 비소 제거량의 변화=311,330,1

(그림 2.2.5-34) 유속에 따른 비소제거율의 변화=311,330,1

(그림 2.2.5-35) 유속에 따른 석회석 및 인회석의 용해율 변화=311,330,1

(그림 2.2.5-36) 침전물의 전자현미경 사진 (500배 및 5000천배 확대)=313,332,1

(그림 2.2.5-37) SEM분석에 의한 침전물 입도별 성분변화=314,333,1

(그림 2.2.5-38) XRF분석에 의한 인회석/침전물 성분변화=314,333,1

(그림 2.2.5-39) 폐광산 갱내수 및 광미장 침출수 찻집계획=317,336,1

(그림 2.2.5-40) 인회석 배수로 평면도 및 단면도=318,337,1

(그림 2.2.5-41) 고로 폐광산 폐광석 야적장 평면도=321,340,1

(그림 2.2.5-42) 고로 폐광산 폐광석 야적장 단면도=323,342,1

(그림 2.2.5-43) 고로 폐광산 폐광석 부피산출 단면도=325,344,1

(그림 2.2.5-44) 화북댐 유역의 농경지 토양의 비소 오염도=331,350,1

(그림 2.2.5-45) 화북댐 유역의 하천 퇴적토의 비소 오염도=333,352,1

(그림 2.2.5-46) 우리나라 오염토양관리절차=335,354,1

(그림 2.2.5-47) 토양세척 효율 시험과정=338,357,1

(그림 2.2.5-48) 토앙세척장치 사진=348,367,1

(그림 2.2.5-49) 화북댐 평면도=353,372,1

(그림 2.2.5-50) 화북댐 단면도=355,374,1

(그림 2.2.5-51) 누수량 방지벽 평면도=357,376,1

(그림 2.2.5-52) 토양오염 정밀조사 지점도=363,382,1

(그림 2.2.5-53) 토양시료 채취장면=365,384,1

(그림 2.2.5-54) 토양 시료 전처리 과정=366,385,1

(그림 2.2.5-55) 농경지 표토의 시료채취지점별 비소농도=368,387,1

(그림 2.2.5-56) 하천퇴적토 표토의 시료채취지점별 비소농도=368,387,1

(그림 2.2.5-57) 조사지역 지하수 관정의 형태=395,414,1

(그림 2.2.5-58) 마을 공동관정의 형태=400,419,1

(그림 2.2.5-59) 석산리 마을의 지하수 이용 조사=402,421,1

(그림 2.2.5-60) 지하수 수위측정=403,422,1

(그럼 2.2.5-61) 지하수위 측정관정 위치도=405,424,1

(그림 2.2.5-62) 지하수 시료채취 위치도=407,426,1

(그림 2.2.5-63) 지하수 시료채취공정(베일러 이용)=408,427,1

(그림 2.2.5-64) Piper Diagram(ㅁ 하계,㉠ 대조군)=409,428,1

(그림 2.2.5-65) Stiff Diagram(청색:하계,노란색:대조군)=414,433,1

(그림 2.2.5-66) 관측정 설치 위치도=416,435,1

(그림 2.2.5-67) 관측정 설치 개념=417,436,1

(그림 2.2.5-68) 순간수위 변화시험 수행개념도=418,437,1

(그림 2.2.5-69) 순간수위변화시험 장비=419,438,1

(그림 2.2.5-70) OW-1 관측정에서의 순간수위 변화시험 해석=420,439,1

(그림 2.2.5-71) 양수시험 개념도=421,440,1

(그림 2.2.5-72) 양수시험 수행 장면=422,441,1

(그림 2.2.5-73) 양수시험 결과=423,442,1

(그림 2.2.5-74) 양수시험 결과 해석 (OW-2 관측정)=424,443,1

(그림 2.2.5-75) 추적자의 이동 (1)지속주입,(2)순간주입=426,445,1

(그림 2.2.5-76) 추적자 주입 용액 및 현장 측정장비(10-AU)=428,447,1

(그림 2.2.5-77) 추적자 농도이력 곡선(breakthrough curve)=429,448,1

(그림 2.2.5-78) 주입된 추적자의 이동거리=431,450,1

(그림 2.2.5-79) 종분산도 추정=432,451,1

(그림 2.2.5-80) 조사지역 지하수 분포도=434,453,1

(그림 2.2.5-81) 하천 주변에서의 등수위선(equipotential line)의 형성=435,454,1

(그림 2.2.5-82) 손실하천 및 이득하천의 개념도(Fetter,2001)=435,454,1

(그림 2.2.5-83) Piper Diagram(ㅁ 하계,0 대조군,D 폐광산)=439,458,1

(그림 2.2.5-84) 고로폐광산 부근 관정 지하수질의 Stiff Diagram=440,459,1

(그림 2.2.5-85) 모의 영역 설정 및 격자망 구성=446,465,1

(그림 2.2.5-86) 모의영역내 수리전도도 설정=447,466,1

(그림 2.2.5-87) 모의 경계조건 설정=448,467,1

(그림 2.2.5-88) 지하수 관측정 설정 및 함양률 분포=448,467,1

(그림 2.2.5-89) 모형 보정 후 지하수위의 관측값과 모의 계산값의 비교=449,468,1

(그림 2.2.5-90) 정류상태 모의를 통한 지하수위 분포 및 지하수 흐름 방향=450,469,1

(그림 2.2.5-91) 등수위도 및 지하수 흐름 방향=450,469,1

(그림 2.2.5-92) 오염물질 주입 위치=451,470,1

(그림 2.2.5-93) 오염물질 이동 양상 모의결과=452,471,1

(그림 2.2.5-94) 입력조건을 변경하였을 경우 아연(Zn)의 이동 모의 결과=454,473,1

(그림 2.2.5-95) 입력조건을 변경하였을 경우 비소(As)의 이동 모의 결과=455,474,1

(그림 2.2.5-96) 관측정 OW-7과 유사골에서 시간에 따라 계산된 아연(Zn) 농도 변화=456,475,1

(그림 2.2.5-97) 화북댐 담수시 경계조건 설정=456,475,1

(그림 2.2.5-98) 화북댐 담수후 지하수위 분포 및 흐름 방향=457,476,1

(그림 2.2.5-99) 댐 담수시 아연(Zn) 및 비소(As)의 이동 모의결과=459,478,1

(그림 2.2.5-100) 모의 영역 설정 및 격자망 구성=461,480,1

(그림 2.2.5-101) 경계조건 설정=462,481,1

(그림 2.2.5-102) 모의 영역내 관측정 설정 및 함양률 분포=463,482,1

(그림 2.2.5-103) 정류상태의 지하수위 분포 및 지하수 흐름 방향=464,483,1

(그림 2.2.5-104) 단면에서의 등수위선 및 지하수 흐름방향=465,484,1

(그림 2.2.5-105) 관측된 지하수위를 이용한 모형의 보정 결과=466,485,1

(그림 2.2.5-106) 계절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467,486,1

(그림 2.2.5-107) 부정류 모의를 통한 각 관측정에서의 지하수위 변동=468,487,1

(그림 2.2.5-108) 오염물질 주입 위치=469,488,1

(그림 2.2.5-109) 고로폐광산 부근에서의 아연의 이동 양상=470,489,1

(그림 2.2.5-110) 고로폐광산 부근에서의 비소의 이동 양상=471,490,1

(그림 2.2.5-111) 고로폐광산 일대에서의 지하수 등수위선 및 흐름 방향(모델링 결과)=474,493,1

(그림 2.2.5-112) 고로폐광산 광미장 및 배수로 전경=475,494,1

(그림 2.2.5-113) 폐탄광에 식생한 모습(농업용 석회,퇴비,복합비료 살포,식물종은 Rye)=477,496,1

(그림 2.2.5-114) 폐탄광에 식생한 후 3년 후의 전경=477,496,1

(그림 2.2.6-1) 폐기물 매립지조사 위치도=492,511,1

(그림 2.2.6-2) 매립지 및 침출수 조사지점-1=494,513,1

(그림 2.2.6-3) 매립지 및 침출수 조사지점-2=495,514,1

(사진 2.2.6-1) 매립지 현장조사 관련 사진-1=496,515,1

(사진 2.2.6-2) 매립지 현장조사 관련 사진-2=497,516,1

(그림 2.2.6-4) 매립지 굴착범위=501,520,1

(그림 2.2.6-5) 콘크리트덩이 중간처리 방법=512,531,1

(그림 2.2.6-6)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제조 및 공급시스템=512,531,1

(그림 3.2-1) XRD 분석 1=536,555,1

(그림 3.2-2) XRD 분석 4=539,558,1

(그림 3.2-3) SEM 분석 1(계속)=542,561,1

(그림 3.2-4) SEM 분석 2(계속)=545,564,1

(그림 3.2-5)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 색인도=555,574,1

(그림 3.2-6)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557,576,1

(그림 3.2-7)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2)=558,577,1

(그림 3.2-8)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3)=559,578,1

(그림 3.2-9)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4)=560,579,1

(그림 3.2-10)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5)=561,580,1

(그림 3.2-11)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6)=562,581,1

(그림 3.2-12)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7)=563,582,1

(그림 3.2-13)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8)=564,583,1

(그림 3.2-14)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9)=565,584,1

(그림 3.2-15)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0)=566,585,1

(그림 3.2-16)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1)=567,586,1

(그림 3.2-17)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2)=568,587,1

(그림 3.2-18)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3)=569,588,1

(그림 3.2-19)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4)=570,589,1

(그림 3.2-20)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5)=571,590,1

(그림 3.2-21)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6)=572,591,1

(그림 3.2-22) 토양오염정밀조사지점도(17)=573,592,1

(그림 2.2.1-3) 사업지구 광역지질도=39,58,1

(사진 2.2.2-16) 망개나무의 잎,수피,수형 사진=72,91,1

(그림 2.2.2-20) 육상동물상 분포도=113,132,1

(그림 2.2.2-22) 조사지점 전경=119,138,1

(그림 2.2.2-29) 댐건설에 따른 생태계 비가역적 영향범위=153,172,1

(그림 2.2.2-33) 조사지역 및 경로=167,186,1

(그림 2.2.2-40) 사후환경영향조사 지점=205,224,1

(그림 2.2.5-1) 재료원지점의 토양오염도=245,264,1

(그림 2.2.5-52) 토양오염 정밀조사 지점도=363,382,1

(그림 2.2.5-64) Piper Diagram(ㅁ 하계,㉠ 대조군)=409,428,1

(그림 2.2.5-65) Stiff Diagram(청색:하계,노란색:대조군)=414,433,1

(그림 2.2.5-99) 댐 담수시 아연(Zn) 및 비소(As)의 이동 모의결과=459,478,1

(그림 2.2.5-109) 고로폐광산 부근에서의 아연의 이동 양상=470,489,1

(그림 2.2.5-110) 고로폐광산 부근에서의 비소의 이동 양상=471,490,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32529 627.8 ㅎ155ㅎ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32530 627.8 ㅎ155ㅎ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