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2003 / 해양수산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해양수산부, 2003
청구기호
333.917 ㅎ174ㄱ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7책 : 삽도,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417291
주기사항
책등표제: 제주도 문섬 주변해역 해안생태계 보전 방안 연구
v.2는 요약보고서, v.3-v.7은 부록임
주관연구기관명: 한국해양연구원
협동연구기관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외
주관연구책임자: 제종길
내용: v.3, 갯벌가치의 상대적 비교 및 우리 갯벌의 가치조사 - v.4, 신두리 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 관리계획. - v.5, 제주도 문섬 등 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에 대한 관리계획. - v.6, 진도갯벌 습지보호구역 관리계획. - v.7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갯벌의 일반조사 : 갯벌 목록(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i,4,18

SUMMARY=xix,22,18

목차=xxxvi,40,12

그림목차=xix,52,16

표목차=Ixv,68,10

부록목차=Ixxv,78,1

제1장 서론=1,79,10

제2장 갯벌 퇴적환경=11,89,2

제1절 강화도와 옹진 퇴적환경=13,91,1

1. 서론=13,91,2

2. 현장 조사 및 분석방법=15,93,1

가. 시료채취=15,93,3

나. 분석방법=17,95,5

3. 조사 결과=21,99,1

가. 지역개관=21,99,2

나. 퇴적물 유형분포=22,100,8

다. 유공층 분석=30,108,16

라. 갯벌의 성장과 유지 관측=46,124,12

마. 주상시료의 특성=57,135,10

바. 부유퇴적물의 유ㆍ출입=66,144,16

4. 토의 및 결론=82,160,5

제2절 탄도만 갯벌의 퇴적환경=87,165,1

1. 서론=87,165,3

2.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90,168,1

가. 시료채취=90,168,3

나. 분석방법=92,170,10

3. 조사 결과=101,179,1

가. 지역 개관=101,179,5

나. 표층퇴적물=106,184,15

다. 갯벌의 지형 및 측선퇴적상 변화=121,199,15

라. 퇴적상 분석=136,214,3

마. 부유퇴적물의 유ㆍ출입=139,217,9

4. 토의 및 결론=148,226,27

제3장 갯벌의 생태계 조사=175,253,2

제1절 강화도와 옹진장봉 갯벌의 생태계=177,255,1

1. 갯벌의 돌말류 및 엽록소-a 분포=177,255,1

가. 서론=177,255,1

나.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177,255,2

다. 결과 및 고찰=178,256,8

2. 중형저서동물의 서식양상=186,264,1

가. 서론=186,264,1

나.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186,264,2

다. 결론 및 고찰=187,265,19

3. 강화도 남단과 옹진 북도면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206,284,1

가. 격자형 갯벌 조사=206,284,32

나. 갯벌 조사선 조사=238,316,55

4. 옹진 장봉도 주변 해역 어류상 조사=293,371,1

가. 재료 및 방법=293,371,1

나. 조사 결과=294,372,5

5. 강화도 남단 및 옹진 장봉도 주변 갯벌의 종 풍부도=299,377,2

제2절 탄도만 갯벌의 생태계=301,379,1

1. 갯벌의 돌말류 및 엽록소-a 분포=301,379,1

가. 서론=301,379,2

나. 재료 및 방법=302,380,1

다. 결과 및 고찰=303,381,12

라. 결론=315,393,1

2. 탄도만 갯벌 저서동물군집=316,394,1

가. 서론=316,394,2

나.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317,395,4

다. 조사결과 및 고찰=320,398,13

라. 결론=333,411,30

제4장 갯벌의 오염현황조사=363,441,2

제1절 경인지역 갯벌의 오염현황 조사=365,443,1

1. 조사개요=365,443,2

2. 조사정점 및 분석방법=366,444,1

가. 수질조사=366,444,7

나. 퇴적물조사=372,450,3

3. 결과 및 고찰=374,452,1

가. 수질조사결과=374,452,11

나. 퇴적물 조사 결과=384,462,9

제2절 탄도만 갯벌의 오염현황 조사=393,471,1

1. 조사개요=393,471,1

2.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394,472,1

가. 재료 및 방법=394,472,5

3. 수질조사 결과=399,477,8

4. 퇴적물 조사결과=407,485,1

가. 탄도만 표층 퇴적물내 유기물 함량=407,485,2

나. 유기물의 수직분포=409,487,2

다. 중금속원소의 수평분포=410,488,4

라. 주상퇴적물의 중금속원소의 수직분포=414,492,4

마. 산소소모율 및 유기탄소 산화율 추정=417,495,6

제5장 갯벌의 어업방법 조사=423,501,2

제1절 조사개요=425,503,1

제2절 조사방법=426,504,1

제3절 조사결과=426,504,2

1. 맨손어업=427,505,2

가. 호미=429,507,1

나. 갈퀴=429,507,1

다. 조세=429,507,1

라. 삽=429,507,2

마. 쇠스랑=430,508,1

바. 맛써개=431,509,1

2. 돌살=431,509,2

3. 낚시=433,511,1

4. 정치성어구=433,511,1

가. 건간망=433,511,2

나. 주목망=434,512,2

다. 해선망=435,513,2

라. 각망=437,515,1

마. 쭈꾸미 소호=438,516,2

바. 통발=439,517,2

사. 자망=440,518,4

아. 양식업=444,522,3

제6장 갯벌 주변지역의 사회.경제적 이용현황 조사=447,525,2

제1절 서론=449,527,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449,527,1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449,527,3

제2절 갯벌주변지역의 인문적 특성 및 변화추세=451,529,1

1. 행정구역 현황 및 변화=451,529,4

2. 인구현황 및 변화추세=454,532,6

3. 고용 및 지역경제 현황=460,538,1

가. 고용 현황=460,538,4

나. 지역경제 현황=463,541,3

제3절 갯벌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 및 개발계획=466,544,1

1. 갯벌 및 주변지역에 설정된 광업권 및 골재채취권 현황=466,544,7

2.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및 변화=472,550,1

가.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및 변화=472,550,8

3. 용도지역 지정현황=480,558,1

가. 국토이용계획 고시현황=480,558,3

나. 도시계획 고시현황=482,560,3

4. 산업단지 현황=484,562,1

가. 임해산업단지 현황=484,562,3

5. 관광자원 및 개발계획 현황=487,565,1

가. 관광지 지정 현황=487,565,1

나. 관광개발계획 현황=487,565,7

6. 간척매립현황 및 계획=494,572,1

가. 고시 및 시행현황=494,572,3

나. 계획 현황=496,574,3

7. 수산자원 및 어촌계 현황=498,576,1

가. 수산자원 현황=498,576,3

나. 어업권 현황=501,579,3

다. 어촌계 현황=504,582,7

제4절 갯벌 주민의식 조사=511,589,1

1. 조사배경 및 목적=511,589,1

2. 조사 범위 및 방법=511,589,1

3.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512,590,1

가. 어업인의 사회ㆍ경제적 특성=512,590,2

나. 일반주민의 사회ㆍ경제적 특성=513,591,2

4. 어업인의 갯벌에 관한 의식 분석=515,593,1

가. 갯벌 노동 및 소득 특성 분석=515,593,5

나. 갯벌환경에 대한 인식=519,597,5

5. 일반주민의 갯벌 의식 조사=524,602,1

가. 갯벌방문 정도 및 목적=524,602,2

나. 갯벌 방문 동반자 수 및 유형=525,603,2

다. 일반주민의 갯벌환경 의식 정도=526,604,4

라. 일반주민의 갯벌계획 수립 주체구조 및 참여 정도=530,608,1

6. 소결=531,609,2

제5절 갯벌 관리 기본방안=533,611,1

1. 연구의 목적=533,611,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534,612,1

가. 연구의 범위=534,612,3

나. 연구의 방법=536,614,2

3. 유형 분류=538,616,1

가. PSR 구조에 의한 지표평가 결과=538,616,10

나. 유형 분류=548,626,3

다. PSR 평가결과에 따른 관리기본방안=551,629,8

제7장 자연 생태계 조사=559,637,2

제1절 대이작도 자연생태계 조사=561,639,1

1. 서론=561,639,2

2. 대이작도 해역 퇴적환경=562,640,1

가. 현장조사 및 분석방법=562,640,2

나. 조사 결과=563,641,9

다. 토의 및 결론=571,649,2

3. 대이작도 주변해역 해저면 음향영상=572,650,1

가. 조사개요=572,650,1

나. 현장조사=573,651,1

다. 자료처리=573,651,4

라. 결과 및 토의=576,654,4

마. 결론=579,657,4

4. 대이작도 주변 해역 생태계=583,661,1

가. 식물플랑크톤=583,661,9

나. 동물플랑크톤=592,670,9

다. 조하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601,679,10

라. 갯벌(연성 저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611,689,11

마. 바위해안(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621,699,11

바. 자원생물(어류중심)=632,710,11

5. 대이작도와 주변해역 이용현황=643,721,1

가. 일반현황=643,721,1

나. 관광현황=643,721,3

다. 어업과 수산물 생산=645,723,3

라. 그 밖의 이용현황=647,725,2

마. 해역관리와 개발계획 관련 법규=649,727,11

제2절 오륙도의 자연생태계=660,738,1

1. 오륙도의 개황=660,738,1

가. 오륙도의 구성=660,738,1

2. 지형형성 과정=661,739,2

3. 지질학적 양상=662,740,1

가. 개론=662,740,3

나. 표층퇴적물 분포=664,742,1

다. 현장조사=664,742,11

4. 물리적 양상=674,752,1

가. 조석 조류 개황=674,752,1

나. 조류 관측=674,752,4

다. 수온 및 염분의 분포=677,755,6

5. 사회현황=682,760,1

가. 어업현황=682,760,1

나. 위락(낚시)현황=682,760,2

6. 자연생태=683,761,1

가. 육상생태=683,761,4

나. 해양생태=687,765,30

7. 오륙도 보존 전략=716,794,31

제8장 전국 갯벌의 등급화 연구=747,825,2

제1절 서론=749,827,2

제2절 전국 갯벌면적 조사 및 수치지도 작성=751,829,1

1. 연구 개요=751,829,1

가. 연구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751,829,1

나.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751,829,1

다. 연구개발 결과=751,829,1

라.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751,829,1

2. 우리나라 갯벌의 특성 및 면적조사 현황=752,830,1

가. 우리나라 갯벌의 특성=752,830,1

나. 갯벌 현황조사의 문제점=752,830,1

다. 갯벌 면적조사의 필요성 및 의의=752,830,2

라. 우리나라 갯벌 면적조사 현황=753,831,4

3. 갯벌 면적산정 기준 및 지침 작성=757,835,1

가. 법률적 검토=757,835,3

나. 기술적 검토=759,837,3

다. 갯벌 면적산정 기준(안) 작성=761,839,1

라. 갯벌 면적산정 지침(안) 작성=762,840,1

4. 전국 갯벌 면적조사=763,841,1

가. 면적조사 절차 및 내용=763,841,4

나. 우리나라 갯벌의 분포 현황=767,845,8

다. 주요 갯벌의 대장 작성=774,852,4

5. 수치지도 작성=778,856,1

가. 갯벌 수치지도 작성=778,856,2

나. 갯벌 현황도 제작=779,857,1

6. 결론=780,858,1

제3절 염생 식물을 이용한 등급화=781,859,1

1. 조사개요=781,859,1

가. 연구목표=781,859,1

나. 연구범위=781,859,1

2. 연구방법=782,860,1

가. 문헌연구=782,860,1

나. 현장 조사=782,860,1

다. 갯벌 생태등급기준 확립=782,860,1

3. 연구 결과=782,860,1

가. 식물=782,860,23

제4절 갯지렁이류를 이용한 등급화=805,883,1

1. 서언=805,883,1

2. 재료 및 방법=805,883,1

가. 조사지역의 범위=805,883,1

나. 자연환경과 갯지렁이 조사=805,883,4

다. 조사기간=809,887,1

라. 현장조사=809,887,2

마. 생태등급의 평가기준=810,888,3

바. 생태등급화=812,890,1

3. 결과 및 토의=812,890,1

가. 서남해안 갯벌의 갯지렁이 종목록=812,890,9

나. 서남해안 지역별 갯지렁이 동물상 개관=821,899,2

다. 서남해안 갯벌의 생태등급=822,900,6

라. 서남해안 갯벌의 자연환경 및 갯지렁이 분포 특징=828,906,104

마. 특정해안생물종 중 갯지렁이 종목록=931,1009,2

제5절 중점조사지역 갯벌의 생태적 우수성(자연성)평가=933,1011,1

1. 평가 대상 갯벌=933,1011,1

가. 평가 대상 갯벌=933,1011,1

나. 평가대상 동물군은 조사자가 직접 동정한 것들임=933,1011,1

2. 평가 요소 추출=933,1011,1

가. 전체 종수=933,1011,1

나. 조사지점당 평균 출현 종수=933,1011,1

다. 조사지점당 평균 개체수=933,1011,1

라. 우점도=933,1011,1

마. 다양도=934,1012,1

3. 평가 결과의 점수화=935,1013,1

4. 결과=936,1014,1

제6절 바다조류를 이용한 등급화=937,1015,1

1. 서론=937,1015,3

2. 연구내용=939,1017,1

가. 바다조류의 정의와 구분=939,1017,7

나. 갯벌에 도래하는 조류 실태=945,1023,5

다. 조류에 의한 갯벌 등급화 설정=949,1027,14

라. 갯벌관리 기본방안 제안=963,1041,50

제9장 해양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1013,1091,2

제1절 해양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 개요=1015,1093,1

1. 개설 배경=1015,1093,2

2. 국외 현황=1016,1094,1

가. 미국의 해양환경교육=1016,1094,3

나. 유럽(영국)의 해양환경교육=1018,1096,2

다. 일본의 해양환경교육=1019,1097,1

라. 호주의 환경교육=1019,1097,2

마. 기타=1020,1098,1

3. 진행상황=1020,1098,2

4. 진행과정=1022,1100,1

가. 기획=1022,1100,1

나. 참가자 모집=1022,1100,2

다. 진행=1023,1101,1

제2절 해양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 진행과 평가=1024,1102,1

1. 훈련생=1024,1102,2

2. 교육 과목과 내용=1026,1104,13

3. 훈련과정 평가=1039,1117,4

제3절 수료생 활동현황=1042,1120,1

1. 지역별 활동 현황=1042,1120,1

가. 전라도 지역=1042,1120,1

나. 충청도 지역=1043,1121,1

다. 제주지역=1043,1121,1

라. 경기도 지역=1043,1121,1

마. 서울 및 기타 지역=1044,1122,1

2. 해양환경교육자 네트워크 구성=1044,1122,1

제4절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고찰=1045,1123,1

1. 해양환경교육 실천 전략(안)수립=1045,1123,1

가. 해양환경교육 전략(안)작성=1045,1123,28

제10장 갯벌 생태지도 작성(가로림만)=1073,1151,2

제1절 연구개요=1075,1153,1

제2절 생태지도 작성=1075,1153,1

1. 공간적 범위=1075,1153,1

2. GIS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1076,1154,2

3. 생태지도 제작=1077,1155,8

제3절 고찰=1084,1162,5

제11장 해양보호구역 심사단과 공청회=1089,1167,2

제1절 서론=1091,1169,1

제2절 해양보호구역 심사단 운영=1092,1170,1

1. 심사위원 구성=1092,1170,1

2. 심사단 회의 내용=1093,1171,1

가. 제1차 심사단 회의=1093,1171,1

나. 제2차 심사단 회의=1093,1171,3

3. 해양보호구역 지정 기준=1095,1173,8

제3절 해양보호지역 지역설명회 및 공청회=1103,1181,2

제12장 가로림만ㆍ강화도ㆍ여자만 갯벌의 갯지렁이류 및 갑각류 목록=1105,1183,2

1. 조사개요=1107,1185,1

2. 재료 및 방법=1107,1185,2

3. 결과=1109,1187,22

그림 1.1. 경기만의 개황도:인천광역시ㆍ경기도 해안 대부분 경기만에 포함된다. 지도에는 경기만의 서쪽이면서 황해 남단에 위치한 백령도,대청군도와 연평열도가 빠져있다.=6,84,1

그림 2.1. 강화 남단 갯벌 및 주변 해저부의 표층퇴적물,주상시료,유공충,측선 및 부유물질 이동 관측 정점도=16,94,1

그림 2.2. 강화 남단 갯벌 및 주변 해저부의 표층퇴적물 퇴적상 (2003년 8월)=24,102,1

그림 2.3.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퇴적물의 모래 함량(%)=29,107,1

그림 2.4.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퇴적물의 평균 입도 분포=31,109,1

그림 2.5.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퇴적물의 분급도 분포=32,110,1

그림 2.6.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퇴적물의 왜도 분포=33,111,1

그림 2.7.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퇴적물의 첨도 분포=34,112,1

그림 2.8. 유공충 군집 자료의 집괴 분석 결과 Dendrogram(A:정점,B:생물상)=43,121,1

그림 2.9. 집괴 분석에 의하여 분리된 4개의 생물상 위치=44,122,1

그림 2.10. 강화 남단 갯벌과 장봉도 측선 지형 단면도=47,125,1

그림 2.11. 강화 갯벌 측선 퇴적물의 집적률 변화 (2003년 6월-10월)=49,127,1

그림 2.12. 주상 퇴적물 시료의 입도 조성,평균 입도와 분급,함수율 변화=59,137,1

그림 2.13. 주상 퇴적물 시료의 X-선 사진들. 사진 오른쪽의 영문자는 퇴적상 기호를 표시함=63,141,1

그림 2.14. 염하수로의 1 조석 주기 조위 및 유속,유향=70,148,1

그림 2.15. 염하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수온(A),염분(B) 및 부유퇴적물 농도(C)=71,149,1

그림 2.16. 동검도 남부 수로의 1 조석 주기 조위 및 유속,유향=74,152,1

그림 2.17. 동검도 남부 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수온(A),염분(B) 및 부유퇴적물 농도(C)=76,154,1

그림 2.18. 염하수로에서의 1 조석 주기 동안 잔여유속과 순 부유퇴적물의 유출입양 분포=78,156,1

그림 2.19. 동검도 남부 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잔여유속과 순 부유퇴적물의 유출입양 분포=79,157,1

그림 2.20. 염하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80,158,1

그림 2.21. 동검도 남부 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81,159,1

그림 2.22. 1997년에서 2003년까지 강화 남단 갯벌의 여름철 표층 퇴적물 퇴적상 변화=83,161,1

그림 2.23.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의 현세 해수면변화 추정곡선=89,167,1

그림 2.24. 해수면 상승에 따르는 갯벌 퇴적층 형성모델.(a)는 북해 및 펀디만 갯벌의 모델로 퇴적물의 공급량이 많은 경우며,(b)는 곰소만 중부갯벌의 퇴적모델로 퇴적물 공급량이 적으므로 해수면이 상승함에 따르는 수용공간을 채우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높은 파랑에너지=89,167,1

그림 2.25. 탄도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 획득위치,측선위치,정선관측위치(Tokyo 좌표계)=95,173,1

그림 2.26. 탄도만 측선,표층퇴적물,주상시료,수준측량 지점(Tokyo 좌표계)=97,175,1

그림 2.27. 탄도만 조간대 주변의 지형=103,181,1

그림 2.28. 탄도만 조간대 주변의 지질=104,182,1

그림 2.29. 목포지역(2002년) 조석 상태=105,183,1

그림 2.30.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퇴적상 분류=108,186,1

그림 2.31.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퇴적상 분포=113,191,1

그림 2.32.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114,192,1

그림 2.33.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역과 모래의 함량(%)=115,193,1

그림 2.34.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분급도=116,194,1

그림 2.35.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왜도=117,195,1

그림 2.36. 탄도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120,198,1

그림 2.37. 측선 MO(망운) 지형변화=122,200,1

그림 2.38. 측선 GI(가입) 지형변화=122,200,1

그림 2.39. 측선 CM(창매) 지형변화=123,201,1

그림 2.40. 측선 nCM(창매) 지형변화=123,201,1

그림 2.41. 측선 MO(망운) 퇴적물 구성 변화=126,204,1

그림 2.42. 측선 MO(망운) 퇴적물 특성=127,205,1

그림 2.43. 측선 GI(가입) 표층퇴적물 구성=130,208,1

그림 2.44. 측선 GI(가입) 표층퇴적물 입도특성=131,209,1

그림 2.45. 측선 CM,nCM (창매) 표층퇴적물 입도구성=134,212,1

그림 2.46. 측선 CM,nCM (창매) 표층퇴적물 입도특성=135,213,1

그림 2.47. 목포항 조사 당일 조차=140,218,1

그림 2.48a. 탄도만 남서쪽수로(TD-M_1)와 서쪽수로(TD-M_2)에서 1 조석주기동안 수심에 따른 잔여 유속량 분포와 부유퇴적물 총 이동량=144,222,1

그림 2.48b. 탄도만 남서쪽로(TD-M_1)와 서쪽수로(TD-M_2)에서 1 조석주기동안 부유퇴적물의 이동율(음의 값은 유출,양의 값은 유입을 나타냄)=145,223,1

그림 2.48c. 탄도만 남서쪽로(TD-M_1)와 서쪽수로(TD-M_2)에서 1 조석주기동안의 시간과 깊이에 따른 유속ㆍ유향 변화=146,224,1

그림 2.48d. 탄도만 남서쪽로(TD-M_1)와 서쪽수로(TD-M_2)에서 1 조석주기동안의 시간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이동방향과 양(TSM)=147,225,1

그림 2.49. 표층퇴적물 시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자갈들의 모습. 대부분 각진 자갈들임을 알 수 있다=150,228,1

그림 2.50. A-E,창매리 연안에서 해안침식이 심하게 발생하는 모습으로서 침식된 토사와 자갈들이 인근 갯벌에 유입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F,창매리 해안에서 발견되는 굴껍질을 무질서하게 포함하는 퇴적층으로 상부의 토양층 하부에 분포한다. 이층은 과거 해=151,229,1

그림 2.51. A,갯벌 위에 대나무 뿌리 흔적;B,해안절벽에 뜯어져 나온 자갈과 토층 덩어리;C,갯벌 조수로 위의 조립질 자갈;D,조수해빈과 자갈;E,깊은 펄질 갯벌;F,펄질 갯벌위의 조류의 번성;G,H패각덩어리와 펄질갯벌,사이사이가 매우 깊은 펄로 구성=152,230,1

그림 2.52. 창매리 해안에 퇴적되어 있는 깊은 펄 갯벌. 거의 기어다녀야 할 정도임=153,231,1

그림 2.53. 망운 연안의 갯벌. 붉은 색은 토사가 갯벌 위에 분포(A,F),갯벌 퇴적물의 입자가 매우 조립(A-F). 얕은 언덕형태의 조립질 갯벌(D,E)=153,231,1

그림 2.54. 망운해안의 대규모 사구 퇴적층(A,C)과 조수해빈과 얕은 사구(B)와 해안이 심하게 침식되는모습(C,D)=154,232,1

그림 2.55. 탄도만의 100년간의 변화모습=155,233,1

부록 2.1. 탄도만에서 캔코아와 H/H코아로 획득한 주상시료의 필과 연X선 사진=164,242,10

그림 3.1. 강화도 남단 갯벌의 조사정점도=179,257,1

그림 3.2. 강화도 남단 갯벌 퇴적물의 엽록소-a 농도 분포=181,259,1

그림 3.3. 강화도 남단 갯벌 퇴적물의 돌말류 출현 종 수=182,260,1

그림 3.4. 강화도 남단 갯벌 퇴적물의 돌말류 개체수 분포=184,262,1

그림 3.5. 강화도 남단 갯벌의 중형저서동물 조사 정점도=188,266,1

그림 3.6. 각 조사정점별 출현한 주요 중형저서생물 그룹 조성비=190,268,1

그림 3.7. 강화도 남단 갯벌의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분포=201,279,1

그림 3.8.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의 정점별 비교=202,280,1

그림 3.9.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출현한 선충류 서식밀도의 정점별 비교=203,281,1

그림 3.10.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출현한 저서성 요각류 서식밀도의 정점별 비교=204,282,1

그림 3.11. 대형저서동물 조사 정점도 (135개 정점)=207,285,1

그림 3.12.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의 공간적 분포=209,287,1

그림 3.13.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량의 공간적 분포=209,287,1

그림 3.14.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의 공간적 분포=210,288,1

그림 3.15.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cf.laevi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4,292,1

그림 3.16.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Heteromanstus filiforni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5,293,1

그림 3.17.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Mediomastus califoniensi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6,294,1

그림 3.18.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Minuspio japonic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7,295,1

그림 3.19.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Magalina japonic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8,296,1

그림 3.20.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갑각류인 Urothoe convex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19,297,1

그림 3.21.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Glycinde gurjanovae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0,298,1

그림 3.22.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Prionspio membranace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1,299,1

그림 3.23.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Paraonis gracili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2,300,1

그림 3.24.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Lumbrineris cruzensi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3,301,1

그림 3.25.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갑각류인 Mandibulophoxus mai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4,302,1

그림 3.26.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Sigambra tentaculat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5,303,1

그림 3.27.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갯지렁이류인 Cirrophorus furcatus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6,304,1

그림 3.28.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갑각류인 Diastylis paratricinta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7,305,1

그림 3.29.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 중 갑각류인 Kamak kuthae의 공간적 분포(위)와 퇴적물 조성,종 다양성과 출현개체수와의 관계(아래)=228,306,1

그림 3.30.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도 지수 분포=232,310,1

그림 3.31.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균등도 지수 분포=232,310,1

그림 3.32.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 주변 갯벌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풍부도 지수 분포=233,311,1

그림 3.33.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에 대한 수지도(Bray-curtis similarity)=234,312,1

그림 3.34.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의 공간분포=235,313,1

그림 3.35. 강화도 남단과 옹진 장봉도,신도-시도,동만도 갯벌에서 총 6개의 조사선의 위치와 정점의 위치도=239,317,1

그림 3.36.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생물량의 각 정점별 분포양상=241,319,1

그림 3.37.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우점종의 각 정점별 분포양상=244,322,1

그림 3.38.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HW)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지수(R),종 균등도지수(J')및 종 다양도지수(H')의 변동=245,323,1

그림 3.39.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된 수지도=246,324,1

그림 3.40.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YC)의 정점별 표층퇴적물 조성=248,326,1

그림 3.41.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분포=250,328,1

그림 3.42.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우점종의 각 정점별 분포양상=253,331,1

그림 3.43.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 지수(R),종균등도 지수(J') 및 종 다양도 지수(H')의 변동=254,332,1

그림 3.44.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화 작성된 수지도=256,334,1

그림 3.45.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 조사선(JH)의 정점별 표층퇴적물 조성=258,336,1

그림 3.46.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 조사선(JH)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분포=260,338,1

그림 3.47.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우점종의 각 정점별 분포양상=263,341,1

그림 3.48.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 지수(R),종균등도 지수(J') 및 종 다양도 지수(H')의 변동=264,342,1

그림 3.49. 강화도 남단의 장화리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된 수지도=265,343,1

그림 3.50. 옹진군 신도 갯벌 조사선의 지형 및 표층퇴적물 조성=267,345,1

그림 3.51. 옹진군 신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분포=269,347,1

그림 3.52. 옹진 신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우점종의 각 정점별 분포양상=272,350,1

그림 3.53. 옹진 신도 갯벌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 지수(R),종 균등도 지수(J') 및 종 다양도 지수(H')의 변동=273,351,1

그림 3.54. 옹진군 신도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된 수지도=274,352,1

그림 3.55. 옹진군 장봉도 갯벌 조사선의 지형 및 표층퇴적물 조성=276,354,1

그림 3.56. 옹진군 장봉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분포=278,356,1

그림 3.57. 옹진군 장봉도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의 공간적 분포 특성=281,359,1

그림 3.58. 옹진군 장화리 갯벌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 지수(R),종 균등도 지수(J') 및 종 다양도지수(H')의 변동=282,360,1

그림 3.59. 옹진군 장봉도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된 수지도=283,361,1

그림 3.60. 옹진군 동만도 갯벌 조사선의 지형 및 표층퇴적물 조성=285,363,1

그림 3.61. 옹진군 동만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공간분포=287,365,1

그림 3.62. 옹진군 동만도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의 공간적 분포 특성=290,368,1

그림 3.63. 옹진군 동만도 갯벌 조사선에서 각 정점별 종 풍부도 지수(R),종 균등도 지수(J') 및 종 다양도지수(H')의 변동=291,369,1

그림 3.64. 옹진군 동만도 갯벌 조사선에서 집괴분석한 결과 작성된 수지도=292,370,1

그림 3.65. 강화도 남단과 옹진 장봉도 주변 해역에서 어류상 조사 정점도 (A&B:오토트롤+건간망(서,2003);D:건간망(황 등,2003)=293,371,1

그림 3.66. 탄도만 엽록소 a 농도의 공간적 분포 양상=305,383,1

그림 3.67. 저서돌말류 출현종수의 공간적 분포 양상=305,383,1

그림 3.68. 저서돌말류 현종량의 공간적 분포 양상=306,384,1

그림 3.69. 탄도만 저서동물 채집 정점도=318,396,1

그림 3.70. 측선 MO 주변 갯벌의 모습. 조수해빈과 모래갯벌이 넓게 발달하나 뻘질 퇴적물이 매우 빠르게 쌓인 듯 표면이 매우 연약하다=319,397,1

그림 3.71. 측선 CM 주변의 펄질 갯벌로서 인근 해안절벽에서 직접 침식에 의해 공급된 퇴적물로 색이 붉은 것이 특징이다=319,397,1

그림 3.72.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 출현종수 분포=323,401,1

그림 3.73.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 서식밀도 분포(개체/㎡)=323,401,1

그림 3.74.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종 및(Musculista senhousia)의 분포(개체㎡)=325,403,1

그림 3.75.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옆새우류의 분포(개체㎡)=325,403,1

그림 3.76.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잎빗갯지렁이(Lagis bocki) 분포(개체㎡)=326,404,1

그림 3.77.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털콩게(Ilyoplax dentimerosa) 분포(개체㎡)=326,404,1

그림 3.78. 측선 MO에서 조고에 따른 저서동물 출현종수 분포=328,406,1

그림 3.79. 측선 MO에서 조고에 따른 저서동물 서식밀도(개체㎡)분포=328,406,1

그림 3.80. 측선 MO에서 조고에 따른 우점종 서식밀도(개체㎡)분포=329,407,1

그림 3.81. 측선GI에서 조고에 따른 저서동물 출현종수 분포=331,409,1

그림 3.82. 측선GI에서 조고에 따른 저서동물 서식밀도(개체/㎡)분포=331,409,1

그림 3.83. 조고에 따른 우점종 서식밀도 (개체㎡)분포=332,410,1

부록 3.1. 강화도 남부 갯벌 퇴적물에서 출현한 저서성 돌말류의 목록 및 분류표=336,414,6

부록 3.2. 강화도 갯벌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체크기별 분포=342,420,5

부록 3.3.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347,425,4

부록 3.4.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의 종조성에 의거한 제반 생태지수=351,429,12

그림 4.1. 경인 연안 갯벌의 수질 및 퇴적물 조사 정점=367,445,1

그림 4.2. 중점조사수역 (강화연안)의 수질 및 퇴적물 조사 정점=367,445,1

그림 4.3. 경인연안 수역의 수온,염분 및 용존산소 분포=378,456,1

그림 4.4.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인천연안 수질의 장기변동(1981-2002년)=382,460,1

그림 4.5. 인천연안 부영양화지수의 장기변동(1981-2002년)=383,461,1

그림 4.6. 서해연안 염분과 수질요소와의 상관관계(1999-2002년)=385,463,1

그림 4.7. 인천연안의 계절별 부유물질 농도 분포(1998-2002년 평균)=386,464,1

그림 4.8. 퇴적물내의 총유기탄소량과 중금속과의 상관관계=392,470,1

그림 4.9. 탄도만에서 해수,표층 퇴적물,시료 채취위치 및 산소소모속도(SOD)측정 지점=395,473,1

그림 4.10(a). 탄도만 표층수중 수온의 수평분포=400,478,1

그림 4.10(b). 탄도만 표층수중 염분의 수평분포=400,478,1

그림 4.11(a). 탄도만 표층수중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수평분포=401,479,1

그림 4.11(b). 탄도만 표층수중 화학적 용존산소의 수평분포=401,479,1

그림 4.12. 탄도만 표층수의 부유물질 수평분포=402,480,1

그림 4.13(a). 탄도만 표층수중 용존무기질소 수평분포=403,481,1

그림 4.13(b). 탄도만 표층수중 용존무기인의 수평분포=403,481,1

그림 4.13(c). 탄도만 표층수중 규산규소의 수평분포=404,482,1

그림 4.14. 탄도만 표층수 중 Si-DIN,DIN-DIP 그리고 Si-DIP의 상관관계=406,484,1

그림 4.15(a). 탄도만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 수평분포=408,486,1

그림 4.15(b). 탄도만 표층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수평분포=408,486,1

그림 4.15(c).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산휘발성 황화물 수평분포=408,486,1

그림 4.16. 주상퇴적물내 유기탄소,화학적산소요구량,산휘발성황화물의 수직분포=410,488,1

그림 4.17(a). 표층 퇴적물에서 AI의 수평분포=411,489,1

그림 4.17(b). 표층 퇴적물에서 Gu의 수평분포=411,489,1

그림 4.17(c). 표층 퇴적물에서 Zn의 수평분포=412,490,1

그림 4.17(d). 표층 퇴적물에서 Pb의 수평분포=412,490,1

그림 4.17(e). 표층 퇴적물에서 Cd의 수평분포=412,490,1

그림 4.18. 탄도만 주상퇴적물내 AI,Femn,ZN,Pb,및 Cd의 수직분포=415,493,1

그림 4.19. 공극수내 용존산소의 수직 분포=419,497,1

그림 5.1. 갯벌 체험학습 광경(강화도)=427,505,1

그림 5.2. 갈퀴와 호미종류 및 조개채취광경=428,506,1

그림 5.3. 굴 채취용 조세=429,507,1

그림 5.4. 낙지 채취용 삽과 조개채취용 호미=430,508,1

그림 5.5. 갯지렁이 채취용 쇠스랑=430,508,1

그림 5.6. 맛채취 도구인 맛써개(왼쪽:충남,오른쪽:강화도)=431,509,1

그림 5.7. 영흥면 축도의 돌살 및 사둘질 광경=432,510,1

그림 5.8. 대낚시를 이용한 낚시하는 사람들 (영흥도)=433,511,1

그림 5.9. 다양한 형태로 시설되어 있는 건간망=434,512,1

그림 5.10. 주목망의 어구 부설도(왼쪽:강화도,오른쪽:연평도)=435,513,1

그림 5.11. 해안선 어선 및 어구부설도=436,514,1

그림 5.12. 각망 어구부설도=437,515,1

그림 5.13. 쭈꾸미 소호의 어구 부설도=438,516,1

그림 5.14. 통발어구의 어구부설도=439,517,1

그림 5.15. 꽃게 고장자망의 어구 설계도 및 부설도=442,520,1

그림 5.16. 삼치 유자망의 어구 부설도=443,521,1

그림 5.17. 갯벌인근에서 조업하는 선외기 어선=443,521,1

그림 5.18. 양식장 광경 (왼쪽:김부류식,오른쪽:굴포장끈식)=444,522,1

그림 6.1. 사회.경제적 이용현황 조사지역의 연구범위=450,528,1

그림 6.2. 연구지역 갯벌 배후 읍면=451,529,1

그림 6.3. 연구지역 각 시군구의 해안선 길이=454,532,1

그림 6.4. 연구지역의 인구수=455,533,1

그림 6.5. 연구지역 갯벌 배후 읍면의 인구밀도도=457,535,1

그림 6.6. 1997~2001년 연평균 인구증가율(연안에 면한 읍면동 인구수)=459,537,1

그림 6.7. 1차 산업종사자수=461,539,1

그림 6.8. 경기도 연구지역 해당 시별 비금속 매장량 및 광산수=468,546,1

그림 6.9. 인천광역시 토지이용 면적 연평균 변화율(1996~2001)=475,553,1

그림 6.10. 국토이용계획 용도지역 지정고시 현황=480,558,1

그림 6.11. 인천광역시 관광지별 관광객 현황=488,566,1

그림 6.12. 인천광역시 분기별 관광객수(내국인ㆍ외국인)=489,567,1

그림 6.13. 경기도 연구지역의 용도별 매립지 개수 및 면적 현황=495,573,1

그림 6.14. 연구지역의 용도별 매립계획(매립지 개소)현황=498,576,1

그림 6.15.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수확 어종별 생산량=499,577,1

그림 6.16. 시군별 수산물 어획고(수량)=500,578,1

그림 6.17. 인천광역시,경기도 시군구별ㆍ면허어업권 현황=503,581,1

그림 6.18. 인천광역시ㆍ경기도의 연구지역 어촌계 유형별 현황=509,587,1

그림 6.19. 갯벌에서의 하루 평균 노동시간=515,593,1

그림 6.20. 갯벌 어업인의 노동기간=516,594,1

그림 6.21. 월평균소득 중 갯벌에서 생산되는 어업소득=516,594,1

그림 6.22. 갯벌 생산량 및 판매수익의 변화정도=518,596,1

그림 6.23. 갯벌 환경의 변화 정도(어업인)=519,597,1

그림 6.24. 향후 갯벌이용 방향(어업인)=520,598,1

그림 6.25. 갯벌계획수립의 주체구조(어업인)=523,601,1

그림 6.26. 갯벌관리계획에 대한 참여의사 정도(어업인)=523,601,1

그림 6.27. 일반주민의 최근 2년간 갯벌 방문 정도=524,602,1

그림 6.28. 일반주민의 갯벌방문 빈도=524,602,1

그림 6.29. 일반 주민의 갯벌 방문 동반자수=525,603,1

그림 6.30. 일반주민의 갯벌 동반자 유형=526,604,1

그림 6.31. 일반주민이 생각하는 갯벌환경 정도=526,604,1

그림 6.32. 갯벌이용 방향(일반주민)=527,605,1

그림 6.33. 갯벌계획 수립 주체구조(일반주민)=530,608,1

그림 6.34. 갯벌계획에 대한 참여의사 정도(일반주민)=530,608,1

그림 6.35. 연구지역의 단위 갯벌(충청남도)=534,612,1

그림 6.36. 연구지역의 단위 갯벌(부산광역시ㆍ경상남도)=535,613,1

그림 6.37. 갯벌 압력지표 (Pressure)평가결과=538,616,1

그림 6.38.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단위갯벌 압력지표 평가결과=539,617,1

그림 6.39. 갯벌 상태지표(State)평가결과=541,619,1

그림 6.40.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단위갯벌 상태지표 평가결과=542,620,1

그림 6.41. 갯벌 대응지표(Response)평가결과=544,622,1

그림 6.42.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단위갯벌 대응자표 평가결과=545,623,1

그림 6.43. PSR(Pressure-Response) 지표 종합평가=546,624,1

그림 6.44.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PSR지표 종합평가 결과=547,625,1

그림 6.45. 유형별 관리방안=549,627,1

그림 6.46.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갯벌 유형=550,628,1

그림 7.1. 대이작도 인공위성 영상=561,639,1

그림 7.2.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채취 정점=563,641,1

그림 7.3. 이작도항 조위도표(수로국,1995)=565,643,1

그림 7.4. 이작도 주변해역의 최강창조류(국립해양조사원,1999)=566,644,1

그림 7.5. 이작도 주변해역의 최강낙조류(국립해양조사원,1999)=566,644,1

그림 7.6.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 퇴적물 분포=568,646,1

그림 7.7.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 퇴적물 평균입도(이미지참조) 분포(2003년 5월)=568,646,1

그림 7.8.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분급도(이미지참조) 분포(2003년 5월)=569,647,1

그림 7.9.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모래 함량(%)(2003년 5월)=569,647,1

그림 7.10. 이작도 주변해역 해저면 음향영상탐사 조사항적도=574,652,1

그림 7.11. 탐사선박 앞(선수)에 설치 운영된 수중 예인체=574,652,1

그림 7.12. 이작도 주변해역 해저면 음향영상탐사 위치변환 항적도=575,653,1

그림 7.13.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577,655,1

그림 7.14.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A구역)=580,658,1

그림 7.15.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B구역)=580,658,1

그림 7.16.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C구역)=581,659,1

그림 7.17.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D구역)=581,659,1

그림 7.18.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E구역)=582,660,1

그림 7.19. 이작도 주변해역 모자이크 해저면 음향영상도(F구역)=582,660,1

그림 7.20. 이작도 주변해역 동ㆍ식물 플랑크톤 조사정점도=584,662,1

그림 7.22.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그룹별 종조성(2003년 5월)=585,663,1

그림 7.23.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2003년 5월;단위:cells/ℓ)=587,665,1

그림 7.24.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그룹별 현존량 백분율(%)=587,665,1

그림 7.25.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지수(H')=590,668,1

그림 7.26. 정점별 엽록소 농도(2003년 5월;㎎/㎥)=591,669,1

그림 7.27.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상대 출현수 조성=593,671,1

그림 7.28.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상대 개체수 조성=594,672,1

그림 7.29. 전체 동물플랑크톤(●) 및 요각류(○)의 정점별 개체수(개체/㎥) 분포=595,673,1

그림 7.30.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상대 개체수 조성=595,673,1

그림 7.31. 최고 우점종 Noctiluca scintillans의 출현 개체수(개체/㎥)분포=596,674,1

그림 7.32. 우점종의 정점별 출현 개체수(개체/㎥)분포=597,675,1

그림 7.33.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에 따른 정점간 유사도 분석을 통한 유사해역 분포=598,676,1

그림 7.34. PCA분석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의해 특성화된 정점의 산포도(Noctiluca scintillans 포함)=599,677,1

그림 7.35. PCA분석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의해 특성화된 정점의 산포도(Noctiluca scintillans 제외)=600,678,1

그림 7.36. 옹진군 대이작도 주변 해안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도(●:조하대 조사(17정점),-:갯벌조사,★:바위해안 조사(2곳))=602,680,1

그림 7.37. 대이작도 주변 해안의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의 분포(spp./㎡)=605,683,1

그림 7.38. 대이작도 주변 해안의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개체수의 분포(개체/㎡)=606,684,1

그림 7.39. 대이작도 주변 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량의 분포(g/㎡)=606,684,1

그림 7.40. 대이작도 주변 해안에서 우점종의 정점별 서식 밀도의 분포(개체/㎡)=607,685,1

그림 7.41. 대이작도 주변 해역 조하대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609,687,1

그림 7.42. 대이작도 주변 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의 결과로 구분된 정점군 분포=609,687,1

그림 7.43. 대이작도 갯벌(조간대) 조사지 전경=612,690,1

그림 7.44. 대이작도 갯벌 조사선에서 지형의 경사도,서식지 특성 모식도(위)와 퇴적물 입도 조성비(%) 분포(아래)=613,691,1

그림 7.45. 대이작도 갯벌 조사선에서 정점별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분포=614,692,1

그림 7.46. 대이작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4개 우점종의 정점별 분포양상=617,695,1

그림 7.47. 대이작도 갯벌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태지수 변동 (d:종풍부도 지수,J:종균등도 지수,H:종다양도 지수)=618,696,1

그림 7.48. 대이작도 갯벌 조사선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집괴 분석한 결과 수지도=619,697,1

그림 7.49. 대이작도 북쪽 바위해안 (H1)의 전경=622,700,1

그림 7.50. 대이작도 북쪽 바위해안 (H1)의 모식도 (경사도)=622,700,1

그림 7.51. 대이작도 남쪽 바위해안 (H2) 전경=623,701,1

그림 7.52. 대이작도 남쪽 바위해안 (H2)의 모식도 (경사도)=623,701,1

그림 7.53. 대이작도 북쪽 바위해안 (H1)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수직분포 비교=625,703,1

그림 7.54. 대이작도 남쪽 바위해안 (H2)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의 수직분포 비교=626,704,1

그림 7.55. 대이작도 북쪽 바위해안 (H1)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우점종의 정점별 분포=628,706,1

그림 7.56. 대이작도 남쪽 바위해안 (H2)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우점종의 정점별 분포=629,707,1

그림 7.57. 대이작도 북쪽 해안 조간대(H1)에 서식하는 대상분포 모식도=631,709,1

그림 7.58. 대이작도 남쪽 해안 조간대(H2)에 서식하는 대상분포 모식도=631,709,1

그림 7.59. 어류채집(자망) 위치도=633,711,1

그림 7.60. 2003년 5월 대이작도 연안에서 채집된 아귀의 전장 분포=636,714,1

그림 7.61. 2003년 5월 대이작도 연안에서 채집된 양태의 전장 분포=636,714,1

그림 7.62. 2003년 5월 대이작도 연안에서 채집된 홍어의 전장 분포=637,715,1

그림 7.63. 2003년 5월 대이작도 연안에서 채집된 쑤기미의 전장 분포=638,716,1

그림 7.64. 대이작도 풀안 해수욕장(좌)과 목장볼 해수욕장(우) 전경=644,722,1

그림 7.65. 이작도 주변 해역 어장도=646,724,1

그림 7.66. 옹진군 자원면에서 수산물 생산량(단위:M/T)=647,725,1

그림 7.67. 자월면과 북도면 광업권 및 골재채취지역(2003년도 허가지역)위치도=648,726,1

그림 7.68. 19세기 중반 '경상도지도'에 표시된 오륙도의 모습. 둥근 원 안의 다섯개 점이 오륙도를 나타냄(부산녹색연합,1999)=660,738,1

그림 7.69. 현재까지도 부산의 관문이자 상징으로 남아 있는 오륙도 전경. (부산 남구청,2003)=660,738,1

그림 7.70. 오륙도 지형형성과정 모식도 (1999,부산녹색연합에서 재작성)=661,739,1

그림 7.71. 조사지역 저질 채취정점 및 수심도=663,741,1

그림 7.72. 해저 퇴적물 채취기를 이용한 해저퇴적물 채취장면=665,743,1

그림 7.73. 요동기를 이용한 조립질부 채분석 장면(좌). 입도 측정기(Sedigraph 5100)을 이용한 세립질부 분석 장면(우)=666,744,1

그림 7.74. 자갈,모래 및 펄함량에 따른 삼각다이아그램=669,747,1

그림 7.75. 모래,실트 및 점토 함량비에 따른 삼각다이아그램=670,748,1

그림 7.76. 조사정점에 대한 평균입도 값의 히스토그램=671,749,1

그림 7.77. 입도분석 결과에 의한 조사 주변의 퇴적물 형=672,750,1

그림 7.78. 각 정점에서의 해저 퇴적물의 입도 구성 모드=673,751,1

그림 7.79. 동방분속(U)와 북방분속(V)의 시간적인 변화=675,753,1

그림 7.80. 조류벡터의 변화도=675,753,1

그림 7.81. 조류 분산도=676,754,1

그림 7.82. 누적유속도=676,754,1

그림 7.83. 봄 관측의 표층 수온,염분 분포도. (a)표층수온,(b)염분=678,756,1

그림 7.84. 여름 관측의 표층 수온,염분 분포도. (a)표층수온,(b)염분=679,757,1

그림 7.85. 가을 관측의 표층 수온,염분 분포도. (a)표층수온,(b)염분=680,758,1

그림 7.86. 겨울 관측의 표층 수온,염분 분포도. (a)표층수온,(b)염분=681,759,1

그림 7.87. 오륙도 주변의 어업권 해역도. 오륙도를 포함하여 검은 실선으로 표시된 해역에 어업권이 행해지고 있음=683,761,1

그림 7.88. 염분이 많은 해안에 자생하는 곰솔(Pinus thunbergi). (부산녹색연합,1999)=684,762,1

그림 7.89. 오륙도의 전 섬에 군락을 이루며 분포하는 해국(Asters pathulifalius). (부산녹색연합,1999)=686,764,1

그림 7.90. 등대섬의 우점적인 초본식물인 갯고들빼기(Crepidiastrum lancealatum). (부산녹색연합,1999)=686,764,1

그림 7.91.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2003.07)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 개체수(inds./㎡)=691,769,1

그림 7.92.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2003.07)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 분류군 수 및 출현종수=692,770,1

그림 7.93.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분류군별 퍼센트비(% ratio)=707,785,1

그림 7.94. 조사해역에서 저층자망에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비=710,788,1

그림 7.95. 조사해역에서 저층자망에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생체량비=710,788,1

그림 7.96. 조사해역에서 연안통발에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비=712,790,1

그림 7.97. 조사해역에서 연안통발에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생체량비=712,790,1

부록 7.1.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현존량=725,803,6

부록 7.2.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정점별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분류군=731,809,2

부록 7.3.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어업권 세부현황 및 목록(연안복합어업 및 연안통발어업)=733,811,1

부록 7.4.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어업권 세부현황 및 목록(연안유자망어업)=734,812,1

부록 7.5.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어업권 세부현황 및 목록(연안연승어업)=734,812,1

부록 7.6.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 어업권 세부현황 및 목록(연안채낚시어업)=734,812,1

부록 7.7. 오륙도 주변해역의 우점 및 특징적 해조류=735,813,9

부록 7.8. 오륙도 주변해역의 우점 및 특정적 갯벌 및 조하대 무척추동물=744,822,2

그림 8.1. 1910년대 고지도(군산부근)=766,844,1

그림 8.2. 벡터라이징 이후 인접도면과 합친 모양=766,844,1

그림 8.3. 인천ㆍ경기지역 갯벌 분포 현황=768,846,1

그림 8.4. 충남지역 갯벌분포 현황=769,847,1

그림 8.5. 전북지역 갯벌분포 현황=770,848,1

그림 8.6. 전남 서해지역 갯벌분포 현황=771,849,1

그림 8.7. 전남 남해지역 갯벌분포 현황=772,850,1

그림 8.8. 경남ㆍ부산지역 갯벌분포 현황=773,851,1

그림 8.9. 갯벌 수치지도 초기화면=778,856,1

그림 8.10. 갯벌 수치지도에서 속성정보 확인=779,857,1

그림 8.11. 갯지렁이류의 조사 위치도=806,884,1

그림 8.12. 서남해안의 갯벌에 서식하는 갯지렁이의 종수=821,899,1

그림 8.13. 만경강-동진강 하구의 지역별 조류의 기준2-상대 등급화=961,1039,1

부록 8.1. 서남해역 갯벌의 갯지렁이 동물상=974,1052,30

부록 8.2. 국내 바다조류의 구분과 도래상황 및 보호등급=1004,1082,9

그림 9.1.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참여자 유형=1025,1103,1

그림 9.2.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 분석=1027,1105,1

그림 9.3. 해양환경교육자 실천 전략(안) 추진방향=1049,1127,1

부록 9.1. 제2회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교육자 필기 평가=1052,1130,6

부록 9.2.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실습보고서 사례=1058,1136,15

그림 10.1. 가로림만의 갯벌 퇴적물상의 분포=1076,1154,1

그림 10.2. 가로림만의 어장현황도=1077,1155,1

그림 10.3. 영상의 처리과정=1079,1157,1

그림 10.4. 가로림만 Landsat TM 위성영상=1079,1157,1

그림 10.5. TIN의 생성=1082,1160,1

그림 10.6. GRID의 생성=1083,1161,1

그림 10.7. DEM의 생성=1083,1161,1

그림 10.8. 가로림만 생태지도 기본도엽=1087,1165,1

그림 11.1. 해양보호구역 평가기준에 따른 보호지역 후보지 평가 후 지정 결정 흐름도=1098,1176,1

표 1.1. 경기만(인천광역시와 경기도) 해안의 도서 현황=7,85,1

표 2.1. 강화 남단 갯벌 및 주변 해저부의 표층퇴적물 입도 특성=25,103,4

표 2.2. 강화 남단 갯벌과 주변 해저부 유공충 종의 상대적 풍부성 (%)=35,113,4

표 2.3. 강화 남단 저서성 유공충의 일반적인 분포 특성=39,117,2

표 2.4. 집괴분석을 위하여 선택된 20종의 유공충 목록과 생물상=42,120,1

표 2.5. 4개 생물상의 특성. S,N,H(S),E,사질 유공충 비는 각 생물상 정점의 평균값이며 우점종은 각 생물상의 모든 정점에서 나타나며 10% 이상 나타나는 정점이 있는 종들로 구성=45,123,1

표 2.6. 강화 갯벌 측선의 4개월 동안 (2003년 6월-10월) 집적률 변화=48,126,1

표 2.7. 강화 남단 갯벌 측선의 퇴적물 입도 특성 변화 (2003년 6월-10월)=52,130,4

표 2.8. 주상 퇴적물 시료의 입도분석 결과=58,136,1

표 2.9. 염하수로의 초지대교 부근에서 1 조석 주기 동안 해수 특성 및 부유물질양=68,146,2

표 2.10. 동검도 남부 수로의 1 조석 주기 동안 해수 특성 및 부유물질 양=72,150,2

표 2.11. 염하수로(A)와 동검도 남부 수로(B)의 1 조석 주기 동안 잔여 유속 및 부유퇴적물 유출입 양=77,155,1

표 2.12. 탄도만 표층퇴적물 위치=93,171,2

표 2.13. 탄도만 측선 위치=96,174,1

표 2.14. 탄도만 정선관측 위치=96,174,1

표 2.15.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입도상수,퇴적상표=109,187,3

표 2.16.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118,196,2

표 2.17. 측선 MO 표층퇴적물 입도상수,퇴적상=125,203,1

표 2.18. 측선 GI(가입) 입도상수,퇴적상=129,207,1

표 2.19. 측선 CM(창매),nCM(창매) 입도상수,퇴적상=133,211,1

표 2.20. 핸드햄머 코아의 퇴적상 분류기준=138,216,1

표 2.21. TD-M_1 지점에서의 해수특성=141,219,1

표 2.22. TD-M_2 지점에서의 해수특성=142,220,1

표 2.23. 부유퇴적물 유출입량=143,221,1

표 3.1. 강화도 남부 갯벌의 정점별 엽록소 she도,돌말류 개체수 및 출현종수=180,258,1

표 3.2. 강화도 남단 갯벌의 각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군집=189,267,1

표 3.3. 강화도 남단과 옹진 갯벌에서 채집된 주요 동물군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08,286,1

표 3.4. 강화도 남단과 옹진 장봉도,신도,신도 갯벌(격자형 조사)에서 출현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전체 개체수의 1%이상)=213,291,1

표 3.6.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 주변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구분된 정점군의 퇴적환경 특성,생태지수 및 우점종의 특성=236,314,1

표 3.7.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 조사선(HW)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40,318,1

표 3.8. 강화도 남단 흥왕리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43,321,1

표 3.9.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YC)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출현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49,327,1

표 3.10.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52,330,1

표 3.11.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59,337,1

표 3.12. 강화도 남단 장화리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62,340,1

표 3.13. 옹진군 신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68,346,1

표 3.14. 옹진군 신도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71,349,1

표 3.15. 강화도 남단 여차리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77,355,1

표 3.16. 옹진군 장봉도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80,358,1

표 3.17. 옹진군 동만도 갯벌 조사선에서 출현한 주요 동물군의 종수,서식밀도 및 생물량=286,364,1

표 3.18. 옹진군 동만도 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289,367,1

표 3.19. 2003년 10월 동만도와 장봉도 북쪽해안에서 오토트롤을 이용하여 채집한 어류목록=295,373,1

표 3.20. 강화도 남단과 옹진군 장봉도 및 동만도 주변 해역에서 조사된 어류목록=296,374,3

표 3.21. 해양수산부에서 조사된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중점조사 갯벌의 비교=300,378,1

표 3.22. 탄도만 엽록소 a 농도=307,385,1

표 3.23. 탄도만 저서성 규조류의 출현종 목록=308,386,1

표 3.24. 탄도만 저서성 돌말류 출현종수=309,387,1

표 3.25. 저서성 규조류의 출현종 목록(동북지역)=310,388,1

표 3.26. 저서성 규조류의 출현종 목록(서부지역)=311,389,1

표 3.27. 탄도만 저서성 돌말류 현종량(cells/㎠)=312,390,1

표 3.28. 저서성 규조류의 개체수 (동북지역)=313,391,1

표 3.29. 저서성 규조류의 개체수 (서부지역)=314,392,1

표 3.30. 2003년 6월 탄도만 갯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구별 서식밀도(개체/㎠) 및 종수=321,399,1

표 3.31. 2003년 6월 탄도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321,399,1

표 3.32. 2003년 6월 탄도만 갯벌에서 채집된 저서동물중 1.0% 이상 출현한 우점종=324,402,1

표 3.33. 2003년 6월 탄도만 측선 MO에서의 저서동물상=327,405,1

표 3.34. 2003년 6월 탄도만 측선 GI에서의 저서동물상=330,408,1

표 4.1. 일반조사해역 정점좌표=368,446,2

표 4.2. 중점조사해역 정점좌표=370,448,1

표 4.3. 인천 경기연안 조사해역의 수질 항목별 기술 통계량=375,453,1

표 4.4. 1998~2002년에 조사된 아산만 및 경기만 일대의 수질항목별 기술 통계량=376,454,2

표 4.5. 인천 경기 연안 갯벌의 퇴적물분석 결과=387,465,1

표 4.6. 조사해역내 퇴적물의 중금속 분석 결과=390,468,1

표 4.7. 탄도만 표층수 중 각 성분의 농도범위와 평균값=399,477,1

표 4.8. 탄도만 표층수 중 Si,DIN과 DIP의 비교=405,483,1

표 4.9.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의 범위와 평균=407,485,1

표 4.10. 주상퇴적물내 유기탄소,강열감량,화학적산소요구량,산휘발성황화물의 농도 범위 및 평균=409,487,1

표 4.11.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원소 농도범위 및 평균=411,489,1

표 4.12. 탄도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성분간의 상관관계=413,491,1

표 4.13. 탄도만 주상퇴적물내 중금속의 농도범위 및 평균=417,495,1

표 4.14. 탄도만 표층퇴적물내 산소농도,산소소비율,및 산소투과깊이=418,496,1

표 6.1. 연구지역의 해당 행정구역=450,528,1

표 6.2. 연구지역의 갯벌 배후 읍ㆍ면 현황=452,530,1

표 6.3. 행정구역 현황=453,531,1

표 6.4.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갯벌주민의 가구 및 인구 현황=456,534,1

표 6.5. 연평균 인구증가율=458,536,1

표 6.6. 1996~2001년 연평균 인구증가율=459,537,1

표 6.7. 산업별 종사자수=460,538,1

표 6.8. 연구지역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입지계수=462,540,1

표 6.9. 연구지역 시군구별 입지계수=463,541,1

표 6.10. 연구지역 산업별 종사자현황=464,542,1

표 6.11. 연구지역 지역내 총 생산=465,543,1

표 6.12. 연구지역 등록 광산 수(2002년 기준)=466,544,1

표 6.13. 인천광역시 소재지별 금속ㆍ비금속광물 매장량 현황=467,545,1

표 6.14. 경기도 소재지별 금속ㆍ비금속광물 매장량 현황=469,547,1

표 6.15. 광업권 등록현황=470,548,1

표 6.16. 2002년도 전국 골재채취 허갇羲신고 및 채취실적=471,549,1

표 6.17. 경기만 일대의 바다골재 허가 및 채취 현황=472,550,1

표 6.18. 인천광역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현황=473,551,1

표 6.19. 인천광역시(갯벌 주변지역)의 구군별 지역의 토지이용면적 비율 및 집중도=474,552,1

표 6.20. 인천광역시(갯벌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변화율(1996~2001)=475,553,1

표 6.21. 경기도(갯벌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현황 및 비율=476,554,1

표 6.22. 경기도(갯벌 주변지역)의 시별 지역의 토지이용면적 비율 및 집중도=479,557,1

표 6.23. 경기도(갯벌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변화율(1996~2001)=479,557,1

표 6.24. 인천광역시 갯벌주변지역의 구ㆍ군별 국토이용계획 고시현황=481,559,1

표 6.25. 경기도 갯벌주변지역의 시별 국토이용계획 고시현황=482,560,1

표 6.26. 연구지역 도시계획 용도구역=483,561,1

표 6.27.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485,563,1

표 6.28.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486,564,1

표 6.29. 연구지역 관광단지 및 관광지 지정 현황=487,565,1

표 6.30. 인천광역시 관광객 현황=488,566,1

표 6.31. 경기도 관광객 현황=490,568,1

표 6.32. 인천광역시 신규관광지 개발계획(십리포 관광지)=490,568,1

표 6.33. 제3차 인천권 관광개발계획에 따른 전략별 중점사업=491,569,1

표 6.34. 경기도 연구지역의 관광개발계획 현황=493,571,1

표 6.35. 연구지역의 매립고시 및 시행 현황=494,572,1

표 6.36. 경기도 연구지역의 용도별 매립고시 및 시행 현황=496,574,1

표 6.37. 연구지역 공유수면매립 계획 현황=497,575,1

표 6.38. 시군별 수산물 어획고(수량)=500,578,1

표 6.39. 시군별 어가 및 어업인구=501,579,1

표 6.40. 연구지역의 시군구별 면허어업권 현황=502,580,1

표 6.41. 연구지역의 어촌계 일반현황=504,582,1

표 6.42. 시군구별 어촌계 일반 현황=505,583,1

표 6.43. 전국ㆍ인천광역시ㆍ경기도 어촌계 수산업 현황=506,584,1

표 6.44. 인천광역시ㆍ경기도의 연구지역 어촌계 수산업 변화=507,585,1

표 6.45. 인천광역시ㆍ경기도의 시군구별 어촌계 수산업 현황=508,586,1

표 6.46. 인천광역시ㆍ경기도의 연구지역 발전수준별ㆍ입지유형별ㆍ종사유형별 어촌계수 증감=510,588,1

표 6.47. 어업인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512,590,1

표 6.48. 일반주민 설문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특성=514,592,1

표 6.49. 인천 및 경기지역 갯벌의 계절별 생산종=517,595,1

표 6.50. 인천 및 경기지역 갯벌 생산물 유통경로=518,596,1

표 6.51. 갯벌 생산량 및 판매수익 감소원인=519,597,1

표 6.52. 갯벌환경이 악화된 원인(어업인)=520,598,1

표 6.53. 갯벌보전 이유(어업인)=521,599,1

표 6.54. 갯벌개발 이유(어업인)=521,599,1

표 6.55. 갯벌보전과 개발 동시 추진시 우선순위 사항(어업인)=522,600,1

표 6.56. 일반주민의 갯벌방문 목적=525,603,1

표 6.57. 일반주민이 생각하는 갯벌환경 악화 요인=527,605,1

표 6.58. 일반주민들이 생각하는 갯벌보전 이유=528,606,1

표 6.59. 일반주민들이 개발을 원하는 이유=529,607,1

표 6.60. 일반주민들이 생각하는 갯벌보전과 개발을 동시 추진시 우선사항=529,607,1

표 6.61. 연구지역의 단위갯벌=535,613,1

표 6.62. 제5차 년도 PSR 지표 적용기준=537,615,1

표 6.63. 충남ㆍ경남ㆍ부산광역시 단위 갯벌의 PSR 지표산정 결과=548,626,1

표 6.64. PSR 지표평가를 통한 충남ㆍ경남ㆍ부산지역의 갯벌 유형분류=549,627,1

표 6.65. 갯벌 유형분류에 따른 단위 갯벌 관리지침=551,629,1

표 7.1. 이작도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특성=570,648,2

표 7.2.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2003년 5월;단위:cells/ℓ)=586,664,1

표 7.3.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우점률=589,667,1

표 7.4.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지수(H')=590,668,1

표 7.5. 정점별 엽록소 농도(2003년 5월;㎎/㎥)=591,669,1

표 7.6.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H')=598,676,1

표 7.7.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개체수 및 생물량 조성=603,681,1

표 7.8. 대이작도 조하대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의 서식밀도(개체/㎥) 및 출현 정점수=604,682,1

표 7.9. 집괴분석 결과 나타난 각 정점군별 생태지수 및 우점종=610,688,1

표 7.10.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개체수 및 생물량 조성=612,690,1

표 7.11. 대이작도 북쪽 갯벌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우점종의 서식밀도(개체/㎡) 및 출현 정점수=616,694,1

표 7.12. 집괴분석 결과 나타난 각 정점군별 생태지수 및 우점종=620,698,1

표 7.13. 2003년 5월 대이작도 서남부 연안에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종 조성=635,713,1

표 7.14. 대이작도 연안에서 채집된 어류의 평균 체장,표준편차 및 체장 범위=639,717,1

표 7.15. 덕적도와 자월도 주변 해역에서 기록된 어류 목록=641,719,2

표 7.16. 대이작도 자연여건과 인구현황 () 1994년 자료=643,721,1

표 7.17. 자월면과 덕적면의 년도별 관광객 입도현황 () 성수기동안 관광객 현황=644,722,1

표 7.18. 2002년 동안 자월면과 덕적면의 월별 관광객 입도 현황 () 도서민 포함=645,723,1

표 7.19. 오륙도를 구성하는 각 섬에 대한 지리 및 지형학적 현황. 각 섬의 면적은 1998년 5월 새롭게 정점되어 지적공부 상에 등록된 면적임=662,740,1

표 7.20. 시료채취 정점의 GPS 위치 및 수심=665,743,1

표 7.21. 퇴적물 입자크기 분류표=667,745,1

표 7.22. 정점별 해저 퇴적물의 조직표준치 및 자갈,모래,실트 및 점토 함량비(%) 및 퇴적물 유형=668,746,1

표 7.23. 오륙도에 서식하는 식생목록(부산녹색연합,1999)=685,763,2

표 7.24. 오륙도 주변 해역에서의 2003년 하계(07월) 조사결과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 및 출현 개체 수(x100cell/L)=688,766,1

표 7.25. 오륙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2003.07)(x100cells/L)=689,767,1

표 7.26. 오륙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2003.07)=689,767,1

표 7.27. 오륙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2003년 07월 현장 조사 결과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목록 및 개체 수(inds./㎡)=690,768,1

표 7.28. 오륙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 우점종(2003.07 현장 조사)=691,769,1

표 7.29. 오륙도 인근 해역 해조류의 출현 종 목록=694,772,2

표 7.30. 오륙도 인근 해역의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 수=696,774,1

표 7.31. 오륙도 인근 해역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 목록=698,776,3

표 7.32. 오륙도 주변 갯벌 및 조하대에 분포하고 있는 무척추동물 목록=702,780,1

표 7.33.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리스트=707,785,1

표 7.34. 조사해역에서 저층자망을 이용하여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709,787,1

표 7.35. 조사해역에서 연안통발을 이용하여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711,789,1

표 7.36. 조사해역에서 낚시를 이용하여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713,791,1

표 7.37. 수영만에서 출현한 어류의 계절별 우점종. 1,2,3은 우점 순위를 나타냄=714,792,1

표 7.38. 광안대로 주변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715,793,1

표 8.1. 1910년대 갯벌지형 조사=753,831,1

표 8.2. 1979년 간척지용용도지역계획조사=754,832,1

표 8.3. 1987년 해안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754,832,1

표 8.4. 1987년 갯벌조사에 이용된 위성영상자료=755,833,1

표 8.5. 1998년 우리나라의 갯벌 현황 조사=755,833,1

표 8.6. '98년 당시의 갯벌 분포현황=756,834,1

표 8.7. 우리나라 각종 지도들의 특성=760,838,1

표 8.8. 갯벌 면적산정 기준(안)=761,839,1

표 8.9. 갯벌 면적산출 개요=763,841,1

표 8.10. 갯벌 면적조사에 사용된 전자해도 목록=764,842,1

표 8.11. 전국 갯벌 분포현황=767,845,1

표 8.12. 공유수면 매립현황=767,845,1

표 8.13. 갯벌의 규모에 따른 분류=767,845,1

표 8.14. 인천ㆍ경기지역 갯벌분포 현황=768,846,1

표 8.15. 충남지역 갯벌분포 현황=769,847,1

표 8.16. 전북지역의 갯벌분포 현황=770,848,1

표 8.17. 전남 서해지역 갯벌분포 현황=771,849,1

표 8.18. 전남 남해지역 갯벌분포 현황=772,850,1

표 8.19. 경남ㆍ부산지역 갯벌분포 현황=773,851,1

표 8.20. 기타지역 갯벌분포 현황=774,852,1

표 8.21. 영종도부근 갯벌대장=775,853,1

표 8.22. 인천 송도부근 갯벌대장=776,854,1

표 8.23. 전북 새만금 지역의 갯벌대장=777,855,1

표 8.24. 우리 나라의 주요 염생식물 종=784,862,1

표 8.25. 각 지역의 식물상=786,864,1

표 8.26. 갯벌 각 지역의 표징종 및 수반종=803,881,1

표 8.27. 식생에 따른 등급 분류=803,881,1

표 8.28. 서남해안 갯벌의 갯지렁이 동물상과 생태등급을 위한 조사 지역=807,885,2

표 8.29. 조사 연도와 지역=809,887,1

표 8.30. 갯벌의 생태등급을 위한 기록표=812,890,1

표 8.31. 서남해안의 갯벌에 분포하는 갯지렁이 종목록=813,891,8

표 8.32. 서남해안 갯벌의 갯지렁이 동물상=823,901,2

표 8.33. 서남해안 갯벌의 생태등급=825,903,1

표 8.34. 서남해안 갯벌의 지역별 평가항목과 생태등급=826,904,2

표 8.35. 1997년 환경부 지정 특정해안 생물(갯지렁이류)=932,1010,1

표 8.36. 조사한 갯벌의 저서동물 다양성과 생태 지수=934,1012,1

표 8.37. 조사한 갯벌의 각 생태적 평가 요소의 점수화=935,1013,1

표 8.38. 바다조류의 구분과 국내 관찰 종 수=941,1019,1

표 8.39. 갯벌에서 관찰되는 보호종 및 천연기념물 조류=946,1024,1

표 8.40. 갯벌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생존집단 및 군내집단 1% 수준의 개체수=952,1030,2

표 8.41. 10개 갯벌 지역의 기준 1-절대 등급화의 실제 예=957,1035,1

표 8.42. 영종도에 도래하는 조류에 의한 갯벌의 연도별 절대 등급화=958,1036,1

표 8.43.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조류에 의한 절대 등급화=958,1036,1

표 8.44. 낙동강 하구 지역의 수조류에 의한 연도별 절대 등급 비교=959,1037,1

표 8.45. 갯벌 지역에 도래하는 조류의 기준 2-상대 등급화 관련 자료=960,1038,1

표 8.46. 갯벌 지역에 도래하는 조류의 기준 2-상대 등급화 순위=960,1038,1

표 8.47. 만경강-동진강하구의 7개 지역별 조류 도래 특성(96-97년 자료)=962,1040,1

표 8.48. 만경강-동진강하구의 7개 지역의 각 지수에 의한 순위 및 등급=962,1040,1

표 9.1. 미국 환경교육의 목표 및 활동내용=1017,1095,2

표 9.2. 유럽에서 환경교육개관의 목표 및 활동내용=1019,1097,1

표 9.3. 환경교육 활동과 관련된 내용=1020,1098,1

표 9.4.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 특성=1021,1099,1

표 9.5.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참가자 유형=1024,1102,1

표 9.6.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 분석=1027,1105,1

표 9.7. 주제별 이론 강의 내용=1031,1109,3

표 9.8. 현장 체험교육자 실습 교육 주요 내용=1033,1111,1

표 9.9. 제1회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1034,1112,1

표 9.10. 제2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훈련내용 및 일정=1035,1113,1

표 9.11. 제3차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강의 일정표=1036,1114,1

표 9.12. 제4회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1037,1115,1

표 9.13. 제5회 해양환경교육자 훈련과정 프로그램=1038,1116,1

표 9.14. 평가 설문 내용=1040,1118,1

표 11.1. 해양보호구역 심사단 위원=1092,1170,1

표 11.2.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위한 연안습지 평가 항목=1099,1177,2

표 11.3. 해양보호구역 지정 후보지 평가시 사용하는 점수 배점표=1101,1179,1

표 11.4. 해양보호구역 지정 후보지 평가 종합 집계표=1102,1180,1

표 11.5.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위한 지역 설명회와 공청회 개요=1103,1181,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2

제1장 사업개요=1,6,6

제2장 조사 및 연구결과 요약=7,12,2

제1절 갯벌의 퇴적환경=9,14,1

1.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 주변 갯벌=9,14,4

2. 탄도만 갯벌의 퇴적환경=13,18,7

제2절 갯벌의 생태계=20,25,1

1.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옹진 장봉도 갯벌=20,25,5

2. 탄도만 갯벌 생물상=25,30,5

제3절 갯벌의 오염현황=30,35,1

1. 인천ㆍ경기도 연안 오염현황 조사=30,35,3

2. 탄도만 오염 현황=33,38,4

제4절 갯벌 및 주변지역의 사회ㆍ경제적 이용현황 조사=37,42,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37,42,1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37,42,1

3. 갯벌 및 주변지역의 사회경제적 이용현황=38,43,6

4. 갯벌 및 주변지역의 주민의식조사=43,48,2

5. 갯벌의 관리방안=44,49,5

제5절 자연 생태계 조사=49,54,1

1. 대이작도 주변 해역=49,54,4

2. 오류도 주변 해역=53,58,2

제6절 전국 갯벌 등급화 연구=55,60,1

1. 전국 갯벌면적 조사 및 수치지도 작성=55,60,3

2. 염생식물=58,63,2

3. 갯지렁이류=60,65,3

4. 중점조사지역 갯벌의 생태적 우수성(자연성)의 평가=63,68,3

5. 바다조류=66,71,4

6. 등급화 방안 제안=70,75,3

제7절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73,78,1

1. 개요=73,78,1

2. 실행결과=73,78,3

제8절 갯벌 생태지도 작성(가로림만)=76,81,1

1. 개요=76,81,1

2. 방법 및 결과=76,81,2

제9절 해양보호구역 심사단과 지역 설명회 및 공청회=78,83,1

1. 개요=78,83,1

2. 사업내용=78,83,6

제10절 갯벌가치의 상대적 비교 및 우리 갯벌의 가치조사=84,89,1

1. 조사개요=84,89,2

2. 연구방법=86,91,1

3. 연구결과=86,91,2

4. 토의=87,92,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요약문=i,4,3

Summary=iv,7,3

목차=vii,10,1

표목차=viii,11,2

그림목차=x,13,1

부록목차=x,13,1

제1절 문제제기=1,14,2

제2절 갯벌의 가치평가에 관한 이론과 현실=2,15,1

1. 갯벌 가치 및 가치화 이론=2,15,16

2. 갯벌의 경제적 가치화기법 선택의 문제=17,30,8

3. 갯벌 가치 편익이전 기법과 선택의 문제=24,37,2

제3절 주요국에서의 습지 가치화=25,38,2

1. 습지의 가치화 연구 사례=27,40,7

2. 습지의 가치 편익이전 사례=34,47,7

3. 주요국 습지가치화 사례로부터의 시사점=40,53,2

제4절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42,55,1

1. 갯벌 가치화 선행연구=42,55,6

2. 우리 갯벌 가치 평가 요인 분석=47,60,8

3. 간척 정책과 관련해 본 우리 갯벌의 가치=54,67,6

4. 우리 갯벌의 일반가치=59,72,3

제5절 갯벌과 용도변경(간척지)의 가치 상대비교=61,74,1

1. 가치 상대비교 체계=61,74,9

2. 선행연구 개관=69,82,8

3. 주요국에서의 가치 상대비교 사례=76,89,8

4. 우리 갯벌 상대비교 개관=84,97,8

제6절 간척지와 갯벌 가치 상대비교=91,104,1

1. 영산강4단계지구 갯벌(무안,함평,영광,신안)과 간척지 가치 상대비교=91,104,10

2. 새만금갯벌(2003년 현재;4공구 막기 전)과 간척지 가치 상대비교=100,113,12

제7절 결론=111,124,12

참고문헌=123,136,8

부록 1. 생태시스템 금전적 가치평가 방법=131,144,9

부록 2. 미국의 습지가치화 연구 사례=140,153,5

부록 3. Costanza et al.(1997)의 지구 생태계 가치화 결과=145,158,1

부록 4. 코스탄자 등이 Nature에 발표한 "지구 생태계 총가치" 산정근거=146,159,5

부록 5. 농업ㆍ농지의 경제적 가치화 사례=151,164,4

표 1. 습지 생태지표를 위해 체계화한 기본구조=3,16,1

표 2. 갯벌의 주요기능=5,18,1

표 3. 갯벌이 제공하는 서비스=6,19,1

표 4. 갯벌의 총경제가치=7,20,1

표 5. 산호초 생태계의 상품과 생태적 서비스=13,26,1

표 6. 산호초 생태계의 생태적 상품과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화=14,27,1

표 7. 습지기능의 경제적 가치=15,28,1

표 8. 가치화기법=19,32,1

표 9. 습지 편익 가치화 기법에서 추정하는 가치=20,33,1

표 10. 습지가 잃어버린 생명부양 기능을 대체하는 비용=29,42,1

표 11. 습지의 질소저감에 기초한 습지가치 추정=31,44,1

표 12. 총 질소부하 50% 감량시 습지 조성비용과 대안정책=32,45,1

표 13. 습지 기능의 가치추정값=33,46,1

표 14. 코스탄자 등(1997)의 지구 생태계 가치=35,48,1

표 15. Brouwer등의 습지가치 총합분석(Meta-analysis) 결과=38,51,1

표 16. Brander등의 습지가치 Meta-analysis 결과=39,52,1

표 17. 가치평가가 이루어졌던 습지 3군데에 편익이윤=40,53,1

표 18. 생태계 및 환경재화 가치 분석 연구 목록=43,56,1

표 19. 우리나라 갯벌 생태계의 경제적 가치화 연구 현황=45,58,1

표 20. 갯벌 가치화 기법 및 평가결과=46,59,1

표 21. 갯벌 손실의 사회ㆍ경제요인=48,61,1

표 22. 갯벌 매립 상황=51,64,1

표 23. 갯벌 가치평가에서 정량화 가능한 갯벌의 기능=57,70,1

표 24. 갯벌 가치 평가 항목 및 평가 결과=60,73,1

표 25. 갯벌과 용도변경(간척지) 가치 상대적 비교를 위한 분석체계(예시)=69,82,1

표 26. 습지로서 논과 갯벌의 생태적 가치평가 항목=72,85,1

표 27. 이흥동 등(1996)의 갯벌과 농지가치 상대적 비교=73,86,1

표 28. 표희동(2000a)의 갯벌과 간척농지 가치 상대적 비교=75,88,1

표 29. 습지의 가치화 배경=77,90,1

표 30. 습지를 농지로 용도전환하는 경우 비용편익=78,91,1

표 31. 농업적 사용 가치=78,91,1

표 32. 1994~2050년 동안 관리방안에 대한 순 현재 가치비교=80,93,1

표 33. 태국 맹그로브 습지의 용도전환과 보전방안별 가치 비교=81,94,1

표 34. 산호초 개발과 보전 방안(25년간 10%의 할인율을 적용한 NPV)=82,95,1

표 35. 우리나라 갯벌 간척과 보전관련 연구에서의 B/C분석=85,98,1

표 36. 우리나라 갯벌 간척과 보전 가치의 상대비교 산정례=87,100,1

표 37. 우리나라 갯벌 간척과 보전 가치의 상대비교 결과=88,101,1

표 38. 본 분석에 고려한 습지 생태계로서의 논과 갯벌의 기능과 가치=93,106,1

표 39. 영산강IV단계 갯벌(간척논)의 기능과 경제적 가치 현가=97,110,1

표 40. 영산강IV단계 개발사업에 대한 연구결과 비교=98,111,1

표 41. 영산강4단계지역 갯벌과 간척지 가치 상대비교 산정례=99,112,1

표 42. 갯벌과 간척지 가치 상대비교=100,113,1

표 43. 농업편익재산정=107,120,1

표 44. 2003년 현재 새만금 갯벌 공사중단 항목별 순편익=109,122,1

표 45. 갯벌의 가치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110,123,1

표 46. 새만금 지역(무안,함평,영광,신안) 갯벌과 간척지 가치 상대비교 산정례=111,124,1

그림 1. 갯벌 생태계의 경제적 가치=10,23,1

그림 2. 생태계의 가치와 경제적 가치=12,25,1

그림 3. 비시장재화의 가치평가법=18,31,1

그림 4. 갯벌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틀=22,35,1

그림 5. 가치화대상이 된 습지의 분포=26,39,1

그림 6. 람사 지정 습지의 세계적 분포현황=26,39,1

그림 7. 우리나라 갯벌 생태계에 적용한 P-S-I-R 틀=49,62,1

그림 8. 대단위 농업간척 사업도=52,65,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2

표목차=iii,6,1

그림목차=iii,6,1

제1절 계획의 개요=1,7,1

1. 관리계획 수립의 의의=1,7,1

2. 관리계획 수립의 배경=1,7,2

3. 관리계획의 성격=2,8,1

4. 관리계획 수립의 범위와 목표=3,9,1

가. 공간적 범위=3,9,1

나. 시간적 범위=3,9,1

다. 계획의 목표=3,9,1

제2절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 여건 및 전망=4,10,1

1.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개요=4,10,1

가. 지정경위=4,10,2

나. 지정내용=5,11,3

2. 신두리사구해역의 현황=8,14,1

가. 신두리사구해역 현황개요=8,14,1

나. 신두리사구 해역환경 현황=9,15,2

다. 신두리사구 육역환경 현황=11,17,2

라. 신두리사구 연안이용 현황=12,18,2

3. 신두리사구해역 환경관리의 문제점 및 전망=14,20,1

가. 신두리사구 해역환경관리의 문제점=14,20,2

나. 신두리사구 해역환경관리 여건변화 전망=15,21,1

제3절 신두리사구해역의 관리목표 및 추진전략=16,22,1

1.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의 관리목표 설정방향=16,22,1

2.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의 미래상=16,22,1

3. 신두리사구 해역생태계보전지역의 기본목표=17,23,1

4. 신두리사구 해역생태계보전지역의 추진전략=18,24,2

제4절 신두리사구해역의 부문별 관리계획=19,25,1

1. 부문별 관리계획 추진개요=19,25,1

가. 부문별 관리계획 추진방향=19,25,2

나. 부문별 추진계획=20,26,13

다. 부문별 추진계획 요약=33,39,1

제5절 사업추진계획=34,40,1

1. 2004년 사업추진계획=34,40,1

2. 신두리 사구해역 사업추진 계획(2004~2010)=35,41,2

[부록]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 현황=37,43,2

1. 신두리 사구해역의 지형적 특성=39,45,1

가. 해저 지형의 특성=39,45,2

나. 해안 사구지형 특성=40,46,3

다. 사구지형의 퇴적물 특성=43,49,1

2. 신두리 사구해역의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 현황=43,49,1

가. 해양환경 현황=43,49,5

나. 해양생태계 현황=47,53,4

다. 해안 사구육역의 생태계 특성=51,57,5

3. 신두리 사구해역의 이용현황=56,62,1

가. 인구 및 토지 이용현황=56,62,5

나. 신두리 사구해안의 개발현황=60,66,3

다. 신두리 사구 관련 보전 및 이용계획 현황=62,68,4

[표 1]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 보전지역 지정과정=5,11,1

[표 2]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 보전지역 지정내용=5,11,1

[그림 1]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6,12,1

[그림 2] 신두리사구해역 위성사진=7,13,1

[그림 3] 신두리사구해역 내 해변경관훼손=14,20,1

[그림 4] 신두리사구해역 생태계보전지역의 기본목표=17,23,1

[그림 5] 신두리사구해역 생태마을 공동체 구성(안)=25,31,1

[그림 6] 신두리사구해역 관리구역 구분=30,36,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4

[표목차]=v,8,1

[그림목차]=vi,9,2

제1절 서론=1,11,1

1. 배경=1,11,3

2. 비전과 목표=4,14,2

제2절 범위 및 추진방법=6,16,1

1. 범위=6,16,1

2. 추진방법=6,16,2

제3절 문섬 주변해역 현황분석=8,18,1

1. 환경=8,18,1

1.1. 지리,물리,화학환경=8,18,2

2. 생태계=10,20,1

2.1. 바위해안 조간대=10,20,1

2.2. 수중 암벽 조하대=10,20,9

2.3. 문섬 주변해역의 해저=19,29,3

2.4. 해양생물다양성=21,31,3

3. 인문ㆍ사회 환경=24,34,1

3.1. 토지이용 및 시설=24,34,1

3.2. 용도지역 지정(도시계획 고시상)=25,35,1

3.3. 산업 경제 현황=25,35,4

3.4. 어업과 수산물 생산=28,38,4

3.5. 관광=31,41,8

제4절 생태계 위협요인과 관리의 장애요인=39,49,1

1. 해양생태계 위협 요인=39,49,1

1.1. 생물적인 영향=39,49,1

1.2. 물리적인 영향=39,49,1

1.3. 화학적인 영향=39,49,2

1.4. 탁도의 영향=40,50,1

2. 관리상의 문제점=40,50,2

제5절 문섬 주변해역 보호지역 관리 계획=42,52,1

1. 관리계획의 목표 및 관리 전략=42,52,1

1.1. 문섬 주변 생태계 보전지역 관리전략 체계도=42,52,1

1.2. 관리계획의 목표=43,53,1

2. 해양생태계 보전지역 관리 원칙=43,53,1

2.1.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이용=43,53,1

2.1.1. 개요=43,53,3

2.1.2. 실행 원칙=45,55,2

2.1.3. 실천계획=47,57,1

2.2. 지역사회의 참여유도=47,57,1

2.2.1. 개요=47,57,1

2.2.2. 실행원칙=48,58,2

2.2.3. 실천계획=49,59,2

2.3. 관리제도 문제 해소=50,60,1

2.3.1. 관리제도 개선=50,60,1

2.3.2. 관리자문위원회 조직=50,60,2

2.3.3. 지역의 가치와 정체성 확보를 위한 연구와 교육=51,61,1

2.3.4. 실천계획=51,61,2

3. 지속가능한 이용의 실현을 위한 대책=52,62,1

3.1. 지속 가능한 수산업=52,62,2

3.2. 생태관광=53,63,1

3.3. 시설 계획=53,63,2

3.4. 연구와 모니터링=54,64,2

3.5. 지역 주민 참여 방향(환경교육 분야)=55,65,2

제6절 문섬 주변해역 보호지역 관리 세부 실행 계획=57,67,1

1. 보호지역 관리기구=57,67,1

1.1. 관리자문위원회 구성=57,67,1

1.2. 관리위원회 기능 및 역할=58,68,1

2. 관리권역별 세부 관리 계획=58,68,1

2.1. 절대 보호지역=58,68,2

2.2. 상대적 보호지역=59,69,2

3. 생태관광 실행 계획=60,70,1

3.1. 생태관광 루트 개발=60,70,3

3.2. 방문객 센터=62,72,2

3.3. 생태관광 시설물=64,74,1

4. 지역 주민 환경교육 실행 계획=65,75,1

4.1. 지역 내 홍보와 의사소통=65,75,1

4.2. 환경교육 방안=66,76,1

5. 사업 추진계획(2004~2013)=67,77,1

참고문헌=68,78,3

부록 1. 서귀포 문섬 주변해역 관련 계획의 중복=71,81,3

1. 보호지역의 중복=73,83,1

1.1. 서귀포시립해양공원=73,83,2

1.2.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74,84,3

1.3. 제주연안 천연보호구역=76,86,2

2. 해양생태계 보전지역 주변의 개발계획=77,87,1

2.1. 제주도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77,87,4

2.2. 강정유원지 개발(2차지구 사업)=80,90,1

2.3. 외돌개 해양체육관광시설=80,90,2

2.4. 삼매봉유원지=81,91,1

2.5. 서건도 생태ㆍ체험 개발 사업=81,91,2

3. 해역 관리와 개발 계획 관련 법규=82,92,1

3.1. 자연환경보전법=82,92,4

3.2. 연안관리법=86,96,2

3.3. 습지보전법=87,97,2

3.4. 해양오염방지법=88,98,2

3.5. 공유수면관리법=89,99,2

3.6. 해양수산발전기본법=90,100,2

3.7. 자연공원법=91,101,3

3.8. 문화재보호법=93,103,2

3.9.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94,104,3

부록 2. 서귀포시민 및 이해당사자 의견 조사=97,107,1

1. 개요=97,107,1

2. 문섬 주변해역 주민 인터뷰=97,107,1

2.1. 인터뷰 대상자=97,107,1

2.2. 인터뷰 결과=98,108,1

2.2.1. 어촌계=98,108,1

2.2.2. 환경단체=98,108,2

2.2.3. 수산업협동조합 관계자=99,109,2

2.2.4. 다이빙샵 주인=100,110,2

2.2.5. 서귀포 시청 공무원=101,111,1

2.2.6. 결론=102,112,1

3. 문섬 주변해역 방문객 인터뷰=102,112,1

3.1. 개요=102,112,1

3.2. 인터뷰 결과=102,112,2

4. 지역 주민토론회=103,113,1

4.1. 개요=103,113,1

4.2. 토론회 주요 안건=103,113,1

4.3. 논의된 내용=104,114,2

4.4. 결과 종합=105,115,2

5. 이차 인터뷰:다이빙샵 주인과 어선 관계자=106,116,1

5.1. 개요=106,116,1

5.2. 결과=106,116,2

부록 3. 국내 및 제주도 보호지역 사례 검토=108,118,1

1. 생태계 보전지역=108,118,1

1.1. 대암산 용늪 생태계 보전지역=108,118,2

1.1.1. 대암산 용늪 생태계보전지역ㆍ생태계 보존을 위한 복원사업=109,119,2

1.2. 둔촌동 생태계보전지역 관리기본계획=110,120,1

1.3. 양산 고층 습지ㆍ양산시 고층 습지 생태계 보전방안=111,121,2

2. 습지보호지역=112,122,1

2.1. 제주 물영아리오름 습지보전지역=112,122,1

3. 보호지역의 문제점=113,123,1

3.1. 보호지역 문제발생 사례연구ㆍ제주도 문섬 주변 해역=113,123,2

표 1. 제주도 서귀포 주변 해저층에서 채취된 표층퇴적물의 조성=19,29,1

표 2. 서귀포 문섬 일대에 설정된 보호지역에서 기록된 종수=22,32,1

표 3. 서귀포 문섬일대에 출현한 저서동물군의 출현종수=22,32,1

표 4. 서귀포시 토지이용계획 현황=24,34,1

표 5. 서귀포시 1차산업 연도별 조수익 현황=27,37,1

표 6. 관광객 성향=28,38,1

표 7. 연도별 어업가구 및 어업종사자 수=29,39,1

표 8. 수산물 생산량=30,40,1

표 9. 서귀포시 관광지 현황=31,41,1

표 10. 서귀포항 관광객 이용현황=32,42,1

표 11. 서귀포항의 유람선업=32,42,1

표 12. 서귀포 시립해양공원 입장객수(잠수정과 유람선)=32,42,1

표 13. 주요 다이빙 장소인 숲섬,문섬,범섬의 특징=34,44,1

표 14. 문섬 주변 섬의 낚시 적기와 어종=35,45,1

표 15. 관광 해저잠수정 연도별 승선 인원=36,46,1

표 16. 관광 유람선의 연도별 승선 인원 현황=37,47,1

표 17. 서귀포 시립해양공원 지정현황=73,83,1

표 18. 서귀포 시립해양공원 내와 주변에 위치한 주요 관광자원=74,84,1

그림 1. 문섬,숲섬,범섬의 위치=3,13,1

그림 2. 서귀포시 문섬 일대 도서 주변의 해양생태계 보전지역 지정에 따른 관리계획의 수립도=4,14,1

그림 3. 문섬 일대 도서 주변 해역의 해양생태계 보전지역에 대한 관리계획 수립 절차=7,17,1

그림 4. 서귀포 해역 문섬 주변 수심도 (국립해양조사원 자료 제공)=9,19,1

그림 5. 보목동 바위해안 조간대의 지형과 저서동물 우점종의 생태=11,21,1

그림 6. 문섬 북쪽 암반 조하대의 지형 및 저서동물 우점종의 수직분포=12,22,1

그림 7. 문섬 북쪽과 남쪽,지귀도,범섬의 암반조하대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종수 및 밀도 분포=13,23,1

그림 8. 문섬 남쪽 암반 조하대의 지형 및 저서동물 우점종의 수직분포=14,24,1

그림 9. 문섬 북쪽과 남쪽,지귀도,범섬의 암반조하대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의 종수 및 밀도 분포=15,25,1

그림 10. 숲섬의 수중전경(오른쪽 가장 아래사진은 수중의 멸치 떼이며,왼쪽 가장 아래 사진은 수심이 가장 깊은 곳(22m)이고,왼쪽 가장 위는 수심이 2m임=17,27,1

그림 11. 제주도 조사해역에서 나타나는 서식지 유형별 굴초 (Oyster reefs)의 형태=18,28,1

그림 12. 문섬지역 해저 조사 지점=20,30,1

그림 13. 서귀포시 도시계획 도면=26,36,1

그림 14. 문섬의 전경=34,44,1

그림 15. 범섬의 전경=34,44,1

그림 16. 문섬 주변 해역의 각종 보호지역=41,51,1

그림 17. 문섬 주변 해역 생태계 보전지역 (파란 부분)=44,54,1

그림 18. 보호지역 관리 구역 구분 예시=46,56,1

그림 19. 역할분담 및 실행계획=52,62,1

그림 20. 생태관광 루트 예시=61,71,1

그림 21. 방문객 센터 위치안=63,73,1

그림 22. 생태관광 시설물=64,74,1

그림 23. 제주도 생물권 보전지역=75,85,1

그림 24. 제주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도(2002-2011)=78,88,1

그림 25. 중문관광단지 확충 예시=79,89,1

그림 26.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 예시=80,90,1

그림 27. 외돌개의 전경=81,91,1

그림 28. 서건도의 전경=82,92,1

그림 29. 문섬 주변 해역의 각종 보호지역=84,94,1

그림 30. 보호지역내 주 다이빙 포인트와 낚시 지점=107,117,1

그림 31. 자연생태계 보전지역과 습지 보전지역=108,118,1

그림 32. 제주 물영아리오름 습지보전지역 위치=112,122,1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1

표목차=ii,5,1

그림목차=ii,5,1

제1절 계획의 개요=1,6,1

1. 관리계획 수립의 의의=1,6,1

2. 관리계획의 성격=1,6,2

3. 관리계획 수립의 배경=2,7,1

4. 관리계획 수립의 범위=3,8,1

5. 관리계획 수립의 목표=3,8,1

제2절 진도갯벌의 현황=4,9,1

1. 진도갯벌의 습지보호지역 지정=4,9,3

2.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현황=6,11,8

3.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환경관리의 여건 및 전망=13,18,3

제3절 진도습지보호지역의 관리목표 및 추진전략=16,21,1

1.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관리목표 설정 방향=16,21,1

2.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미래상=16,21,1

3.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기본목표=17,22,1

4.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추진전략=18,23,2

제4절 진도 갯벌 습지보호지역의 부문별 관리계획=19,24,1

1. 부문별 관리계획 추진방향=19,24,1

2. 부문별 추진계획=20,25,13

제5절 사업추진계획 및 예산=33,38,1

1. 2004년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관리 사업 추진 계획=33,38,1

2.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관리 사업 추진 계획(2004~2013)=34,39,1

[표 1]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 내용=6,11,1

[표 2] 진도갯벌 수질의 평균값=8,13,1

[표 3] 진도갯벌 표층퇴적물 내 중금속=9,14,1

[표 4] 진도 습지보호지역 주변 인구 현황=9,14,1

[표 5] 진도 습지보호지역 주변 어촌계 현황=10,15,1

[표 6] 진도 갯벌 주변의 어업권 설정 현황=10,15,1

[그림 1]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신동지역)=3,8,1

[그림 2]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위치 및 지정도면=6,11,1

[그림 3] 일제시대(1917년도) 1/50,000 축척의 진도갯벌 주변 지형도=7,12,1

[그림 4] 진도 습지보호지역 주변의 어업권 설정 현황=11,16,1

[그림 5] 진도갯벌 주변의 토지이용=12,17,1

[그림 6] 진도군 습지보전지역내 선착장 설치 요구지역=13,18,1

[그림 7]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주변 오염원=14,19,1

[그림 8]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의 기본목표=17,22,1

목차

[표제지 등]=0,1,2

목차=0,3,1

1. 조사개요=1,4,1

2. 조사방법=1,4,8

3.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해안 갯벌 목록 결과=9,12,2

백령도 갯벌 (GG-1)=11,14,15

연평도 갯벌 (GG-2)=26,29,10

석모도 갯벌 (GG-5)=36,39,36

강화도 갯벌 (GG-6)=72,75,34

영종도-용유도 갯벌 (GG-7)=106,109,91

인천-시흥 갯벌 (GG-8)=197,200,35

덕적군도 갯벌 (GG-9)=232,235,34

선갑도-백아도 갯벌 (GG-10)=266,269,13

대이작도 갯벌 (GG-11)=279,282,18

영흥ㆍ선재ㆍ대부도 갯벌 (GG-12)=297,300,112

화성 갯벌 (GG-13)=409,412,30

평택 갯벌 (GG-14)=439,442,2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40584 333.917 ㅎ174ㄱ 2003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85 333.917 ㅎ174ㄱ 2003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86 333.917 ㅎ174ㄱ 2003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87 333.917 ㅎ174ㄱ 2003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88 333.917 ㅎ174ㄱ 2003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89 333.917 ㅎ174ㄱ 2003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0 333.917 ㅎ174ㄱ 2003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1 333.917 ㅎ174ㄱ 2003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2 333.917 ㅎ174ㄱ 2003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3 333.917 ㅎ174ㄱ 2003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4 333.917 ㅎ174ㄱ 2003v.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5 333.917 ㅎ174ㄱ 2003v.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6 333.917 ㅎ174ㄱ 2003v.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1040597 333.917 ㅎ174ㄱ 2003v.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